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교수 적극성과의 관계

        김영실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과 과학교수 적극성과의 관계 유아교육전공 김영실 지도교수 김양은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과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수 적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과학교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문제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교사배경 변인들(과학관련 경험, 과학교수 지원환경)과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수 적극성의 일반적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 담당학급 연령, 교사-유아 비율)에 따라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수 적극성에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에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과학교수 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3.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과학교수 적극성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에 근무하는 교사 241명이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유아교사들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을 알아보기 위해 임은정(2007)이 개발한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Riggs와 Enochs(1990)의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t)(STEBI)를 국내 실정에 맞게 배미양(2001)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 적극성을 알아보기 위해 Wilcox-Herzog와 Ward(2004)가 개발하고, 국내 실정에 맞게 김양은, 김연하(2008)가 번안한 교수 적극성 척도 (Teaching Intention Scale)(TIS)를 과학이라는 특정과목으로 그 영역을 한정시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주요 연구변인인 유아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수 적극성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ANOVA 검증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본 후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통계처리는 SPSS 1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인 과학관련 경험과 과학교수 지원환경, 구성주의적 교육신념, 과학교수 효능감, 과학교수 적극성의 일반적 경향을 분석한 결과 과학관련 경험은 대학 이전이 가장 많았고, 교사가 된 이후, 대학 재학 시 순으로 조사되었다. 과학교수 지원환경은 보통이었으며,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과학교수 효능감 수준은 과학교수 개인효능감(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PSTE)에 비해 과학교수 결과기대감(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STOE)이 약간 더 높았으며, 교사들의 과학교수 적극성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경력, 학력, 근무기관 유형, 담당학급 연령, 교사-유아 비율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이 3년 미만과 3-5년 교사에 비해 5-10년, 10년 이상 된 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력에 따른 차이에서는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대학원 재학 이상의 교사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근무기관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국 ․ 공립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이 사립 유치원,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에 비해 유의미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담당학급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혼합연령을 담당한 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 교사-유아 비율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사-유아 비율이 1:11-1:20 미만인 경우 그 보다 비율이 더 낮거나 높은 집단에 비해 교사의 구성주의적 교육신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라 과학교수 효능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경력, 학력, 담당학급 연령, 교사-유아 비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서는 학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고,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에서는 경력, 담당학급 연령, 교사-유아 비율에 따른 통계적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경력이 10년 이상 된 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학력이 증가할수록 과학교수 효능감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에서 대학원 재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교사들이 전문대를 졸업한 교사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담당학급 연령에 따른 차이에서는 혼합연령을 담당한 교사의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이 유의미하게 높게 조사되었다. 교사-유아 비율에 따른 차이에서는 교사-유아 비율이 1:11-1:20 미만인 경우 그보다 비율이 더 높거나 낮은 집단에 비해서 과학교수 결과기대감이 더 높게 조사되었다. 넷째, 유아교사의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과학교수 적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학력과 근무기관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과학교수 적극성의 차이 결과 대학원 재학 이상의 교사가 전문대 졸업,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교사에 비해 과학교수 적극성 수준이 높게 조사되었다. 근무기관 유형별에서는 국 ․ 공립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의 적극성 수준이 다른 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의 과학교수 적극성 수준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과학교수 적극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그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과학교수 적극성에 대한 회귀모형에는 과학교수 개인효능감(PSTE)(R2=.20), 지원환경(⊿R2=.09), 구성주의 교육신념(⊿R2=.06), 과학교수 결과기대감(STOE)(⊿R2=.02), 대학 이전 과학관련 경험(⊿R2=.02)이 순서대로 투입되었다. 최종 모형은과학교수 적극성의 37%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Belief in Constructivism,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Kim, Yungsil Majo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s' belief in constructivism,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science teaching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also focuses on identifying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on the teaching intention of science of teachers. The followings were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 1. What are the general tendencies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affec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science teaching intention and their beliefs in constructivism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2.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onstructivism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intention of teaching science based on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2-1. Does each early childhood teacher show a difference in the belief of constructivism,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2-2. Does each early childhood teacher show a difference in the belief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2-3. Does each early childhood teacher show a difference in their intention of teaching scie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 3. What are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cience, and how are th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d 241 teachers from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The instrumentations were used in this study; 1) The beliefs of teachers in constructivism(Lee, 2007), 2)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Riggs & Enochs, 1990) and 3) Science Teaching Intention Scale(revised by Kim, 2009; Wilcox-Herzog & Ward, 2004). Several types of method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from the study, these were as follows: reliability test,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Regression were conducted. SPSS 14.0 was the statistical software program used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belief in constructivism based on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level,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age of child, and ratio of students to teachers. Second,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on the beliefs of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 level,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age of child and ratio of students to teachers. The personal science efficacy(PSTE) was significant based on the educational level, and the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STO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eaching experience, age of the child and the ratio of students to teachers. Third, the intention of teaching science by the teachers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backgroun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education level and the type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Regression model, in which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PSTE), science supporting environment, the beliefs of teachers in constructivism, science teaching outcome expectancy(STOE), and the experience prior to starting pre-service teacher were used as the input, was used to find out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intention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ing science and the influences of the variables As a result, the final model was found to have an explanatory power of 37% for the intention of teaching science.

