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배드민턴 동호인의 운동중독이 성취목표지향성과 경기성과 및 지속적인 참여에 미치는 영향

        김소원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Badminton club member’s addiction to exercise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mpetition performa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the result is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reviewing addiction to exercis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mpetition performa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Badminton club member, male and fem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desire for exercise, emotion affection, player’s satisfaction for competition result, competition performa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all those criterions, male members showed higher value than female members. When it comes to the criterion of ag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esire for exercise (of addiction to exercise) was found. Members in their 30s showed higher value than other groups (below 20s and above 50s). As for the criterion of occupa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desire for exercise, players’ satisfaction for competition result and competition performance. Generally, public servants had high value in those criterions. And the criterion of participation career als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desire for exercise, emotional affection, players’ satisfaction for competition result, competition performa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n all those criterions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higher value was found in a group with more participation careers. Meanwhile, members having participation career under 1 year and members having participation career more than 5 years showed higher value in targeted task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The criterion of the number of particip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 in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desire for exercise, emotional affection, players’ satisfaction for competition result, competition performa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And, it was found that a group with more participation had higher value comparing with a group with less participation. When it comes to participation motive criter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desire for exercise, emotional affection, targeted task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layer’s satisfaction for competition result, competition performa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Generally, enhancement of strength, promotion of friendship and leisure activity had higher value in criterion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 Lastly, for class (grade) criterion,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desire for exercise, emotional affection, self-target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layer’s satisfaction for competition result, competition performanc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t was shown that higher class had higher value, while lower class had lower value. Seco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addiction to exercis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emotional affection of addiction to exercise criter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targeted task and self-target. Thir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addiction to exercise and competition performance,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desire for exercise and emotional affe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player’s satisfaction. And,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had positive influence on competition performance. Fourth,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addiction to exercise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withdrawal symptoms arising from addiction to exercise, desire for exercise and emotional affection had positive influence on continuous participation

