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Surgical Clues of Distal Anterior Cerebral Artery(DACA) Aneurysms

        김승범,이형중,김재민,백광흠,김충현,오석전,Kim, Sung Bum,Yi, Hyeong Joong,Kim, Jae Min,Bak, Koang Hum,Kim, Choong Hyun,Oh, Suck Jun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12

        목 적 : 원위부 전대뇌 동맥에 발생하는 동맥류는 모동맥의 확보가 힘들고 재출혈 및 수술중 조기출혈의 빈도가 높으며, 익숙치 않은 수술적 접근법이 필요하다든지 하는 몇 가지 독특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대뇌 반구간열 주변의 해부학적 구조물과 박리 시작점에 대한 수술전 지식을 요한다. 저자들은 박리 시작점에 대한 일관된 외부표식자를 이용하여 전두 기저부 대뇌반구간열 접근법 수술을 시행하였고 이를 심부 구조물들에 대한 접근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동맥류경을 결찰한 총 131명의 뇌동맥류파열 환자 중에서 원위부 전대뇌 동맥류 9명에 대하여 혈관조영술, 의무기록지, 수술소견을 통해 임상적, 수술소견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원위부 전대뇌동맥류의 빈도는 6.3%였고, 6례에서 뇌량 연변 동맥이 기시하는 뇌량 주위 동맥에서 발생하였고, 3례에서는 전두극동맥이 기시하는 뇌량 주위 동맥에서 발생하였다. 동반된 다른 혈관기형 및 다른 동맥류는 각각 3예에서 발견되었다. 술전 환자 상태는 일반적으로 불량했다. 조기수술은 7예에서 실시되었으며, 전두 기저부 대뇌반구간열 접근법으로 동맥류 결찰을 시행한 경우도 7예였다. 술후 심한 혈관연축과 흡인성 폐렴으로 인한 사망이 각각 1례씩이었으며 그 이외에는 신경학적 소견은 정상이었다. 결 론 : 원위부 전대뇌 동맥류의 조기수술시에 전두 기저부 대뇌반구간열 접근법이 유용하였다. 이 방법으로 뇌견인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동맥류의 조기파열을 방지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대뇌반구 간열의 박리 시작점으로 첫번째 교정맥(전두극 정맥)이 상시상 정맥동으로 유출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뇌량 및 뇌량 주변부 원위부 전대뇌동맥류에 접근할 수 있었다. Objects : Surgical management of the distal anterior cerebral artery(DACA) aneurysms presents several unique problems to surgeons, such as difficulty in early identification of parent arteries, high incidence of rebleeding and premature rupture, and requirement of unfamiliar approach other than conventional frontotemporal craniotomy. Therefore, preoperative anatomical knowledge of anterior interhemispheric fissure and entry point of dissection is prerequisite. Authors utilized a frontobasal approach for DACA aneurysms by using consistent external landmark for guidance to the deep structure. Materials and Methods : From Nov. 1995 to Jun. 1999, a surgical clipping of DACA aneurysms was carried out in 9 patients among a total 131 patients with intracranial aneurysms. In each case, the clinical and aneurysmal features were carefully reviewed through the angiograms, medical records, and intraoperative findings. Results : The incidence of DACA aneurysms was 6.9% from our series. All cases were arisen from juxtacallosal por-tion ; 6 cases from pericallosal-callosomarginal(PC-CM) junction and 3 from pericallosal-frontopolar(PC-FP) junction. Associated vascular anomalies were noted in 3 cases and multiple aneurysms in 3 cases, respectively. The preoperative clinical grades were generally poor. An early surgery was performed in 7 cases and frontobasal interhemispheric approaches in 7 cases. Postoperatively, two patients died of complications ; one delayed ischemic vasospasm and one aspiration pneumonia but remaining patients recovered well. Conclusion : The frontobasal interhemispheric approach was useful for DACA aneurysms in early surgery. Division of superior sagittal sinus(SSS) enabled a minimal retraction of brain on both sides, and prevention of intraoperative rupture was possible. Authors suggest the frontopolar(first frontal bridging) vein as a constant external landmark for approaching the genu of the corpus callosum and juxtacallosal DACA aneurysms.

