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간다 원격고등교육의 발전 가능성 및 방향성 고찰

        김민자(Kim, Minja),김자미(Kim, Jamee),김현철(Kim, Hyeoncheol) 한국아프리카학회 2015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4 No.-

        본 연구는 우간다 원격고등교육의 가능성과 발전 방향을 제안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우간다는 고등교육 발전을 위한 원격교육의 가능성을 인지한 국가로 정부와 기관 차원에서 원격고등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우간다 원격고등교육의 발전 가능성과 방향 제언을 위해 본 연구는 3단계로 진행되었다. 첫째, 국내조사이다. 문헌조사를 통해 우간다 원격고등교육의 가능성과 제약사항을 분석하고, 발전가능성을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문가 FGI를 통해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델파이와 AHP를 실시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합하였다. 둘째, 국외조사이다. 이해관계자 FGI와 설문조사를 통해 현지의 의견을 듣고자 하였다. 셋째, 수집한 정보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우간다의 원격고등교육은 기존 고등교육에서 수용하지 못한 학습자를 수용하여 접근성 향상에 공헌하였고, 원격교육의 긴 역사를 바탕으로 오랜 경험을 가지고 있다는 측면에서 발전 가능성이 있지만, 교육의 질 측면의 제약사항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발전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연구문제로 1) 유형, 2) 매체, 3) 전공, 4) 지역사회 기여 역할이 도출되었다. 첫째, 유형으로는 기존 고등교육기관에서 원격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둘째, 매체로는 우편을 통한 학습교재 제공을 주 매체로 하고 라디오와 모바일을 정보전달과 상호작용을 위한 보조 매체로 제안하였다. 셋째, 원격고등교육이 우선적 도입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전공으로 교육, 정보통신, 컴퓨터 과학, 농업, 경영을 제시하였다. 넷째, 원격고등교육이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로 교사연수와 지역사회교육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우간다의 원격고등교육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다는 점과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의 대 우간다 원조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possibilities and future direction of Uganda’s distance higher education. To discuss possibilities and draw recommendations for Uganda’s distance higher education, this research followed several steps. First is discussing possbilities and limitations of Uganda’s distance higher educ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ed on the result and interview with experts, analytical framework for recommentation of future development. Second is conducting Delphi and Analytic Hierarch Process to gather experts’ opinion and field research to interview interest groups. As results, Uganda’s distance higher education has possbility in terms of increased accessbility of learner groups which could not access to the conventional higher education and accumulated operational experience through long history of distance education. However, it has limitation on educational quality. Under consideration the possbility and limitation, four items of institution type, media, subject, and community support were drawn as recommendation framework. Also, directions for each item were suggested by synthesizing answers from the experts and interest groups under the consideration of Uganda’s context. First, operating external programsin existing institutions was suggested as a suitable institution type. Second, correspondence supplemented with radio and mobile was suggested for applicable media. Third, subjects with higher priority were educat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computer, agriculture, and business administration. Forth, it is suggested that teacher training and community education are the ways that Uganda’s distance higher education can contribute for its community. The research result can contribute as a starting point of discussing Uganda’s distance high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reference of South Korea’s aid policy for Uganda.

      • KCI등재

        한국(韓國)에서 기혼부인(旣婚婦人)의 취업(就業): 과연 무엇이 문제인가?