      • 클래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 작업의 탈경계적(脫境界的) 특성

        김소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클래스 올덴버그(Claes Oldenburg, 1929- )의 작품에 나타나는 탈경계적 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올덴버그는 일상 오브제의 사용과 대중적 이미지의 차용이라는 점에서 앤디 와홀(Andy Warhol, 1928-1987), 로이 리히텐슈타인(Roy Lichtenstein, 1923-1997), 제임스 로젠퀴스트 (James Rosenquist, 1933 - ) 등과 더불어 1960년대 미국 팝아트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평가되어왔다. 하지만 올덴버그에 대한 평가가 팝아트의 범주 내에서만 이루어짐으로써 그에 대한 포괄적이고 본질적인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무엇보다 삶과 예술 사이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았던 올덴버그는 삶에 대한 철학을 예술에 반영하는 일관된 작업세계를 보여주었으며 삶 자체를 모순적 요소들이 공존하는 변증법으로서 인식하고 그것을 예술에 적용하려 하였다. 때문에 예술을 단일하고 절대적인 가치로 파악하려한 형식주의 모더니즘에 자연히 식상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50년대 말부터 90년대 후반에 이르는 올덴버그의 모든 작업들 가운데 특히 이성중심주의를 통해 절대적 가치와 배타적인 이분법을 양산한 모더니즘의 경계개념들에 대항한 그의 조형세계에 주목하였다. 올덴버그는 그 자신을 어느 그룹에도 소속될 수 없는 '아웃사이더'로 반복해서 지칭했을 만큼 어느 특정한 비평적 틀 안에 범주화되기를 거부하였다. 그는 자기 충족적이며 영웅적인 추상표현주의의 태도에 반발한 '폴 록 이후(post-pollock)' 세대이기는 하였지만 다른 팝 작가들과 차이점을 보였다. 무엇보다, 팝아트가 대중문화와 소비사회에 대한 상업주의적 가벼움과 모호한 태도를 지녔다는 비판을 받은 것과 달리 올덴버그는 사회에 대한 관심을 비판적 태도로 진지하게 이끌어내었다. 그는 모더니즘이 배태한 권위적인 경계개념들은 물론 모든 관습적인 틀을 거부하는 제작방식을 통해 궁극적으로 사회에 대한 예술의 순기능을 제시하였으며, 더불어 자유로운 형식과 기법 등을 통해 미학적인 면에서도 성과를 보였다. 60년대로부터 촉발된 반모더니즘적 예술경향의 중요한 축을 이룬 올덴버그는 본능과 감성, 모순적 상황들을 삶의 일부로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프로이트의 사상을, 그리고 인간과 자연을 대등하고 조화로운 관계로 파악하는 것과 관련하여서는 동양의 선사상을 각각 수용하였다. 더불어 올덴버그는 1910년대의 다다이즘(Dadaism), 50년대 중반 이후의 네오 다다 (Neo-Dada) 그리고 해프닝(Happening) 등을 자신의 사적인 경험들과 잘 조화시키면서 모더니즘의 경계를 와해시키는 작업들을 정교하게 이어갈 수 있었다. 그는 무엇보다 고급과 저급, 예술과 비예술, 전체와 부분, 인간과 사물 등 대립적인 이분법을 골자로 한 모더니즘의 경계개념에 비판적으로 대응하면서 경계라는 개념 자체를 소멸시킬 수 있는 평등의 개념을 발전시켜 나갔다. 올덴버그는 60년대 오브제 작품들을 보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접근함으로 써 모더니즘 미술의 한계를 비판하였다. 팝 작가들은 중성적인 태도로 대중 소비사회의 단면을 드러내기 위해 일상 오브제를 사용하였지만, 올덴버그는 보다 공격적인 태도로 오브제를 제시하였다. 그는 모순적인 결합과 왜곡된 이미지, 그리고 산업적 요소들의 도입을 통해, 주체와 객체, 고급과 저급 등을 구분하고 통일된 전체와 완결성을 지향한 모더니즘을 공격하였다. 70년대 이후 올덴버그의 후기 작업은 미술관이나 화랑이 아닌 공공장소에서 주로 이루어졌으며 미학적 측면에 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다. 더불어 관람자의 역할이 더 비중 있게 다루어졌다. 기존의 예술개념들이 보다 자유로와 져야 한다고 여긴 올덴버그는, 자기 지시성(self-referential)과 매체순수성을 지키기 위한 목적으로 모더니즘이 미술사에서 배척해 온 개념들을 새롭게 해석하는 데 주력하였다. 그는 모더니즘에 의해 배제되었던 기념비 조각과 따블로 조각, 그리고 건축이나 풍경과의 구분이 모호한 조각 등을 긍정적인 의미로 되살리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올덴버그는 전통적 개념의 조각을 재해석하면서 관람자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동시에 낯설고 비현실적인 경험에 관람자를 노출시켜 그들이 관습을 타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건축적 규모와 기능성을 도입한 일상오브제를 공공장소에 제시함으로써 새로운 도시풍경을 창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올덴버그가 사회 비판적 기능과 미학적 측면에서 모두 의미 있는 성과를 이루어 내었다는 점을 깨달을 수 있게 된다. 예술이 삶과 유기적인 관계에 있을 때 비로써 가치가 있다고 여긴 그는, 모더니즘 미술의 경계개념을. 탈피하는 방식 역시 경계지점의 양편 모두를 통합, 흡수할 수 있는 변증법적이고 개방적인 사고로부터 도출시켰다. 올덴버그에게 있어서 삶은 다양한 대림개념들이 공존하는 장이었기에 예술 또한 절대적이고 배타적인 강령에 의해 쉽게 그 한계와 경계를 구분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었다. 삶과 관련된 그 어떤 것도 예술의 소재가 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어떠한 가치를 담아내느냐에 달려있다는 사고에 입각한 그의 예술은, 예술과 비예술을 구분한 모더니즘 미술의 경계기준이 피상적이고 억압적인 하나의 권력적 이데올로기에 불과하다는 점을 깨닫게 해준 것이었다. 따라서 조각을 통해 보다 확장된 예술개념을 제시하고 예술과 사회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확인시켜준 올덴버그의 작업은 모더니즘의 죽음 뿐 아니라 '예술의 죽음'이 거론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예술의 의미와 미래에 대해 하나의 의미 있는 대안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transgressive aspects shown in the works of Claes Oldenberg(1929 - ). Oldenburg has been acknowledged as one of the iconic figures in Pop Art through his close connection to Andy Warhol(1928-1987), Roy Lichtenstein(l923-1997), and James Rosenquist (1933 - ). These artists shared common values in their use of mundane daily objects and appropriation of mass-produced images. However, it is true that criticism had narrowed the interpretation of Oldenburg only as much within the boundary of the pop movement all this while. Oldenburg's