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조문학의 가치와 위상, 그리고 세계화 방안 모색

        김성문(Kim, Seong-Moon)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1 No.-

        This paper is to try the globalization of Sijo,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literatures. For this goal, the values of Sijo as the ethnic literature have been searched and the necessity and method of reestablishing the position of Sijo have been studied. In 21th century, Korea has achieved a great economic development. But Korea has not achieved the international position equivalent to its economic growth. That may be closely related to that fact that the government’s support for and interest in our literature as well as Korean people’s sympathy and interest in it are not formed well enough. To overcome this situation, it is essential for us to check and reevaluate the position of the Sijo literature. In addition, it is required now to establish the detailed method for globalization of the Sijo in the long term perspective. Nowadays, as Sijo is wrongly deemed by Koreans that it is a form of difficult and old literatures, most of Korean people are not interested in Sijo. So, in this paper, the value of Sijo will be evaluated from new perspective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Sijo is one of Korean’s traditional literatures and has been together with Korean people for a long time. Sijo has described the idea and life of Korean people from Goryeo Period through Joseon Period to the present.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tic period, a sad period for Korean people, Sijo has been a means of expressing the sorrow and life of Korean people. At the same time, Sijo have played its role as one of independent movements in the name of Sijo recovery movement. In addition, in the moment of the independence from Japan, our ancestors expressed their joy through Sijo. So, it is evident that Sijo has a great value as the ethnic literature. Accordingly, we have to reestablish Sijo. As the ways to reestablish the Sijo, I suggest the “Expansion of education on Sijo”, “Competition of writing Sijo”, “Development and dissipation of Sijo card play”, “Continuation and expansion of the study on Sijo” and “Government’s support”. On the other hand, based on the love of all Korean people toward Sijo, it is necessary to let the Sijo known to people around the world. As a way of it, I have tried to register Sijo as “an intangible asset of UNECO World Heritage”. I found out that the prerequisite for registering with UNECSO is the registration of Sijo as the key intangible asset with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of Korea. So, I have suggested to the Government and scholars to make effort for it. Other than that, I suggested that we have to communicate with the overseas scholars and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Sijo and focus more on the English Sijo and the translation of Sijo into English as well as the Government’s political and financial support such as Japanese Government’s support for Haiku. As these efforts specified above may not be achieved by the efforts of any individual or researcher only, they need the consistent efforts by both Government and scholars. These efforts would be consistent with those made to enhance the position of Korean in the world stage.

      • KCI등재

        무인시조의 프로조디와 가락 고찰

        김성문(Kim, Seong-moon)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1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36

