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Glass reflow process를 이용한 평면오목렌즈 제작

        김민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초 록 Glass reflow process를 이용한 평면오목렌즈 제작 서울대학교 대학원 전기정보공학부 김민성 렌즈란 굴절률이 다른 매질을 빛이 통과할 때 굴절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빛을 모으거나 분산시켜 상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성질을 가지는 렌즈는 일상생활, 과학연구, 의료, 우주항공 분야등 매우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 영역은 더욱더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렌즈는 연삭 공정을 통해 표면을 갈아서 형성하는데 크기가 작은 마이크로 렌즈의 필요성이 점차 커짐에 따라 반도체 공정을 이용한 제작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감광막, PDMS(Polydimethylsiloxane)와 같은 폴리머를 이용한 렌즈제작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으며 글래스를 이용하여 렌즈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글래스를 이용한 렌즈 제작 방법에 대한 연구는 볼록렌즈 제작법에 관한 비중이 높으며 볼록렌즈와 더불어 중요 광학 부품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오목렌즈를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은 반도체 공정을 이용하여 오목렌즈를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아직 시도되지 않은 글래스 리플로우 공정을 이용하여 구조의 크기를 컨트롤 하였다. 이를 위해 렌즈에 관한 광학 공식을 이용하여 렌즈를 설계하고 설계한 렌즈를 제작하기 위해 하나의 마스크와 글래스 리플로우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오목렌즈를 제작하였다. 한 장의 실리콘 웨이퍼는 170㎛의 캐비티를 DRIE(Deep Reactive Ion Etching)로 형성하고 또 다른 실리콘 웨이퍼는 2000㎛의 지름을 가지는 실린더의 관통공정을 진행한다. 이렇게 준비된 실리콘 웨이퍼와 Pyrex7740 글래스 웨이퍼는 양극 접합을 진행한 후 글래스 웨이퍼가 변형될 수 있도록 675℃에서 5분간 글래스 리플로우를 진행한다. 이 때 Pyrex7740 글래스 웨이퍼의 위에 양극 접합되어 렌즈의 지름을 결정할 관통 실리콘 웨이퍼와 Pyrex7740 글래스 웨이퍼 아래쪽에 양극 접합된 아래쪽 실리콘 웨이퍼와의 압력차이가 렌즈를 형성하게 된다. 이렇게 제작된 렌즈의 표면형상은 알파스텝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렌즈의 새그(sag height)값과 지름은 렌즈에 크롬을 증착한 뒤 현미경 깊이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평면 오목렌즈는 각각 평균 지름 2008㎛, 평균 새그값 163.8㎛, 평균 초점거리 -6.7mm를 갖는다. 본 논문은 MEMS공정을 통하여 단일한 공정조건에서 렌즈를 형성할 수 있으며 mm단위의 크기를 갖는 오목렌즈를 제작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주요어 : Plano concave lens, Glass reflow process, Triple anodic bonding, Lens equation 학 번 : 2015-20894

      • Mini-forming 기술을 적용한 V형 굽힘 시험 시 Mg합금의 미소 역학적 변형 및 파괴거동 분석에 관한 연구

        김민성 순천대학교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Micromechanical deformation and failure behaviors of E-form Mg alloy were investigated using mini V-bending test. Mini-forming technique was suggested to evaluate the bendability of Mg alloy, directly. Formability and bendability of E-form Mg alloy were discussed in terms of minimum bending radius. Microtexture evolution through thickness direction in the deformed Mg alloy was examined via electron back-scattered diffraction (EBSD) technique. Two level simulation technique which combined continuum finite element method (FEM) and crystal plasticity FEM (CPFEM) successfully simulated the microtexture evolution in Mg alloy during V-bending test. The effect of deformation twinning on the failure in Mg alloy was also examined.