transgressive attitude toward the division of art and life was an essential aspect of his works throughout his life time. He felt skeptical about the formalistic Modernism which has asserted that Art is set much on constant and absolute notions. Such skepticism led himself to a paradoxical co-existence of art and life, and portrayed this idea into his art hood. This thesis observes especially the transgressions of Oldenburg deals with the anti-modernism and anti-dualism during late 1950s to the late 1990s. Throughout his career, Oldenburg situated himself as an 'outsider' from any kinds of art groups and denied to be categorized in any specific boundaries of art criticism. Although he was a 'post-Pollock generation' which against the self-confident and heroic roles of artistic identity, h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other Pop artists in his critical perspective towards society and culture. He provided an alternative role of art by resisting all conventional values constructed by the authoritarian modernists, moreover envisioned original aestheticism of his own. Oldenburg inherited Freud in terms of taking paradoxical situations as part of human existence, and was also influenced from the oriental Zen ideas in taking human and nature as harmonic relationship which eventually puts Oldenburg to take part in anti-modernistic attitudes of the 1960s. Most of all, Oldenburg attacked that the Modernist project was to divide all opposing terms such as the high vs. low, art vs. life, whole vs. part, human vs. object. And he criticized the Western Dualism and tried to blur and cross over the divisions. From Dadaism of the 1910s to late 1950s Neo-Dada and Happenings, Oldenburg fused the anti-art concept with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concentrated his pieces against the straitlaced Modernism. In the 1960s early object works of Oldenburg show the critical aspect toward the all of the boundary within the context of the society. Although daily objects were used as a metaphoric tool by the pop artists in order to reflect the popular consumerist culture keeping in neuter attitude, Oldenburg not only took these daily objects into art but changed and distorted them in paradoxical manner therefore made them even more aggressive. This was actually his antagonistic comment on high brow modem art and monolithic history of Western self hood. In his later years of the 1970s, Oldenburg turns outside from art galleries and museums into public domains. He begins to put more emphasis on the role of spectators and becomes more aesthetic oriented. He realized that the Modernist history has excluded everything that bothers its purity and self -referentiality. Oldenburg focused on reinterpretation of such neglected non purist art forms, and placed them in public spaces. Oldenburg brought up active participation of spectators by re-situating the traditional role of sculptures and questioning the familiarity people expect from art forms. Moreover, architectural sizes of his sculptures have transformed and de-familiarized the scenery of urban experience. Throughout these examinations of this thesis, could figured out that Oldenburg has made achievements in both social and critical dimensions in terms of aesthetics. Oldenburg's attitude was deeply rooted in his dialectic liberalism where art and life is not in two opposite fields, but rather, life itself to Oldenburg was the field where all different and opposite values collide, therefore art was not an absolute monolithic field of its own existence. Art was no different from any mundane subjects, but what mattered to him was what it portrayed. It is significant that Oldenburg exposed the oppressive and superficial values of modernist's dualism for art sake. Oldenburg has expanded the field of art concept through his sculptures and blurred the division between art and life. In the age of death of art, Oldenburg suggests an alternative vision in the future path of where art should be headed.

