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맹자(孟子) 성선설(性善說)의 근거-량심(良心)

        김상래 ( Sangrae Kim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5

        공맹이후 유학사상에서 인간은 배우는 존재이며, 도덕적인 존재로 정의된다. 공자의 사상이 집약된 <「논어(論語)」>가 학습의 문제에 대한 언급으로 시작되며, 인간의 윤리적 행위의 올바름에 대한 내용들이 주로 포함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한다면, 인간을 배움의 존재와 윤리도덕의 실천자로 규정하는 것은 공자 이래 유학사상의 주요한 학문적 전통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는 인간의 어떤 행위가 최고의 도덕적 규범인 <인(仁)>에 해당하며, 인간의 이상적 윤리적 목표를 현실사회에서 실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관한 다양한 담론들을 우리들에게 제공하였다. <맹자(孟子)>는 윤리 도덕적 행위의 심리학적이고 철학적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공자 이래의 유가사상의 학문적 깊이를 보완한 사상가이다. 그는 성품(性)과 마음(心)의 문제에 대한 해명으로부터 인간의 도덕적 문제를 해결하고 윤리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깊이 있는 논의 를 전개하였다. <성선설(性善說)>의 확립과 마음에 대한 깊이 있는 해명들이 이에 속한다. 맹자가 인간의 윤리도덕적 문제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인성론의 구조에는 마음과 성품의 관계에 대한 문제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유학의 인간 이해에 대한 정통적 이론으로 평가되는 맹자성선설의 근거에는 마음에 대한 다양한 분석, 특히 ‘<양심(良心)>’이라는 개념을 창출하여 인간의 윤리 도덕적 행위를 설명하는 방식이 엄존해 있음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한 방법론으로 맹자의 인간이해와 윤리이론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인성론과 심성론의 주요 문제들을 ‘양심’과의 연계라는 관점에서 해명하였다. 논자는 이미 이 주제와 관련있는 선행연구(「맹자 윤리사상의 특징」- 良心을 중심으로(「동양고전연구」(제52집), 2013)를 발표하였다. 이 논문은 이 연구성과를 원용하면서 성선설로 대표되는 맹자 윤리학설을 이해하는 핵심적 개념으로 ‘양심’을 제시하고, ‘양심’이 맹자 윤리사상의 핵심인 성선설의 철학적 근거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 및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전국시대의 사상가인 맹자(372∼ 289B.C.)가 ‘양심’이라는 개념을 최초로 유학사상에 등록시켰으며, 이후 ‘양심’이라는 용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철학과 심리학, 그리고 윤리학의 주요 학술용어로 사용되고 있으며, 둘째, 맹자의 사상체계 속에서 ‘양심’은 유가사상의 대표적인 도덕적 덕목인 <인의예지(仁義禮智)>와 깊은 연계를 이루고 있음을 해명하고자 한다. 셋째, 성선설을 주창하는 맹자의 사유구조에서 도덕적 마음의 의미를 <사단(四端)>과 <사덕(四德)>으로 분배하여 설명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성선설의 이론적 해명을 위해 ‘양심’과 ‘성선’의 윤리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This paper is focused on reading the conscience of the system in Mencius`` moral theory. In confucian tradition Mencius had shown to us the innate emotional good mind for developing moral act of human at first. That proper and good mind(良心) by Legge``s translation is connected with the human good nature. Mencius had thought that human nature is intrinsically good, the moral doing is the ability to do get the four moral value like the inherent morality of human being which driven by the moral mind. In this paper, I have presented Mencius`` moral theory which based on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Mencius had firstly originated the concept, the proper and good mind(良心) in his writing. This concept is mainly used to elaborate the basis of human moral act in nowadays. Mencius said that Nature (性) is rendered moral by humans’ moralistic interpretation. Mencius insisted that morality is merely determined by human mind and that there are no moral truths which is independent of human judgments and beliefs. In this point, in the Mencius`` moral theory the moral mind had the essential status for understanding the moral issues of human acts.