        앙리 메쇼닉이 새롭게 제안한 프로조디는 언어의 자음적·모음적 조직과 그것의 계열체를 지시하는 프로조디를 지시하는 말로, 이는 전통적으로 음성과 의미를 분리하여 이해해 온 관점과 전적으로 대립되는 정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문학에서 프로조디는 결코 부수적인 무엇이 아니라 의미작용에 기여하는 개념적인 위상을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 이러한 프로조디 분석 방법론을 활용하여 프로조디가 무인시조의 가락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본 결과물이다. 프로조디 분석을 통한 가락은 정형시로서의 시조가 갖는 가락과는 다른 층위의 것으로, 작품의 주제를 보다 명확하게 형상화하는 데 기여하거나, 분위기를 조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무인들이 창작한 275수의 시조 작품들을 살펴, 그 가운데서 무인으로서의 삶과 직접적으로 관련을 맺는, 이른다 무인시조를 73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중에서 대표적인 작가 5인을 선정하고, 그들 시조의 프로조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인이나 기녀, 중인가객 등이 지은 시조와는 달리 무인시조의 경우에는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의 속성을 지니고 있는 프로조디들이 계열을 이루어 출현하는 빈도가 높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된소리와 거센소리의 비중이 높아서 강인한 장부의 기상을 효과적으로 드러내는데 기여하거나, 변방에서 느끼는 무인의 고뇌와 시름의 깊이를 형상화하는데 적합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흔히 강호가도류의 작품이나 기녀시조와는 전혀 다른 느낌을 무인시조로부터 받게 되는 원인이 바로 무인시조의 독특한 프로조디의 출현과 그로 인해 형성되는 비정형적인 가락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H. Meschonnics newly proposed prosody is a definition that dictates the consonant and vowel organization of language and its affiliates, which is entirely at odds with the views traditionally understood by separating speech and meaning. Thus, in literature, Prosody has a conceptual status that contributes to the semantic process rather than something incidental. This study utilizes these prosody analysis methodologies to examine how prosody influences the tunes of unmanned prosody. The melody through prosody analysis is at a different level from that of sijo as an orthodox poem, which can be seen as contributing to a clearer shape of the theme of the work or to create an atmosphere. In the original book, the number of poems created by the fighters was reviewed and the number of poems directly related to the life as a warrior was set at 73 among them. They selected five leading writers and analyzed the prosody of their sijo. As a result, unlike the sijo built by writers, ginyeo, and middle-aged guests, prosodies, which have the properties of rupture, parchal, and friction, often appear in a series, especially in high proportion of strong sounds and strong sounds, or in shape. The reason why we often get a completely different feeling from Gang-ho-Ga-dos works or ginyeo is the appearance of the unique prosody of unmanned prosody and the amorphous tunes formed by it.

      • KCI등재

        黃眞伊 時調의 離別 形象化와 對應樣相

        金成紋(Kim Seong-moon) 한국시조학회 2009 시조학논총 Vol.30 No.-

        황진이의 시조 작품에 대한 연구는 그녀가 남긴 작품 수에 비해서는 비교적 심도 있게 논의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이러한 그간의 성과의 연장선에서 본 논문을 통하여 황진이 시조 작품에 드러난 이별의 형상화와 이별상황에서의 대응양상에 대하여 고찰을 시도하였다. 여섯 수의 황진이 시조는 모두 직ㆍ간접적으로 이별의 상황과 연관을 맺고 있는 작품들이다. 따라서 황진이의 시조 작품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작품 속에 투영 된 황진이의 이별상황에서의 대응양상의 차이를 확인해 볼 수 있다는 생각에서 논문의 논의를 시작하게 되었다. 