      • SCOPUSSCIEKCI등재

        터어키안 저부 재건술시 실리콘 판의 유용성

        김승범,김재민,이형중,백광흠,김충현,오석전,이승환,Kim, Sung Bum,Kim, Jae Min,Yi, Hyeong Joong,Bak, Koang Hum,Kim, Choong Hyun,Oh, Suck Jun,Lee, Seoung Hwan 대한신경외과학회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9

        Objectives : At the closure of the transsphenoidal approach(TSA), the proper sellar floor reconstruc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eventing postoperative complications. The septal cartilage, perpendicular plate of nasal septum, and the sphenoid sinus bone are usually used to repair the sellar floor as a bone splint. The authors evaluate the usefulness of a silicone plate as a substitute for bone splint to close a defect of the sellar floor. Materials and Methods : A silicone plate was used to repair the sellar floor in 7 patients with sellar lesions which included four pituitary adenomas, two Rathke's cleft cysts and one metastatic tumor. Among seven cases, five cases underwent a standard TSAs and two received a extended TSAs. The trajectories of the approach were sublabial in four cases and endonasal routes in three cases. The silicone plate for implantation was cut to a size of slightly larger than that of bone window and inserted with a three-pronged fork, and then adjusted precisely. Results : In six patients, there were no complications which related to sellar floor reconstruction. A postoperative cerebrospinal fluid(CSF) rhinorrhea was observed in one patient with pituitary macroadenoma. Conclusions : From the authors' experience, the advantages of the silicone plate are its simplicity of molding to fit any size of sellar floor defects, and easy detection of previously created bone window at reoper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췌장암 환자에서 Oxaliplatin 사용 후 발생한 돌발성 난청 1예

        김승범 ( Sung Bum Kim ),김소영 ( So Yeong Kim ),김국현 ( Kook Hyun Kim ),김태년 ( Tae Nyeun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20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6 No.5

        Oxaliplatin is a new generation of platinum derivatives used frequently to treat solid organ malignancies, including colorectal and ovarian cancer. Recently, an oxaliplatin-based chemotherapeutic regimen was adopted for advanced pancreatic cancer. Although oxaliplatin has extensive therapeutic potential, its use can be limited by significant adverse effects, particularly ototoxicity. This paper reports a rare case of irreversible unilateral hearing loss in a 48-year-old female that developed after the intravenous infusion of oxaliplatin during pancreatic cancer treatment.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is is the second reported case of oxaliplatin-related ototoxicity in pancreatic cancer. (Korean J Gastroenterol 2020;76:261-264)

      • SCOPUSKCI등재

        최신 연구 소개 : 만성위염, 장상피화생, 위암 환자의 위점막 상재균 변화의 차이에 대한 고찰

        김승범 ( Sung Bum Kim ),김경옥 ( Kyeong Ok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4 No.6

        위는 위산 분비로 인한 낮은 pH때문에 보편적으로 세균들이 서식하기에 좋은 환경이 아니라고 알려져 있다. 또 한 분석에 필요한 살아있는 미생물의 추출 및 배양이 어려웠기 때문에 위의 상재균총(microbiota)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1 그러나 최근 수십 년 동안 새로운 고도의 DNA 처리 표준 계열법(high-throughput DNA sequencing methods) 및 관련 기술의 개발로 상재균총학 (microbiomics)과 메타유전체학(metagenomics)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었고,2 이로 인하여 위장관의 상재균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다양한 질병과 연관되는 상재균총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Helicobacter pylori는 위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상재균으로 만성위염을 유발하고, 이는 위축성위염 및 장상피화생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위축성위염이나 장상피화생은 위암의 전암성 병변으로 알려져 있다.3 그러나 H. pylori 음성 환자에서 만성위염이 발생하고, 쥐를 통한 동물모델에서도 확인되고 있어 H. pylori는 만성위염을 일으키는 원인균 중 하나일 뿐이라는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H. pylori균과 H. pylori 이외의 균의 상호관계 및 위산 억제제 투여로 인한 상재균총의 변화에 대한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4 이에 Eun 등5은 위내시경을 통해 31명의 만성위염, 장상피화생, 위암 환자의 위점막 조직을 얻어냈고 genomic DNA를 통해 16S rRNA gene의 variable V5 region을 증폭시켜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산물을 추출하였다. 이 PCR 산물을 454 high-throughput sequencer를 이용하여 sequencing하여 세군의 상재균총의 조성, 다양성, 풍부한 종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위암군에서 H. pylori-containing Epsilonproteobacteria 강(class)이 가장 풍부하였고, 상대적으로 Bacilli 강이 만성위염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과(family) 수준에서 Helicobacter-우성군을 분석하였을 때 위암군에서 만성위염과 장상피화생군보다 Helicobacteraceae 과가 적었고, 반대로 Streptococcaceae 과는 더 풍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UniFrac distance를 이용하여 Helicobacter- 우성군의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mean (UPGMA) clustering을 비교하였을 때 만성위염군과 위암군은 확연히 분리되었으나, 장상피화생군은 두 군 사이에서 분포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인 위 상재균총의 균등성과 다양성은 위암군에서 다른 두 군보다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으로, Helicobacter-우성 환자들에게서 위암의 위점막 상재균총 조성은 만성위염 및 장상피화생 환자의 위점막 상재균총 조성과 확연히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변화는 위암 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고 보고하였다.

