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과 사회복지사의 아동권리인식 비교

        김보나(Kim, Bo Na),권현수(Gweon, Hyun Soo),하춘광(Ha, Choon Kwa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본 연구는 대표적 아동복지시설인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과 사회복지사의 아동권리 인식정도를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 등 아동권리유형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고, IPA분석(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을 적용하여 아동권리의 중요도 인식과 실제 보유하고 있는 권리에 대한 인식차이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은 경남 C시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중 초등학교 4~6학년 아동과 이들이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의 사회복지사이며, 아동 156명과 사회복지사 64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자료분석하였다. 조사결과, 사회복지사는 아동보다 ‘보호권’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면서 동시에 실제 보유정도에 대한 인식도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아동권리 하위유형별 중요도 인식과 실제 보유도 인식 간 차이에 대해 IPA분석을 적용해 본 결과, 아동의 경우 ‘보호권’이 중요도에 비해 실제 보유수준은 낮다고 인식하여 집중적인 개선노력이 필요한 영역에 위치하는데 비해 사회복지사의 경우 ‘보호권’은 중요도와 실제 보유수준이 모두 높은 계속유지영역에 위치해 있어 아동의 권리인식과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아동은 ‘발달권’과 ‘참여권’이 중요도에 비해 실제 보유수준이 높다고 인식하여 과잉영역에 위치하고 있음에 비해, 사회복지사는 ‘생존권’, ‘발달권’, ‘참여권’이 중요도와 보유수준이 모두 낮다고 인식하는 저순위 영역에 위치하고 있어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erception of children"s rights focusing on such as ‘Survival Right’, ‘Protection Right’, ‘Development Right’, and ‘Participation Right’, between social worker and users at community child center. Also, it aims for a specific purpose to compare a perception gap between the degree of perception for the importance of children’s rights and the degree of perception for owning rights, using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For this purpose, 156 children and 64 social workers were chosen in Kyungnam C city community child center an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an SPSS program. Som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and social workers were aware of the children’s rights importantly. The rate of the social workers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ren in the terms of the degree of perception for the importance of rights. Second, The rate of degree of owning rights was lower than degree of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of rights in two groups. Finally, in analysis results about subcategories of children’s rights such as ‘survival right’, ‘protection right’, ‘development right’, and ‘participation right’, children were considered a “protection right” to be “Concentrate here area” that need intensive efforts. On the other hand, social workers showed that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owning rights of ‘Protection Right’ were both high and it located in ‘Keep Up Good Work’, which made some distintion with children’ perception.

      • KCI등재

        시공간 정보의 인터랙티브 시각화 가이드라인 연구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 맥락을 중심으로-

        김보나 ( Bo Na Kim ),최혜영 ( Hey Young Choi ),박승호 ( Seung Ho Park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6

        시간과 공간에 대한 정보는 사람이 생활을 하는 데 있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근본적인 정보이다. 이러한 시공간적 정보는 우리가 일상생활이나 특정 상황에 있을 때 중요한 정보와 기준을 제시한다. 이러한 시공간적 정보는 스마트 디바이스와 컴퓨터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핵심 서비스로 급부상하게 되었다. 또한, 모바일 기기가 개인화되면서 디바이스에 내장된 GPS를 활용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생활 속 일부로 자리 잡게 되었다. LBS는 특정한 관심이나 활동을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관계망을 구축해 주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와 결합하여 위치기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LBSNS)라는 새로운 영역을 구축하면서 소셜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게 되었다. LBSNS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비디오, 오디오, 텍스트, 이미지 등의 미디어 요소들을 태그하고 이러한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네트워크를 형성하는데 이때 크게 시간, 공간, 소셜, 첨부 콘텐츠 등 많은 데이터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관계 데이터를 LBSNS 사용 맥락에 따른 데이터의 유형으로 분류하고, 인터랙티브 시각화 요소를 추출하여 유형별 효과적인 시각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 주변에 흩어져 있는 방대한 LBSNS 데이터로부터 유의미한 패턴의 읽어내고 패턴의 분석과 이해를 통해 실체를 파악하고 그 실체가 요구하는 니즈를 정보화하여 소통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about ``time`` and ``space`` is the most fundamental information that people must know for their living. Whether in our daily lives or particular situation, these spatial-temporal information suggest significant information and standard that determine our behavior and attitude, and als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eople. As dissemination of smart devices and computers are popularized, spatial information has risen rapidly as a core service. Also, as mobile devices became personalized, location-based services(LBS) that utilizes a built-in GPS in a device has settled in part of our lives. By combining various technologies and content with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are more diversified and advanced. LBS has combined with SNS, which builds networks between people who share certain interests and activities, and established new territory called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s(LBSNS) and extended social services sector. LBSNS is a service that provides the location of a user to acquaintances and share related inform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built-in GPS in the smart device and social network services. Based on the position, LBSNS tags media elements such as video, audio, text, and images, and by sharing these information it forms a network, which generates data about time, space, social, and attached content. Therefore, on the basis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study was conducted as it is expected to be able to read the patterns of meaningful phenomenon through LBSNS data. As soon as a new service area like LBSNS is established, recording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smart devices became easier and people could communicate without restrictions of time and space. In this study, the social relationship data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data used in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service context, and interactive visualization by presenting the type of element was chuchu effective visualization methods.