      • 은행의 자본구조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 중국 상업은행을 중심으로

        김영실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은행업은 금융기업에서 상당히 활력을 갖고 있는 그룹으로서 상당히 높은 리스크와 불확실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특수성으로 인하여 은행업은 일반기업과는 달리 자본구조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5개 상업은행을 대상으로 2004년 3분기부터 2008년 분기까지를 연구기간으로 택하여, 다양한 변수들을 도입하여 자본구조 결정요인을 모색하고자 한다. 동시에 자본비율과 부채비율의 조정문제를 고려하여 자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하나는 자본비율과 부채비율이 서로 조정관계 존재한다는 기본가설과 다른 하나는 자본구조에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8개 가설이다. 분석방법은 2단계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상장은행의 자본비율과 부채비율은 상호의존성이 존재한다. 둘째, 이익변동성은 자본비율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국가소유주지분율은 자본비율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 비부채성세금효과, 은행규모, 경영자지분율은 상장은행의 자본비율과 자본으로 전환할 수 없는 부채비율에 모두 유의성을 보였고, 성장성과 소유구조집중도는 자본으로 전환할 수 없는 부채비율에만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은행종업원수"를 "은행규모"의 도구변수로 Hausman검정을 실시하여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였다. 넷째, 중국 상업은행의 부채비율은 거시적 경제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다.

      • 대장암 환자의 심리사회적 욕구에 관한 연구

        김영실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학의 급속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암은 인간에게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주요인의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사회, 경제적 손실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이 중 대장암은 지난 10년간 가장 큰 발병 증가율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대장암은 식생활 변화와 고령화 등으로 향후 그 발생률이 더욱 증가될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발생 연령이 서구에 비해 10세가량 낮아, 더 오랜 기간 암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향력에 노출되고 환자와 가족에게 지속적인 적응 과정이 요구되어진다. 또한, 대장암은 질환의 특성상 신체상(body image)의 손실과 수치감을 경험하게 되며, 그 발병과 관련하여 사회심리적인 요인이 보고되고 있다. 더불어 대장암은 완치율이 높은 암으로 예후가 비교적 양호하다고 할 수 있으며, 일상생활로의 복귀 가능성도 크기 때문에 수술 후 회복과 적응에 대한 개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대장암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적인 개입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서구에서는 대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여러 형태의 지지프로그램들을 제공하는 전문적이고 특수화된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대장암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연구가 전무하며 그들이 갖는 특수한 욕구를 충족시킬 전문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이 미비한 상태이다. 사회복지사는 개인의 욕구를 분석한 후 사회적 기능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할 때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바람직한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환자의 심리사회적 욕구를 파악하여 보다 전문적이고 특성화된 사회복지적 개입 방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대장암 환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기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의 대장암 환자 중에서 조사자가 선정한 병원에서 외래 및 입원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70명으로 하였으며, 자기보고식으로 수행되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수집된 질문지는 총 70부이었으며,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욕구 측면에서는 “치료 이전의 자신감을 갖고 싶다” 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심리적 지지를 받은 경우는 일차적 지지체계가 대부분 이었다. 또한, 심리적 지지를 경험한 경우 그 만족도가 높았으며 향 후 심리적 문제에 대해서는 전문가와의 상담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사는 대장암 환자와의 전문적인 상담을 통하여 그들의 자존감 향상을 도모하며, 더불어 퇴원 후 사회복귀에서의 심리사회적인 문제까지도 함께 도울 수 있는 사회복지 상담 서비스 지원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대장암의 호발연령이 낮아지고 여성에게서도 많은 발병을 보이고 있어 질환의 만성화와 함께 학생이거나 미혼인 상태의 암환자를 발생시키므로, 향후 경제적인 자립의 문제와 생활에 대한 경제적인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심층면접시 “암환자 가족의 경제적 지원 정책이 마련되었으면 좋겠다” 라고 언급하여, 일시적인 치료비의 지원 보다는 의료보험의 확대나 가족에 대한 경제적지원 등 정책적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욕구를 보였다. 