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혜공왕대 만월부인의 섭정

        김수태(金壽泰)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2

        이 글에서는 혜공왕대 만월부인의 섭정과 관련된 여러 문제들을 새롭게 다루어보고자 한다. 경덕왕이 765년 사망하자 혜공왕은 그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혜공왕은 즉위하자마자 친정을 한 것은 아니었다. 즉위할 때 8살의 나이였기 때문에 모후인 만월부인이 섭정을 하였다. 이때 섭정정치란 섭정이 혼자서 정치를 마음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군신들과 함께 정치를 해나가겠다는 귀족연합정치를 말해주는 것이었다. 이에 혜공왕대의 초기는 만월부인으로 상징되는 전제주의세력과 반전제주의 진골귀족세력이 권력을 분점하게 되었다. 그 결과 이후 이들은 세로운 권력투쟁을 벌여나가야만 했다. 만월부인의 섭정에 합의한 두 정치세력의 관계는 곧바로 어그러졌던 것으로 보인다, 만월부인이 섭정을 통하여 그가 보호하고 있는 혜공왕의 권력기반을 새롭게 강화하려는 일련의 조치를 취하였던 것이다. 경덕왕 19년 이후 세력을 구축한 김옹과 김양상 등 반전제주의 귀족세력은 만월부인과 왕당파의 이러한 활동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결과 섭정인 만월부인이 물러나고, 혜공왕이 친정을 하게 되었다. 그 시기는 대체적으로 혜공왕 7년 성덕대왕신종이 완성된 무렵이었다. 이것은 섭정인 만월부인과 정치적 대립 갈등을 벌이던 정치세력들의 승리를 상징적으로 표현해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혜공왕 친정기 만월부인의 동향은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힘들다. 그녀는 반전제주의 정치세력에 의해서 섭정에서 물러난 후 정치적으로 활동하는 데에 많은 제약을 받았다. 그러나 김옹 및 김양상 등 반전제주의 진골귀족세력이 더욱 강화된 혜공왕 10년 이후에 만월부인은 다시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였다. 두 차례에 걸친 모반을 통해서였다. 그러나 혜공왕의 왕권강화를 추구한 만월부인의 노력은 실패로 그쳤다. 그리고 혜공왕이 시해됨으로써 만월부인의 정치적 노력은 더 이상 계속될 수 없었다. 그만큼 만월부인과 혜공왕은 서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정치적 운명을 함께 하는 세력이었던 것이다.

      • KCI등재

        신라 중대의 대신과 재상 -<성덕대왕신종명>을 중심으로-

        김수태 신라사학회 2019 新羅史學報 Vol.0 No.45

        Centered o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of Silla, this paper focuses on matters regarding two government position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Daesin and Jaesang. Then, based on such a review, a new view on the noble gathering council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will be presented. I hope that this attempt will be an opportunity to call attention to the study of the history of political institution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which is now in a lull. I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which was made in the period of king Hyegong, the mentioned word ‘Sin’ in relation to Kim Ong and Kim Yang-sang,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production, means Daesin.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exclusive use of word 'Sin' was intended to emphasize their distinction from other people. In addition, through acknowledging the existence of Daesin, the council of Daesin could have been able to differentiate from the noble meetings. Meanwhile, Kim Ong appears as a Prime Jaesang in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On the other hand, Kim Yang-sang, who was also one of the chief supervisor, does not appear as Jaesang. The inscription on the Bell of King Seongdeok the Great of Silla provides a profound help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aesin and Jaesang. This is because not all Daesin could become Jaesang. In addition to the fact that Jaesang was elected from Daesin, it shows the possibility that the council of Jaesang could have specifically existed. The fact that there were various types of noble gatherings during the middle period of Silla demonstrates that the royal authority was even more strengthened during this era. It is also evident that the nobles who participated in those councils of state affairs would have become more bureaucratic.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excessive concentration of powers pursued by the Silla regime of the middle period led to a decentralization of power by internal collapse. 이 글에서는 <성덕대왕신종명>을 중심으로 신라 중대로 한정시켜서, 대신과 재상의 문제를 다시 다루어보고자 한다. 이어서 그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신라 중대의 귀족회의에 대해서도 새로운 견해를 제시해볼 것이다. 이러한 시도가 현재 소강상태에 놓여있는 신라 중대의 정치제도사연구에 대한 관심을 촉구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혜공왕대 만들어진 성덕대왕신종의 명문에서서 종을 제작한 책임자인 김옹과 김양상과 관련해서 언급된 ‘신’은 바로 대신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들에게만 ‘신’을 사용한 사실은 이들이 여러 다른 인물들과는 구별되는 특별한 존재임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이러한 대신의 존재를 통해서 귀족회의에서 대신회의를 새롭게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성덕대왕신종명>에는 김옹이 상재상으로 나오고 있다. 이와 달리 역시 최고 실력자의 한 명이었던 김양상은 재상으로 나오고 있지 않다. 이는 <성덕대왕신종명>은 재상과 대신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커다란 도움을 준다. 대신이라고 해서 모두가 재상이 되었던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신 안에서 재상이 나왔다는 사실과 함께, 재상회의가 구체적으로 존재했을 가능성을 알려주고 있다. 이와 같이 중대에 여러 형태의 귀족회의가 존재했다는 사실은, 중대의 왕권이 더욱 전제화된 모습을 보여준다고 이해된다. 그리고 중대의 여러 국정회의에 참여한 귀족들은 더욱 관료화되는 양상을 띠게 되었을 것임이 분명하다. 아울러 중대정권이 추구한 지나친 권력집중이 오히려 내부붕괴에 의한 권력분산을 초래하였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인용표현의 따온말에 대하여