        김민자 ( Minja Kim Choe ),공세권 ( Sae-kwon Kong ),( Oppenheim Mas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3 保健社會硏究 Vol.13 No.2

        이 논문은 한국 기혼부인들의 취업행태(就業行態)에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검토한 것이다. 최근 부인(15~64세)들의 취업의사(就業意思)는 여성취업(女性就業)을 반대하는 경우가 8퍼센트에 불과하며, 가정사정을 고려한 조건부 찬성이 35퍼센트, 그리고 원한다면 언제든지 취업을 해야 한다는 경우가 57퍼센트에 달한다. 이러한 취업의사는 부인들이 도시에서 성장한 경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가정적 이유가 아닌 개인 적 이유에 의한 취업경험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실제 취업은 자의 (自意)에 의해서보다 가족에 의한 영향이 크고, 또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그리고 6세 미만 어린 자녀를 둔 경우일수록 역상관관계(逆相關關係)를 볼 수 있다. 여기서 부인취업에 대한 긍정적 의식은 교육기회의 확대, 혼전취업(婚前就業)의 증가, 가사노동(家事勞動)의 기계화, 그리고 출산력 저하 등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에 의해서 높아질 수 있었지만 실제 취업은 개인적 전문지식 및 기술의 부족, 가정적 가사(家事) 및 자녀 양육 등 전통적 역할, 그리고 사회적으로 마땅한 일자리를 구하기 어려움 등에서 저항과 갈등이 있다. 이러한 점에서 부인취업(婦人就業)은 부인 자신만의 관심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여성교육이 확대되면서 많은 고급인력이 양성되고, 또 기업은 인력난으로 경영에 차질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인력 수급의 구조적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점에서도 관심을 갖게 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in the Republic of Korea, especially on married women`s attitude toward the employment. Although the data we analyze were collected at only one point in time, our ultimate concern is with change over time. The data used in our analysis are from the Survey on Family Life Cycle conducted in 1986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formerly the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This survey collected information on marriage, fertility, employment, family roles, and attitudes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of 3,013 married women under age 65. Information on employment before and after marriage as well as the attitudes toward employment were collected. Married women in Korea hold quite liberal views on women`s work, with a majority of them espousing a woman`s right to choose whether she works, regardless of her marital or parental status. Fifty-seven percent of all married women endorse the idea of a woman`s freedom to choose to work; among those who grew up in urban areas, attended 12 years of school, and worked before married for non-familial reasons, the percentage rises to 68. This high level of support for wives` employment is surprising, given the strong family tradition that made a woman`s duties as a wife and mother her primary obligation in life, and the recency of mass labor force participation among married women. Although women born at different periods in the past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in their attitude toward wives` employment, three other variables significantly predicted support for women`s employment. These were having grown up in an urban rather than a rural area, having attained a relatively high level of schooling, and having worked before marriage, especially for non-familial reasons. Marked shifts in the South Korean population during the past 3- 4 decades from rural to urban residence, toward secondary school completion, and for women, toward premarital employment in the formal sector of the economy, all suggest that women`s attitudes about the employment of wives are likely to have liberalized considerably during this period. The correlations between urban residence, education, and premarital employment and women`s attitudes also suggest the strong possibility of further liberalization of attitudes in the future. Do women`s attitudes affect actual labor force participation? An earlier analysis of the same data as were used in this analysis concluded that women`s attitudes do not necessarily predict their employment(Kong and Choe 1989). Women`s actual labor force participation was found to be affected more by the perceived attitude of family members such as husbands and parents-in-law than by their own attitude. In addition, the same study reported that in urban areas controlling factors such as presence of young children, presence of older members in the household, and economic conditions of the household, women`s level of education were inversely associated with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her than being directly related, as one would expect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differentials in women`s attitudes found in the current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ent increases in female labor force participation in Korea probaly have not been driven by attitudinal changes. The high level of support for women`s employment expressed by Korean wives, however, suggests that the lag between behavioral and attitudinal changes noted in earlier studies of the United States may be much shorter or non-existent in Korea.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factors that would facilitate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especially among the more educated urban women. Support from family members, improved conditions of employment, making adequate child care available, and sharing of house work by family members are some of the changes that would be likely to facilitate marri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Obviously, Korean women strongly support the idea that a married woman has the right to work if she chooses to. It would appear that for many of these women, especially many of the best educated women in urban areas, significant barriers to their participation and realization of their full human potential still exist.

