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중·일FTA의 필요성과 정책적 함의: 경제·지정학적 환경 변화를 중심으로

        김봉길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2 아태연구 Vol.19 No.3

        This study aims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a Korea-Japan and China(KJC)FTA and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and the necessity of the KJC FTA, while researching FTA policy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trade and division of labor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trade among KJC, If the KJC FTA has been concluded, the expansion of intra-regional investment and inter-industry trade is expected. Therefore, the KJC FTA is also required as a new momentum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three countries, through the development to a network of institutional cooperation from the network of functional cooperation that has been accumulated so far. Additionally, the KJC FTA also is in the need for the formation of institutional economic zone to overcome the geopolitical limitations in East Asia and Northeast Asia. It can be said that the delay of institutional economic integration among Japan, China and South Korea has been the biggest hurdle in th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East Asia and the Northeast area. the KJC FTA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gional security in East Asia and Asia Pacific region. Especially, while enhancing the possible areas of cooperation in economic terms, we should promote the FTA to overcome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frictions i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promotional factors while minimizing obstacles of the KJC FTA, the three countries should promote the construction of close cooperation and consensus for the mutual benefit from medium- and long-term standpoint. And now it is the time for three countries to provide the political leadership in order to build a multi-layered network and roadmap. However, the economic cooperation could be expanded under the mutual trust considering the uniqueness and diversity of each country. Enhanced the mutual interests and the political leadership of each country are also needed to build regional economic zone. Especially, South Korea should play the role of an arbitrator to prevent China and Japan from striving for regional hegemony. 본 연구는 한·중·일 3국간의 역내 무역·분업구조의 특징과 3국의 FTA정책을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한·중·일 3개국 간의 FTA의 필연성과 가능성에 대해 고찰한 후, 향후 정책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중·일 3국간의 무역·분업구조 및 FTA정책상의 특징으로 볼 때, 한·중·일FTA는 3국간의 무역·투자 확대를 통한 산업간 무역 및 수평적 무역 확대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3국간에도 지금까지 축적되어온 기능적인 협력 네트워크를 제도적 경제권으로 발전시켜 역내국가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새로운 모멘텀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공감대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동아시아 및 동북아지역의 지정학적인 갈등을 극복하고 제도적 경제권 형성을 위해서도 한·중·일 FTA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하겠다. 한·중·일을 둘러싼 지정학적인 정세가 미국과 중국의 역학관계에서 이익을 극대화 하려는 주변국들의 이해가 한데 뒤섞인 정치·경제·외교의 각축장이 되고 있는 점을 고려하면, 한·중·일 FTA가 동 지역의 경제·안보 패권의 구도를 바꾸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다만, 한·중·일FTA를 위한 장애요인을 최소화하고, 촉진요인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성과에 집착하지 않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상호이익을 위한 공감대 형성이 중요하다. ‘시장중심의 경제적 협력관계의 심화’와 ‘지정학적인 패권주의의 심화’라는 2중구조가 지속되고 있는 한·중·일간의 지정학적인 특수성을 고려하면 현재의 신뢰관계를 한층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로드맵 작성과 중층적인 협력네트워크를 구축해나가는 점진적이고 중층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경제협력은 각국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상호이해와 상호신뢰 하에서 실행가능하다. 특히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패권 경쟁을 중재하면서 3국간의 협력관계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과 역량을 키워나가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환동해 경제협력의 필연성과 정책대안

        김봉길,김인중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0 아태연구 Vol.17 No.3

        This study aims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realization of the economic zone in East-sea rim region, while researching the geopolitical changes and current status of economic cooperation. The East-sea rim region generally includes countries bordering East-sea, such as South Korea, Japan, North Korea, China(Northeastern Three Shengs) and Russia(Far East Area). However, in this study, the East-sea rim region only includes South Korea, Japan, and China due to the lack of data. Possible alternatives are as follows. Multi-layered and progressive approaches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spatial and temporal factors are essential to economic cooperation in the East sea rim region. Gradual expansion of economic cooperation in East-sea rim region can take a significant role in building the Northeast asian regional economic zone. In short-term, it is advisable to enhance the economic cooperation in a specific feasible region or industries. And in the long-term, the scope of the cooperation could be expanded from East-sea rim region to North-east Asia. The most practical alternative is the materials industry cooperation using the resources of the East-sea rim region. However, the economic cooperation could be expanded under the mutual trust considering the uniqueness and diversity of each countries. Enhancing the mutual interest and the political leadership of each country are also needed to build regional economic zone. Especially, South Korea should play as an arbitrator to prevent China and Japan from fighting for regional hegemony. 본 연구의 목적은 환동해지역의 지정학적 변화와 경제협력 현황을 살펴보고 경제권 형성을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환동해권의 범위는 동해와 직접 접하는 한국, 일본, 북한, 중국의 동북3성 그리고 러시아의 극동지역이다. 다만 통계구득상 본 논문에서 환동해권 경제협력은 한중일을 중심으로 한다. 제시된 대안은 다음과 같다. 환동해권 경제협력에 있어서는 공간적․시간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는 점진적이고 중층적인 접근방법이 필요하다. 점진적인 환동해 경제협력의 확대는 동북아시아의 서브지역으로써 동북아시아 경제권 형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단기적으로 환동해 경제협력은 가능한 지역이나 산업을 중심으로 추진하고, 중장기적으로는 환동해 나아가 동북아시아 경제권을 추진해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선, 환동해 부존자원을 활용한 소재산업협력이 가장 현실성 있는 대안이다. 그러나 경제협력은 각국의 특수성과 다양성을 고려한 상호신뢰하에서 실행 가능하다. 상호이해증진과 각국의 정치적 리더십 또한 지역경제권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하다. 특히 한국은 중국과 일본의 주도권 경쟁을 방지하기 위한 중개자로서의 역할을 해야 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거대 FTA와 한일관계의 재구축