        김수태 우리말학회 1995 우리말연구 Vol.5 No.-

        이 글은 인용대상의 특징을 고찰하여 그것을 마디로 볼 수 없음 을 밝힐 것이다. 아울러 인용대상을 따온말로 기능하도록 하는 ‘-(이)라고, -하고 고’와 인용풀이씨의 의미적 관계를 살펴서 따온말이 인용표현 속 에서 어떤 통어기능올 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Performance of ring oscillators composed of gate-all-around FETs with varying numbers of nanowire channels using TCAD simulation

        김수태,민석,우솔아,강현구,상식 한국물리학회 2018 Current Applied Physics Vol.18 No.3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ring oscillators composed of gate-all-around (GAA) silicon nanowire (NW) field-effect transistors (FETs) with four different numbers of NW channels, for sub-10-nm logic applications. Our simulations reveal that ring oscillators with double, triple, and quadruple NW channels exhibit improvements of up to 50%, 85%, and 97%, respectively, in the oscillation frequencies (fosc), compared to a ring oscillator with a single NW channel, due to the large drive current, in spite of the increased intrinsic capacitance of a given device. Moreover, our work shows that the fosc improvement ratio of the ring oscillators becomes saturated with triple NW channels with additional load capacitances of 0.1 fF and 0.01 fF, which are similar to, or less than the intrinsic device capacitance (~0.1 fF). Thus, our study provides an insight for determining the capacitive load and optimal number of NW channels, for device development and circuit design of GAA NW FETs.

