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김소월의 「시혼(詩魂)」에 나타난 ‘미적 아이러니’의 성격

        김선아 ( Kim Seona ) 숭실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학연구 Vol.48 No.-

        본고의 목적은 1925년 『開闢』제59호에 발표된 김소월의 산문 「시혼(詩魂)」의 텍스트를 중심으로 김소월의 시 세계에 나타난 미적 아이러니의 성격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김소월이 남긴 유일한 ‘시론’격의 산문인 「시혼(詩魂)」을 통해 김소월의 미적 세계관과 그 자신이 염두에 둔 시학의 단면을 유추할 수 있으며, 그것은 일면, 미적 근대성의 한 지표인 낭만적 아이러니 혹은 미적 아이러니적 성격으로 확인 가능하다는 것이 본고의 입장이다. 독일 낭만주의 전통에서 시작해 현재까지도 재서술되고 있는 ‘미적 아이러니’의 개념은 수사학을 뛰어넘는 ‘예술 일반의 원리’로 근대적 미학과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프리드리히 슐레겔이 지적한 대로, 미적 아이러니는 “자기 창조와 자기 부정의 영원한 교환’’으로써, 이는 김소월의 시적 세계를 관통하고 있는 하나의 현상적 사태이기도 하다. 김소월은 ‘문명 대 자연’이라는 원형적인 대립 상황 속에서 문명/자연, 봉건/근대, 농촌/도시, 신민/제국, 신문명/야만이라는 다중의 괴리 상태에 놓인 채, 시를 써야 했으며, 분열된 근대적 주체로써 세계와의 합일(合一)이 불가능한 실존적 상황에서, 낮보다는 밤을, 삶보다는 죽음에 천착하여, 그곳에서 길어올린 미적 아이러니를 통해 자신의 시 세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다시금 그 세계를 부정하며 그 “부정을 영속화”했다. 김소월은 「시혼(詩魂)」을 통해 아름다움(美)을 통해서만이 ‘죽음-시간-개인-자유’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고 봄으로써, 근대적 의미의 예술의 자율성을 제시한다. 김소월의 시적 자유는 부재(不在)를 찾아다니는 무궁(無窮)의 유희(spiel) 상황 속에 놓인다. 한국 현대시사에서 능동적으로 모더니티를 내재화하고 그것을 작품에 드러낸 김소월의 강력한 ‘자기 부정의 기재’는 바로 ‘시간’ ‘부재’ ‘죽음’ 등의 근대적 미적 개념들이었다. 김소월은 ‘현대성’을 ‘계몽’으로 읽어내지 않은 시인이었다. 그 대신 ‘미적 주체의 자기 반성적 기능’을 미적 현대성의 중요한 기제로 이해한 시인으로 봐야 한다. 그것은 김소월이 ‘미적 주체’ 즉 작품으로만 존재할 수밖에 없는 ‘시적 자아’를 내재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는 뜻이며, 이것야말로, 모더니티의 한 현상인 ‘분열된 개인의 발견’을 명증하게 보여주는 방중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character of the esthetic irony of Kim So-wol’s poetic world, focusing on Sihon (‘Poetic Soul’), a prose work by Kim So-wol which was published in No. 59 of Gaebyeok in 1925. The thesis suggests that we can guess at a cross section of Kim So-wol’s esthetic view and the poetics that he kept in mind through Sihon, a prose work that constituted the only essay on poetic theory. The concept of 'esthetic irony’, which started in the German Romantic tradition and continues to be rewritten to this day, is ‘the principle of art in general’ that transcends rhetorics and is deeply related to the modem esthetics. As was pointed out by Karl Wilhelm Friedrich Schlegel, esthetic irony is “an eternal exchange between self-creation and self-denial”, which is a phenomenal event that pierces the poetic world of Kim So-wol. Kim So-wol had to write poetry, while facing the multiple discrepancies between civilization and nature, feudalism and modernity, country and city, subjects and empire, and new civilization and barbarism in the prototypal opposition between ‘civilization and nature’. In the existential situation where he could not become one with the world as a divided modem subject, he worked on night rather than on day, and death rather than on life. And there, the poet built his poetic world through the esthetic irony, and “perpetuated the denial” by denying the world. Kim So-wol demonstrates the autonomy of art in the modem sense in Sihon by assuming that the problem of ‘death-time-individual-freedom’, may be dissolved only through beauty. Kim So-wol’s poetic freedom lies in the unended spiel in search of absence. The powerful ‘mechanism of self-denial’ in Kim So-wol who actively internalized modernity and revealed it in his works represented the modem esthetic concepts such as ‘time’, ‘absence’, and ‘death’ in the history of modem Korean poetry. Kim So-wol was a poet who did not read ‘modernity’ as ‘enlightenment’. Instead, he should be viewed as a poet who understood ‘the self-reflection of an esthetic subject’ as an important mechanism of esthetic modernity. It means that Kim So-wol carried in himself ‘the poetic self that could not but exist as ‘an esthetic subject’, that is, a work, which is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clearly shows ‘the discovery of a divided individual’, a phenomenon in the modernity.