      • KCI등재

        『장자(莊子)』 비유법에 대한 철학적 고찰

        김상래 ( Sangrae Kim ) 온지학회 2018 溫知論叢 Vol.0 No.54

        이 논문은 데리다의 해체주의 이론과 장자(BC. 369-289?) 철학의 문학적 전략(은유와 비유법)의 유사성에 주목하여 장자가 사용한 독특한 언어 표현인 과장법, 우언, 중언, 치언 등 다양한 비유법의 철학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莊子』 텍스트 속에 표현된 다양한 과장과 은유의 수사법들은 장자가 우주를 무의미, 무목적, 무중심의 사유로 해명해내야 한다는 간접화법의 언설이라고 주장하고자 한다. 또한 장자는 이런 사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천천히 걸으면서 노는 것(逍遙遊)’을 지향하는 놀이의 철학을 제시한 사상가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논자는 이 논문을 통해 첫째, 장자는 인간 대신 자연을 중심으로 생각하고 자연을 추구해야할 목적과 의미로 제시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주에서 어떤 것도 중심으로 설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무중심적 사유’를 제시하고 있음을 구명하였다. 둘째, 「소요유(逍遙遊)」 편에 등장하는 물고기 곤(鯤), 붕새(鵬) 등의 한자 표현에 대한 문자학적 해독을 통해 장자가 제시하는 인간과 세계에 대한 이해방법으로 ‘중심의 해체’를 지향함을 설명하였다. 셋째, 의미와 목적, 그리고 중심을 추구하지 않는 장자의 철학적 의도들은 언어 표현에 있어서 주어(話者)의 의미가 배제된 다양한 수사법 즉, 우언, 중언, 치언 등 우회적 전략과 연계되어 있음을 고찰하였다. 넷째, 장자 사유의 근저에는 주어 또는 자아(Self), 중심과 의미, 목적 등을 거부하는 놀이와 자유의 철학이 자리 잡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현실사회에서 인간이 추구할 의미와 목적이 엄연히 존재하며, 인간은 그것들을 통해 삶의 지혜를 얻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고방식에 익숙한 사람은 이 글에서 해명하는 장자의 무중심의 사유와 놀이의 철학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울지 모른다. 물론 이 논문에서도 논자의 주장만 옳고 기존의 이해는 틀렸다고 서술하지 않았다. 이를 계기로 앞으로 장자의 사유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방법에 의한 해독이 연구가 시도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at there are textual similarities between Chuang Tzu(莊子) and Jacques Derrida. We can get the answer and get a new insight into Taoist philosophy by way of Derrida's deconstructive theory. With our discussion of the aspects of Tao from Chuang Tzu and Derrida's ‘differance’, ‘trace’ and ‘play’, we will establish a philosophy affinity between Taoist Chuang Tzu and Derrida's deconstructive thinking. Chuang Tzu like Derrida deconstructs all kinds of traditional and metaphysical thoughts which can be termed dualistic system of thinking. Derrida and Chuang Tzu each present a challenge against traditional or conventional thought, the common denominator of which can be termed dualistic system of thinking. So Derrida and Chuang Tzu use many ways to overcome ‘the metaphysical dualistic thinking’: the extensive use of metaphor and Allegory, the frequent employment of paradox and play-on-word. With the pervasive use of metaphor and Allegory, Chuang Tzu had produced a plural of ‘playful’ style and full of the de-centering free play of differance and Tao. I call this philosophical tendency as ‘non-centered thinking’ or ‘philosophy of freedom and play’ in Chuang Tzu’s philosophy. Chuang Tzu like Derrida suggests that the logic of cohabitation and coexistence recognizes and affirms differences between opposites. In other words, their ways of thinking challenge the value system that suggests a single truth, and propose that all human values necessarily carry half-values. Finally, Chuang Tzu poses a deconstructive critique of the excessive values and excessive meanings in traditional metaphysics. Their suggestions provide us in the transition towards the 21st century with a fresh perspective to look differently at human beings and this world we live in/with the others.

      • KCI등재

        동중서(董仲舒)의 천인합일설(天人合一說)과 그 윤리적 함의

        김상래 ( Kim Sangrae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퇴계학논총 Vol.30 No.-