먼저 황진이 시조의 이별의 형상화에 대해서는, 그녀가 남긴 시조가 결코 많다고는 할 수 없지만 각 작품마다 절묘한 상징과 은유, 그리고 다양한 시적 장치를 통하여 이별의 상황에 느끼게 되는 인간의 보편적 정서를 작가적 개성으로 녹여내어 효과적으로 형상화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황진이 시조에 드러난 이별상황 대응양상는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우선, 이별의 상황을 자연의 섭리에 의탁하여 이벌의 순간을 인위적으로 거부하거나 거스러지 않고 자연에 순응하여 받아들이는 자연순응적 대응양상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해당하는 작품으로는 〈? 언? 無信하여~>, <어뎌 ? 일이여~>, <山은 녯 山이로?~>, <靑山은 내 ?이요~>의 네 작품이 있었다. 다음으로는, 자연의 섭리를 거슬러 시ㆍ공간을 자신의 뜻대로 재단하는 자연에 대한 도전적 양상이라 할 수 있는 것으로〈冬至人? 기나긴 밤을~>이 이에 해당한다. 끝으로 앞서 언급한 순응적 대응양상과도전적 대응양상이 혼재 (혼합)되어 있는 혼합적 대응양상이다.<靑山裡 碧溪水 ㅣ 야~>가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 이렇듯 이별상황에 대한 대응양상이 서로 다르게 드러나는 것은 기녀라는 그녀의 신분이 갖는 특수성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여기에 호방하면서도 다감한 그녀의 성정도 많은 부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의 논의가 나름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보완할 점들은 후속 연구를 기약하고자 한다. The research on the poem work of Hwang Jin I may have been discussed relatively profoundly compared to the number of works left by her. On the prolongation of such result that has been made thus far, the author tried to investigate aspect of confrontation of figuration and situation of farewell revealed in the poem work of Hwang Jin I through this dissertation. The 6 poems of Hwang Jin I are works which a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situation of farewell. Thus, the author began to discuss dissertation, thinking that the difference in aspect of confrontation in the farewell situation of Hwang Jin I projected in the work can be confirmed by analyzing the poem work of Hwang Jin I. First, with respect to the figuration of farewell in the poem of Hwang Jin I. it cannot be said that she left many poems. However,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universal human emotion felt in the situation of farewell was effective converted to figuration by personality of the author through the delicate symbol and simile felt in each work and diverse poetic devices. Then, the aspect of confrontation of farewell situation revealed in the poem of Hwang Jin I was investigated in 3 large divided aspects. First, it is the nature-compliant aspect of confrontation that does not artificially reject or disobey but accepts the moment of farewell by relying on the providence of nature with respect to the situation of farewell. Four works pertain to this category, namely, <? 언? 無信하여~>, <어뎌 ? 일이여~>, <山은 녯 山이로?~> and <靑山은 내 ?이요~>. Next, it may be challenge to the nature. that is. to cut time and space at own intention against the providence of nature. The work. 冬至人? 기나긴 밤을~> pertains to this category. Finally. it is mixed aspect of confrontation in which the above-mentioned compliant aspect of confrontation is mixed with challenging aspect of confrontation. The work. <靑山裡 碧溪水 ㅣ 야~> may pertain to this category. As explained above. the aspect of confrontation revealed differently in the situation of farewell may be due to the peculiarity of her status as official kisaeng. Furthermore. her magnanimous and affectionate character may be also quite influential on this matter. The matters to be supplemented to make the above discussion successful need to be studied in the subsequent research.