      • KCI등재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직급체계의 개편 방안 도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

        김선아(Seona Kim),유상엽(Sangyub Ryu),박성민(Sung Min Park) 한국인사행정학회 2018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 직급체계의 합리적 개편방향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설문조사 및 초점 집단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여 첫째, 직급체계 개편의 필요성을 탐색하고자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을 직급체계의 적절성 인식 수준에 따라 3개 집단 (낮음-중간-높음)으로 분류하여 집단간 차이검증을 통해 직급체계의 적절성 인식수준에 따른 인사관리제도 만족도 및 인사관리제도 효과성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둘째, 직급체계 개편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을 관계급과 사 계급으로 분류하여 직급별로 선호하는 개편방안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셋째, 직급체계 개편의 효과성을 탐색하고자 계급 단일화 및 계급 세분화에 대한 기대 효과를 살펴보았고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을 관계급과 사계급으로 분류하여 집단간 차이검증을 통해 계급 단일화 및 계급 세분화의 기대효과에 대한 직급별 인식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직급체계의 적절성 인식 수준에 따라 인사관리제도에 대한 만족도 및 인사관리제도의 효과성 수준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대부분의 연구직 및 지도직 공무원이 현행 2계급 체계를 단일화하거나 세분화하는 방향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행 2계급 체계 개편의 핵심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는 계급 단일화 및 계급세분화 등의 2개 핵심 개편안에 대한 긍정적 기대효과와 예상되는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enerate effective and sustainable policy solutions which aim at reconstructing the rank systems of civil servant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of Korea. Using survey and in-depth group-based interview processes, first, we tested whether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regard to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perceived effectiveness. Second, to provide a practical and applicable policy guidance for the future reform plan, we classified and analyzed the cohorts of civil servants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in a more systematic way. Third, in order to explore and confirm whether the reform process in the rank systems would be effective or not, we scrutinized whether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t views of two types of civil servants on the issues of refor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reinforce the hypothesized arguments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perceptions on the rank systems and that most of Korean civil servants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propose a couple of such directions that could ensure a well-tuned strategic and sophisticated rank structures in the future. Drawing upon these analytical and intellectual debates, the discussion section claims a number of practical caveats which highlight possible positive as well as negative effects possibly derived from the reform process of the rank systems of civil servants in research and instruction service of Korea.