      • KCI등재

        결혼(結婚)한 부인(婦人)의 시부모(媤父母)와의 동거형태(同居形態)

        김민자 ( Minja Kim ),공세권 ( Sae Kwon Kong ),조애저 ( Ae Jeo Ch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1 保健社會硏究 Vol.11 No.2

        이 연구는 韓國保健社會硏究院이 만15세 이상 기혼부인 2,83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家族機能과 役割에 관한 조사자료를 기초로 旣婚婦人의 媤父母와의 同居樣相과 그 關聯要因을 檢討한 것이다. 旣婚婦人과 媤父母와의 同居는 1960年 이전 결혼코호트에서는 약 3/4에 달했으나 1980년 이후 결혼코호트에서는 1/3로 감소했고, 남편이 長男인 경우는 같은 결혼코호트에서 91%가 47%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점은 산업화로 인한 社會 · 經濟的 要件과 個人 또는 家庭的 要件이 전통규범만을 준수할 수 없게 하는 가운데서 結婚後 父母와의 別居形態가 증가되어 老人의 家族扶養은 별도의 對策이 要求됨을 지적하고 있다. Introduction Korea is known to have one of the most patriarchal family system influenced by the Confucian culture (Lee, 1990 : 118-113 : Tsuya and Choe, 1991). Under the traditional Korean family system, parents select children`s marital spouses and the eldest son brings his bride into his parental home while other siblings form their own households upon marriage, sometimes following a brief period of coresidence with the husband`s parents. Since 1960, Korea has experienced fast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t the same time, women were getting increasingly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more women are participating in the labor force. These changes are likely to have influenced the living arrangements of young married couples. This paper examines the pattern of the postnuptial coresidence of married women in Korea in recent years,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it.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Survey of Family Role in Korea conducted by Korea Institute for Population and Health in 1989. The survey collected information from 2,838 ever married women of ages 15 and over about their marriage, fertility, health status of the family, and their roles within and outside the family. Patterns of post-nuptial coresidence The pattern of post-nuptial coresidence is examined for three marriage cohorts, before 1960, 1960~1979, and 1980 or later. Women who did not have any surviving parents-in-law at the time of marriage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three marriage cohorts exhibit different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rapid socioeconomic changes that took place in Korea in the recent past(Table 3). The post-nuptial coresidence with husband`s family seems to have been the norm for the pre- 1960 marriage cohort. Among them, although only about half of women report that their husbands were first sons, the proportion of women experiencing post-nuptial coresidence is over three quarters. The proportion has dropped to about one third among the post-1980 marriage cohort. The proportion of women living in urban areas is much smaller among the pre-1960 marriage cohorts compared to the other two cohorts reflecting rapid urbanization. The proportion of women whose husbands are first sons are slightly over one half among the pre-1960 marriage cohort and slightly under one half among later marriage cohorts. This reflects the slight increase in fertility during the 1900~1960 period. The most dramatic changes are observed in the parental influence in marriage process. Practically all women who were married before 1960 met their husbands in some formally way or by introduction by someone belonging to the older generation. The proportion of women who met their future husbands through an informal setting (as neighbor, at school, at work, or by introduction by a friend) increased to nearly half of the post-1980 marriage cohort. The final decision of the choice of husband has become more independent from parent`s influence. The percentages of women who lived with their parent (s)-in-law right after marriage are shown in Table 4 by the marriage cohort and selected characteristics of women. The table shows a substantial declining trend in the post-nuptial coresidence. In addition, higher percentage of post-nuptial coresidence is associated with mor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rural post-nuptial residence; younger age at marriage I growing up in rural areas 1 more traditional marriage process 1 and lower of education. Determinants of post-nuptial coresidence This sections examin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net effect of determinants of post-nuptial coresidence for the three marriage cohorts defined in the previous section. We examine (1) residence after marriage, (2) whether husband is first son, (3) woman`s age at marriage, (4) place of growth of woman, (5) place of growth of husband, (6) how woman first met husband, (7) role of parents in choosing husband, (8) woman`s level of education, and (9) year of marriage. The estimated logit regression coefficients are shown in Table 5, and Table 6 shows the estimated percentages of women living with husband`s parents after marriage by marriage cohort and other characteristics that a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uples who lived in rural areas right after marriage experienced higher probability of coresidence with husband`s parents. The post-nuptial coresidence decreased substantially among all women regardless of the level of education, the urban residents showing sharper decrease. The probability of coresidence is about twice larger if husband is the first son compared to other sons.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probability of coresidence is higher if husband grew up in urban areas. Earlier, we no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sidence and place of residence after marriage is the opposite: rural residents are more likely to live with husband`s parents. We interpret this result as being the consequences of the rural-urban migration which is selective on young adults. It is likely that husbands who grew up in rural areas are more likely to have migrated away from home and is less likely to live with parents after marriage, after controlling for other factors in the model. The level of education is found no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xplaining the post-nuptial coresidence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us, the large difference in post-nuptial coresidence by different educational attainment shown in Table 4 seems to be due to other related factors such as post-nuptial residence and age at marriage. In summary, the post-nuptial living arrangement of the young married couples is experiencing rapid changes in Korea. The proportion of couples living with husband`s parents immediately after marriage is declining, especially in urban areas. The first sons are still much more likely to reside with parents after marriage than other sons, but the effect of birth order is weakening.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situational factors such as residence, and rural to urban migration are increasing. The role of women`s education i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post-nuptial coresidence with husband`s parents.