        공자로부터 시작된 유가사상은 동서고금의 그 어떤 사유체계보다도 인간의 문제에 대해 그 학문적 관심을 집중시켜왔다. 인간사회의 윤리적 실천 문제에 대한 해답을 시도한 공자의 사유는 맹자를 경유하면서 인간의 윤리적문제의 본질적이고 내면적 출발점에 대한 심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하려는 단계로 진전되었다. 다시 말하여 공자가 강조한 인간의 윤리적 행위 내지 실천을 중시하는 유가사상의 이론은 맹자에 이르러 인간의 내면적 측면에 대한 이론적 접근이 시도되어 인(仁)의 철학과 성선(性善)의 도덕성을 강조하는 사상으로 전개된 것이다. 초기 유학사상가인 공맹의 유학사상은 세계의 존재와 관련된 문제에 대한 해명보다 인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윤리학적 이론을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 이후 한대에 들어서 동중서(董仲舒, B.C. 179-104)는 자연의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을 정립하여 이를 인간에 까지 적용가능하다는 학설을 정립한다. 바로 그는 음양(陰陽), 오행(五行), 천인감응(天人感應), 천인합일(天人合一) 등의 개념을 사용하여 인간과 세계에 대한 설명방식을 종합하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자연과 인간의 동일성을 추구하는 학문적 입장은 송대 주자에 이르러, 인간과 세계의 문제를 하나의 이론체계로 설명가능하다는 학설을 확립시키는 선구적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한대 대표적인 유학사상가인 동중서가 설명하는 하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해독을 기반으로 그 사유체계의 윤리적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동중서는 한(漢) 무제에게 유가사상 이외의 이념을 배격할 것을 설득하여 유교를 국교화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인간의 윤리적 해명에 특장을 지닌 공맹유학의 전통에 기반을 두면서도 음양오행과 천인감응, 천인합일과 같은 종교적이고 신비적인 사유체계를 유교사상의 주요내용으로 첨부하였다. 이러한 동중서의 학문적 입장은 천인감응설을 경유하여 천인합일설로 귀결된다고 할 수 있는 바, 이 두 학설은 유교사상의 외연을 확대함과 아울러 하늘과 인간의 관계를 불평등의 차원에서 일치와 평등의 관점으로 이해하는 계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사상사적으로 적지 않은 공헌을 하였다고 볼 수 있다. 동중서는 하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해서 천도(天道)와 인간의 일(人事)이 서로 밀접하게 연계되고 합일되어 있다는 이론을 확립하였으며, 군신, 부자, 부부 관계의 인간의 윤리적 문제를 하늘의 의지(天意)와의 관련성으로 설명가능 하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다음과 같은 윤리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첫째, 하늘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공맹의 막연한 설명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체계화하였다. 둘째, 인간과 하늘의 위계 문제에 있어서 천인감응의 입장에 입각하여 인간 보다 하늘을 우위에 두는 사유를 제시하였다. 셋째, 천인감응의 사유는 천인합일의 단계로 진전되어 자연의 문제와 인간의 윤리의 동일성을 추구하였다. 넷째, 인간 사회의 현실적 윤리 문제에 있어서 군주의 역할을 강조한 교화(敎化) 중심의 봉건주의적 윤리관을 확립하였다. Confucianism originated from Confucius had focused on the moral problems of human. Mencius attempted an answer to ethical problems of human beings with human nature and moral act via the starting point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theory formulation. Confucius emphasized the human theory of ethical conduct or practice. Confucius emphasized the human theory of ethical conduct or practice that they came to the human spiritual side of Mencius theory approaches have been tried for the benevolence of the philosophy emphasizes the ideas of morality. Mostly we can conclude that Confucius and Mencius had not explained about the problems of nature. Since then, in Han dynasty Dong Zhong-Shu(B.C. 179-104) had described not only the problems of human but also the theory of nature with the co-formulation of the humans and Heaven, sky at first. This equal principle for human and nature can be explained with the doctrine to establish the system of pioneering role. This article is go for study the ethical implications, after understanding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theory of Heaven and human. Dong Zhong-Shu’s thought about Heaven and the human absolutely same to establishing the premise that religious and almighty Heaven and ethical issues of human. In this point his thoughts can be evaluated as the following ethical meaning. First, the heavens and the human relations can be approached to a vague description and more specifically the systematization. Secondly, the celestial hierarchy of humans is located with response the same standpoint with Heaven from the viewpoint which Heaven-human is the one. Thirdly, the reason for the sum of the progress made in the issue of the ethics of human nature has been to step equality pursued. Fourth, the reality of human society in ethics and the role of the monarch highlighted the indoctrination (敎化) to establish the center of ethic in good society.

      • KCI등재

        과밀 효과와 양안 경합의 이심률별 상관관계

        김상래(Sangrae Kim),정상철(Sang Chul Chong)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2

        과밀 효과란, 목표 자극의 주위에 다른 방해 자극들을 제시함으로써 목표 자극의 지각 경험을 방해하는 것이다. 양안 경합은 양 눈에 다른 형태의 자극을 제시했을 때, 겹쳐져서 보이거나 하지 않고, 의식 내에서 교대로 보이게 되는 현상이다. 이 두 현상의 상관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심률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심률마다 여덟 개의 위치에서 두 가지의 효과를 측정하였고, 이심률 2˚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소홀히 하였던 과밀 효과와 양안 경합의 관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본격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며, 의식의 측정치로서의 과밀 효과와 양안 경합에 대해 규명할 수 있는 발판을 제공하였다. Crowding effect is the impairment of peripheral object identification due to nearby objects. Binocular rivalry is a phenomenon in which perception alternates between two different objects presented separately to each ey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two phenomena. We measured the magnitudes of visibility index of these two effects at 8 different locations of 3 different eccentricities (2, 5, and 10°).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asurements was found only near the fovea (2°). Our study is the demonstration to show relationship between crowding and binocular rivalry.