      • KCI등재

        대학 e-Learning에서 학습자의 컴퓨터 관련 특성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보나(Kim Bo na),이옥형(Lee Oc khyung),강태훈(Kang Tae h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4년제 일반대학교에서 정규 이러닝 강좌 수강 경험이 있는 남․여 대학생 617명을 대상으로 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에 따라 이러닝 학습효과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도구는 컴퓨터 태도 도구, 컴퓨터 경험, 컴퓨터 활용능력, 학업성취도, 학업만족도 검사이다. 연구도구의 양호도 검증결과, 신뢰도(Cronbach‘s α계수, Stratified α계수)는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 결과, 컴퓨터 관련 특성과 학습효과 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설정된 연구모형의 구조방정식모형 검증 결과, 컴퓨터 경험은 학습효과인 학업성취도와 학업만족도, 컴퓨터 태도에 영향을 미쳤다. 컴퓨터 태도는 학업만족도와 컴퓨터 활용능력에 영향을 미쳤으나, 컴퓨터 활용능력과 학습효과 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성을 찾을 수 없었다. 매개효과 검증 결과, 컴퓨터 경험은 컴퓨터 태도와 컴퓨터 활용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업성취도 및 학업만족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컴퓨터 태도는 컴퓨터 활용능력과 학업만족도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컴퓨터 활용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한 간접효과는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mputer-related characteristics on university students achievement in e-learning courses an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17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ho had taken a regular e-learning cours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computer attitude scale, computer experience, computer literacy,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atisfaction inventories.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ventorie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Stratified alpha coefficien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utiliz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inventories were reliable and vali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computer-related characteristics of learners bound significantly up with learning effects. When the structural model of the best causal relationship model was verified, it was found that computer experiences had an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atisfaction, and that affected computer attitude as well. Computer attitude exerted an influence on academic satisfaction and computer literacy, but computer literacy had no influence on the learning effect. As the results of check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variables, the computer experiences indicated a indirect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atisfaction through computer attitude and computer literacy. Computer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computer literacy, academic satisfaction, and it didn t indicate indirect effect through computer literacy. « Key words: e-learning courses in university, computer attitude, computer experience, computer literacy, structural equation model, mediating effect

      • KCI등재

        일반논문 : 대학 입학 선발 방식에 따른 대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차이 분석 연구

        김보나 ( Bo Na Kim ),김이경 ( Ee Gyeong Kim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육문화연구 Vol.21 No.3