      • KCI등재

        이기백의 <<연사수록>>에 대한 새로운 접근 - 사론집으로서의 성격과 관련하여

        김수태 진단학회 2020 진단학보 Vol.- No.134

        As is well known, Lee Ki-baek's study of Korean history was all composed of 16 books, and the last volume is the 『Yeonsasurok』(1994). In this book, he describes his perspective of history very vividly with a new style rather than a research paper. For this reason, this book can be treated an important work that carries another nature as a collection of historical theories in addition to the existing ones. The contents of the historical theory that Lee Ki-Baek intended to reveal through the 『Records of History』,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e first is that he was deeply interested in the shadow of history, things that disappeared into the mists of history. Here, the famous ‘theory of the fools(’Babo)’ Also appears. Secondly, it can be said that he made a great deal of effort in telling the stories of nameless people in historical studies. The reason is that he wanted to examine in detail the lives of ordinary people and citizens who were not properly revealed in the existing historical writings. As a result, it can be said that history of Korea was transformed to cover the entire history including the governed class rather than just portraying the history of the ruling powers. On the other hand,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Lee Ki-baek specifically showed how diverse the writings, which reflect his view of history, are in the 『Yeonsasurok』. When it comes to historical study, historical records can be limited. The 『Yeonsasurok』 tells us to what extent historical imagination is possible that exceeds the limit when we try properly. Through this approach, he has described various features of human beings in history. It can be said that this is related to his desire that a more conscious effort to rediscover human beings is necessary to correctly understand the history of Korea from its roots. This is what he hoped to emphasize to the history researchers. 잘 알려지고 있듯이, 이기백의 한국사연구는 모두 16권의 저술로 정리되었는데, 그 마지막 권이 바로 『연사수록』(1994)이다. 그는 이 책에서 논문이 아닌 새로운 스타일로써 자신의 사관을 매우 생생하게 서술하고 있다. 때문에 이 책은 기존의 사론집 이외에, 또 다른 사론집으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저술이라고 불릴 수가 있다. 이기백이 『연사수록』을 통해서 드러내고자 한 사론의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 번째는 그가 역사의 뒤안길, 즉 역사의 그늘(음지)에 대해서 깊은 관심을 가졌다는 점이다. 여기에서 그 유명한 ‘바보론’도 나온다. 두 번째로는 그가 역사연구에서 이름 없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서술하려고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는 사실을 들 수가 있다. 그가 기존의 역사서술에서 제대로 드러나지 않은 평범한 민중이나 시민들의 삶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는 점에서이다. 그 결과 한국사를 지배세력의 역사만이 아니라, 피지배세력까지 포함되는 전체의 역사로 그려낼 수 있게 되었다고 하겠다. 한편 이기백이 『연사수록』에서 자신의 사관을 반영하는 글쓰기가 얼마나 다양한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었다는 점도 크게 주목해야 할 것이다. 역사연구에서 사료가 제한되어 있을 경우 우리가 제대로 노력할 때 그 한계를 뛰어넘는 역사적 상상력이 어느 정도까지 가능한가를 알려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그는 역사 속에서 살아있는 인간의 모습들을 매우 풍부하게 서술해주었던 것이다. 이는 한국사를 그 근본에서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인간을 재발견하려는 의식적인 노력이 더욱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한 그의 바람과도 관련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안맺음씨끝 ‘-ㄴ.-, -니-, -이-’ 통합체의 변화

        김수태 한글학회 2011 한글 Vol.- No.291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changing combinations of ‘-ㄴ.-, -니-, -이-’ from 15C to this day. In 15th century, ‘-ㄴ.-, -니-, -이-’ could be embodied in every combination, but the combinations of final-endings depended on the combined elements. Transforms of ‘-이-’, which are ‘-ㆁ-, -ㆁ이-, -(ㅣ)-’, began to appear in 15C and ‘-니이-’ appeared in forms of ‘-니이-, -닝-, -닝이-, -니(ㅣ)-’. The combination of ‘-니-’ and an interrogative sentence endings ‘-오/-아/-어’ made the fused forms like ‘-뇨/-냐/-녀’. ‘-ㄴ.-’ was transformed into variations ‘-ㄴ/ㄴ.ㄴ/는-’. with this evidence, I suggest that ‘-이-, -니-’ went through the exchange of functional meanings in 15C and ‘-ㄴ.-’ did in 17C. Among them, the combinations with ‘-이-’ were used only in the form of ellipsis without ‘-다’. The others, which were not combined with ‘-이-’, were used without any change. An interrogative sentence endings combined with ‘-니-’ had been used in the forms like ‘-니오’ until 19C, but appeared only in the form of the fused in 20C. 이 글은 ‘-ㄴ.-, -니-, -이-’의 통합체가 15세기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입은 변화의 모습을 살폈다. ‘-ㄴ.-, -니-, -이-’의 통합은 모든 조합이 가능하지만 마지막 통합 요소에 따라서 월맺음씨끝은 서로 다른 것들이 통합된다. ‘-이-’는 15세기부터 ‘-ㆁ-, -ㆁ이-, -(ㅣ)-’의 변화형이 나타나는데, ‘-니이-’는 ‘-니이-, -닝-, -닝이, -니(ㅣ)-’의 변화형을 보인다. 그리고 ‘-니-’와 물음법 씨끝 ‘-오/-아/-어’가 통합되면 ‘-뇨/-냐/-녀’처럼 융합된 형태를 보인다. ‘-ㄴ.-’는 17세기 이후에 ‘-ㄴ/ㄴ.ㄴ/는-’ 등의 변화형을 보인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이-, -니-’는 15세기에 기능 의미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았으며, ‘-ㄴ.-’는 17세기에 기능 의미의 변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았다. 통합체 가운데 ‘-이-’가 통합된 것들은 20세기에 오면 ‘-다’가 절단되어 생략된 것들만 쓰이고, ‘-이-’가 통합되지 않은 것들은 그대로 쓰이고 있음을 밝혔다. 다만 ‘-니-’에 물음법 씨끝이 통합된 것들은 19세기까지는 ‘-니오’와 같은 형태들이 보이지만 20세기에는 융합된 것들만 쓰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