      • 컴퓨터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 관계 연구

        김민자 ( Minja Kim ),김현철 ( Hyeoncheol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1 No.2

        학습자는 교육의 3요소인 교육자, 학습자, 교육내용의 하나로 학습자 특성과 이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컴퓨터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컴퓨팅 교육이 점점 활발해지고 있다.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이라는 맥락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전공자 컴퓨팅 교육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업성취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학습자 특성을 이전경험/사전지식, 인지적 요인, 심리적 요인의 3가지로 분류하였고, 연구대상을 3그룹으로 설정, 다양한 하 위 요소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대상 1의 경우 학습스타일(순차적: 부적상관, 통합적: 정적상관), 대 상 2는 자기 효능감(사후), 대상 3은 수학 사전지식, 컴퓨팅과 전공의 연계성 인식, 정보적 사고에 대한 인식 이 학업성취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상관성이 모두 0.5이하로 크지 않고, 자기 효능감과 전공 연계성 인식의 경우 대상에 따라 결과가 상이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변수에 대한 연구와 상관관계가 밝혀진 변수만을 대상으로 인과성을 확인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현상학적 관점으로 학습자 특성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정보 교과 경험 차이에 따른 대학 전공 선택 및 SW수업 학업성취 분석

        김민자 ( Minja Kim ),김현철 ( Hyeoncheol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6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9 No.3

        한국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롯, SW교육이 국제적으로 내용 및 접근성 측면에서 강화되고 있다. SW교육이 보편성에 초점을 맞춤에 따라, 교육에 대한 단기적 영향 및 효과 뿐 아니라 10-20년 후 학생들에게 미칠 장기적 성과 또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본 연구는 강화된 SW교육이 장기적으로 학생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 예측하기 위해, 현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중등교육에서 정보교과 경험의 차이와 대학에서의 전공선택 및 SW관련 교양 과목의 학업성취도의 차이가 관계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단순한 교과 이수 여부는 전공선택 및 학업성취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지만, 교과 교육 내용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장기적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종단 연구 데이터가 없는 상태에서 본 연구의 설계 및 결과는 제한점이 있지만, SW교육의 장기적 영향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Enhancement of computing education became an international phenominon including South Korea’s revised national curriculum 2015. As the enhancement begins to focus on universal computing education, researches to investigate long-term effect of the enhancement is needed. To explore whether the reinforced computing education will bring which long-term impacts, this study investigated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 on computer subject in their secondary schools, and major selection and achievement in a college computing course. As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of taking the computer subject per se and major selection and achievement, but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contents of the subject, and major selection and achievement. This study has limitation on design and results lacking longitudinal data but contributes emphasizing need of longitudinal study to measure long-term effect of enhancement of computing education and providing clues of what impact it would bring.