      • KCI등재

        時調의 形式美 考察

        金成紋(Kim, Seong-Moon) 한국시조학회 2013 시조학논총 Vol.39 No.-

        본고는 시조를 구성하는 형식적인 측면의 문체자질을 분석하여 시조가 갖는 문체미의 하나인 형식미를 규명해 보려는 시도이다. 시조는 3장6구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하나의 장을 네 개의 음보로 끊어서 연행하는 4음보격의 율격을 지니는 시가문학이다. 여기서 말하는 구조와 율격은 시조의 형식적 측면과 관련을 맺는 문체자질이라 할 수 있고, 이 둘의 미적 특징에 대한 연구는 곧 시조의 형식적 측면의 문체미라 할 수 있는 형식미를 고찰하는 작업과 궤를 같이 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시조의 구조와 율격을 중심으로 하여, 시조 형식의 미적 특징을 고찰한 작업이다. 주지하듯이 시조는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장은 다시 대칭되는 두 개의 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나의 장은 네 개의 음보로 연행된다. 이에 필자는 시조가 여타의 구조나 율격이 아닌 장 · 구별 대칭을 통한 균형과 안정을 지향하는 시형과 율격을 갖추게 된 원인을 바로 시조 형성기의 문학 담당층에서 찾고 관련 논의를 진행하였다. 시조가 안정적이며 균형감을 갖춘 3장 6구의 시형을 갖추게 된 원인을 고려와 조선조에 있어서 상층 기득권 집단을 대표하던 사대부의 사상과 가치관이 작품의 형식에 반영되어 나타난 결과로 파악하였다. 상층 집단은 기층민과는 다른 방식으로 삶을 영위하고 문학을 향유했을 것이며, 그것은 바로 현실의 변화나 변혁을 바라기 보다는 현재의 질서를 긍정하는 방향으로 표면화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대부가 시조라는 문학 양식의 창작과 향유에 주된 문학 담당층으로 참여함으로 인하여 시조는 균형과 안정을 지향하는 구조를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한편 4음보격의 시조 율격 또한 사대부라는 문학 담당층과 무관하지 않다고 보았다. 3음보격의 율격이 동적이며 변화를 지향하는 특성을 가짐에 비하여, 4음보격은 정적이며 안정지향적인 성향을 띠는 율격적 특성을 지닌다. 따라서 사대부의 문학으로 시작된 시조가 사대부의 사상과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4음보격을 그 율격으로 채택하게 된 것 또한 앞선 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균형과 안정을 바라던 그들의 신분적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필자는 사대부의 사상이 잘 반영된 작품들을 실제로 분석해 봄으로써, 시조의 구조와 율격이 사대부의 사상을 오롯이 드러내기에 효과적인 그릇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말미암아 발현되는 시조의 형식과 관련된 문체의 미라 할 수 있는 형식미를 ‘均衡과 安定의 美’로 규정해 보았다. 그러나 시조의 문체미를 규정하는 작업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조의 본질을 깊이 조망하고 통찰할 수 있는 안목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고는 시조의 형식과 관련된 문체의 아름다움을 규명하고자 하는 試論的 성격을 띤다고도 할 수 있으며, 향후 이와 관련된 지속적인 관심과 논의를 통해서 본고에서 노정된 문제점들을 보완해 나가고자 하는 바이다.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beauty of form or one of the literary styles in Sijo by analyzing the Sijo’s form and structures which make up the Sijo. Sijo is a Korean poetic form which is made with 3 lines(or 6 half-lines) and each line has four syllables. The structure and rhyme hare may be considered to be the literary features of Sijo which is related to the form of the Sijo. Accordingly, the study on these two things is related to the finding out the beauty of form of the Sijo. It mean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eauty of form of Sino focusing on its structure and rhyme. As we all know, Sijo is made with three lines with each line having two symmetric half-lines. Each lines have four syllables.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argue that Sijo’s form putting emphasis on the balance, safety and rhyme was established by the people in charge of the literature in the period when the Sijo was born. I found out that the Sijo’s adoption of the specific form of 3 line and 6 half-lines having the balance, symmetry and stability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lines is caused by the nobilities who were the upper class group in the lat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The upper class group enjoyed the lifestyle and literature which were far different from the lower class people. Their minds were oriented toward thinking positively of the then-current orders and situation rather than asking for changes or revolutions. Accordingly, the Sijo, one of the nobility’s literature was made with emphasis on the balance and stability as the nobleman enjoyed the Sijo as their literature. In addition, I think that the form of 4 syllables in one line is also related to the nobility who enjoyed the Sijo at that period. It is assume that the 3 syllables show the dynamic and change oriented features while the form of 4 syllables shows the static and safety oriented features. So, the fact that the form of 4 syllables in a line is adopted in Sijo shows that the people who started this form of literature and enjoyed it were oriented toward the balance and stability, showing that the structure of Sijo is just the reflection the nobility’s with to keep the their social status or position at that time. I analyzed the literary works made by the noblemen at that period and found out that the Sijo’s structure and rhyme were made by noblemen who wanted to keep that situation in a way that the beauty of balance and stability which are the sky characteristics of Sijo have priority in its structure and form. But the study to specify the beauty of form in Sijo is not an easy job. To conduct the study, the researcher needs the intuition and viewpoint which can see and check the essence of Sijo. So, this study may be the first step toward finding out the beauty of form in Sijo. I would like to make up for any problems exposed in this paper through the continuous study and interest in this field.

