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춘계 이종성이 말하는 통전적인 기독교인의 삶

        김선권 한국조직신학회 2018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0 No.-

        Lee Jong-Sung poursuit la théologie “holistique”. Il souhaite de la même manière la vie holistique du chrétien. Toute sa théologie se fonde sur l'anthropologie. À partir de celle-ci, elle s'étend jusqu'à toute la théologie systématique. Pour la raison que la compréhension à propos de l'être humain soit biblique et s'en appuie sur le quadruple état, son anthropologie peut dire être théologique: l'état d'intégrité, l'état de corruption, l'état de grâce, l'état de gloire. C'est sur ce fait qu'il affirme la vie chrétienne. Avant tout, la foi s'unit à la vie chrétienne. Les chrétiens sont à vivre la “vie croyante”. La vie chrétienne mûrit dans la simultanéité de la justification et de la sanctification. La justification n'est pas séparable de la sanctification. Le chrétien ne détache pas dichotomiquement l'Église du monde: il fait prévaloir la vie dans ce monde. La mission de l'Église se trouve pour le monde. Ce monde en devient mieux par l'activité missionnaire. Bien que Lee Jong-Sung soit contre la dichotomie (le sacré et le profane), pour lui l'Église était encore une communauté idéale. Le croyant vit jusqu'à son terme de la vie en recevant l'aide de l'Église, qui est la mère des chrétiens. Il vit actuellement sous l'horizon eschatologique. Lee Jong-Sung traite sotélioliquement, ecclésiastiquement, eschatologiquement etc... à savoir holistiquement de la vie chrétienne. 춘계 이종성(春溪 李鐘聲, 1922-2011)은 통전적 신학을 추구했다. 그의 신학이 통전적인 것처럼, 그가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삶 역시 통전적이다. 그의 전체 신학은 인간학에 근거한다. 신학적 인간학을 단초로 해서 조직신학 대계로 확대시킨다. 그의 인간학이 신학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에 대한 이해가 성서적이고 전통 신학에서주장하는 인간의 4중 상태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간을 이상적 존재로서의 인간, 전적으로 타락된 인간, 중생된 인간, 완성된 인간으로 4중 상태로 접근한다. 이러한 신학적 입장에 근거해서 그는그리스도인의 삶을 주장한다. 이종성은 그리스도인의 삶을 말하면서 신앙과 삶을 통전적으로 결합시킨다. 신앙이 개인과 공동체의 삶과 유리되어 존재할 수 없으며그리스도인은 “신앙적 삶”을 살아야 한다. 하나님, 타자, 자기 자신과의 관계 안에서 관계의 통전성을 가진다. 칭의와 성화의 동시성 안에서 그리스도인의 삶은 성장한다. 칭의와 성화는 분리될 수 없다. 값없이 의롭게 된 중생한 자들은 성화의 생활을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스도인은 교회를 성으로, 세상을 속으로 즉 이분법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세상과 사회 안에서의 삶 역시 중시한다. 교회는 세상을향하여 선교를 해야 하며, 세상은 교회의 선교를 받아 더 나은 세상이 된다. 이종성이 성속의 이분법적 구별을 반대했을지라도 그에게서 교회는여전히 이상적 사회(공동체)였다. 신자는 천국에 이를 때까지 어머니로서의 교회의 도움을 받으며 산다. 기독교인은 종말론적 지평 아래에서 현재의 삶을 산다. 현재를 살면서 미래를 살고, 현재 안에는미래가 약동한다. 종말의 지평 아래서 현재의 순간을 사는 것은 장차하늘나라에서 가질 복락을 이곳에서 미리 맛보는 삶이다. 이종성은그리스도인의 삶을 단편적 혹은 파편적으로 다루지 않고, 구원론적, 교회론적, 종말론적으로 즉 통전적으로 다루었다.