        대학교 수준에서 학생 선발의 문제는 국가, 사회, 대학, 개인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으며, 어떤 특성을 지닌 학생을 유입할 것인가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다. 대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대학으로 진학한 이후 실로 많은 변화와 요구에 직면하게 되며, 이에 따라 대학 생활에 부적응하는 학생들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 여부에 관심을 가지고 요인이나 적응과정을 밝히는 연구는 수행되었으나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에 따라 학생들의 대학 생활적응 양상이 달라지는가를 규명한 연구는 미흡하다는 문제인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는 대학이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에 따라 대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수준에 차이가 나는가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수도권에 위치한 4년제 대학 재학생 183명의 설문 응답결과를 토대로, one-way ANOVA 분석과 사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학생의 대학 생활 적응은 개인 배경 가운데 학년에 따라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대학 입학 선발 방식에 따라서는 학업, 사회, 일반적 적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에 비추어 논의하고, 대학경영의 관점에서 학생선발 방식의 설계와 관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Student admission method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upon the students`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as well as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ifferences in students` adaptation level to university life depending upon diverse admission methods. Utilizing the ``The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 surveyed college students at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Based on the analyses of the data of 183 students, we draw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n terms of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level, there foun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revealed by the grade level. Second, students` college life adaptation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llege admission methods. Based on the findings, we made a few policy recommendations for a better design of college admission methods aiming at improving students` adaptation level to college life, thereby to prepare their future more successfully.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초등돌봄서비스기관 간 연계 관련 인식 연구 : 경상남도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를 중심으로

        김현주(Kim, Hyeun-Ju),김보나(Kim, Bo-Na)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1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39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초등돌봄서비스기관 간 연계관련 인식을 살펴보고 이들의 연계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경상남도 내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11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돌봄서비스기관 간 연계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연계는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바람직한 연계방안으로는 컨트롤타워 기관이 아동관리를 담당하고 돌봄협의체가 프로그램, 전문인력을 관리하는 연계인프라를 구축하며 초등돌봄서비스기관 간 기능이나 서비스 내용으로 역할분담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연계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직원 수, 업무자율성, 자원필요성 인식, 연계 후 성공경험 등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컨트롤타워 기관이 아동정보를 통합관리하여 적절한 초등돌봄서비스기관에 배치하고 돌봄협의체 중심으로 권역별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초등돌봄서비스기관 간 상호교류의 기회 및 연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성공경험을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munity Child Center worker’s perceptions on network among elementary care service institution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necessity for network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mailed to 118 workers in community child centers in the Kyungnam area. As a result of the study, although the necessity of networking was recognized, the actual networking frequency was relatively low. The desirable networking plan looks like the control tower institution in charge of child management, the care council establishing a networking infrastructure that manages programs and professional manpower, and that roles divided into functions or service contents among elementary care service institutions. Factors influencing the recognition of need for networking were summed up to age, number of employees, autonomy of work, recognition of need for resources, and success experience after networking. Therefore, the control tower institution can integrate and manage child information and place it in appropriate elementary care service institutions, and establish a regional network centered on the care council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mutual exchange and networking services between elementary care service institutions, and to have success experiences.

      • KCI등재
      • KCI등재

        프락셔날 이산화탄소레이저의 원리와 적용

        나정임 ( Jung-im Na ),박정태 ( Jung Tae Park ),김보리 ( Bo Ri Kim ),김인수 ( In Su Kim ),최지웅 ( Woong Choi ),황영지 ( Young Ji Hwang ),신정원 ( Jung-won Shin ),허창훈 ( Chang Hun Huh ) 대한피부과학회 2016 대한피부과학회지 Vol.54 No.4

        Carbon dioxide (CO2) laser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lasers in dermatology. CO2 laser can precisely ablate the skin with good hemostasis, which makes it an ideal surgical laser. With the development of pulsed CO2 laser, which enabled cleaner ablation with less residual thermal damage, CO2 laser resurfacing became the gold standard for skin rejuvenation. The rejuvenation effect of full-face CO2 laser resurfacing is unparalleled to other methods; however, it is associated with a relative high incidence of side effects and prolonged downtime. Fractional CO2 laser was developed to overcome this problem. With a new technology of fractionating the laser beam into hundreds of microbeams, fractional CO2 laser resurfacing can improve various skin conditions including skin laxity, photodamage, and acne scars with short downtime and significantly lesser side effects. For optimal treatment results, clinicians have to decide the treatment depth and density based on proper understanding of the laser tissue interaction and underlying skin conditions. (Korean J Dermatol 2016;54(4):233~240)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