      • Jones Polynomials of Symmetric Links : 대칭매듭의 Jones 다항식

        김소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칭매듭은 유한군이 작용할 수 있는 다이아그램을 가지는 매듭이다. 위상그래프 이론에서 덮개 그래프는, 기저 그래프의 선에 대한 볼트 할당에 의해 구성된다는 사실과, 그래프의 모든 매장과 선회도식(rotation scheme) 사이에 일대일 대응관계가 있다는 것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기저 그래프에 대한 선회도식(rotation scheme)의 올림에 의해 덮개 그래프의 매장을 얻을 수 있다는 것 역시 잘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대칭매듭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볼트할당의 정보로 얻어질 수 있는 대칭매듭의 Jones 다항식의 성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특히 군이 경우에 대하여 Jones 다항식을 구체적으로 구하는 알고리즘을 작성하였다.

      • 라흐마니노프의 코렐리주제에 의한 변주곡 op. 42에 관한 연구

        김소원 영남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라흐마니노프의 마지막 피아노 독주곡인 ‘코렐리 주제에 의한 변주곡 Op.42’(Variations on a Theme of Corelli, Op. 42)는 이탈리아의 작곡가인 아르켄젤로 코렐리(Arcangelo Corelli, 1653-1713)의 곡인 ‘바이올린 소나타’(Violin Sonata Op.5 No.12)주제에 사용된 ‘라 폴리아’의 선율을 그대로 차용하여 변주곡 형식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하나의 ‘주제’, 스무 개의 ‘변주’, 중간에 삽입된 ‘인터메조’, 그리고 마지막의 ‘코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변주의 형태와 템포의 변화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제1부는 주제-변주7까지이고 테마의 주제선율을 제시 하였고 제2부는 변주8-‘인터메조’까지로 주제의 발전을 볼 수 있었으며 제3부는 변주14-‘코다’까지로 주제의 재현과 작품의 절정을 나타내고 있었다. ‘코렐리 주제에 변주곡 Op.42'는 라흐마니노프의 음악적 어법 중 선율적, 화성적, 리듬적 특징을 모두 표현하고 있었고 후기 낭만주의의 음악적 특징과 조화를 이루었다. 선율적 특징인 노래 할 수 있는 아름다운 선율과 그것을 꾸며주는 꾸밈음은 선율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있으며 곡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반음계 진행은 조성을 모호하게 하면서 다음 마디로의 연결을 자연스럽게 이끄는 연결구 역할을 하였다. 순차진행과 도약진행의 대비는 긴장과 이완을 나타내는 수단이 되었고 이러한 모든 선율적 특징은 연주자에게 화려한 테크닉을 선사한다. 화성적 특징은 반음계적 선율진행으로 비화성음, 변화화음, 그리고 다화성이 자주 사용되어 화성의 모호한 색채감을 나타내었고 넓은 음역에서의 화성진행과 저음의 옥타브를 중복 표현한 것은 폭넓은 화성 울림을 강조한 것이었다. 또한 페달 포인트를 사용한 것은 러시아 ‘종 음악’의 원리로 민속적 특징을 나타냄이기도 하며 피카르디 3도를 사용하여 단조의 선율진행을 장조로 종결시켜 분위기를 바꾸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리듬적 특징인 박자가 자주 바뀌는 변박의 구성이 긴장감을 자아내었다. 붓점 리듬과 당김음, 셋잇단음표, 교차리듬의 잦은 사용은 동적이고 경쾌한 리듬감을 나타내며 또한 주요선율과 동시에 사용되어 곡을 더욱 화려하게 표현하였다. 이 모든 음악적 특징이 작품 전체를 통하여 유기적으로 나타나 통일성을 만들어 내었지만 각 변주는 성격적으로 대비를 이루어 다양한 음악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 작품은 라흐마니프만의 음악적 어법과 후기낭만주의 시대의 음악적 표현이 적당히 접목되어 최대의 아름다움을 이끌어 낸 곡이며 그의 감정과 생각들이 모든 음악적 소재를 통하여 고스란히 전해지고 있다. Sergei Rachmaninoff composed his last piano solo piece ‘Variations on a Theme of Corelli, Op.42’ based on the variation form in 1931. He adopted a melody of 'La Folia' borrowed from the theme of 'Violin Sonata of Corelli, Op.5 No.12' of an Italian composer Arcangelo Corelli in this work. The variations Op.42 consists of the 'Theme', twenty 'Variations', the 'Intermezzo' inserted in the middle, and the final 'Coda'. The piece can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by the style of the variation and by the change of tempo. Section one covers from the 'Theme' to Var.7 that represents the melody of theme. Section two, from Var.8 to 'Intermezzo',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theme. And section three, from Var.14 to 'Coda', is the climax of this piece that expresses reappearance of the theme. Rachmaninoff combines his all musical languages with the musical idioms of Neo-Romanticism and he exhibits three different musical features in this piece which are melodic, harmonic, and rhythmic characteristics. First, the melodic feature include singable beautiful melodies, grace notes, and chromatic scales. The grace notes decorate melodies more brilliantly. The chromatic scales presenting throughout the whole piece function as the connection to the following measure and make a tonal ambiguity. The contrast between conjunct and disjunct motions shows the relaxation and tension which gives performers an opportunity to show their brilliant piano technique. Second, the harmonic feature represents an ambiguous color of chords by the use of non-harmonic notes, altered chords and poly-chords. The progression of chords in wide register and the repetition of lower octaves stress a reverb of the extensive chord. The use of pedal point shows the folk feature from the 'Bell Music' of Russia. Lastly, Rachmaninoff employs a picardy third in cadence that creates to change of musical atmosphere. Finally, the rhythmic feature examines the change of time that makes a sense of tension. The uses of dotted rhythms, syncopations, triplets, and cross-rhythms express dynamic and rhythmic effects. All rhythmic characteristics product this piece more brilliant. In conclusion, these all three categories of musical features serve to make this piece as a unity while each variation has the contrasting character. Rachmaninoff integrates his musical techniqu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eo-Romanticism in 'Variations on a Theme of Corelli, Op.42'. Furthermore, he associates his thoughts and emotions with his various musical materials in this piece.