      • KCI등재

        공공 연구기관 과학기술인력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김선아 ( Seona Kim ),박성민 ( Sung Min Park ),최성주 ( Sungjoo Choi )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21 국정관리연구 Vol.1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 연구기관 과학기술인력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규명을 통해 인사 및 조직 관리의 관점에서 이들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관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독립변수를 관리적 특성(분배적 공정성, 절차적 공정성, 직무 자율성), 적합성(개인-직무적합성, 개인-조직 적합성), 사회적 지원 인식(상사 지원 인식, 조직 지원 인식), 사회자본(신뢰, 규범, 네트워크), 심리자본(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회복탄력성) 등으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수인 이직의도를 갈등적 이직의도와 발전적 이직의도로 세분화하였다. 분석 결과 갈등적 이직의도에는 자기효능감(+) > 상사 지원 인식(-) > 규범(-) > 조직 지원 인식(-) > 회복탄력성(-) > 자율성(-) 등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발전적 이직의도에는 규범(-) > 자기효능감(+) > 네트워크(+) > 자율성(-) 등의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공공연구기관 과학기술인력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which are associated with turnover intention of employees working in public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do so, we developed the analytic model that hypothesizes the relationships between two types of turnover intention (conflictual and developmental turnover intention) and the determinant factors including managerial factors, person-job-organization fit factors, organizational support factors, social and personal capital factors. The results have shown that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norms reduce both type of turnover intention. Supervisory and organizational support also decreases conflictual turnover intention. An individual’s ability of resilience contributes to alleviate conflictual turnover intention.

      • KCI등재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의 정책공감성에 관한 연구: 균형인사정책의 수용성 및 성과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김선아 ( Seona Kim ),박성민 ( Sung Min Park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8 국정관리연구 Vol.13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인사정책에 대한 수용성 및 성과 인식을 중심으로 중앙행정기관 공무원의 정책공감성 정도를 진단하고 제도별 수용성 확보가 균형인사정책의 1차 성과인 소극적 대표성과 2차 성과인 적극적 대표성 확보 인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특히 균형인사정책의 수혜 여부에 따라 정책공감성 수준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선행연구 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분석 대상을 균형인사정책의 수혜 집단과 비수혜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현재 공직사회 내부에 균형인사정책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공감성 수준은 어떠한가?”, “균형인사정책의 수혜 집단과 비수혜 집단 간 수용성 및 성과 인식수준에 차이가 발생하고 있는가?”, “균형인사정책의 수용성은 균형인사정책의 1차 성과인 소극적 대표성 확보 인식을 매개로 2차 성과인 적극적 대표성 확보 인식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 등의 세 가지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토대로 균형인사정책에 대한 공무원의 정책공감성을 바탕으로 균형인사정책의 성과 향상 방안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Probing the effects of balanced personnel policies in Korea, this study was to test and confirm the critical roles of policy acceptability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public employees. Specifically, the current research analyzed the effects of positive perceptions on balanced personnel policies toward passive and active representation. In addition, on the basis of previous studies which provide a set of theoretical and heuristic rationales, this research divided the samples into a non-recipient group and a beneficiary group. Furthermore, to unveil more dynamic relationship among the designated variables, this study hypothesized the crucial mediating role of passive representation which is meaningfully associated with active representation. Drawing upon three main research questions(i.e., ① exploring the status of current Korean balanced personnel polices, ② testing the differences of public employees’ perceptions on policy acceptability, and ③ confirming the mediating roles of passive representation) this study sugges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directing future research on passive and active representation as well as overhauling balnaced personnel polices, practices, and strategies in Korea.