      • KCI등재

        칼뱅의 그리스도 삼중직의 구원론적 의미 고찰

        김선권 한국기독교학회 2022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24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Calvin’s the triple office of Christ. The triple office of Christ is based on the doctrine of Mediator. He is the eternal Mediator: Mediator of creation and Mediator of redemption. Christ’s person is recognized through his work. Christ’s person is the basis of his work. Person and work are inseparable. As a prophet, Christ summarizes and completes the entire teachings of the Old Testament. As he becomes perfect wisdom, the knowledge of God and of human is found in Christ’s prophetic office. Christ’s royal office began on earth, continues on heaven, and is eschatologically completed. It is eternal. The eternity of the church and the immortality of believers are based on the eternity of Christ’s royal office. Christ mediated between God and us and became his own sacrifice. He stopped God’s wrath against us and opened the way for us to go before God. Christ is the priest of atonement and reconciliation. Christ’s office as a prophet, king, and priest is related to state of humility and exaltation. Calvin’s the threefold office of Christ is soteriological. Salvation is extended from the head to the whole body. Christians are anointed by the Holy Spirit through Christ and participate in triple offices of Christ. This is related to the Christian life. Christian as prophet proclaims the word of God to the world, as priest and king he fight evil and govern evil. 이 글은 칼뱅의 중보자 그리스도의 삼중직에 관한 연구이다. 그리스도의삼중직은 그의 중보자론에 기초한다. 그가 영원한 중보자이기에, 창조중보자와 구원중보자가 되신다. 그리스도의 인격은 그가 행한 사역을 통해 인식되지만 그의 사역의 기초이다. 인격과 사역은 분리할 수 없다. 칼뱅은 초기에는 루터를 따라 그리스도의 왕직과 제사장직만 언급하다가, 부처의 영향 아래에 그리스도의 삼중직을 주장하기 시작한다. 선지자로서 그리스도는 구약 선지자들의 가르침 전체를 요약하고 완성한다. 그가 완전한 지혜가 되시기에, 하나님과 우리 자신을 아는 지식은 그리스도의 선지자직에서 찾는다. 그리스도의 왕직은 지상에서 시작했고, 천상에서 계속되고, 종말에 완성된다. 그리스도의 왕직은 영원하다. 교회의 영원성과 신자의 불멸성은 그리스도 왕직의 영원성에 근거한다. 그리스도의 왕직은 영적이다. 신자는 세상을 경멸하고 마음을 드높여 하나님 우편에서 통치하는 그리스도에게로 향하는 자이다. 제사장으로서 그리스도는 모든 악을 제거한다. 그리스도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를 중보하고, 스스로 제사물이 되심으로써 우리를 향한 하나님의 진노를 그치고 하나님 앞으로 나아갈 길을 열어놓았다. 그는 속죄와 화해의 역할을 감당한 제사장이다. 선지자, 왕, 제사장으로서의 그리스도의 직분은 겸비와 승귀의 상태 모두에 해당한다. 따라서 그리스도의 삼중직은 과거의 행하셨던 일에 대한 교훈으로 머물지 않고 삼중직의 은혜가 현재적으로 신자에게 베풀어진다. 이 점에서 칼뱅의 삼중직은 구원론적이다. 구원은 머리로부터 몸 전체로 퍼진다.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를 통해서 성령의 기름부음을 받아 선지자직과 왕직과 제사장직에 참여한다. 삼중직은 그리스도인의 삶과 관계한다. 성령에 의해 그리스도와 연합한 그리스도인은 예언자가 되어 세상을 향해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제사장과 왕이 되어 악과 싸우고 그것을 통제한다.

