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통합교통체계효율화법 개정에 따른 서울시 통행실태DB의 효율적 구축·운영방안 연구

        김순관 ( Soon Gwan Kim ),이신해 ( Shin Hae Lee ),권순실 ( Soon Sil Kwan ),장효석 ( Hyo Seok Jang )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10 연구보고서 Vol.2010 No.5

        To collect preliminary data for transportation planning and policy making in the rapidly changing transportation environment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wo different surveys on travel behavior have been recently conducted: the Household Travel Survey within the capital region, which is a census on individual trips that has been conducted since 1996, and the Passenger Travel Survey between regions and in the metropolitan areas, which has been part of national transportation research since 1998. However, with the amendment of the National Transport System Efficiency Act and the release of the first Guidelines for the National Traffic Survey, a revision of methods and contents of existing surveys is required. Two types of surveys are planned to be done jointly, but there appears to be various obstacles such as differences in survey times and methods, or weak data links. This study analyzes the recently amended National Transport System Efficiency Act in order to come up with necessary actions and to figure out the difficulties in the National Passenger Origin-Destination (OD) Travel Survey, which is currently under development. Firstly, Choice-based Sampling has been suggested as a supplementary survey to the administrative sampling method. Secondly, as a means of increasing sample size, a supplementary OD survey for bicycles and freight has been proposed, Also, to make better use results of household travel surveys,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n advanced modal index, to estimate public transit OD through transportation card data, and to improve passenger counting systems that include subway transfers.

      • 대중교통 서비스 개선을 위한 서울시 출근통행의 질 평가

        김순관(Soon-Gwan, Kim),고준호(Joonho Ko),이신해(Shinhae Lee),장지은(Jee Eun, Jang),정기성(Kiseong Jeong) 서울연구원 2014 서울연구원 정책과제연구보고서 Vol.- N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quality of public transport commuting and identify new directions of public transport service improvements. The research was based on survey results of public transport commuters in three downtowns(CBD, two subcenters:Gangnam and Yeoido) of Seoul. Significant survey results are summerized in the following. Current congestion levels of bus and subway are 94.5% and 140.5%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acceptable congestion levels of bus and subway are 50.0% and 60.6%. [그림본문참조]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choice of public transport in order to commute are ‘total travel time’ and ‘access time’ which are determined by the choices of residential and work place. However, the most inconvenient factors are ‘waiting time’ and ‘transfer time’ because these two factors are determined by the quality level of government service. [그림본문참조] A public transport happiness index was created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public transport commuting. The index consist of two groups of factors. The first quantitative group reflects differences of current and acceptable level for access time, waiting time, transfer time, total travel time and congestion. The second qualitative group reflects inconvenience score for the other factors which are noise, fare, available seats,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wifi), kindness of drivers, comfortableness and convenient facilities. The individual importance score for the factors was used as a weight. The average public transport happiness index for downtown commuters in Seoul is 71.3. Male, less frequent transfers and short commuting distance impact on higher happinessindex. A sensitivity analysis of public transport happiness index assumed an acceptable level of each factor. The results showed that ‘transfer time’ was the most effective factor. [그림본문참조]

      • 서울시 대중교통 통행패턴 분석을 통한 대중교통 카드데이터 활용방안

        박준환(Park, Jun-Hwan),김준기(Kim, Joon-Ki),김순관(Soon Gwan Kim)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9 No.-

        최근 고유가와 환경오염 등의 요인에 의하여 대중교통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중교통 통행패턴에 대한 연구가 더욱 주목되고 있다. 그동안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 주로 설문조사 (예를 들면 Trip Diary)가 사용되어져 왔다. 이는 통행의 목적을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제한된 표본만을 사용하여 대중교통 통행특성을 분석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서울에서는 2004년부터 통합 대중교통 거리비례 요금제가 시행됨에 따라 교통카드의 이용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중교통 통행특성 분석 및 정책 분석의 기초자료를 교통카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기존의 가구통행실태조사는 대중교통 통행수요 및 특성을 알기위하여 대규모 조사를 수행했어야 하나, 대중교통카드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대중교통의 이용수요를 거의 전수화조사에 가깝게 파악할 수 있다.