      • Fluorene을 기반으로 한 공액형 고분자와 SWNT의 초분자적 거동 및 형광특성

        김민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otential utility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in numerous areas, such as molecular wires and electronics, sensors, high-strength fibers, and field emission displays, is now well recognized. However, the inherent insolubility of SWNTs in most organic and aqueous solvents is a major limitation to the solution-phase manipulation and processability of these structures, greatly hindering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carbon nanotubes in real devices.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 groups have focused on the functionalization of carbon nanotubes. The primary focus of many of these studies has concentrated on improving the solubility properties of nanotubes. A series of the supramolecular complexes of conjugated rod-like segments of oligo(9,9-didodecylfluorene-2,7-diyl) (PF) with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SWNT)s were prepared. Conjugated PF block segments with various end-functional uni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cific interaction with SWNTs on the dispersion of SWNTs in selective solvents. The fluorescence behavior of the PF segments, coupled with SWNT and the morphology of the complexes of PF/SWNT were also investigated. Based on our measurements, the π-π stacking binding interaction between PF and SWNT and the resulting dispersion characteristics of SWNTs was modulated by changing the end functional units of PF.

      • 폐수 내 중금속과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기능성 세라믹 분리막 시스템 적용

        김민성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금속 이온은 채광, 금속표면처리, 도금, 유리, 섬유, 세라믹, 반도체와 전지 등 다양한 산업에서 배출된다. 중금속 이온에 의한 수질오염은 유기체에 대한 유해성과 생물농축에 의해 인간과 수생 생물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간과 수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다량의 중금속 이온으로 오염된 산업 폐수를 정화해야한다(Godwin et al., 2019). 산업 폐수 내 중금속 이온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물리화학적 처리 방법은 부상, 침전, 산화, 용매 추출, 증발, 흡착, 전기화학, 생분해, 이온교환 및 막 여과가 있다(Crini and Lichtfouse, 2019). 그 중 막 여과에 사용되는 고분자 분리막과 세라믹 분리막 중 세라믹 분리막은 고분자 분리막에 비해 우수한 열적,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다(Lee et al., 2020). 세라믹 분리막의 표면은 친수성이기 때문에 내구성이 높고 막 오염이 적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Chang et al., 2020). 또한, 폐수처리 시설의 소형화가 가능하고 고압 운전으로 콜로이드 입자와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때문에 산업 폐수처리에 있어 적합하다(Ahmad et al., 2018). 그러나 고압 운전이 가능한 분리막은 막의 기공 크기가 중금속 이온과 같은 이온성 오염물질보다 크기 때문에 이온성 오염물질 제거에 효과적이지 않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Yin et al. 2016). 세라믹 분리막 공정을 적용하여 폐수 내 이온성 오염물질의 제거율을 높이기 위해서 오존이나 이온교환 공정과 결합하거나(Jiang et al., 2013; Park et al., 2011; Stylianou et al. 2015), 세라믹 분리막의 표면에 산화철과 이산화지르코늄 같은 나노 크기의 무기물을 부착시키는 방법(Dzyazko et al., 2014; Sabbatini et al., 2010; Sklari et al., 2015)과 세라믹 분리막 지지체의 표면에 키토산,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고분자를 코팅하는 방법(Jana et al., 2011; Nandi et al., 2009) 등 기능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부착된 나노 무기물은 지지체와 분리되어 2차 오염 발생 가능성이 존재하고(Kim et al. 2010), 고분자는 내화학성, 내열성이 낮기 때문에 다양한 폐수에 적용하기 어렵다(Barroso et al., 2019). 또한, 폐수 내 이온성 오염물질 처리가 용이하며, 세라믹 분리막 공정에 결합 가능한 섬유형태의 이온교환 공정은 이온교환수지보다 관능기까지의 이온의 확산 거리가 짧고 섬유를 따라 존재하는 다량의 관능기로 인해 높은 흡/탈착 속도와 우수한 흡착능을 보인다(Aung et al., 2017; Lee et al., 2017; Lee et al., 2017; Lee et al., 2018). 또한,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비교적 손실수두가 적다. 대부분의 이온교환섬유 모듈은 고정상 컬럼 형태 혹은 카트리지 형태로 사용한다(Fard et al., 2018; He et al., 2019; Pendergast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폐수 내 중금속 이온과 부유물질을 동시에 제거하기 위해 세라믹 분리막과 부직포 형태의 이온교환섬유를 각각의 공정으로 분리하지 않고 세라믹 분리막과 이온교환섬유를 결합한 기능성 세라믹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다양한 pH 조건에서 세라믹 분리막과 이온교환섬유의 중금속 이온 제거 특성을 파악하였고, 중금속 이온의 제거 기작은 지화학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추정하였다. 기능성 세라믹 분리막 시스템에 의한 중금속 이온 As(V), Zn(II) 및 부유물질의 제거효율은 역세척 및 재생 공정을 포함하여 구축한 분리막 시스템에서 평가하였다. Ceramic membrane is one of various physical methods that remove heavy metals from wastewater and has been widely used to purification, desalination, fuel cell and etc. This study aims at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a ceramic membrane system combined of an ion exchange fabric and the removal efficiency of both heavy metals and suspended solids in wastewater. The removal rate of As(V) and Zn(II) by the functional ceramic membrane system has been compared with a ceramic membrane. The removal rate of As(V) and Zn(II) by the ceramic membrane increased with solution pH, while turbidity was completely removed regardless of the solution pH. The main removal mechanisms of As(V) were adsorption at solution pH 6 and precipitation at solution pH 8. The dominant mechanism of the Zn(II) removal was the phase change at both solution pH values.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ion exchange fabric was influenced by the solution pH, and the maximum removal rate of As(V) occurs at solution pH 4. The As(V) adsorption capacity of the ion exchange fabric reached equilibrium within 120 minutes. The ion exchange ability of the ion exchange fabric was compared with commercial ion exchange fibers. The regeneration efficiency of the ion exchange fabric using 0.1M NaCl solution was slightly decreased as the regeneration cycle increased, and it above 89% of the initial value after three regeneration cycles. The functional ceramic membrane system has removal rate of As(V) and Zn(II) more than 80% at solution pH 6 steadily The reduced flow rate and removal capacity of functional ceramic membrane system during continuous processing were recovered through a backwash process.