이러한 경제적 문제는 환자의 치료의지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의료사회복지사는 대장암환자의 치료과정과 가족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파악하고 도와야 하며, 이를 위한 자원 개발과 후원기관 연계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정보욕구 측면에서는 ‘재발 및 전이의 가능성에 대해 알고 싶다’는 욕구를 가장 크게 보였으며, 식사, 활동 등 대장암환자의 생활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욕구를 보였다. 응답자는 의사와의 1:1 면담과 병원내 교육 및 대장암 환자 모임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정보를 얻기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보를 제공받은 경험을 가진 환자의 비율은 매우 낮았으며, 책자나 인터넷 자료 등 을 통하여 정보 수집을 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에 보다 전문적인 의료적 정보와 심리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정보가 효과적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on-line, off-line 교육프로그램 및 대장암에 대한 자료집 제작 등 대장암 환자의 정보욕구 충족을 위한 다각적인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사회복지사의 적극적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대장암은 예후가 비교적 양호하므로, 일상생활로의 복귀 가능성도 큰 특징을 갖는다. 의료기술의 발달로 대장암 환자의 생존기간은 길어졌지만, 암 진단 후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살아간다면 효과적인 치료라 할 수 없을 것이며, 이에 진단 초기부터 지속적인 심리사회적 개입을 통하여 개별적인 재활과 사회복귀 계획을 도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대장암의 치료과정이 사회와의 단절된 상황 속에서 진행되지 않도록 하며 대장암 환자의 재활 및 사회복귀를 위해서 지역사회복지관, 직업상담 등의 적절한 자원을 연계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복지사의 개입 활성화가 필요하다. Despite remarkable advancement of up-to-the-minute medical science, cancer has been still recognized as one of major disorders that threaten our health and life, and also becomes a critical cause that induces socio- economic losses. During the last decades, the number of colon cancer patients in Korea has been increasing due to westernized diet habit and life style. Specially, as for the colon cancer, it is experienced loss of physical (body image) and numerical feeling on a characteristic of a disease,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are reported regarding the attack. Due to the development to various new method of detecting and treating cancer, survival rate and life expectancy have increased.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disorder, the patients with colon cancer often undergo losses of body image along with a sense of shame. Besides, there have been so far a chain of reports about psychosocial factors relevant to the onset of colon cancer. But, many of them go though the significant changes of biopsychosocial life. Therefore, they strongly need not only cure but also the treatments with psychosocial suppor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anage specific data in providing social work service in appropriate and effective way for the patients being hospitalized or treated continually after diagnosis of a colon cancer patients by understanding their psychosocial needs. Through this information, it provides the groundwork for rage agnification and specialization of medical social works' intervention for the patients. Ultimately, it aims to contribute in qualitative improvement of social work service to give patients substantial aid. The target subjects were colon cancer patient who already know oneself. 70 colon cancer patients who already self-reported questionnaire at hospital except the Jeju. The results of data that 70copies of questionnaire is analyzed are as follows. First, the patients strongly wanted to they would like to have confidence in themselves. And they mostly got a psychological support from a family, friends. In addition, if the patients felt certain psychological supports, they showed better satisfaction. But in terms of follow-up psychological considerations after operation, it was noted that they had higher preference for counseling with experts than anything else. Therefore, first of all, it is advisable that social workers