      • KCI등재

        칼뱅의 신비적 연합(unio mystica)

        김선권 한국조직신학회 2014 한국조직신학논총 Vol.38 No.-

        로마 가톨릭 앞에서 종교개혁을 정당화하기 위해서 종교개혁의두 번째 세대로서 칼뱅은 두 개의 근본적 원칙을 설립해야 했다. 구원의 확실성과 구원의 도덕성이다. 달리 말하면 칭의와 성화이다. 이를위해서 칼뱅은 그리스도와의 연합 혹은 교제의 개념을 그의 중심 사상으로 취한다. 그렇다면 칼뱅 신학 안에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의 본질이무엇인가? 논문은 이 연합의 본질이 기독론적인 특징을 가진 것임을 주장한다. 우리는 ‘그리스도의 두 본성의 연합’과 ‘신자와 그리스도의연합’ 사이에 하나의 유비를 발견한다. 우리는 두 가지 개념 ‘속성의 교류’와 ‘엑스트라 칼비니스티쿰’을 그리스도와 신자 사이의 연합에 적용한다. 한편, 속성의 교류는 우리의 관점에서 그리스도와 신자 사이의 연속성을 설립하며 그들 사이의 인격의 교환의 가능성을 열어주며 구원의 확실성을 보증한다. 다른 한편 엑스트라 칼비니스티쿰은 그리스도와 신자와의 연합 안에서 신적 초월성의 자리를 남겨 둔다. 끈으로서 성령에 의해 그리스도와 신자는 함께 결합하지만 이 연합은 신적 초월성과 관계된다. 이 점에서 신비적 연합은 과정과 진보로서의 연합이며 종말론적 성취를 기다린다. To justify the Reformation against Catholicism, Calvin as a reformer of the second generation, had to establish two basic principles: the ‘certainty of salvation’ and ‘morality of salvation’ in other words, justification and sanctification. To do this, Calvin took the notion of union or of communion with Christ as the central idea. What is the nature of union with Christ in Calvin’s theology ? The nature of this union is christological. So we can find an analogy between the ‘union of two natures in Christ’ and the ‘union of Christ and a believer’. We applied the two concepts,‘communicatio idiomatum’ and ‘extra calvinisticum’ to the notion of the union between Christ and a believer. The ‘communicatioidiomatum’ makes it possible to unite Christ with the believer andopens the possibility of exchange of the person between them, and ensures the certainty of salvation. The ‘extra calvinisticum’ claimsthat there is still the divine transcendence in the union between Christ and a believer. By the Holy Spirit, they are united, but thisunion is linked to the divine transcendence. The perfect union is eschatological.

      • KCI등재
      • KCI등재

        깔뱅신학 안에서 초월성과 내재성의 결합으로서의 ‘마음을 드높여(sursum corda)’

        김선권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5 장신논단 Vol.47 No.2

        It is usually said that transcendence and immanence are contrary concepts in theology. Yet taking the ancient church’s sacramental term sursum corda “lift up your heart,” Calvin associated transcendence and immanence. Through sursum corda, Calvin defines the characteristic of the God-human encounter. The cor (heart), where man meets God, is both a place of divine knowledge and presence. The sursum (upwards) is the direction and purpose the heart aims at. Calvin asserts that the indirect presence of Christ through the Holy Spirit is the mode of presence of the Lord in the Eucharist: This is not Christ’s direct presence. By denying the physical presence of Christ, Calvin shows his contempt for the Christolatry resulting from the popular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the physical presence of Christ. While sursum corda is generally used in the Lord’s Supper, Calvin expands this term beyond its use as a liturgical phrase. For him, a believer must be united to Christ exalted at the right hand of the Father, in order to participate in Christ’s redemptive blessings. A believer’s life is accompanied by the risen Christ. The sursum corda connotes Calvin’s life itself since he continually offers his heart to God. The life that lifts itself up and offers itself to God is Calvin’s lifestyle. Calvin’s emblem shows his life as a flaming heart offered to God. Thus the sursum corda affects prayer, the Christian life, and eschatology. “Let us lift up our hearts so that we are with the Lord.” 고대교회의 성례전에서 사용되었던 sursum corda란 용어를 다시 취한 깔뱅은초월의 언어와 내재의 언어를 결합시키면서 하나님과 인간의 만남의 성격을 규정한다. 내재성의 언어인 마음(cor)과 초월성의 언어인 드높여(sursum)가 결합하여, 하나님 혹은 들려지신 그리스도와 인간의 마음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함을 깔뱅은 주장한다. 마음은 인간이 하나님을 만나는 자리로써 하나님의 인식의 자리이며 하나님의 현존의 자리이다. 드높여는 이 마음이 향하는 방향과 목표를 제시한다. 깔뱅은 성찬에서 그리스도의 임재 방식을 그리스도의 직접적 현존인 육체적 임재 혹은 장소적 임재가 아닌, 성령을 통한 그리스도의 간접적 임재를 주장한다. 특히 깔뱅은 성찬에서 신학적이며 목회적 오류들이 만들어 내는 “그리스도우상론”(christolâtrie)을 경계한다. 깔뱅은 sursum corda 를 그의 성찬론을 다루는 곳에서 원칙으로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 용어는 성례전적 용어를 넘어서 깔뱅신학의 다양한 차원에 영향을 주었다. 그리스도의 구속의 역사 안에서 구약의 백성들은 지상의 약속의 성취를 통해 마음을 들어, 오실 그리스도를 바라보아야 했고, 육신이 되신 그리스도는 구속을 성취하셔서 우리의 구원을 위한 모든 토대를 놓으셨다. 그리스도의 구속의 적용 안에서 성도들은 그리스도의 은혜에 참여하기위하여 그리스도와 연합해야 한다. 영광스럽게 된 그리스도가 이 연합의 대상이다. 깔뱅이 sursum corda 를 사용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올리어지신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그분과 연합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더 나아가 sursum corda 는 깔뱅 자신의 삶을 상징한다. 그의 삶은 자신의 심장(생명)을 주님께 드리는 삶이었다. sursum corda 는 오늘 우리 그리스도인이 지나치게 세상에 소망을 두며 아래에서부터 그리스도를 만나려고 하는 삶의 방식을 경계하게 하며 진정한 소망을 어디에 놓아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신학적 개념이다.