      • SCOPUSKCI등재

        젊은 염증성 장질환 환자들의 증상 재발과 관련된 원인에 대한 환자와 부모의 의견 불일치

        김승범 ( Sung Bum Kim ),김경옥 ( Kyeong Ok Kim ),정연수 ( Yeoun Soo Jung ),정현희 ( Hyun Hee Chung ),이시형 ( Si Hyung Lee ),장병익 ( Byung Ik Jang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5 No.2

        Background/Aims: Relapse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is not predictable, although several factors have been suggested.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assess and compare the possible causes of clinical relapse as perceived by patients and parents. Methods: Of 107 young (<35 years old) IBD patients, 26 patients who experienced recent (<3 month) relapse and their pare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t the same time. Baseline characteristics and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reviewed and the most common causes of relapse as perceived by patients and parents were compared. Results: Median patient age was 22.5 years and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7:9. Crohn’s disease was diagnosed in 23 patients and ulcerative colitis in the other three patients. Mean disease duration was 39.8±30.3 months. Eighteen (69.2%) patients experienced stress before relapse. Fifteen (57.7%) parents thought that their children experienced stress before relapse. Agreement between patients and parents for non-adherence to medication and stress was 100% and 73.1%, respectively. Stress was considered the most likely cause of relapse in both groups. Discordance rate between parents and patients with respect to main causes of relapse was 40.4%. Conclusions: Stress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common condition noted before clinical relapse in young IBD patients and their parents. However, the discordance rate between patients and parents with respect to the main causes of relapse was 40.4%. This result suggests a considerable difference in terms of disease understanding between young IBD patients and parents.

      • KCI등재

        새로 진단된 당뇨병 환자에서의 췌장암 위험 평가 모델

        김승범 ( Sung Bum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2 No.3

        이 연구에서는 50세 이상에서 당뇨병으로 새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췌장암 발생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당뇨병의 진단은 혈당을 기준으로 하였다. 2000년부터 2015년까지 50세 이상에서 당뇨병으로 새로 진단받은 1,561명의 환자들을 포함하는 4개의 독립적인 코호트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이 중 당뇨병 진단 3-18개월이전 및 당시 체중과 혈당에 대한 자료가 있는 최종 1,28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체 1,561명의 환자 중16명(1.0%)에서 당뇨병 진단 후 3년 이내에 췌장암이 발생하였다. 췌장암 발생과 관련된 위험인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64명의 췌장암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와 192명의 당뇨병 환자를 포함한 개발 코호트(discovery cohort)를 사용하였다. 췌장암 예측 모델 개발에 사용될 변수들을 당뇨병 환자에서 췌장암 동반 유무에 따라 분석하였고, 당뇨병 진단 당시의 나이, 당뇨병 진단3-18개월 이전과 진단 당시의 혈당 및 체중의 변화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들로 나타났다. 당뇨병 진단 당시의 나이가 많을수록, 당뇨병 진단 3-18개월 이전의 수치와 비교하여 진단 당시 체중이 감소하거나 혈당이 크게 증가한 경우 췌장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3가지 변수들을 점수화하여 Enriching New-Onset Diabetes for Pancreatic Cancer (END-PAC) 모델을 만들어 50세 이상에서 당뇨병이 새로 진단된 환자에서 진단 후 3년 이내에 췌장암이 발생할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3년 이내에 췌장암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따라 END-PAC 점수가 3점 이상인 경우 고위험군, 0-2점인 경우 중등도위험군, 0점 미만인 경우 저위험군으로 분류하였다. 개발 코호트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한 END-PAC모델의 area under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는 0.87이었고, 3점 이상의 고위험군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췌장암 진단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0%였다. 50세 이상에서 당뇨병이 새로 진단된 1,096명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코호트를 사용하여 END-PAC 모델의 타당도를 추가로 평가하였고, 이 코호트에서는 당뇨병 진단 후 3년 이내에 9명의 췌장암 환자가 발생하였다. END-PAC 점수가 3점 이상인 경우는 196명(19%)이었으며, 0-2점 및 0점 미만인 경우는 각각 370명(33%)과 530명(48%)이었다. 췌장암의 유병률은 END-PAC 모델에서 3점 이상인 경우, 0-2점인 경우, 0점 미만인 경우 각각 3.6%, 0.5% 및 <0.1%였다. 췌장암 환자 9명 중 7명이 END-PAC모델에서 3점 이상이었고, END-PAC 모델의 췌장암 진단 민감도 및 특이도는 각각 78%, 82%였다. 고위험군의 경우 새로 진단된 당뇨병 환자에 비하여 췌장암 유병률이 4.4배 높았다. END-PAC 점수가 3점 이상이었으나 췌장암이 진단되지 않은 위양성의 원인으로는 심한 기저 질환이 동반된 경우, 최근에 스테로이드 제재를 사용한 경우나 다른 암으로 진단받은 경우가 있었고, 45%에서는 원인을 찾을 수 없었다. 전향적으로 등록한 당뇨병으로 새로 진단된 7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위양성률을 줄일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손쉽게 알 수 있는 3가지 변수들을 기반으로 한END-PAC 모델을 통하여 50세 이상에서 당뇨병이 새로 진단된 환자를 대상으로 췌장암 발생의 위험도를 평가하여 3점이상의 고위험군의 경우 췌장암에 대한 선별 검사가 필요로 함을 보고하였다.