prepare for a formulated system to support social welfare counseling service, so that they can help colon cancer clients to restore self-esteem through special counseling and also assist them in any potential psychosocial problem on the way to rehabilitation after discharge from hospital. Secondly, the level of the expectation for extens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s coverage was high. The age under onset of colon cancer becomes younger than before and even more and more women reveal the onset of colon cancer. Since this latest tendency becomes a critical cause of the onset among student or unmarried populations along with chronic effects of disorder, they will have more difficulties with economic self-support and basic livelihood in near future. Medical social workers have to endeavor to not only support a medical for the patients who are in difficulty economically, but also have to help diversely from the supporters' association. Thirdly, It was higher for recur and metastasis and respondents in this study revealed their own needs for getting various information materials relevant to the life of colon cancer clients such as diet and activities. It was noteworthy that they wanted to get the information via various paths, because they desired for man-to-man counseling with doctor, in-hospital reorientation and the group session of colon cancer patients. Thus, it is necessary that we search for possible solutions from multilateral angles to meet the basic informational needs of colon cancer clients by developing reorientation programs on- and off -line and making a collection of data on colon cancer as well, so that a little more specialized medical information and other informational data for solving psychosocial problems can be distributed to clients effectively. For this sake, it is required to motivate social workers to intervene in their questions more positively. Finally, it is relatively easy to take prognosis about colon cancer. That is why it is more possible that colon cancer clients are rehabilitated into their daily life as usual. Hence, it is essential that the clients should be assisted in their individual and social rehabilitation under the support of ceaseless psychosocial intervention even from initial diagnosis. So, the medical social worker to investigate and with the local social resources and supporting policy such as local center for social welfare.

      • Rogers의 人間中心思想과 Buber의 '만남' 思想에 관한 硏究

        김영실 淑明女子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 硏究는 Carl. R. Rogers의 人間中心治療理論에서 주장하고 있는 참만남의 相談關係와 Martin Buber의 '만남' 사상을 통하여 自我實現에로의 人間의 成長, 變化를 敎育的 意味에서 살펴보았다. Rogers는 人間으로서의 價値와 尊嚴性에 대한 믿음 즉, 모든 人間은 成長할 수 있는 잠재적인 能力을 갖추고 있다는 哲學을 가지고 心理治療와 人間關係에 있어서 人間을 中心으로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人間의 참된 변화는 관계 속에서 經驗을 통하여 오는 것으로 보고 '참만남'(Encounter)의 관계를 相談의 核心으로 삼고 人間相互間의 만남의 質(quality of the interpersonal encounter)에 따라 人間의 發達과 成長은 방해받던가 촉진되어진다고 보았다. 또한 自我實現하는 즉 充分히 機能을 발휘하는 人間으로 발달되기 위해서는 眞實性 또는 -致, 무조건적인 긍정적 존중, 정확한 공감적 이해가 따른 인간관계가 그 필수조건이 된다고 하였다. Rogers는 이러한 人間成長 促進關係를 그의 相談 및 心理治療 그리 고 참만남집단(Encounter Group) 의 인간관계, 나아가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에 그대로 適用하고 있다. Rogers의 人間中心治療의 目的은 來談者 個人은 스스로 자신을 變化시킬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治療者는 주로 個人成長의 促進者로서 來談者를 도와 통찰과 自己吟味를 통하여 成熟할 수 있는 方向으로 나아가게 하는 데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더욱 자유롭게 되고 자기자신이 되도록 촉진시키는 것은 친밀하고 따뜻하고 이해력 있는 人間의 허용적 '만남'의 관계에서 비롯되어진다 하겠다. 또한 Buber는 人間은 '人間과 함께 하는 存在'로 만남을 통해서 참된 自我를 실현할 수 있으며 自我는 다른 사람들과의 純粹한 對話를 통해서 成長되며 純粹한 對話는 人間本質의 可能性을 열어준다고 했다. 그러므로 Buber는 '모든 참다운 삶은 만남'이며 '관계' '만남' '대화' '사이'를 강조한다. "태초에 관계가 있다 (In the beginning is relation)"고 말하는 Buber는 '나와 너', '나와 그것'의 차원으로 人間을 둘러싼 모든 관계를 제시한다. '나와 그것' 이라는 根原語가 건네질 때 世界는 한낱 利用과 體驗의 대상으로 변하나 世界에 對하여 '나와 너'라는 根原語를 말할 때는 하나의 主體와 또 하나의 主體와의 사이에 교섭, 상호작용이 이뤄진다. 