      • KCI등재

        대형할인점의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성문(Kim, Seong-Moon),안지상(Ahn, Ji-Sang),심교언(Shim, Gyo-Eo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4 도시 행정 학보 Vol.27 No.2

        본 연구는 백화점에 있어서 입지요인과 비입지요인의 중요성을 비교분석한 김성문·안지상·심교언(2013)의 연구에 대한 후속연구로서의 성격을 지니며, 할인점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할인점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서 유의하게 분석되었던 주요 변수들을 선별하고, 이를 다시 입지적 요인과 비입지적 요인으로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선정된 독립변수에 대해서는 2009년을 기준으로 전국에서 영업 중인 국내 BIG3 할인점을 대상으로 실측 조사하였고, 종속변수로는 각 할인점 점포별 2009년 연간 매출액을 사용하였다. 조사된 변수들은 입지요인과 비입지요인을 하나의 회귀식으로 나타낸 다중회귀분석모형을 통해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때 입지요인 중에서는 ‘세대수’, ‘세대당지방세징수액’, ‘경쟁점포수’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대수’와 ‘세대당지방세징수액’은 할인점 ‘매출액’과 정(+)의 관계를 가지고, ‘경쟁점포개수’는 부(-)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비입지요인 중에서는 ‘영업면적’, ‘주차대수’, ‘임대매장수’, ‘업력’ 변수가 유의하였으며, 이들은 모두 할인점 매출액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별 변수들의 영향력을 표준화계수(β)의 절대값으로 판단해보았을 때, ‘영업면적’이 압도적으로 높은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뒤이어 ‘업력’, ‘세대수’, ‘경쟁점포수’, ‘임대매장수’, ‘세대당지방세징수액’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보면 전반적으로 입지요인보다는 비입지요인 변수가 매출액에 대한 영향력 측면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결과는 ㎡당 매출액을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였을 때에도 동일하다. 이는 지금껏 우리가 막연히 갖고 있던 일반적인 생각은 물론 할인점과 관련된 수많은 선행연구들의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결과는 산업이 발달하고 도·소매업이 유통업으로 성장하면서 대부분의 소매점이 대기업에 의해 운영되고 현대 마케팅의 집약체가 됨에 따라 자연스레 이루어진 결과로 추측된다. 실제로 최근의 많은 연구들이 소매업에 있어서 입지요인보다는 비입지요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현상의 반증이다.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location factors, which have been at the center of focus both academically and operationally in relation to discount chain stores development, and non-location factors, which have been relatively excluded and undervalu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location factors, 3 variables, ‘number of household’, ‘collected amount of local tax’, and ‘number of rival stores’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 And former 2 facto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count chain store ‘revenues’, and last one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iscount chain store ‘revenues’. Second, among the non-location factors, 3 variables, ‘sales space’, ‘number of confrontation tenants’, and ‘business periods’ were proved to be significant. These 3 variable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count chain store revenues. Third, using only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variables’ standardized coefficient it could be seen that in analysis model, the variables classified as non-location factors have greater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revenue of discount chain stores.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글쓰기를 위한 시조의 활용 방안 고찰

