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 그림이야기책에 기초한 이야기회상 및 이야기꾸미기 활동에 관한 연구

        김숙이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1

        This study explored and demonstr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narration and schooling effects in story recall and story production with the sequence of development of children's concepts of a story in picture-elicited productions. Story productions and story recall of 32 children from 4 through 5 years of age were analyzed using caldecott-awarded books with Bloom's taxonomy (knowledge, comprehension,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evaluation) and convergent, divergent questions, on Times 1, 2 and 3.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ctivity of study production engaged in more divergent thinking skills and creative narration with the questions, and goal-directed sentences and creative expression skills were greater. However, significant story-related quantitative effects as well as schooling-related qualitative effects were obtained with the story recall task. Furthermore, the children may enhance the deployment of the child's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causal structure of stories and the children in Time 1 condition did significantly better than at Time 2 and Time 3. Also, gender-related effects are attributed to general development in memory capacity and deployment of cognitive resources, which girls more attributed the increase in recall to story event, mature memory strategies, casual relations and goal-based productions. Consequently, this study implies children's cognitive ability,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skills which practice with detailed story representation and recall in the classroom may have transferred creative questions. 본 연구는 그림이야기책을 선정하여 이야기회상 및 이야기꾸미기를 실험처치로 구축하고 시간대별로(1, 2, 3) 나타나는 유아의 질문의 질과 문장구성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유아 32명으로 평균 연령은 만 4세와 5세의 유아들이었다. 실험절차는 먼저 그림이야기책의 표지와 내용을 읽어주고 내용에 적합한 발문을 통해 회상해보도록 한 다음 그림이야기책 내용을 재구성하도록 하였다. 발문은 Bloom의 질문단계에 근거가 되는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에 따라 수행하였고 이에 따라 나타나는 유아의 질문의 질과 문장구성력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시간대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ANOVA 및 MANOVA를 실시하였으며 추후분석으로 RISREL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시간대3인 일주일정도 지난 후 보다는 처음 제시한 시간대1에서 적절한 발문을 하였을때 보다 확산적인 사고 및 창의적인 문장기교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을 뿐 아니라 문장의 구성이나 이야기 다시 쓰기에서도 시간대3보다는 시간대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문장의 구조면에서도 목표지향적이고 인과관계를 수반한 다양한 문장 구성이 나타나 이야기를 회상하게 한 후 이야기꾸미기를 반복적으로 시도하여 활동을 전개했을때 학습효과가 두드러졌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남아보다는 여아가 이야기회상 분량 및 특정사건 진행의 흐름, 그리고 인과관계의 흐름에 있어서 더 유연한 기교가 나타난 것으로 엿볼 수 있었다. 이는 그림이야기책의 반복적이고 소리내어 읽기를 실시한 후 유아들의 기억을 전제로 이야기를 꾸며보거나 재구성해보는 활동을 전개해 봄으로써 유아들의 인지능력 혹은 수렴적이고 확산적인 질문유형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시사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 KCI등재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사례 연구

        김숙이,김일혁,남궁정,신임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0 敎員敎育 Vol.26 No.2

        Current classrooms in Korea could be characterized as classroom for college entrance test, single-subject oriented classroom where intercommunication with other subjects does not occur, and teacher-oriented one-sided classroom where the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does not occur frequently. There are some difficulties to expect students' creativity increase in current type of classroom. Students' creativity is expected to increase through the 'amalgamative-subject' classroom. The study aims to increase students' creativity through developing amalgamative-subject program and practicing the program in classrooms. The study developed amalgamative-subject program and practiced the program to the whole students at Hongik university girl's middle school in 2009. Some evaluation specialist evaluated the program practicing results using evaluation indicators which were developed by the evaluation specialists. Amalgamative-subject program which enables 10 subjects to intercommunicate each other with the topic of 'space' and 'person' was developed. The study found that the amalgamative-subject program could produce students' creative learning outcomes. 현재의 교실 수업은 입시중심 교실 수업, 교과 간 단절 상태의 단일 교과 중심 교실 수업, 학생과의 소통이 대체로 적은 교사 측의 일 방향 진행 수업의 형태로 특징지을 수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수업으로는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기대하는 데에 많은 한계가 있다. 창의성은 교과 간의 융합적 수업을 통해서도 신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례 연구의 목적은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함으로써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 연구에서는 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홍익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여자중학교 전교생을 대상으로 2009학년도 1년 동안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에 대해서는 외부 평가위원들이 개발한 평가 지표를 이용하여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간’과 ‘인물’이라는 공통 주제를 가지고 10개 교과의 교과융합이 가능하도록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교과융합 프로그램 실시 결과 학생들의 창의적인 교육 성과물이 산출되어 교과융합 프로그램을 통하여 창의적인 학습 성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국 대학의 방과 후 비교과 아웃리치 프로그램 탐색 연구