        김봉길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15 아태연구 Vol.22 No.4

        This study examines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trade and the division of labor in East Asia region to suggest policy implications for new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Korea and Japan in conjunction with movements towards creating a mega FTA in the East Asia region. In situation when the formation of new trade rules in the East Asia region proceeds at full speed towards the mega-FTA, it is a main issue how Korea and Japan build close relationships with respect to TPP and RCEP. Korea and Japan shoul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ongoing structural changes in the new trade regime, so that both countries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its formation process. In addition, Korea and Japan should seek for a new way to build up close cooperative relationships, and establish a strategy for this purpose. Due to the close inter-connection in the East Asia region through the intra-regional production network and the supply chains, Japan and Korea should utilize their geopolitical superiority for integrating RCEP and TPP. To achieve that goal, Korea should participate in TPP and build up a close cooperation relationship with Japan. In particular, due to the strategic importance of TPP and RCEP for establishing the new international trade rule in the world, we will know how the strategic alliance of Korea and Japan could pull the integration of TPP and RCEP. As for the Mega-FTA, because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regional security in the East Asia region, Korea and Japan must make a political decision to rebuild the cooperation system between them. To achieve this goal in the future, Korea and Japan should make more effort for improving their relationships, and it will be very important to find a way to take advantage of the multilateral cooperation framework. 본 연구는 동아시아 지역의 무역·분업구조의 현황과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거대 FTA의 움직임과 배경에 대해 고찰하고, 한중일 3국의 FTA 정책에 대해 살펴본다. 그리고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거대 FTA의 움직임과 관련하여 다국 간 협력의 틀을 활용한 새로운 한일 협력관계의 구축 가능성과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아시아 지역에서 새로운 통상질서 수립을 위한 거대 FTA의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일본과 한국은 TPP와 RCEP 등 거대 FTA와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가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한국과 일본이 동아시아 지역에서의 새로운 통상질서 수립을 위한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현재 동아시아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경제·정치적인 측면에서의 협력과 대립이라는 이중구조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을 정확히 인식해야 한다. 이를 통해 새로운 한일관계 구축의 가능성을 모색하고, 이를 위한 새로운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역내 생산네트워크와 공급사슬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동아시아 지역의 경우, 한국과 일본이 지정학적인 이점을 활용하여 TPP와 RCEP의 통합을 추진하는 견인차 역할을 수행해 나가야 할 것이다. TPP와 RCEP 등 거대 FTA가 세계의 새로운 통상질서를 수립하는 데 있어서의 전략적 중요성을 고려하면 한일 양국의 전략적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거대 FTA가 경제적인 측면뿐만이 아니라 정치적인 성격도 작용하고 있어 역내 안정과 경제성장의 새로운 모멘텀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한일 양국의 정치적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과 일본이 향후 새로운 협력관계 구축에 있어 양국 간의 협력체제 구축을 위한 노력과 함께 지역 및 다자 간 협력의 틀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 中共民航의 發達에 關한 硏究

        尹勝重,金峰吉 한국항공대학교 1988 論文集 Vol.26 No.-

        이 論文은 中共民航에 關한 硏究이다. 中共民航은 1949年 中華民國 政府가 大陸 撤收時 남겨 놓았던 人員과 裝備로 設立되었다. 設立直後 中共은 소련으로부터 航空機와 裝備를 支援받아 民航을 發展시켜 왔었다. 그러나 소련과의 關係 惡化로 因한 援助中斷으로 西方世界로부터 裝備를 導入하였으며, 最近에는 開放政策과 더불어 國際經濟 復興과 觀光資源 開發을 爲하여 民航의 現代化를 파하고 있다. 따라서 이 硏究는 中共民航의 沿革, 民航과 軍과의 關係 그리고 民航要員의 敎育ㆍ訓練에 對하여 考察하기로 한다. This study is a report about Red China Civil Air Line. Red China established Civil Air Line in 1949 with the personnel and equipments that Republic of China had left. After establishing, Red China has developed it's Civil Air Line with the help of Soviet Union's Aircraft and equipment. Red China has introduced equipments from the Western World after Soviet Union broke off it's support and recently is going to try to modernize the Civil Air Line in order to develop National economy and tourism resources after taking an open door policy. Therefore, we are going to consider China Civil Air Line about it's history, relationships with the military and education practice on worker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