        金成紋(Kim, Seong-moon)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9 No.-

        최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글쓰기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글쓰기를 통한 소통의 문제가 중요시 되는 것과도 관련을 맺겠지만, 오늘날의 대학생들의 글쓰기 실력이 그들이 가진 학문적 지식이나 경험에 비하여 만족할만한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학계에서는 다양한 글쓰기 교육 방안이 제시되고 있는 바, 본고는 본격적인 글쓰기 작업에 앞서 고전문학, 특히 시조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글쓰기를 위한 단초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을 고찰한 시도이다. 좋은 글을 쓰기 위해 필요한 창의성을 함양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필자는 우리학생들이 친근해 하면서도 한편으로는 낯설다고 느끼는 시조문학을 창의적인 글쓰기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글을 쓰는 작업은 대상에 대한 사유와 문자로의 표현이라는 두 층위로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학생들은 이 두 가지 모두에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사유의 영역에 있어서는 머릿속의 생각을 어떻게 구성해야 하는지를, 표현의 영역에서는 단어의 선택이나 수사법 등에 대한 두려움이 내재해 있는 것이다. 필자는 이러한 상황에서 시조가 학생들이 갖는 글쓰기에 대한 막막함과 두려움을 덜어주고,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편이 될 수 있음을 위에서 제시한 두 층위에서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글쓰기를 위한 사유의 대상으로 시조를 제시하였다. 시조는 단형의 정형시이다. 따라서 작품을 감상하는데 많은 시간을 들이지 않아도 되는 수월함이 있으며, 3장 6구라는 정형성의 틀 안에서 자신만의 방식으로 생각을 정리하는데 용이하다는 장점을 지닌다. 따라서 작가와 작품 창작의 환경에 대한 배경지식을 통해서 작가가 어떠한 방식으로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고, 그것을 작품으로 구상하는지를 쉽게 파악해 볼 수 있다. 특히 상호텍스트성에 바탕 한 수작시조는 두 작품 간의 관련 양상을 통해 사유를 조직화 하는 연습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다음으로 창의적인 글쓰기의 단초를 마련할 수 있는 시조의 활용 방안으로 패러디 기법을 통한 시조 비틀어 쓰기와 감정이입의 기법을 통한 치환과 전환의 글쓰기 방식을 제안하였다. 전자에 있어서는 다양한 패러디 유형을 제시하였고, 이는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한 단계적 글쓰기 연습에 활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후자는 일종의 투사적 글쓰기로서 시조의 창작 및 연행 환경을 고려하여 시인이 시조를 창작한 당시로 돌아가, 자신이 시인이나 시조에 등장하는 객관적 상관물이 된 것처럼 감정이입의 기법을 동원한 글쓰기를 통해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연습과 함께 율문체로서의 시조를 산문체로 바꾸는, 이른바 긴장과 수렴의 단어를 이완과 확산의 단어로 풀어내는 작업 또한 창의적인 글쓰기를 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논의가 교육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수업 모형을 갖추는데 까지 나아가지 못한 아쉬움이 없지 않으나, 고전문학과 글쓰기의 만남을 통한 새로운 글쓰기 교육 방안의 제시라는 측면에서 연구 의의를 가질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Recently,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the writing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This trend may be closely related to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written communication. However, it could also be said that it is reflective of the inadequate writing skills of college students, for the pursuit of academia. Thus, many scholars have suggested various new methods of teaching writing. One such method is to use creative writing, through the composition of sijo. There may be many methods with which to foster creative writing, but I have tried to educate students in developing their writing capabilities using the sijo, towards which a student may feel both friendliness and awkwardness. Writing can be said to be comprised of two thought and the expression of thought using written characters. However,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y at both. As far as thought is concerned, they are apprehensive about how the mind should be structured for thought, how the words should be selected, and how they should be organized. In these situations, I have tried to lift the burden from their shoulders and enhance their creativity by using the composition of sijo for the matters of thought and expression suggested above. First, I suggested that they use sijo as the for mof their written thought. Sijo is a rhymed verse with defined structures, soit does not take much time to understand. Since it has the form of three sections and six sentences, the writer can structure his or her thoughts accordingly. Furthermore, if we look at the poet’s and the poem’s background, we can easily understand how the poet makes up his or her mind, and how he or she converts their thought into characters. Sijo written in the form of dialogue are especially helpful for students to organize their thoughts in relation to two works of sijo. Regarding the creative writing method of using sijo, I suggested the atypical writing technique of parody and the empathetic technique of replacement and conversion. As for parody, I suggested various types of parody, and explained that they can be used for stage by stage writing practices, considering the individual levels of students. As for empathetic writing, it is a kind of projective writing. It makes the writer place themselves in the time when the sijo is set, making them assume that situation. Through this empathetic technique, creativity can be enhanced, while through this over all practice, students can adapt the structures of their sijo into more freeform essays, thus converting tension and convergence into relaxation and expansion. It is regrettable that this method has not been developed into a teaching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all education. However, it is nonetheless implied that a new writing education method can be been suggested, in such a way that classical literature can be helpful in teaching students to write.