      • KCI등재

        인사혁신 전략 수립의 유형화와 최적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김선아 ( Seona Kim ),박성민 ( Sung Min Park ) 성균관대학교 국정관리대학원 2017 국정관리연구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중앙행정기관의 전략적 인사혁신 목표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차이를 유발하는 다양한 조직 특성을 핵심 기준 요인으로 범주화 하고, 해당 기준 요인을 토대로 중앙행정 기관을 유사 속성에 따라 유형화 하여 인사혁신에 있어 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최적화된 인사혁신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부 통계 자료 및 전문가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조직 특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고 상관관계 분석 및 탐색적 요인 분석을 바탕으로 전략적 인사혁신 목표의 중요도 인식에 있어 차이를 유발하는 조직의 예산 규모, 현원 규모, 특정직 비율, 일반성 수준, 전문성 수준, 정책의 집행 기능, 정책의 기획 기능 등 8개 조직 특성을 조직 규모, 일반행정가적 업무 및 정책 특성, 전문행정가적 업무 및 정책 특성 등 3개의 핵심 기준 요인으로 범주화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핵심 기준 요인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44개 중앙행정기관을 8개 그룹으로 유형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앙행정기관 유형별로 조직의 특성을 반영한 최적화된 인사혁신 전략에 관해 논의하였다. In this article, we mainly explore and verify a set of organizational factors that could differentiate the cognitions and perceptions on civil service innovat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 main research query, this study is to classify and categorize the Korean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In doing so, we seek to reveal the best and effective managerial strategies to optimize civil service innovation in Korea. Drawing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forms of research data, as well as employing a set of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we confirmed that 1) there are 3 mai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e., organizational size, general task-oriented administration, and professional task-driven administration) and that 2) there are 8 agency groups (i.e., from Cluster 1 to Cluster 8) out of 44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in Korea.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our findings for Korean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civil service innovation strategies.

      • KCI등재

        OECD 국가의 행복 결정요인 규명에 관한 연구 : 행복역량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김선아(Seona Kim),박성민(Sung Min Par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2 比較敎育硏究 Vol.22 No.1

        While the concepts of happiness have long been addressed as critical in new public management (NPM) era, solid evidence of the value shift can also be observed in certain nations where WLB and QOL related programs are actively being adopted in recent years, which aims at cultivating and accelerating the level of happiness. In order to respond to the big question of this study, “what is the main national role to enhance happiness?”, this study is to probe a set of antecedents of happiness of people in OECD countries and to confirm the moderating role of happiness capacities such as psychological and social capital. Us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study revealed a couple of meaningful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antecedents, happiness capacity moderators, and happiness. Based 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 set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provided in order to suggest more sustainable public policies and strategies that could increase social and psychological capital and that could ultimately enhance happiness in OECD countries. The study also delved into the details of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how to formulate and internalize both posi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capital in society.

      • 객체의 경계부근에서의 광류 기법의 성능 평가

        김선아(Seona Kim),이경준(Kyong Joon Lee),윤일동(Il Dong Yun),이상욱(Sang Uk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0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0 No.7

        Optical flow 는 컴퓨터 비전에서 기본적이고 중요한 연구 분야 중에 하나이며 지금까지 많은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Optical flow의 많은 기법들은 텍스처가 없는 영역들과 이미지의 경계부분에서 정확한 결과를 얻는 데 많은 어려움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Optical flow 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Endpoint Error 와 Angular Error 등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유명한 optical flow 기법들을 초기 모델부터 최근 기법까지 간략하게 설명함으로써 optical flow 기법들이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살펴보고 특히 occlusion 영역과 경계부분에서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 각도 피라미드를 이용한 Bag-of-features 를 통한 회전에 강한 물체 인식

        권보준(Bojun Kwon),김선아(Seona Kim),이경준(Kyong Joon Lee),윤일동(Il Dong Yun),이상욱(Sang Uk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1 No.7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서의 물체 인식에 주로 사용되었던 공간 피라미드를 변형시킨 각도 피라미드를 이용한 bag-of-features 방법으로 회전 변화에도 강한 물체 인식에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기존의 공간 피라미드에서 수직의 격자 모양으로 영상을 나누었던 것에 비해 각도 피라미드는 영상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각도로 영상을 분할하여 피라미드로 만든다. 각 영역 안에서 특징들의 히스토그램으로 영상을 표현하고 영상간의 유사도는 각도 피라미드를 단계별로 순환적 자리옮김을 통해 회전시켜가며 히스토그램 교집합을 구하여 측정한다. 이 방법을 Caltech-101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해본 결과 회전 변환을 준 테스트 영상에 대해 기존의 공간 피라미드를 사용한 방법에 비해 높은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방법을 통하여 다양한 상황의 일반적인 물체 분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