      • 다축대각단조 공정 시 구조재료의 미세조직 및 미소역학적 변형 거동에 관한 연구

        김민성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신개념 강가공 공정인 다축대각단조(multi-axial diagonal forging, MADF) 공정을 활용하여 초미세립(ultra-fine grained, UFG) 구조의 Al 및 Fe 합금 소재를 제조하고, 공정 시 발생하는 변형 미세조직 및 미소역학적 변형 거동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또한 변형된 소재의 기계적 물성을 평가하고, 미세조직학적 인자와의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공정 시 발생하는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MADF 공정의 구성 및 공정 단계별 미세조직학적 기초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변형 소재의 상용화 가능성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총 4개의 Chapter로 구성되며, Chap. 1, 2, 3는 AA1100 합금을, Chap. 4에서는 IF-steel을 활용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Chap. 1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AA1100의 변형 불균일성에 미치는 다축단조 유형의 영향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3가지 단조 공정(Route A=conventional MAF process; Route B=MADF-ver1 process; Route C=MADF-ver2 process)에 따라 가공품에 발생하는 변형 불균일성 및 정수압 분포를 이론적으로 예측하였다. Route A와 B 공정 시 가공품 내 중앙 및 각 꼭지점(corner) 영역별로 불균일한 변형 분포로 발달하였다. 이에 비해 Route C 공정 시 상대적으로 균일한 변형 분포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정수압은 다축대각 단조공정 시 균열이 없는 가공품 제조를 판단할 수 있는 인자이다. Route C 공정 시 Route A와 B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정수압이 발달하여, 안정적인 공정 수행과 동시에 완전한 초미세립 구조 소재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Chap. 2에서는 MADF 공정을 구성하는 단조 유형에 따라 AA1100에 발생하는 미세조직학적 변형 불균일성을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Type-P와 Type-D 단조 공정에 의해 변형된 가공품 내 영역별 경도, 변형 미세조직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 결과로부터 가공품 내 soft 및 hard-zone의 발생 위치나 정도는 단조 유형의 영향이 큰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ype-D 단조 시 Type-P 단조에 비해 소재 내 발생하는 변형 불균일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을 실험·이론적 측면에서 도출할 수 있었다. SPD 공정을 활용하고자 하는 대표적인 목적으로 초미세립 구조의 소재를 제조하여 혁신적인 물성 향상을 달성하려는 것에 있다. 극심한 소성변형을 부여하여 국부적인 결정학적 방위 구배가 발생하고, 다양한 변형 조직으로의 세분화를 유도시킨다. Chap. 3에서는 미시집합조직 분석, rate-sensitive model, 결정 소성 유한요소해석(crystal plasticity FEM, CPFEM) 모델을 활용하여 MADF 공정의 PF 및 R-PF 공정 시 발생하는 변형띠(deformation band, DB) 조직에 의한 미세조직 세분화 현상을 규명하였다. PF 공정 이후 변형된 결정립 내 저각입계로 구분되는 희미한 띠들이 관찰되었으며, R-PF 공정 이후에는 결정립 내 고각입계로 구분되는 DB가 다수 관찰되었다. 다양한 영향 인자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PF 시편에서 관찰된 희미한 띠들의 내·외부 영역 간 방위 안정성의 차이가 커 R-PF 공정 시 불균일한 변형 분포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었다. CPFEM 해석을 통해 PF 공정 시 발생한 방위 안정성의 불균일성은 R-PF 공정 동안 DB 조직 형성에 주요 원인으로써 작용하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Chap. 4에서는 FCC 구조가 아닌 BCC 구조를 갖는 IF-steel 합금을 이용하여 MADF 공정을 수행하고, 변형 미세조직과 기계적 물성간 상관관계를 평가하였다. Chap. 1에서 고려한 Route C 공정을 1~4 Cycle 동안 반복하여 가공품을 제조하였고, 결정립 미세화 현상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적으로 분석하였다. Cycle 수가 증가할수록 결정립 미세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Center 영역에서 가장 미세한 결정립으로 발달하였다. 또한 평균 불일치각 및 고각입계의 분율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가공품 내 GND 밀도는 공정 시 발생한 동적 회복에 의해 Cycle 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미미한 차이로 분석되었다. 결정립 미세화 현상에 의해 Cycle 수가 증가함에 따라 항복 강도는 점차 증가하였으나, 동적 회복에 의해 GND 밀도의 차이가 미미하여 파단 연신율의 변화는 미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지하공동구 현장실측과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결로방지에 관한 연구