      • KCI등재

        SON PREFERENCE AND FAMILY BUILDING DURING FERTILITY TRANSITION IMPLICATIONS ON CHILD SURVIVAL

        Minja Kim Choe(김민자),Seung-Kwon Kim(김승권) 한국인구학회 1998 한국인구학 Vol.21 No.1

        한국에서는 가부장제도를 기초로 한 가족제도의 영향으로 심한 남아선호현상이 계속되고 있으며 또한 출산력은 최근 20여 년 간 급격히 저하되고 있다. 연구사례에 의하면, 한국은 남아선호경향이 세계 여러 나라 중 그 정도가 가장 심한 편이며, 출산력 저하속도 또한 어느 국가보다 빠르게 성취되었음을 보여준다. 이 논문에서는 잔존하고 있는 남아선호태도가 출산력 저하과정에서 출산행태를 통한 가족 형성 과정과 영아 및 유아사망력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살펴본다. 한국을 비롯한 남아선호현상이 심한 나라에서는 출산행태가 남아선호 현상을 크게 반영하며 여아의 영아 및 유아 사망력이 남아보다 높다는 것은 이미 여러 연구 결과가 입증해주고 있다. 이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점은 남아선호, 출산행태, 영아 및 유아 사망력 세 분야가 급격한 출산력저하 과정에서 어떤 상호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먼저, 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남아선호 현상이 심한 나라의 기존 연구결과에 의해 남아선호 현상이 출산행태에 미치는 영향이 출산력 정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가를 보고, 이어서 한국 조사자료(1991년 전국 출산력 및 가족보건실태조사)를 분석하여 출산력저하 과정에서의 남아선호 현상이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분석한다. 또 출산행태 자체가 영아 및 유아 사망력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하여 남아선호 현상과 출산행태의 상호관계가 남ㆍ여아의 사망력 차이를 간접적으로 설명한다는 가정하에 그 차이정도를 검토한다. 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출산행태에 의하면, 현존자녀 중 아들이 없는 경우는 아들이 있는 경우보다 추가자녀를 가질 확률이 훨씬 높으며, 그 확률의 비교차(relative risk)는 출산력 수준이 낮을수록 더 큰 경향이다. 다시 말하면, 출산력저하는 남아선호 현상과 출산행태의 상호관계를 더욱 악화시키는 결과를 보여준다. 합계출산률이 3.3이던 1974년 이전에는 아들이 없는 사람에 비해 아들이 있는 사람은 40% 적게 셋째 아이를 가졌으며, 합계출산률이 1.8이던 1980~84년에는 아들이 없는 사람에 비해 있는 사람이 83% 적게 셋째아이를 가졌음이 추정되었다. 둘째~넷째 아이 중 “아들을 보기 위해서 원하는 아이보다 더 낳은 아이”는 1975년 이전에는 4% 정도였으나 1980~84년에는 13%나 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남아선호 현상은 영아 및 유아 사망력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한국의 영아사망력(0세)은 남자가 여자보다 조금 높지만, 유아 사망력(1-4세)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되어 있다. 출산행태, 특히 출산간격은 영아 및 유아 사망력에 큰 영향을 준다는 점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한국에서도 자신의 출생 후 24개월 이내에 동생이 태어난 아이는 그렇지 아니한 아이에 비하여 5세 이하 사망력이 2. 7배 이상 높게 추정된다. 또한 1971-85년 출생한 아이 중 남아선호와 출산행태간 관계의 결과로 여자아이는 24.1%가 24개월 이내에 동생이 태어난 데 비하여, 남자아이는 18.0%가 24개월 이내에 동생이 태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여자아이의 5세 이하 사망률이 남자아이보다 6% 높은 결과를 야기한다. 일반적으로 낮아진 영아 및 유아 사망력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여자아이들이 남자보다 유아사망력을 경험하며 그 요인의 하나가 남아선호에서 비롯된 출산행태 때문이라는 것은 주목할 만한 점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son preference and fertility behavior, and infant and child mortality in the context of fertility and mortality decline. In Korea the situation reveals that fertility can decline to a very low level even in the presence of strong son preference, but son preference has certain effects on fertility and childhood mortality. The effect of son preference on fertility increased as the level of fertility declined. Our findings show that son preference causes excess female childhood mortality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fertility. Also, in Korea, the analysis reveals that female children suffer excessively high level of mortality and part of the excess mortality is due to parents' behavior on family building related to the effort to secure the birth of a son.