또한 '나와 너'의 만남의 관계는 自然, 人間, 精神的 存在 나아가 神과 더불어 사는 삶을 통해서 自我實現이 可能하며 더욱 풍요로운 삶 그리고 참된 人格共同體를 이루어 나갈 수 있음을 말하고 있다. 眞實한 意味에서의 實存的 만남인 人間核心에의 접촉을 통한 만남은 인간으로 하여금 이제까지의 삶의 모든 계획과 기대를 뒤엎고 전혀 새로운 삶에로 출발하게 된다. Rogers는 Buber의 '나와 너' 관계의 만남을 그의 참만남의 인간관계에 시도하고 있다. 이와같이 Rogers와 Buber는 人格的 '나와 너' 관계의 만남 속에서 人間은 成長, 變化되어진다고 하였다. 점차로 인간관계의 친밀성이 약화되는 오늘날 Rogers와 Buber의 人格的 만남은 상실되어가는 人間性을 回復시켜 주고 빠르게 變化되어가는 社會에 적응토록 도와, 주체적이고 독특한 자아로 成長되도록 하는 것에 敎育的 意味가 있다. 더욱이 自我實現에로의 人間成長·變化가 平生 계속되어진다고 볼 때 학교교육에서뿐만 아니라 서로가 對面하고 관계를 맺는 '삶의 場'에 그 의미가 강조된다고 생각한다. This is a study on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personal growth and change toward self-actualization through the encounter counseling that Rogers asserts in person-centered therapy, and that Buber does in encounter theory. Rogers makes efforts to put a person in the encounter dealing with psychotherapy and human relationship, in the confidence of human dignity and values, on the philosophy that everybody has potentiality to grow. The real change of a person comes through the counseling.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are to be facilitated or hindered by the quality of interpersonal encounters. Genuineness or congruence,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s and accurate empathic understanding enable a person to develop into a "fully functioning person" through self-actualization. Rogers applies such human-growth-facilitating-relation to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with encounter groups and also with teachers and students. Because a client has the potentional to change himself, a therapist, as a facilitator who helps the client examine himself carefully and have the insight to lead him to maturity. Only a warm and understandable encounter relation frees him and enables him to become the 'real himself.' Buber says that a person can be the 'real himself' through encounter as man is a 'being within a human being.' The self can grow through genuine dialogue with others which opens the potentiality of human nature. Therefore he says, 'all real living is an encounter' and places emphasis on relation, encounter, dialogue and betweeness. When saying "In the beginning is relation," he shows that all the relations surrounding a person can divide into 'I and Thou' and 'I and It.' When the primary word 'I and It' is uttered, the world is just an object to be used and experienced, but saying the primary word 'I and Thou,' a person begins interaction with all the world. The encounter relation of 'I and Thou' which shows life getting along with nature, people, spiritual beings and even God, makes a person not only capable of self-actualization, but also more fulfilled with a sense of true personal community. The true sense of an existential encounter means man's core contact. Such an encounter makes a person who has his own plans and expectations into complete alteration, and understands the true nature of himself. In like manner, Rogers and Buber say than a person can grow and change with the relationship of 'I and Thou.' In these days, when the intimacy between people becomes weakened, the personal encounter theories of Rogers and Buber make a person recover from the loss of personality, readjust to society which has changed rapidly, and help him to develop into a characteristic and independent person. Therefore, their theories are thought to have an educational meaning and should be much more emphasized in school as well as social life, where face to face relations take place. This is because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through self-actualization will continue throughout one's life span.