      • 계산토크제어기법을 이용한 6자유도 수중 매니퓰레이터의 제어알고리즘 개발

        김소원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의 선박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 사고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다. 여러 가지 사고 중 부유물 감김사고는 2차 사고를 유발하며 부유물감김사고 발생 후 사고 처리 작업에서 인명사고를 야기하기도 하며, 군 선박의 경우 작전에 차질을 빚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선저어망제거를 위한 수중 로봇이 개발 중이며 수중 로봇 개발 시 폐부유물을 제거하는 작업 뿐만 아니라 선저검사, 선체청소, 추진기 프로펠러의 파손 및 손상 검사 또한 가능하여 비용과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저어망제거를 위한 수중 로봇의 수중 매니퓰레이터에 적용하기 위한 제어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제어기 설계 조건인 위치 추종 성능과 환경 순응 두 가지를 모두 확보하기 위해 선저어망제거를 위한 수중 로봇의 수중 매니퓰레이터에 적용하기 위한 제어 알고리즘으로 CTM 제어기를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Rigid Body Dynamics Library을 이용하여 C++로 6자유도 매니퓰레이터를 구성하여 Simscape Multibody로 구성한 매니퓰레이터 모델을 검증하였으며 Matlab-Simulink의 Simscape Multibody, Robotics system toolbox를 사용하여 수중 환경을 구축하고, 6자유도 매니퓰레이터의 CTM 제어기와 PD 제어기 성능을 비교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육상 환경과 수중 환경에 대하여 수행하였고, 육상 환경에서 CTM 제어기와 PD 제어기의 기본성능을 비교하고, 수중 환경 시뮬레이터를 통해 하나의 링크에 충격이 발생하였을 경우, 외부 충격의 크기와 가해지는 시간에 따른 CTM 제어기와 PD 제어기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추후 실제 로봇에 적용될 수중 매니퓰레이터가 제작되면, 본 논문에서 구축한 수중 환경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설계된 제어기의 성능을 시험하고,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실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Recently, maritime accidents increase by ocean activities growth in Korea such as engine failure, floating-object winding accident, ship crash and so on. Among various maritime accidents, floating-object winding accidents can cause a secondary accident such as drowning of divers to remove nets under the ship as well as a failure of military operation in case of warship. In order to prevent these kinds of accidents, underwater robot is developing for removing net under ship. This robot can apply to remove floating objects as well as to inspect the bottom and propellers of the ship, and to clean the hull. It can save the cost and time. In this paper, control algorithm to be applied for underwater manipulator equipped on underwater robot to remove the fishing nets under the ship is developed and Computed Torque Control method(CTCM) is proposed to satisfy controller design condition those are tracking performance and adaption for external force. This paper validates established simulation model using MATLAB Simscape Multibody and Robotics system toolbox against Rigid Body Dyanmics Library(RBDL) with C++. Also, underwater simulator is developed with MATLAB Simscape. Through the established simulator, the performance of CTCM for 6 degree of freedom(DOF) manipulator against general PD controllers. The simulations are performed with on-land and underwater environmental conditions. Simulation for the external impact force input is also performed to check performance of adaptation for external force with various conditions.