        김숙이,고장완 한국방과후학교학회 2023 방과후학교연구 Vol.10 No.2

        이 연구는 대학이 학생에게 제공하는 비교과 프로그램을 넘어서, 학생을 위한 교육활동이 지역사회로 확대되고, 나아가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교육활동을 제공하여야 한다는 필요성에 기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의 비교과 활동이 방과 후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활성화되고 있는 미국 대학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아웃리치 개념과 정책을 이해하기 위한 문헌분석법과 대학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는 사례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내용은 대학 확장과 아웃리치의 개념 및 비교과 활동 유형의 일환으로 미시간 주립대의 아웃리치 프로그램 특징, 운영 체계,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미시간 주립대학은 아웃리치 프로그램을 기존과 같은 봉사 위주의 활동으로만 보지 않고 대학의 주요 기능인 교육, 연구, 봉사를 통합하는 정규교육 과정에서의 효과와 같은 성과를 가져다줄 수 있는 교육활동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이에 근거하여 미시간 대학은 지역사회와 연계에 있어 캠퍼스 기반 활동과 지역사회 기반 활동을 구분하였으며, 대학 내 전담 조직을 구축하였고, 교수와 학생의 활동을 지원하는 체계적인 행정 시스템을 제도화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대학에서 방과 후 비교과 활동이 아웃리치 프로그램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사회 및 소외 계층을 찾아가는 적극성이 강화된 협력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활성화하 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cessity that universities' extracurricular programs should expand beyo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students to local communities, and furthermore, universities should provide educational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To this end, the outreach programs of U.S. universities, in which non-curricular activities at universities are active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ty after school, were analyzed.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a literature review to understand outreach concepts and policies and a case study to analyze selected university cases. The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perating system, and current status of Michigan State University's outreach program as part of the concept of university expansion and outreach and the type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s study found that MSU considers the outreach program as an educational activity that can bring about the same results as the regular curriculum. Thus, MSU established a dedicated organization within the university, and institutionalized a systematic administrative system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 KCI등재

        가상놀이의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들의 공간개념 인식차이의 효과

        김숙이,이선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19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ren’s spatial-perception ability on the physical activity with the pretend play.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32 children of age of 5 attending at kindergarten located in I city, Junrabuk-do. Twelve play activities were conducted during 6 weeks, and pre-test and post-test measurement were done to analyse the participants’ improvement of spatial-percep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patial-perception elements (eye-hand coordination, spatial reasoning ability)scor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by pretend play using physical activity and the control group conducted by storytelling activities.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visible memory and visible recall ability (eye-hand perception, spatial placement perception, spatial shape perception, total spatial concept) through the physical activity with the pretend play.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rom the children’s gender. Further, among the participants girls were better in spatial placement perception and eye-hand coordinati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s of the spatial concept on the physical activity with the pretend play and spatial elements intimated to young children’s spatial-perception improvement using pretend play.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를 대상으로 유아들이 공간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도우며 공간추리능력, 시각지각력, 회상 및 유아들의 전반적인 공간지각력 발달에 근원적인 도움을 주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도구는 Perner, Kohlmann, & Wimmer(1984)의 연구에서 사용된 그림도구와 한권의 그림이야기책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의 I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5세 남아 16명과 여아 16명으로 총 32명이며 실험집단의 유아 16명(그림 이야기책에 관심도가 많은 유아들)과 비교집단의 유아 16명(동작이나 신체표현에 관심도가 많은 유아들)으로 구성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가상놀이의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들의 공간개념 인식이 공간추리능력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 결과 유아들의 가상놀이에서 실험집단 유아의 공간개념 인식차이에 대한 점수가 비교집단 유아의 공간개념 인식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상놀이의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들의 공간개념 인식이 시각적 기억 및 회상의 범주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보면 두 집단 간의 인식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상놀이의 신체활동에 따른 유아들의 공간개념 인식이 성별에 따라 나타난 척도에서는 모두 남아보다 여아의 공간개념 변별력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이 선호하는 가상놀이에 따른 신체활동이 공간지각능력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방법이라는 것을 시사해 주고 있다.

      • KCI등재후보

        중국 민판교육의 법령 구조에 관한 연구

        김숙이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3 한국교육논총 Vol.34 No.1

        A Study about Act Structure of Private Education in China Kim Sook-Yi(ChungBuk University LEPR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larifying an concept of private education in China. And also an investigation on types of private education was conducted with related laws' structures and contents of Private Education Promotion ACT and Operation ACT. Ultimately the outcomes will contribute to suggest the ways of private education laws' reform in Korea. This research is mainly achieved through literature studies on papers and laws from Education Department,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also internet researches partially serve as referenc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including close examination the types of private education and related laws' structures in China. And also the possible cases from regional examples are showed. The results show China government made the appropriate laws to the regional conditions and prepared funds to improve private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Korea government that policies on private education will be flexibly supported according to regional conditions and funds for private education improvement will be prepared. 이 연구의 목적은 사립학교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의 민판교육의 개념, 변천과정, 유형 등에 관하여 살펴보고, 관계 법령인 <민판교육촉진법>과 <실시조례>의 구조 및 주요 내용을 심층 있게 분석 하여, 우리 사립학교법 개정에 시사점을 도출 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주요 문헌은 중화인민공화국 교육부의 자료 분석 및 관련 법 령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관련 학술논문 및 자료를 수집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내용은 중국 민판교육과 민판학교의 유형, 민판교육촉진법과 실시 조례의 구조 및 내용을 분 석하였다. 또한 민판교육촉진법에 근거한 지역 사례를 제시하였고, 민판교육을 실시에 따른 주요 쟁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중국은 지역 특색에 적합한 조례를 제정하여 민판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 서 민판교육 발전을 위한 전담기금을 확보하여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우리 사학도 지역 실정에 적합하게 탄력적인 정책을 실시하며, 학생모집 자율권 확대 및 정부 차원에서 사학발전기금을 조 성하여 지원 할 것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