      • KCI등재

        비전공자 프로그래밍 수업 창의적 산출물의 컴퓨팅 사고력 기반 평가 루브릭 개발

        김민자 ( Minja Kim ),유길상 ( Gilsang Yoo ),김현철 ( Hyeoncheol Kim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0 No.2

        고등교육의 비전공자 대상 정보과학 교육의 수요가 늘고 있지만,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적절하게 학생들의 창의적 산출물을 평가하는 도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교육의 비전공자를 위한 정보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개발한 창의적 산출물을 컴퓨팅 사고력 관점에서 평가하는 루브릭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루브릭 초안의 준거틀(framework)은 CT Practices Design Pattern이며, 개발된 루브릭의 구성 요소는 영역, 역량요소, 평가요소, 평가자료, 평가단계의 다섯 가지이다. 루브릭은 `추상화 모델의 설계`, `창의적 산출물의 설계 및 적용`, 그리고 `산출물의 자가 평가`의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개발되었다. 전문가 검토를 통해 내용 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신뢰도 측면의 일관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루브릭은 해당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demand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for non-majors in higher education is increasing but relevant evaluation tools for the students` computational artifacts are lack.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scoring rubric to assess student`s computational artifacts in non-major programming course at Computational Thinking point of view. The rubric was developed based on `CT Practice Design Pattern` as a framework. The rubric consists of `domain, skills, evaluation, evaluating resources, and scales`. Domains are `Design of abstract model`, `Design and application of creative artifacts`, and `Analysis of the artifacts`. Experts reviewed the rubric to ensure contents validity. The rubric is resulted in reliable for consistency. This rubric can be revised and applied to application environment accordingly.

      • KCI등재

        최근(最近) 한국(韓國) 기혼부인(旣婚婦人)의 로동참여(勞動參與)

        공세권 ( Sae Kwon Kong ),김민자 ( Minja Kim Cho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89 保健社會硏究 Vol.9 No.2