      • KCI등재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에서 본 칼뱅의 삼위일체론

        김선권 한국조직신학회 2020 한국조직신학논총 Vol.5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how the immanent Trinity and the economic Trinity appeared in Calvin’s theology and what the relationship was between them. The immanent Trinity is God for God and the economic Trinity is God for us. Calvin defined the Trinity as three persons in one essence. Father, Son and Holy Spirit are distinguished in subsistence. Calvin defined person by the essence and the peculiar property. In essence there is no beginning. The Father has not been generated. The Son is eternally begotten. The Holy Spirit proceeds from the Father and the Son. In the economic Trinity, to the Father is attributed the beginning of action, the fountain and source of all things: to the Son, wisdom, counsel, and arrange- ment in action, while the energy and efficacy of action is assigned to the Spir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conomic Trinity and the immanent Trinity reveals that immanence precedes ontologically the dispensation, but the other precedes epistemologically the one. The knowledge of the immanent trinity revealed through the economy(oikonomia) is limited and awaits eschatological achievement. The Father can be held to be greater than the Son only economically. This thus excluded any ontological subor- dination. Calvin’s doctrine of the holy Trinity is soteriological and practical. The fact that God is the Father of Christ is that he becomes our Father. 이 글은 칼뱅신학 안에서 내재적 삼위일체와 경륜적 삼위일체가 어떻게 나타나며, 이 둘 간의 관계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내재적 삼위일체는 자신 안에 계신 하나님이며 경륜적 삼위일체는우리를 위한 하나님이다. 칼뱅은 삼위일체를 “한 본질 안에 세 인격”으로 정의한다. 성부와 성자와 성령은 인격에 있어서 구별되지만 본질에있어서 하나인 한 분 하나님이다. 칼뱅은 인격을 본질과 고유성으로 정의한다. 본질에 있어서는 시작이 없고 자존한다. 위격에 있어서는 아들은 성부에게서 나시고, 성령은 성부와 성자에게서 나오신다. 내재적삼위일체에서 성부의 고유성은 출생시킴, 성자의 고유성은 출생, 성령의 고유성은 발출이다. 경륜적 삼위일체에서 성부의 고유성은 창조, 구원, 성화를 포함하는 모든 활동의 시작이며 성자의 고유성은 모든 활동에 대한 지혜이며 성령의 고유성은 이에 대한 능력과 효력이다. 칼뱅은 성부와 성자의 연합이 내재와 경륜 모두에서 나타난다고 주장하면서 성령을 위격 간의 연합의 끈으로 본다. 경륜적 삼위일체와 내재적삼위일체의 관계는 존재론적으로는 내재가 경륜을 앞서지만, 인식론적으로는 경륜이 내재를 앞서서 계시한다. 경륜을 통해 계시된 내재의지식은 한계가 있으며 종말론적 성취를 기다린다. 경륜이 완성되는 곳에서 삼위의 관계는 내적인 관계로 복귀되면서 밖을 향한 관계를 유지한다. 영원한 로고스는 영광스러운 육체를 가지면서 스스로 머리가 된다. 구원 경륜에 나타난 성부에 대한 성자의 종속은 존재론적이지 않다. 중보자로서의 구속 사역 때문이다. 칼뱅의 삼위일체론은 구원론적이고 실천적이다. 선험적이기보다는 후험적이다. 하나님이 그리스도의 아버지라는 사실은 그가 우리들의 아버지가 된다는 사실에 있다. 삼위‐하나님에 대한 모든 헛된 사색을 몰아내고, 성경이 계시하는 삼위‐ 하나님에 대한 이해에 철저히 충실하면서도, 인식론적 한계를 인정한다. 그러므로 삼위‐하나님을 이해하지 못한다 하더라도 경배해야 한다.