      • KCI등재

        時調의 意味構造 硏究

        金成紋(Seong-moon,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5

        본고는 시상의 흐름에 주목하여 시조의 의미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다. 시조가 한민족의 민족문학으로 앞으로도 소멸되지 않고, 계승?발전해 나가기 위해서는 그것이 가진 의미구조를 밝히는 작업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왜냐하면 의미구조는 문학양식의 형식과 내용을 함께 담고 있는 연구의 대상이며, 따라서 이러한 연구는 해당 문학이 가진 본질을 궁구하는 작업과 관련을 맺기 때문이다. 의미구조가 갖는 중요성만큼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하지만, 여전히 학계에서는 시조의 의미구조에 대한 공통된 견해를 도출하지 못한 채, 연구자들에 따라서 2단이나 3단, 혹은 4단 등으로 그 의견이 분분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필자는 시가문학의 의미구조를 오롯이 고찰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의 형식적 틀보다 는 시상의 흐름과 전환이라는 내용에 보다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시조는 3장의 형식을 갖지만, 시상의 흐름과 전환을 중심으로 고찰하면, 크게 2단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작품과 3단 구조로 파악할 수 있는 작품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먼저 2단 구조는 시조의 주된 문학 담당층으로 참여한 사대부들의 의식이 반영된 결과, ‘出’과 ‘處’로 양분되는 삶의 방식이나 대상과 주체의 합일을 지향하는 가치관과 관련을 맺는 것으로, 분석 대상 작품 56수 가운데 48수(86%)가 여기에 해당됨을 확인하였다. 이들 작품들에서는 대체로 초장과 중장에서 반복, 혹은 강조된 시상이 종장을 통해 전환되어 종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3단 구조는 아직 해명해야 할 과제가 있지만, 대체로 교훈적인 내용을 교술적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작품들에서 두드러지는 것으로, 이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시상을 초 → 중 →종장의 순으로 심화해 나가는 일종의 연쇄적 기법과 관련을 맺으며, 분석 대상 작품 중에서 8수(14%)가 이에 해당된다고 보았다. 이상의 논의가 더욱 설득력을 갖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작품에 대한 의미구조 분석 작업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아울러 작품의 분석 기준이 되는 시상의 차별화, 또는 전환점에 대한 보다 깊은 고민이 있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향후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야 할 문제라 생각된다. This paper is to find out the semantic structure of Sijo by focusing on the flow of idea on Sijo. I think that to make Sijo, one of the Korea’s traditional literature be passed down to next generation of Korean people and get developed requires the detailed study on its semantic structure. It is because the semantic structure is the essential target of study as it is related to both the form and substance of the literature genre and that this study would be ultimately related to the search of the essence of the literature. As the semantic structure is important,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it. But the researchers have not still agreed on the Sijo’s semantic structure, claiming that each researcher claiming different Sijo’s structure such as forms of 2 stages, 3 stages and 4 stages. So, I thought that we have put more emphasis on the flow and changes of idea in analyzing the Sijo rather than on the form of the text to get more detailed study of semantic structure of Siga literature. Though Sijo has 3 sections, it can be classified to the 2-stage works and 3-stages if we look at them focusing on the flow and change of theme of the Sijo. On the premise of that, I started my study. First, the 2-stage structure of Sijo was made by the noblemen who took up it as their main literature. The noblemen’s divided idea into participating in the politics or living in the rural area not participating in the politics and their value of searching the merging of the principle agent and target were reflected in the 2-stage Sijo. I found out that 56 works out of 56 (86%) fall on this category. This type showed that the theme of Sijo is repeated or emphasized in initial part and medium part and then directly goes to the finishing part for ending. On the other hand, the 3-stage structure has a lot of things to be researched. This style is mainly used to convey the educational thoughts to people. In this 3-stage structure, the Sijo is structured in a way that the theme goes up from initial part through middle part to the ending part in a gradual and connected form. I found out that 8 Sijo out of 56 (14%) fall on this category. To get more followers on this discussion, I think that more studies should be performed for more Sijo works. In addition, I think that more researches should be focused on the differentiated themes or the change points which are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works. More studi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 KCI등재