      • KCI등재

        내시경 절제술과 방사선 치료로 완치한 식도의 기저양 편평세포암

        김승범 ( Sung Bum Kim ),이시형 ( Si Hyung Lee ),정다은 ( Da Eun Jeong ),김경옥 ( Kyeong Ok Kim ),구미진 ( Mi Jin Gu ) 대한소화기학회 2018 대한소화기학회지 Vol.72 No.5

        Esophageal basaloid squamous carcinoma (BSC) is a rare, aggressive variant of squamous cell carcinoma. BSC is usually diagnosed in advanced stage and its prognosis is relatively poor. A 59-year-old male with subepithelial lesion of the esophagus that was incidentally discovered during health promotion examination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Esophagogastroduodenoscopy showed a 10-mm bulging mucosa with an intact surface at 34 cm from incisor teeth. Endoscopic ultrasonography revealed a smooth margined homogenous hypoechoic lesion, measuring 11.3×3.9 mm with a submucosal layer of origin. The patient underwent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of the subepithelial lesion. Pathologic examination of the resected specimen revealed BSC with involvement of vertical margin by tumor. The patient then underwent radiotherapy, and is doing well without recurrence for 35 months. We report a case of esophageal BSC confined to submucosal layer successfully treated with endoscopic resection followed by radiation. (Korean J Gastroenterol 2018;72:258-261)

      • KCI등재

        위성자료를 응용한 지구관측 분야의 기술분류와 국내 연구동향 파악

        김승범 ( Seung Bum Kim ),안명환 ( Myoung Hwan Ahn ),김계현 ( Kye Hyun Kim ),김문규 ( Moon Gyu Kim ),사고호상 ( Ho Sang Sakong ) 大韓遠隔探査學會 2001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17 No.3

        본 총론에서는 원격탐사를 사용한 지구관측분야(Level I)의 기술들에 대한 계층적 분류를 수행하였다. Level Ⅱ 기술들을 추출하기 위하여, 방법론 관점과 응용 관점에서 구성한 2차원 표를 사용하였고, 이 결과 수선관제와 대기/해양/육지분야의 자료 응용, 그리고 공동기술과 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기술들을 선정하였다. 각 Level Ⅱ 기술들에 대하여 수개의 Level Ⅲ 기술들과 약 20-30개 가량의 Level Ⅳ 기술들을 추출하였다. 각 Level Ⅳ 기술들에 대하여 국내 확보현황, 미확보 기술의 확보 방안. 미확보 기술의 해외 확보 기관, 국내에서의 기술필요시기 등을 정리하였다. 또한 Level Ⅳ 기술들 중 공공성과 경제성에 근거한 우선 확보 기술들을 추출하였다. 기술분류 결과와 국내 연구동향에 관한 자료는 국내 연구진들간의 상호 이해와 협력을 촉진하며, 원격탐사분야를 새로이 시작하는 연구진과 학생들에게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review article, we produce a technology tree in the earth observation by remote sensing, which is the Level I technology in the tree. To define Level Ⅱ technologies, we create a two-dimensional matrix of technologies viewed from methodology and application viewpoints. Consequently the following fields are selected: reception-archiving, atmosphere. ocean, land, GIS, and common technology. For each Level Ⅱ technology. we extract half a dozen Level Ⅲ and about 20-30 Level Ⅳ technologies. For each Level Ⅳ technology. we review the status of domestic research and the approaches for acquiring deficient technology in Korea. Also we survey foreign institutions specializing in the deficient technologies and the time when the deficient technologies are needed. Furthermore we assign priority technologies from the viewpoints of public need and economic benefits. The information given in this article would help understand and collaborate among different disciplines, be a useful guide to a beginner to remote sensing, and assist policy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