      • 단일 코어 셀 확장을 이용한 다중포트 메모리 컴파일러

        김선권,이용진,권성훈,김원종,신현철,Kim, Seon-Gwon,Lee, Yong-Jin,Gwon, Seong-Hun,Kim, Won-Jong,Sin, Hyeon-Cheol 한국정보과학회 2001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8 No.4

        본 논문에서는 빠른 시간 내에 설계자의 요구사양을 만족하는 메모리를 자동으로 합성해주는 새로운 멀티포트 메모리 컴파일러를 제안하였다. 제안한 컴파일러의 장점은 하나의 메모리 코어 셀을 규칙적으로 배치, 확장하여 메모리를 합성하고, 동시에 합성된 메모리내의 임계경로만을 추출하여 빠르게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레이아웃 상에서의 전원선 공유 등의 기법으로 메모리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0.25$\mu\textrm{m}$ CMOS 1-poly, 2-metal 공정에서 최대 8개의 쓰기 포트, 16개의 읽기 포트, 64워드, 256비트 사이의 여러 가지 멀티포트 메모리를 자동 합성하였다. 합성 결과 메모리의 성능 및 면적 면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으며, 레이아웃 전체에서의 시뮬레이션 시간보다 10배정도 빠른 시간 내에 동작을 정확히 검증하였다.

