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정책에 관한 연구

        박상철,김사윤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08 기업과 혁신연구 Vol.1 No.2

        본고의 연구목적은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정책의 목표와 결정변수, 결정변수간의 인과관계, 그리고 환율제도의 변화에 따른 개입정책의 기조변화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정책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있다. 실증분석 기간은 1980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326개월이며, 각 변수의 월별자료에 대한 ADF 단위근 검정을 통해 시계열자료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본고의 실증분석 모형에 대한 그랜져 인과분석과 GMM 회귀분석을 분석대상기간 전체에 대하여, 그리고 세 가지 상이한 환율제도하의 하위기간들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전체기간의 그랜져 인과분석의 결과 환율변동이 외환시장개입을 초래할 뿐 외환시장 개입이 환율변동을 유도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GMM에 의한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복수통화바스켓제도하의 기간을 제외하고 다른 세 분석기간(전체 기간, 시장평군환율제도 기간, 자유시장환율제도 기간)에서는 정부의 외환시장개입 변수에 대한 회귀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외환시장개입정책의 기조를 검증하기 위한 또 다른 실증분석 모형의 GMM 분석 결과 복수통화 바스켓 제도하의 기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분석대상기간에는 불태화 개입정책이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empirically the objective and determinant variables of the intervention policy of Korea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s,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determinant variables of the actual intervention, and the consistency of policy orientation of the intervention under different exchange rate systems of Korea. The empirical test period is for 326 months from January 1980 to February 2008. After checking the non-stationarity of our time series data by ADF unit root test, Granger Causality Test and regression analyses by GMM have been done with our structural model. By the Granger Causality Test for the whole test period we find that exchange rate changes granger-causes market intervention of the BOK, but not vise versa. In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by the GMM, we see the coefficients for an intervention variabl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t 5% level in the case of the whole period, and 1% level in the case of 〈system II〉 and 〈system III〉. Another regression analysis by the GMM to test the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has been done, and the result tells us that sterilization oriented intervention is verified In every subperiod except under 〈system I〉.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Intervention Policy of Korea

        Sang-Chul PARK(박상철),Sa-Yun KIM(김사윤) 조선대학교 지식경영연구원 2008 기업과 혁신연구 Vol.1 No.2

        본고의 연구목적은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정책의 목표와 결정변수, 결정변수간의 인과관계, 그리고 환율제도의 변화에 따른 개입정책의 기조변화 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의 외환시장 개입정책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모하는데 있다. 실증분석 기간은 1980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326개월이며, 각 변수의 월별자료에 대한 ADF 단위근 검정을 통해 시계열자료의 안정성을 확인하고, 본고의 실증분석 모형에 대한 그랜져 인과분석과 GMM 회귀분석을 분석대상기간 전체에 대하여, 그리고 세 가지 상이한 환율제도하의 하위기간들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전체기간의 그랜져 인과분석의 결과 환율변동이 외환시장개입을 초래할 뿐 외환시장 개입이 환율변동을 유도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GMM에 의한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복수통화바스켓제도하의 기간을 제외하고 다른 세 분석기간(전체 기간, 시장평군환율 제도 기간, 자유시장환율제도 기간)에서는 정부의 외환시장개입 변수에 대한 회귀계수의 통계적 유의성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외환시장개입정책의 기조를 검증하기 위한 또 다른 실증분석 모형의 GMM 분석 결과 복수통화 바스켓 제도하의 기간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분석 대상기간에는 불태화 개입정책이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empirically the objective and determinant variables of the intervention policy of Korea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s,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determinant variables of the actual intervention, and the consistency of policy orientation of the intervention under different exchange rate systems of Korea. The empirical test period is for 326 months from January 1980 to February 2008. After checking the non-stationarity of our time series data by ADF unit root test, Granger Causality Test and regression analyses by GMM have been done with our structural model. By the Granger Causality Test for the whole test period we find that exchange rate changes granger-causes market intervention of the BOK, but not vise versa. In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by the GMM, we see the coefficients for an intervention variable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at 5% level in the case of the whole period, and 1% level in the case of 〈system 〉 and 〈system Ⅱ Ⅲ〉. Another regression analysis by the GMM to test the direction of the intervention has been done, and the result tells us that sterilization oriented intervention is verified in every subperiod except under〈system Ⅰ〉.

      • 최대 주입을 위한 인공함양정의 배치 방안

        최명락(Myoung-Rak Choi),장준환(Jun-Hwang Jang),박황성(Hwang-Seong Park),김사윤(Sa-Yoon Kim),김규범(Gyoo-Bum Ki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지하수 인공함양은 지하수 또는 지표수 등 함양 원수를 대수층 내 함양시켜 대수층의 수량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가뭄 발생시 용수 확보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 함양 주입 효과 극대화를 위하여 수직 주입정의 배치 간격에 따른 총 주입 가능량을 평가하였다. 연구 지역 내 pilot 지점에서 단공 주입시 주입량이 0.49~38.13 m³/d, 동시 주입시 0.04~11.48 m3/d로 주입량이 나타났다. 이는 동시 주입시 인근 주입정의 간섭 효과로 주입량이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입정의 영향 반경을 계산한 후 주입 간격 별로 간섭 효과에 의한 수위 상승량을 계산하였다. 주입정을 1~15 m로 배치할 경우 간섭에 의한 평균 수위 상승량이 약 0.44~0.00 m로 주입 간격이 멀어질수록 간섭 효과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주입정의 적정 배치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주입 간격별 간섭 효과를 고려한 주입량을 산정하였다. 주입정을 5 m 간격으로 배치할 경우 총 주입량이 87.67 m³/d로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 주입정을 활용한 배치 방안을 검토하였지만, 추후 수직정과 ditch를 동시에 고려한 최적 배치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주입 시설의 주입 시기, 기간 등 인공 함양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주입한 후 하류 취수 지점에서 취수량을 평가하여 인공 함양에 의한 수량 증대 효과, 용수 확보 가능량 등을 평가한다면, 본 연구 지역과 같은 상류 소분지 지역의 가뭄 발생시 대응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