      • 교육 서비스 담론의 프레임 발전과정 분석 :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김영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5.31 교육개혁 이후 우리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추구되어 온 ‘수요자 중심 교육’을 교사, 학생, 학부모의 주체성을 재구성하는 ‘교육서비스 담론’의 사회적 실천으로 규정하고 교육서비스 담론의 전개 과정에 어떤 사회적 배경, 대중의 경험, 가치가 영향을 끼쳤는지 신문 기사를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조선일보, 한국일보, 한겨레신문을 바탕으로 확인한 시대적 흐름에 따른 교육서비스 담론의 생성․확산․재생산 과정을 프레임 개념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교육서비스 담론은 프레임 정렬의 네 가지 축인 프레임 구축, 프레임 증폭, 프레임 확장, 프레임 변형을 통해 전개된다. 먼저 프레임 구축 단계를 살펴보면 ‘교육서비스’ 용어는 외국과의 경제개방협상 과정에서 외국의 사회적 문법을 우리 사회에 확대 적용하고, 그 용어들이 차용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에 도입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학교육이 기업과 국가라는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가 되어야 한다는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졌고, 대학교육을 위시한 ‘교육은 서비스’라는 은유는 각종 신문의 사설 및 칼럼을 통해 담론의 위치를 획득하게 되었다. 프레임 증폭 단계에서는 학교교육은 학원에 비해 열등할 뿐만 아니라 국민들의 조기이민을 부추기는 직접적인 원인으로 표상되며 이와 같은 논의들은 공교육 붕괴 담론으로 결집시켰다. 여기에 건국이후 최대 위기라는 IMF 구제금융지원 사태까지 동원되면서 세금으로 운영되는 공교육 실패 원인에 대한 집중 추궁이 이어졌으며, 경제적 효용이 교육에 요구되면서 학생과 학부모는 교육이라는 상품을 ‘감시’해야 하는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프레임 확장은 교육서비스 담론을 교육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면서 지지기반을 확장시킨 단계로 교원평가와 교원성과급의 추진을 통해 교사 대 국민의 프레임을 창출해 학부모의 지지기반을 확대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교육은 상품이기 때문에 수요자의 요구에 맞게 공급되어야 한다는 주장은 학교 선택론과도 접합함으로써 교육서비스 담론은 ‘하향평준화’를 반대해온 세력들과 연합해 더 넓은 지지기반을 형성하게 된다. 프레임 변형 단계에서 교육서비스 담론은 교사 전문성 담론을 도입함으로써 ‘교육 수요자의 요구’ 보장을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행위로 프레이밍하였고 교육서비스 담론이 추구해 온 자율성의 추구를 혁신학교와 연계시키며 담론 지형을 확대해 나갔다. 이와 같은 프레임 정렬 과정을 통해 적극적으로 유포된 교육서비스 담론은 교육 주체의 주체성을 재편하였는데 첫째, 다양한 교육상품에 이에 대한 다양한 소비는 사회적으로 공공의 영역으로 여겨졌던 교육을 개인의 영역으로 전환시켰으며 둘째, 교육 수요자들을 오히려 교육서비스에서 소외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셋째, 교육 공급자인 교사는 평가 기준에 맞춰 자기계발의 주체로 재구성된다. 이처럼 담론의 사회적 실천에 대해 논의한 결과, 사회적 실천의 방향들이 용어 도입 초기의 맥락과는 다소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의 본래적 가치와 관련하여 논란의 여지가 있으므로 교육을 서비스로 보는 인식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교육의 공적 성격 보장을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적 맥락을 교육개혁의 중심 가치로 두고, 이를 실현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formation process of educational service in the direction of pursuing 'customer-centric' education in Korea through analysis of dicourse and how the formation process of educational service affect to social background, public experience and public valuation through newspaper articles. It was pursued as main educational policy that reconstruct the independence among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since education reforms on 31th, May. Frame was utilized to analyze the flow of the discourse generation, spread and reproduction on the basis of educationa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Chosun Ilbo, South Korea Ilbo, Hankyoreh newspaper identified. Discourse of teacher evaluation is developed through the four pillars frame articulation, frame amplification, frame extension, and frame transformation. First look at the steps to articulate the frame, the term of "educational service" was introduced in Korean society when during the opening of the economy in the course of negotiations with foreign countries and then it was extendedly applied as the social grammar of the foreign during the introduced process. As a result, it was discussed in earnest that college education should meet the needs of companies and the countries. 