      • KCI등재

        2015 도덕 교육과정 연구 -좌우명 교육을 통한 인성함양-

        김상래(Kim Sangrae),최남헌(Choi Namheon)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16 교육발전 Vol.36 No.1

        This paper is the academic result of basic study for setting up teaching method cultivating the education for human nature through favorite motto with related to the 2015 curriculu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useful teaching method in from the elementary to the secondary school. In order to obtain a meaningful effect in aspect of the academic theory this research should be required to educational verification in a variety of school based for the reality and practical materials. But as we noted in the introduction, the researchers carried out the academic approach for the foundation or basis on the subject of research, in the future for the application and practice continue to of research will be deal with by the scenario.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human nature set up, and as educational methodology for using the motto and the learning materials is provided by the research suggest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s the result. We hope that teachers will establish the methodology to ensure in human nature education which outlined eight different core values suggested by the education Government. The researchers keep on proceed this study on the motto education for the educational methodology for getting the meaningful effects.

      • 차압 모델을 이용한 실차 Clean CPF 차압 예측에 대한 연구

        김진수(Jinsoo Kim),박종선(Jongsun Park),배기송(Kisong Bae),김상래(Sangrae Kim),양승욱(Seunguk Yang)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o reduce the carbon particle emission from diesel exhaust, CPF is commonly used for light duty application. The accumulated soot mass could be estimated by analyzing the pressure drop through the CPE Therefore, the pressure drop of clean CPF is the principal information which needs to calculate the pressure drop by soot accumulation. In this study, the pressure drop model based on Darcy's law was simplified to calculate the clean CPF pressure drop as 2<SUP>nd</SUP> order equation by exhaust volume flow rate. The model coefficients for each order term were tuned by steady operating condition analysis as al=661 [10³/L], a2=133[10¹²/L]. The reliability of model was tested with vehicle driving conditions to analyze the behavior of model calculation. The mild and rapid acceleration mode, 0 to 120kph, were used to compare the result of pressure drop model with measured pressure drop through CPE The model showed the accurate result compared with measured pressure drop in steady and mild acceleration mode. The uncertainty of exhaust volume flow rate and temperature was reflected in the deterioration of accuracy at rapid acceleration mode.

      • KCI등재

        주요 우울 장애, 정신분열병, 양극성 장애 및 정상 대조군에서의 N100 진폭경사

        양은경,이승환,오성희,김상래,Yang, Eunkyoung,Lee, Seung-Hwan,Oh, Sunghee,Kim, Sangrae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9 생물정신의학 Vol.16 No.3

        Objectives : N100 amplitude slope(the intensity dependence of the cortical auditory evoked potentials) is widely considered as an indirect indicator of central serotonergic neurotransmission. However, there are only a few studies about N100 amplitude slopes of major psychiatric disorders. In this study, we examined N100 amplitude slope differences among major depressive disorder(MDD), bipolar disorder(BD), schizophrenia (SCZ) and normal controls(NC). Methods : We measured the N100 amplitude slopes of 35 patients with MDD, 33 patients with BD, 27 patients with SCZ and 35 NC subjects. Amplitude differences from N1 to P2 at the five different sound intensities(55, 65, 75, 85 and 95dB) were examined at Cz electrode. The N100 amplitude slope was calculated as the linear regression of five N1/P2 peak-to-peak amplitudes across stimulus intensities. Results : B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N100 amplitude slope compared with NC(0.54${\pm}$0.70 vs. 0.96${\pm}$0.72, p=0.035). N100 amplitude slope of SCZ patients was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with NC(0.50${\pm}$0.47 vs. 0.96${\pm}$0.72, p=0.027). N100 amplitude slope of BD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MDD patients(0.54${\pm}$0.70 vs. 0.94${\pm}$0.60, p=0.046). SCZ patients also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of N100 amplitude slope compared with MDD patients(0.50${\pm}$0.47 vs. 0.94${\pm}$0.60, p=0.036).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100 amplitude slope between MDD patients and NC(0.94${\pm}$0.60 vs. 0.96${\pm}$0.72, p=1.000). Conclusion : Interestingly, the N100 amplitude slopes of BD and SCZ were reduced compared to NC and MDD patients. Our results suggest the predictive use of N100 amplitude slope in making differential diagnoses of major psychiatric disorders. Clinical implications of N100 amplitude slope in major psychiatric disord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