        다문화인문학의 문학적 실천

        김성문(Seong-Moon Kim)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19

        다문화인문학은 한국사회의 다문화성을 이해하고, 문화적 다양성으로 인한 갈등극복과 공존을 위해서는 한국사회의 특수성에 부합하면서도 보편적으로 소통 가능한 다문화이론으로서 다문화 시대에 즈음하여 나타나는 사회?문화?정치?경제 등의 제 현상을 인간의 본질과 관련시켜 해명하는 이론적 틀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다문화가 대체로 현상이나 실천의 차원에서 접근해야할 대상이라면, 인문학은 인간의 근원과 본질을 논하는 학문영역이다. 따라서 양자가 결속되는 지점에서 다문화인문학의 가치와 필요성이 자리하게 된다. 다시 말해 다문화인문학은 이론과 실천, 본질과 현상이 융합되는 곳이며, 본고는 그 문학적 실천의 방안으로 시조문학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 연구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소통과 공존’이 놓여 있다. 시조는 유학자들의 성리학적 이념의 결과물로서 이것은 조화를 지향하는 의미구조에 반영되어 있고, 이는 다문화(연구)에서 지향하는 공존의 패러다임과 같은 맥락에서 논할 수 있다. 그리고 시조가 갖는 창작 및 연행의 환경은 소통과 맥이 닿아 있기에, 부분적으로나마 시조문학을 ‘소통과 공존’의 문학으로 규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또한 시조(연구자)는 시대를 달리하면서 그 시대에 걸맞는 담론을 형성해 왔으며, 이러한 노력 중의 하나가 바로 시조의 세계화를 위한 노력과 다문화를 직접적으로 시조에 얹어 풀어내고자 한 (현대)시조 텍스트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시조가 갖는 2단의 의미구조, 서로의 뜻을 주고받는 것과 관련을 맺는 시조의 창작 및 연행의 환경을 통해서 상호 소통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 문학양식으로서의 시조의 가치와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이러한 시조의 가치와 가능성이 다문화인문학의 문학적 실천의 한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살폈다.

      • KCI등재

        백화점 매출액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성문(Kim, Seong-Moon),안지상(Ahn, Ji-Sang),심교언(Shim, Gyo-Eo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백화점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련하여 오랜 기간 동안 학술적?실무적으로 중요시되어온 입지요인과, 이에 반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저평가되어왔던 비입지요인의 영향력정도를 검증해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입지요인 중에서는 ‘공시지가’ 변수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수들이 유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시지가’는 백화점 ‘매출액’과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비입지요인 중에서는 모든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영업면적’, ‘주차대수’, ‘명품매장수’ 변수가 백화점 ‘매출액’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수들이 백화점 매출액에 미치는 영향력의 크기를 표준화 계수(β)로 판단했을 때 대체적으로 비입지요인에 속하는 변수들이 백화점 매출액 결정에 좀 더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eeks to verify the relative importance of location factors, which have been at the center of focus both academically and operationally in relation to department stores development, and non-location factors, which have been relatively excluded and undervalu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location factors, no variables were proven to be significant with the exception of ‘government estimation value of land’. And this fact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artment store ‘revenues’. Second, among the non-location factors, all variables proved to be significant. These 3 variables, ‘sales space’, ‘parking space’ and ‘number of designer brand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artment store revenues. Third, using only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variables’ standardized coefficient it could be seen that in analysis model, the variables classified as non-location factors have greater influence in determining the revenue of department st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