'Educational Services' metaphor of discourse position was obtained through various newspaper editorials and columns . In the Frame amplification step, as compared to the private education, school education is inferior to that and this reason was considered as the direct cause collapse of the public education. What's even worse, inn the biggest crisis the IMF bailout loan situation, people criticized the efficiency of the tax-supported public education. Therefore,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obtain the position which is possible to monitor and judge the quality of education. At Frame extension stage, the discourse of educational service reflected in education policy by a broaden base of support and create the new frame teachers VS parents through the promotion of teacher evaluation and teacher incentives rule. In addition, education discourse is combined with school choice theory and it is widely supported by people who oppose the 'leveling down' At the frame transformation step, discourse of educational service made framing to ensure the needs of the consumer by introducing the discourse of teacher professionalism. It was developed to autonomous private school in the pursuit of cherished autonomy. Through this frame arrangement practice, educational service discourse makes re-identify of educational main agents. First, a diversity of consumptions for various educational products makes that education terns to an private matter. Second, educational consumers had alienated from educational service. Third, teacher, education provider to be a subject of self-development adjust to evaluating standard. As a result of discussion of this social practice, the direction of social practice is so negative, distort the worth of education. So it is required that awareness of educational service has to be changed. For guarantee of educational public characteristic, the center of educational reform puts on the educational context. And it is needed that continued deliberation for cultivate of educational justice.

      • 에코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소셜디자인 방법론 개발에 대한 연구

        김영실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화 이후 산업의 급속한 발달에 의한 대량생산, 소비, 폐기의 산업시스템이 지구의 환경문제를 야기하였다. 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제품을 디자인하는 단계에서부터 제품의 전과정에 걸친 환경영향을 줄이기 위한 사고로 전환되어왔다. 제품 중심의 규제 또한 에코디자인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에코디자인은 자원과 에너지의 소모, 유해물질 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경제와 환경의 상생을 위해 전과정적 사고로 디자인에 접근을 한다. 그러나 에코디자인만으로는 기업의 활동이(제품, 서비스뿐만 아니라 시스템 등)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까지 충분히 반영하기는 쉽지 않다. 제품의 사용단계에서의 편리성, 안전성, 위생, 소수집단의 소외뿐만 아니라 생산단계에서의 아동노동, 작업자 안전, 분쟁지역의 지역주민에 이르기까지 사회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코디자인에 사회적 요소를 포함시킴으로써 제품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제품의 사회성을 개선을 위한 방향을 설정하고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선행연구와 문헌을 조사하여 에코디자인이 등장한 배경과 개념을 이해하고 기업이 실제 에코디자인을 수행하는 이유와 각 단계 별 전략을 분석하였다. 에코디자인은 제품의 환경성이 경쟁력의 한 요소로 작용하여 시장의 요구와 각종 규제의 등장, 투자지표로 반영되면서 성장하였다. 전과정적 사고로 제품의 디자인에 접근하여 각 단계별 환경 이슈를 설계단계부터 고려하여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 이에 원료획득, 생산, 유통, 사용, 폐기 단계까지 각 단계 별 환경 이슈와 전략을 분석하였다. 현 세대의 주요 사회 이슈를 알아보고 각 이슈와 제품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여 제품 전 과정의 각 단계에서 고려해야할 사회적 요소를 규명하고 개선을 위한 전략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에 환경적 요소가 포함된 것을 에코디자인이라고 정의하는 바, 사회적 요소가 가미된 것을 소셜디자인의 개념으로 사용하고자 한다. 현재 세대를 위한 인간친화성과 미래세대를 위한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제품 개발에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