        이 論文은 1986年 韓國人口保健硏究院이 실시한 『全國 家族生活逾期調査』資料를 기초로 韓國 旣婚婦人의 勞動參與 樣相을 분석한 결과이다. 社會變動과 관련요인을 단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産業化ㆍ都市化 그리고 近代化에서 뭉둥그려져 진행되는 社會ㆍ經濟的 興件變化는 敎育水?의 향상과 出産力의 저하를 촉진시키고, 家族構造내지 機能의 변화는 女性에게 役割創出로서 就業率의 증가를 엿보게 한다. 이러한 急變狀況에서 傳統价値나 規范 또는 制度와 같은 內的 要因이 社會ㆍ經濟的 興件變化에 뒤따르지 못할 때 葛藤과 混亂은 불가피해 진다. 여거서 우리는 바람직한 女性의 役割이 무엇이며,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혼돈을 느끼게 되며, 또 특정 役割이 社會制度的으로 保障을 받지못한 상태에서는 정당한 평가를 받기 어렵다는 것을 생가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女性들은 家庭內에서의 傳統的인 役割을 모두 감당해야 한다고 믿고, 産業化에 따라 모자라는 일손을 위해서 家庭單位의 事業이나 農業, 또는 家庭과는 독립된 職場을 갖는 성향이 높아지고 이러한 가운데서 二重的 役割葛藤이나 激務에 어려움을 겪게되는 것이다. 이처럼 女性의 役割變化는 변화되는 社會構造에 적응하기 위한 방편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産業化에서 人的資源이나 個人과 家庭福祉를 위해서도 취업에 따르는 문제는 制度的 改善내지 補完이 뒤따라야 하는 課題를 안게된 것이다. 최근의 旣婚婦人의 勞動參與는 都市의 高學歷과 低學歷層, 그리고 農村婦人에서 현저히 높은 수준을 나타내고, 또한 家庭ㆍ經濟水?이 낮은 경우는 出産後 再就業率이 그러지 않은 婦人에 비해 현저히 높다. 물론 이러한 樣相은 아직도 韓國婦人의 낮은 敎育水?과 就業을 위한 專門敎育이 미비해서 女性就業이 보편화 되지 못한 점과, 家事와 병행되는 單純勞動의 參與에서 비롯되는 점이라 하겠다. 그러나 최근의 韓國女性은 敎育機會의 확대로 높은 敎育水?을 원하고, 또한 평균 結婚年齡이 약 24歲로 늦어지면서 結婚後 3年內에 2명정도의 子女를 두고 斷産하려는 추세에 있다. 또 이들 婦人은 結婚時 平均壽命에서 볼 때 약 47歲에서 막내자녀를 分家시키게 되며, 그후 약 23年을 더 살게될 것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婦人은 結婚前에 就業經驗을 갖고 있지만 結婚後에는 그렇지 못한 실정에 있으며, 특히 都市의 高學歷 婦人에서 就業을 않는 경우가 높다고 할 때 이들의 時間과 勞動 潛在力은 어떻게 活用되어야 할지? 이는 國家的 人力資源面에서 의문을 제기할 수도 있다. 이 硏究는 婦人들이 왜 일을 하거나, 하지 않으면, 또한 就業에 대한 관심은 어떠한지를 초점을 두고 분석한 것이다. 就業의 動機와 그 樣相을 단순히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農村婦人의 경우 개인적인 意思와는 관계없이 勞動에 參與할 수밖에 없는 설정에 있으며, 都市婦人은 개인의 意思와 就業은 有意한 관계를 나타내고 있지만 意味는 신뢰성이 매우 약한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女性이 就業을 한 경우는 就業하지 않을 편을, 非就業인 경우는 就業을 選好하는 逆說的인 意味가 단적으로 女性就業의 不安定性을 제시하는 점이라 하겠다. 특히 女性의 就業은 旣婚의 경우 男便이나 家族의 理解와 協助下에서 가능할 수 있으며, 家庭과 독립된 직장을 갖는 경우는 子女의 養育과 家事가 就業에 부정적인 관계에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旣婚婦人의 就業은 家庭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就業의 원활성화 생산성 제고를 위해서 家庭과 職場의 공동노력은 물론 관련 制度의 改善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물론 이 論文은 家族硏究와 관련해서 女性의 役割變化의 하나로서 就業을 다룬 試圖的인 점에 불과한 것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분석을 ``幸福한 家庭生活``이란 무엇이며, 이를 위해서 女性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賢母良妻란 어떻게 해석해야 하며, 점차 높은 敎育水?을 갖는 女性人力을 어떻게 活用해야 하느냐는 점에 관심을 두고, 人口 및 家族構造의 변화와 관련지워 女性의 役割과 就業을 보다 多角的으로 分析할 계획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