      • 강영숙의 『리나』에 나타난 난민여성의 몸과 언어

        김소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난민여성의 몸은 여러 억압과 차이가 교차하는 지점이며, 폭력적인 권력이 행사되는 장이다. 그리고 난민여성에 대한 여러 담론이 생산되고 조우하고 경합하는 장이기도 하다. 또한 동시에 이러한 담론들에 의해 포섭되지 않는 차이와 이질성, 그리고 저항이 드러나는 곳이다. 난민여성은 교차적이고 중층적인 억압과 폭력을 경험하지만 그 속에서 다중의 투쟁을 벌이며 나름의 전략으로 삶을 이끌어간다. 그러나 이러한 난민여성의 이야기는 제국주의, 인종주의, 민족주의, 페미니즘, 가부장제 등의 담론에 둘러싸여 온전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침묵되거나 임의로 번역된다. 그래서 그들은 말하지만 말할 수 없다. 이 논문은 난민여성이 실은 말하고 있지만 들리지 못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난민여성을 침묵시키는 억압의 구조와 그 속에서 말하고 행동하는 난민여성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난민여성의 경험과 언어를 깊이 이해하고, 난민여성을 재현하는 덜 폭력적이면서 더 책임감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학은 침묵되고 지워진 난민여성의 이야기가 드러날 자리를 마련한다. 지배적인 재현체계 밖에서 난민여성을 다르게 상상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난민여성의 목소리와 행위를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드러낸다. 그리고 난민여성 특유의 경험을 복잡하고 다층적인 맥락 속에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난민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강영숙의 장편소설 『리나』를 분석대상으로 선택하였다. 난민여성의 말과 행위를 난민여성이 처한 구체적인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소설이 난민여성을 표상하고 재현하는 방식을 살피기 위한 방법론으로는, 킴벌리 크렌쇼의 교차성 이론과 가야트리 스피박의 서발턴에 대한 사유를 참고한다. 교차성 이론은 여러 형태의 억압이 난민여성에게 동시에 상호적으로 작용하는 양상을 분석하여 난민여성의 특수한 경험을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난민여성들 간의 차이와, 차이에 기반한 관계를 살필 수 있도록 한다. 서발턴 개념은 난민여성을 둘러싼 구조적인 억압과 인식·담론의 문제를 지적하고, 난민여성의 말의 효과와 실패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또한 타자 재현의 어려움과 책임에 관한 스피박의 성찰은 소설이 난민여성을 재현하는 방식을 점검하는데 좋은 지침이 된다. 2장에서는 ‘이동’에 초점을 두고, 난민여성이 국경을 넘는 이유와 그 의미를 헤아려 본다. 그리고 난민여성에게 가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가족 안에서의 갈등과 어려움, 가족이 주는 보호와 혜택을 고찰한다. 또한 난민여성이 자신의 탈주·이동 경험을 증언하는 것의 어려움과, 자기재현의 가능성과 의의를 살핀다. 3장에서는 경제자유구역의 공단과 클럽에서 ‘노동’하는 난민여성에 주목한다. 난민여성이 초국적 자본주의, 국민국가 이데올로기, 남성중심주의, UN스타일의 국제주의에 둘러싸여 어떠한 억압을 경험하는지를 파악하고, 난민여성의 생존·대응전략과 투쟁을 맥락 속에서 이해한다. 그리고 착취구조에서의 난민여성 간의 상이한 위치에 주목하여, 이들의 관계를 분석한다. 4장에서는 소설이 난민여성을 어떻게 재현하는지를 분석하고, 재현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한다. 『리나』의 난민여성들은 여성으로서, 탈출자로서, 비국민으로서, 물리적이고 신체적인 폭력과 억압을 경험하고 여러 인식·담론에 의해서도 대상화되고 소외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난민여성은 가부장제에 저항하다가도 가부장적 소망을 이야기하고, 주변의 시선을 의식하여 자신의 경험을 허구적으로 재구성한다. 침묵은 여성을 배제하고 소외시키지만, 난민여성이 자신의 주변성을 지키고 저항하는 전략이 되기도 한다. 이처럼 난민여성의 언어는 모순되고 역설적이며, 불분명하고 일관되지 않다. 때문에 이들의 언어는 쉽게 무시되고, 의미화되지 못한다. 『리나』는 난민여성을 억압하는 복합적인 구조와 난민여성의 말과 행위를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재현하여, 난민여성이 교차적이고 중층적인 억압의 상황 속에서 자신의 삶을 어떻게 운용해나가는지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난민여성의 민족·국가적 정체성을 완전히 삭제하거나 지나치게 부각하고, 인종주의적 시선과 제3세계 여성의 정형을 반복하는 등 난민여성을 재타자화하는 한계를 보인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에서는 난민여성의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 이들의 언어를 둘러싼 정치·경제적인 이해관계와 인식·담론들을 해체하고, 이들의 다른 말하기 방식을 배워 대화의 시도를 지속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그리고 난민여성의 이야기를 재현하고 전달할 때, 재현자의 구조적인 위치를 의식하고 지배구조와 공모하지 않을 방법에 대해 적극적으로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본 논문의 시도가 난민여성의 목소리를 듣기 위하여 우리가 기울여야 하는 노력, 난민여성의 문제를 책임감 있게 다루는 방법을 함께 생각해보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body of refugee women is a site where a variety of oppressions and violences intersect. It is also a political venue where heterogeneous discourses about refugee women are produced, encountered and contested. The body is also a place where differences and uniqueness of refugee women are revealed not to be contained by these discourses, and where different modes of resistance occur. Refugee women experience intersectional and overdetermined oppressions, while they struggle against them with their own strategies. But the stories of refugee women are silenced, for they are surrounded by discourses such as imperialism, racism, nationalism, feminism, and paternalism. And their words are often ignored and arbitrarily translated. Refugee women speak in a literal sense but they can not speak in the discursive sense. This study thus focuses on the complex structure of oppression and refugee women’s unfamiliar reactions to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ave a deeper picture of refugee women’s experience, and to explore an alternative way, namely, a less violent and more responsible way of representing them. Literature provides a means to convey the story of refugee women. Not only does it let readers imagine refugee women differently, it also specifically describes their voices and actions. And literature makes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unique experience of refugee women in complex contexts. Therefore, Kang Young Sook's novel Rina, which foregrounds a refugee woman as the heroine, was chosen as the subject of critical analysis. As a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words and actions of refugee women in concrete contexts and to examine the ways Rina represents them, this study draws on Kimberlé Crenshaw's theory of intersectionality and Gayatri Spivak's concept of the subaltern. The notion of intersectionality enables us to approach the unique experiences of refugee women by analyzing the aspects of various oppression simultaneously interacting. It also makes us identify differences between/within refugee women. The concept of subaltern is useful in pointing out the structural oppressions and discourses surrounding refugee women, and in analyzing the (im)possibility of their self-representation. Spivak's reflection on the responsibility of representing the other can be a good guideline for examining the ways the novel represents refugee women. Chapter 2 turns to the theme of refugee women’s ‘migration’, and looks at why refugee women cross borders and what it means to them. It also considers what family means to refugee women while traveling, by analyzing conflicts and difficulties, and protection and benefits within the family. Then, it explains the difficulty of refugee women testifying or self-representing their experiences of escape and migration. Chapter 3 draws on refugee women’s ‘labor’ at the industrial complex and club in Free Economic Zone. It illuminates a wide range of repressions that refugee women experience, surrounded by transnational capitalism, nationalism, patriarchy and UN-style internationalism.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struggles and survival strategies of refugee women in specific context and compare the different positions among refugee women. Chapter 4 analyzes the way Rina represents refugee women, and discusses the novel’s achievements and limits as well. As women, escapees and non-nationals, refugee women in Rina experience various forms of physical oppression and epistemic violence. In this situation, refugee women seem to speak strange languages. Refugee women hope for having their own families although they resist patriarchal system. Conscious of the eyes around them, they fictionally reconstruct their experiences. Silence excludes and alienates women, but it also serves a mode of resistance for refugee women to protect themselves. The language of refugee women is ambiguous and paradoxical, also unclear and inconsistent. So their language is easily ignored and distorted. Rina describes the complex structure that suppresses refugee women and the subjectivity of refugee women in a specific and diverse manner. This gives a deep and renewed understanding of refugee women. However, it shows limitations of re-marginalizing refugee women by completely deleting or highlighting their ethnic and national identity, and repeating racist views and stereotypes of third world wome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 order to understand the language of refugee women,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olitical and economic interests and dominant discourses surrounding refugee women, and to continue our attempts to communicate by learning their different ways of speaking. It also emphasizes that when speaking for or to refugee women, we should be aware of our own position within the given power relations and constantly vigilant against our complicity with the oppressive social struc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n example to think about the efforts we have to make in order to hear the voice of refugee women and how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refugee women more responsibly.