      • 주말 통행특성에 관한 연구

        추상호(Chu, Sang-Ho),권세나(Gwon, Se-Na),김순관(Soon Gwan Kim)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7 No.-

        최근 소득수준의 향상과 주 5일 근무제의 확산으로 인해 주말 교통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요 고속도로나 국도는 금요일 오후부터 일요일까지 교통정체가 심화되고 있다. 특히 주말 여가 및 레저 통행의 증가로 인해 주요 관광지나 문화시설 등을 중심으로 주변 도로의 교통혼잡이 가중되고 있다. 이 같은 주말 교통난을 해결하기 위한 교통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주말통행에 대한 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주말통행과 관련한 연구는 주 5일 근무제 실시에 따른 주말통행변화 예측 및 교통측면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김수철 · 박경아, 2002; 이신해 · 김순관, 2003)가 주를 이루었다. 이 연구들은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주 5일 근무제에 따른 주말통행의 변화를 추정한 것으로, 구체적인 주말통행의 특성에 대한 규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관광 및 여가수요 측면에서 많은 연구(예, Yai 외, 1995)가 수행되었으나, 구체적으로 주말전체 통행의 발생이나 통행행태에는 중점을 두지 않고 있다.

      • 도시교통체계의 지속가능성평가를위한 도시 접근성 지표

        신성일(Sin, Seong-Il),장윤미(Jang, Yun-Mee),김순관(Soon Gwan Kim) 대한교통학회 2005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49 No.-

        접근성은 접근의 쉬운 정도를 표현하는 것으로 대상 지역에의 통행 흡인력을 나타낸다. 접근성에 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며 모형에 따라 혹은 적용분야에 따라 다양하게 개발되어 사용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교통사업에 대한 평가 및 지속가능성에 대한 정책 지표로 제시되어 사용하고 있으며 통행발생 및 통행분포에 포함되어 모형의 설명력을 높이는 중요한 설명변수로 사용되기도 한다. 접근성을 교통사업에 대한 평가 및 토지이용 변화에 의한 도시행태변화 파악과 같이 정책적으로 사용할 때는 접근성을 지표화 하여 사용한다. 접근성 지표의 경우 접근성을 어떻게 정의하느냐 혹은 이용 가능한 데이터의 수준에 따라서 적절한 모형으로 구성한다. 그러나 보통 현재까지 주로 개발된 접근성 지표의 경우 분석지역에 대하여 한 가지 목적 통행에 한 가지 수단에 대한 연구로 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접근성 지표를 주로 미국에서는 도로 사업에 대한 평가 지표로 혹은 일부 유럽지역에서 지속가능성에 대한 평가 지표로 이용했던 것에 기인하며 즉 보통 전자는 승용차 수단의 통근통행목적 혹은 쇼핑통행목적 후자는 대중교통수단의 통근통행목적으로 제한하여 접근성 지표 모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 대중교통 카드 데이터를 이용한 서울시 대중교통 통행특성 분석

        허민욱(Heo, Min-Uk),도화용(Do, Hwa-Yong),원제무,박준환(Park, Jun-Hwan),김순관(Soon Gwan Kim) 대한교통학회 2007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57 No.-

        현대 도시교통에서 있어서 대중교통의 중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대중교통 통행패턴에 대한 연구가 주목되고 있다. 그러나 대중교통 이용자의 통행특성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행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2004년부터 통합 대중교통 거리비례 요금제가 시행됨에 따라 카드데이터의 활용이 증대되고 있다. 즉, 대중교통 통행특성 분석 및 정책분석의 기초자료를 카드데이터 분석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