      • KCI등재

        몰트만이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삶

        김선권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8 영산신학저널 Vol.0 No.4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clare what the Christian’s life that Moltmann says is, based on a theory of trinity. Moltmann’s theology begins from a unique experience of God, under the border of life and death during the war. Therefore, his theology supports practical theology rather than theoretical theology. Christ is the basis of Christian’s life. Christ is not only the object of belief but also the object of practice. Christology is the practice of Christ, which is extended to the dimension of political and social change that theology of the Cross has. Following Christ appears in the fellowship with Christ, and the fellowship with Christ is the fellowship with the suffering of Christ. Mystical union takes place by joining in the suffering of Christ which can be rather regarded as the unity of the Cross than raising to the realm of God. Following Christ should not be mechanical but creative under one’s spontaneous responsibility. Christian life is also a life in the Holy Spirit. While western spirituality pursued the source of life on vertical level after Augustine, Moltmann pursues the source of life on horizontal level that sustains the lives of all the creatures. The experience of God’s Spirit accompanies the experience of liberation. While the theory of justification from the Reformation emphasized the universality of sin and the forgiveness of it, Moltmann emphasized concrete and social aspect of the sin. The justification of the Holy Spirit is not just the forgiveness of sinners, but the righteousness of God that creates justice and establishes rights. Regeneration is the beginning of the new life of Christian and sanctification is the growth in that new life. The sanctification as the growth is more related to personal maturity and progress than the change of moral character. The fellowship of the Holy Spirit leads to the fellowship of church, the fellowship of family, and social, political and ecological fellowship. Moltmann’s Christian life is built on the christological basis, unfolded in the Holy Spirit, and has eschatological directivity. 이 글의 목적은 몰트만이 말하는 기독교인의 삶이 무엇인지를 삼위일체론적 근거 위에서 밝히는 것에 있다. 몰트만의 신학은 전쟁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 아래 놓인 독특한 하나님 경험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렇기에 그의 신학은 이론 신학적이기보다는 실천적 신학을 지향한다. 그의 신학은 추상적이지 않고 현실적이고 구체적이다. 성서 역시 하나님의 경험에서 출발하여 문서화되며 다시 성서라는 문서를 통해서 하나님의 경험이 추체험된다. 그리스도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근거이다. 그리스도는 믿음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실천의 대상이다. 그리스도론은 “그리스도 실천”이며 이것은 십자가의 신학이 가지는 정치사회적 변혁적 차원으로 확대된다. 그리스도를 따름은 그리스도와의 교제 안에서 일어나며 이 그리스도와의 교제는 “그리스도의 고난”의 사귐이다. 신비적 연합은 수직적으로 하나님의 영역으로 고양되는 곳이 아닌, 십자가의 일치성이라고 할 수 있는 그리스도의 고난에 동참하는 곳에서 일어난다. 몰트만에 따르면, 하나님은 안으로, 위로 향할 때가 아닌 밖으로, 앞으로 향할 때 경험된다. 그리스도의 따름은 그리스도를 기계적으로 따름이 아닌, “창조적 뒤따름”이며 이것은 자발적 책임하에서 그리스도를 따름이다. 그리스도인의 삶은 또한 성령 안에서의 삶이다. 서구의 영성이 어거스틴 이후로 수직적 차원에서 생명의 원천을 추구했다면, 몰트만은 수평적 차원에서 모든 피조물의 생명을 지탱하는 삶의 원천을 추구한다. 따라서 그는 육체의 영성, 땅의 영성, 사귐의 영성을 천명한다. 하나님의 영의 경험은 해방의 경험을 동반한다. 종교개혁 칭의론이 죄의 보편성과 그것에 기초한 죄 사함을 강조했다면, 몰트만은 죄의 구체적이고 사회적 측면을 강조한다. 성령의 칭의는 죄인의 용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의를 창조하고 권리를 세우며 의롭게 하는 하나님의 의이다. 중생은 그리스도인의 새로운 삶의 시작이며 성화는 그 새로운 삶에서의 성장이다. 이 성장으로서의 성화는 도덕적 성품의 변화보다는 인격적인 성숙과 진보에 보다 많이 관계한다. 성화는 하나님의 행위이기에, 하나님과의 관계에 있으며 이것은 하나님께 속함이라는 소속성이다. 성령의 사귐은 교회의 사귐, 가족의 사귐, 사회적, 정치적, 생태학적 사귐으로 이끈다. 몰트만이 말하는 그리스도인의 삶은 기독론적 기초 위에 세워져서 성령론적으로 전개되고 종말론적 지향성을 가진다. 현실 도피를 거부하는 기독교적 소명이 기독교인의 삶의 중심에 놓여 있다.