      • Multi-functional confocal microscopy of nanobiomaterials on structured surfaces : 다기능 공초점 형광 분광학 : 나노 구조 표면에서의 나노 바이오 물질 연구

        김소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Nanobiotechnology is in the limelight of fusion technology. It is the act of physically examining chemical phenomenon through biomaterials. It was once called biophysical chemistry, but is now referred to as nanobiotechnology as it became similar to nano in size. It is now at a level in which one can observe each biomaterial characteristic in a single molecular scale rather than just the interaction between biomaterial and nanoenvironment. The volume of samples has decreased and the minimum intensity of detectable signals is becoming less and less. The main objective of nanobiotechnology is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 in which humans ultimately benefit from. The act of creating a similar environment to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human body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of life science. A lab-on-a-chip is the accumulation of the latest nanobiotechnology. It is a combination and integration of fluidic elements, sensor components and detection elements to perform the complete sequence of a chemical reaction or analysis,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reactions, separation, and detection. This paper probes into the various characteristics of biomaterials through MEMS technology and home-built multi-functional confocal fluorescence microscope system. Part I observes the formation of DNA-dye complex by utilizing dimethyldiazaperopyrenium dication, which has the characteristic of its fluorescence lifetime value separating into three components when it intercalates with DNA. Utilizing microfabrication skills, micro and nano size structures were transferred on top of transparent cover glasses. By applying AFM and FLIM, the dye’s defects were overcome and the interactions between surface structures and DNA-dye complexes have been discovered. Small structures influence on formation of DNA-dye complexes. 70nm channels were restrictive nanoenvionment. More small complexes were produced and preferred to locate away from the channel. However, both size and location of the complexes were more affected in 2μm channels. Various size of patterning cover glasses could manufacture. As developing these techniques, the correlation with sample and nanoenvionment could investigate in depth. In Part II, the dynamics of live biomaterials were studied. Surface of cover glasses were prepared by two methods. SAM method and immuno-reaction between the antibodies and antigens were selected. Immobilized Escherichia coli O157:H7, bacteria well-known for O157 infection were observed through AFM and FLIM. Furthermore, through DLS and FCS, we researched the size and diffusion time of bacteria which has free movement in liquid solutions. In the bacteria experiment, we chose to use the GFP transformed bacteria rather than the fluorescent dye to arrive at the original nature of the bacteria. According to time lapse, live bacteria showed free diffusion and swam at the same time. Size distributions and diffusion times were obtained from living bacteria. Comparing these data with live bacteria which have no mobile activity could be good subjects in the future work. This series of events has direct application to swift detection technology of E. coli O157:H7. Research on biomaterials is rapidly increasing with the development of nanobiotechnology. As technology accumulates, we look forward to observing and analyzing the many unknown and undefined biomaterials in a single molecular scale. 나노 바이오 기술은 새로이 각광 받고 있는 융합 기술이다. 생 물질을 대상으로 하여 물리학적 방법으로 화학적 현상을 규명하는 것이 바로 그 핵심이다. 이전에는 생물리화학 이라는 명칭도 있었지만, 그 스케일이 나노 사이즈에 접근해가면서 나노 바이오 기술이라는 명칭을 얻게 되었다. 생 물질과 나노 환경과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생 물질 각각의 특성을 단분자 수준에서 관찰할 수 있는 수준에 이르렀다. 필요한 샘플의 양은 점점 줄어들고, 관측할 수 있는 신호의 세기는 점점 최소화 되어가고 있다. 생체 내의 현상에 접근하기 위하여 유사한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도 결국엔 나노 바이오 기술의 궁극적인 목적인 인간을 이롭게 하는 생명과학 기술 발전에 이바지 하는 것이다. 측정하고자 하는 물질의 스케일만 작아지는 것이 아니라, 대상 물질 뿐만 아니라 반응, 측정이 모두 작은 스케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로 chip 상의 실험실이라고 불리는 lab-on-a-chip 이다. 본 연구에서는 MEMS 기술을 이용하고, 직접 구성한 다기능 공초점 형광 현미경 장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생 물질들의 여러 특성을 규명하였다. 다양한 측정 방법들의 융합을 이용하여 표적 물질들의 광학적, 물리 화학적 특성들을 관측하여 해석할 수 있었다. Part I 에서는, DNA 에 intercalation 되면 형광 수명 시간이 3 가지로 늘어나는 특성을 가진 dimethyldiazaperopyrenium dication 이라는 dye를 이용하여 DNA-dye 복합체의 형성을 관찰하였다. Microfabrication 기술을 적극 이용하여 마이크로, 나노 사이즈의 구조물들을 얇고 투명한 cover glass 위에 만들었다. 구조물들의 표면과 DNA-dye 복합체의 상호작용을 AFM, FLIM 방법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었고, dye 의 취약점을 보완하여 더 합리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70 nm channel 은 다소 제한적인 환경이었는데, 비교적 작은 복합체들이 형성되었고, 구조물을 피해서 위치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2μm channel 에서는 구조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서 크기와 위치, 배열 등을 확인하였다. 다양한 크기의 channel을 제작하는 기술은 확보했으므로, 실험을 발전시키면 구조물과 복합체 형성의 상호작용을 심도 있게 연구해 볼 수 있다. Part II 에서는 실험을 조금 더 발전시켜 살아있는 생 물질을 표적으로 하여 동역학을 고찰하였다. SAM 방법과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하여 O157 전염병으로 잘 알려진 박테리아, E. coli O157:H7을 cover glass 표면에 modification 시킨 뒤 AFM, FLIM 을 이용하여 관측하였다. 그리고 더 나아가 DLS, FCS 방법으로 용액 상에서 운동성을 가지고 있는 박테리아의 크기를 측정해보고, 확산 시간을 연구하였다. 박테리아 실험에 있어서는 형광 dye를 쓰지 않고 유전적으로 GFP를 미리 처리해 놓은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그 본성에 접근하려고 노력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라, 시간 경과에 따라 살아있는 박테리아들은 자유 확산과 운동을 동시에 보여주었다. 움직이는 박테리아를 통해 크기 분포와 확산 시간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data들을 살아있기는 하지만 운동 능력이 상실된 박테리아들과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은 주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들은 O157 박테리아의 신속한 검출 기술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다. 이처럼 생 물질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은 나노 바이오 기술의 발전과 맞물려 발전 속도가 굉장히 빨라지고 있다. 점점 기술이 축적되어 갈수록 아직 규명되지 않은 수많은 생 물질들을 단분자 수준에서 관측하고 해석할 수 있게 될 것이다.

      • 액추에이터 소자 응용을 위한 완화형 압전세라믹 소재 및 공정 최적화 연구

        김소원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지식기반기술에너지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전자 디바이스 등이 소형화, 경량화되고 에너지 절감형으로 바뀌어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한 소자 개발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어 복잡한 전자 부품들을 압전 소자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 압전 소자를 구성하는 압전세라믹은 응용 분야에 따라 요구되는 소재 특성이 달라 활용 범위에 따라 맞춤형 압전 소재의 개발이 필수적이다. 압전 재료를 액추에이터 소자로 응용하기 위해 PZT를 기반으로 완화형 강유전체를 포함한 특성이 개선된 새로운 조성의 원료를 개발하고 조성비와 도핑물질이 압전 재료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한 압전해석 시뮬레이션 프로그램(ATILA)을 이용하여 개발한 압전 소재 물성과 소자를 구성하는 재료 및 구조에 따른 시뮬레이션을 진행해 응용제품의 구조를 최적화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실제 액추에이터 응용 소자를 제작하고 성능을 평가하였다. 첫 번째 액추에이터 응용소자인 압전스피커의 경우 soft relaxor를 활용한 0.2Pb((Zn0.8Ni0.2)Nb2/3)O3-0.8Pb(Zr0.5Ti0.5)O3 의 조성비에 0.1 wt% Li2CO3를 소결 조제로 첨가하여 875℃의 저온에서 소결하였으며, d33 = 500 pC/N, kp =0.63, g33 = 44 mV/N 으로 우수한 특성의 소재를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한층 두께 약 40 ㎛, 12×16 (mm2) 의 적층형 압전 액추에이터 소자를 제작하였으며 압전 소자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진폭시키는 진동판으로 PEEK 와 그보다 더 작은 사이즈의 Silicone rubber 필름을 복합 사용시 가장 우수한 응답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적의 설계 구조를 적용해 20×24×1 (mm3) 크기의 실제 압전스피커를 제작하였으며, 5 V 전압 인가 시 가정주파수 범위에서 약 75 dB 의 SPL 과 15% 이하의 THD 특성을 나타내어 기능적으로 우수한 압전스피커를 개발하였다. 두 번째로 초음파진동자의 경우 soft relaxor 와 hard relaxor를 동시 활용한 0.08Pb(Ni1/3Nb2/3)O3-0.07Pb(Mn1/3Nb2/3)O3-0.85Pb(Zr0.5Ti0.5)O3+0.3wt% CuO +0.3wt% Fe2O3 의 조성비에 0.3 wt% Sb2O3를 hardener 로 첨가하여 d33 = 372 pC/N, kt = 0.54, Qm = 1151 로 큰 진동효율과 열적 특성이 안정한 새로운 조성의 압전 소재를 개발하였다. 시뮬레이션 해석을 통해 압전 세라믹의 형상과 치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목표로 한 생체 미용기기용 1 MHz 의 주파수에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최대 진폭을 나타내며 발진하는 초음파진동자 소자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 제품 대비 우수한 성능의 압전 소재 및 그 소재를 사용한 세라믹 부품의 개발로 향후 소형화, 저전력화한 디바이스에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위장관 스트레스 클리닉을 방문한 기능성 위장질환 환자들의 정신사회적 특성과 위장관 증상 및 삶의 질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소원 圓光大學校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집단, 기능성 위장증상 양성 집단 및 정상대조집단에서 정신사회적 특성을 비교하고,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의 삶의 질과 연관된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소화기 내과 전문의에 의해 기능성위장질환으로 진단받아 뇌-위장관 스트레스 클리닉에 방문한 65명을 기능성위장질환 환자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정신건강조사에 참여한 167명의 성인 가운데 로마Ⅲ 진단 기준에 따라 기능성위장증상을 나타내는 88명은 기능성위장증상 양성 집단으로, 기능성 위장증상을 보이지 않는 79명을 정상대조집단으로 선별하였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을 조사하였으며 정신사회적 요인을 평가하기 위해 벡 우울척도 2판(Beck Depression Inventory Second Edition, BDI-II), 벡 불안척도 (Beck Anxiety Inventory, BAI), 아동기 트라우마 척도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다차원 척도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Connor-Davidson 회복 탄력성 척도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CD-RISC),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Brief Form,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집단들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 기능성위장질환 환자 집단의 삶의 질과 정신사회적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 correlation test를 시행하였다. 모든 통계는 SPSS 21.0을 사용하였다. 결 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학력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했다(p<.001). FGID 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에 비해 우울(F=29.012, p<.001) 및 불안 (F=27.954, p<.001)이 유의하게 높았다. 아동기 외상에서 정서학대(F=6.994, p<.001)와 신체방임(F=5.573, p<.001)은 FGID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신체학대, 성적 학대 및 정서방임은 세 집단간의 차이가 없었다. 사회적 지지 또한 FGID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F=27.664, p<.001). 회복 탄력성(F=9.623, p<.001)과 하위영역인 강인성(F=5.123, p<.001), 인내력(F=8.402, p<.001), 낙관성(F=15.039, p<.001) 및 영성(F=5.129, p<.001) 에서도 FGID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 척도(F=35.991, p<.001)와 그 하위영역인 전반적 안녕(F=30.463, p<.001), 신체적 건강(F=45.247, p<.001), 심리(F=22.852, p<.001), 사회적 관계(F=20.070, p<.001), 환경(F=17.851, p<.001) 모두에서 FGID환자집단이 정상대조집단과 FGID-positive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FGID 환자집단에서 삶의 질은 회복탄력성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475, p<.01), 우울(r=-.641, p<.01), 불안(r=-.441, p<.01) 및 아동기 외상(r=-.278, p<.05)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 론 연구결과 기능성위장질환 환자집단은 기능성 위장증상 양성 집단 및 정상대조집단에 비해 우울, 불안과 아동기 트라우마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 및 회복 탄력성이 낮았다. 따라서 추후 기능성 위장질환 환자의 치료에 있어 정신사회적 요인들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compare the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patien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FGID), adults with functional gastrointestinal symptoms, and normal control groups, to evaluate factors related to quality of life(QoL) of FGID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3 groups, 65 patients diagnosed with FGID, 88 adults who showed functional gastrointestinal symptoms(FGID positive group), and 79 adults without gastrointestinal symptoms(normal control group) based on the Rome Ⅲ diagnostic criteria. Demographic factors were investigated. Psychosocial factors were evaluated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 Beck Anxiety Inventory,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Connor-Davidson Resilience Scale and WHO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 Brief Form. A one-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differences among groups. Pearson correlation test was use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QoL and psychosocial factors in patients with FGID. Results There were group differences in the education level. Depression(F=29.012, p<.001), anxiety(F=27.954, p<.001) and Childhood trauma(F=7.748,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FGID patient group than in both FGID-positive and normal control groups. Social support(F=5,123, p<.001), Resilience(F=9.623, p<.001) and QoL(F=35.991, p<.001)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FGID patient group than in others. QoL of FGID patient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r=.475, p<.01),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r=-.641, p<.01), anxiety(r=-.641, p<.01), and childhood trauma(r=-. 278, p<.05). Conclusion FGID patients have distinctive psychosocial factors compared to the both FGID-positive and normal control groups. Therefore, the active interventions for psychosocial factors are required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FG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