      • KCI등재

        깔뱅이 말하는 ‘잘 정돈된 삶’(la vie bien ordonée)으로서의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

        김선권 한국개혁신학회 2014 한국개혁신학 Vol.42 No.-

        깔뱅에게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은 기독교인의 삶의 교리에 중심적 자리를 차지한다. 그리스도와 연합 할 때 성도에게 주어지는 은혜는 이중적이다. 즉 칭의와 성화이다. 이 중 후자는 기독교인의 삶과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깔뱅에게서 성화란 신자의 인격의 형성과 관계된다. 죄로부터 승리케 하며, 거룩케 하시는 하나님의 은혜는 신자의 인격을 계속적으로 점진적으로 재건하시며 그 인격의 형성의 열매가 삶 속에서 거룩한 생활로 나타난다. 웅장한 신학적 체계로서 깔뱅 신학은 ‘잘 정돈된 삶’의 방식을 인간 개인의 차원은 물론 이것을 확장시켜 교회적 차원과 사회적이며 우주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이에 대한 포괄적 비전을 제시했다. 깔뱅은 기독교인의 삶의 방식을 자기 부정, 자기 부정의 정점으로서 십자가를 짐, 미래 삶의 묵상, 지상의 재화의 올바른 사용을 제시했다. 이것은 여전히 오늘날의 기독교인의 삶에 대한 본질적 내용을 구성하는 중요한 부분이다. 제네바의 종교개혁자에 의하면 기독교인의 삶은 그리스도와 함께 가지는 신비한 교통에 관한 것이며, 삶의 모든 일에서 하나님의 현존을 보는 것과 직접적으로 관계된다. 그리스도와 연합된 기독교인의 삶이란 결국 그들의 모든 삶의 활동으로 연장돼야 한다. 복음, 복음의 현재화인 그리스도와의 연합, 이것은 결국 진정으로 우리의 삶을 변혁하는데서 그것의 효과와 능력이 나타날 것이다. 깔뱅에게서 복음은 말의 교리가 아니라 삶의 교리이기 때문이다. L’union avec Christ est l’aspect central de la doctrine de la vie chrétienne pour Calvin. Lorsque nous sommes unis avec Jésus-Christ, nous en avons double grâce: justification et sanctification. Celle-ci aboutit à la vie chrétienne. La sanctification pour Calvin est liée à la construction de la personne. La grâce de Dieu qui triomphe du péché et sanctifie, reconstruit la personne progressivement : sa fruit apparaît comme la vie sainte. En outre, comme un superbe système théologique, la théologie calvinienne présente une vision globale de la manière de bien ordonner la vie humaine sur les plans personnels, sociaux, ecclésiaux et cosmiques conformément à la volonté de Dieu. Calvin a souligné les quatre principales caractéristiques de la vie chrétienne : 1. Le renoncement à soi 2. Porter la croix comme le sommet du renoncement à soi 3. La méditation de la vie future. 4. Le droit usage des biens terrestres. D’après le réformateur de Genève, la vie chrétienne se rattache à la communication haute et mystique que le chrétien a avec Jésus-Christ, à la présence de Dieu dans toutes ses affaires. L’Evangile, l’union avec Christ en tant que son actualisation, celles-ci se retrouvent dans la capacité transformant la vie chrétienne. Parce que chez Calvin l’Evangile n’est pas une doctrine de langue mais de vie.

      • 임프란트에 부착하는 세균의 동정 및 효과적인 항생제 선택

        김선권,유선열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1996 전남치대논문집 Vol.8 No.1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adherence of oral bacteria to titanium dental implant and to know the effective prophylactic antibiotics using an in vivo model. Three samples each of the implant material were set in an acrylic resin flange and placed in the maxillary buccal sulcus of twenty volunteers. At 6-and 54-hour intervals, each sample was placed on blood agar plate(BAP) and chocolate agar, and then they were incubated and identified. Also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The microorganisms were chain-like Gram positive cocci and staphyline Gram positive cocci, Gram positive bacilli in order of frequency were found at 6-hour and 54-hour samples by Gram staining. 2. Streptococci was found predominantly at both 6-hour and 54-hour samples, but number of streptococci was decreased as compared to 6-hour samples.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acterial species adherent to implant between 6-hour and 54-hour samples. 4. All the microbes were sensitive to AMC(amoxacillin clavulanic acid), chloramphenicol, quinolone and vancomycin in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Above results suggest that streptococcus are mainly adhered to titanium implant after implant was placed in the oral cavity and AMC is the most recommendable antibioties to prevent the peri-implant inflam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