        김민성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지하공동구는 2종 이상의 지하시설로써 현대 도시생활에 필요한 각종 인프라 시설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중요 기반 시설이다. 공동구는 도심의 지형적 제약을 극복하며 지하공간을 활용하고, 현대 정보화 사회의 필수적인 통신 및 전력케이블과 같은 인프라 시설을 구축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기반시설이다. 최근 신도시에도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계속해서 설치되고 있으나 지하공간 특성상 단열재, 환기 부족으로 인한 결로 발생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지하공동구의 결로현상은 열을 배출하는 지역난방배관, 전력선 등과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방배관, 상수도배관, 하수배관 등에 의한 내부온도 차이로 발생한다. 지하공동구 내부에 발생된 결로는 배관의 부식, 누전, 누수 및 단열재의 단열 성능 저하 등 전체 시설물 노후화의 원인이다. 또한 전력구의 전선케이블 부식에 의한 누전은 화재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더 큰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로는 지하공동구 구조체와 그곳에 있는 시설물인 전력선이나 상수도배관 등에 발생하는 경우 앞에서 언급한 여러 문제점을 일으키게 되는데, 지하공동구의 필요성과 시설관리를 위한 작업자의 실내공기질 등을 고려하여 외부의 공기를 이용한 해결책이 될 수 있으며, 따라서 강제환기는 결로가 발생하는 지하공동구의 개선방안 중 최선의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하공동구의 현장실측을 바탕으로 결로가 진행 중일시 이를 강제환기로 결로를 저감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력구는 설비구보다 약 1℃∼7℃ 온도가 낮고 약 16%∼33% 상대습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전력구의 바닥의 물 고임 현상 있어 이는 빗물과 지하수의 유입 등에 이유로 판단된다. 또한 전력구는 외부와 개구된 점으로 외기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 생각되며, 여름철 측정시(8월)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어 전력구 구조체 표면에 결로가 발생한다고 판단된다. (2) 설비구는 지역난방 공급관과 회수관에 약 40℃의 열원이 있어 전력구보다 온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이는 전력구에서 설비구로 개구된 급기구에 고온다습한 공기가 유입되어도 설비구의 노점온도가 표면온도보다 높아 결로가 발생이 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3) 강제환기시 전력구와 설비구의 노점온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공동구 내에는 적절한 수준의 환기가 되지 않아 시뮬레이션을 통한 풍량별 결로저감에 대해 분석하였다. (4) Fluent 시뮬레이션 결과 풍량 증가에 따른 온도변화는 전력구와 설비구에서 미비했다. 상대습도는 풍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대 약 20%까지 감소하였고, 반면 공동구 내의 상부측은 70%∼90%로 높아 결로 예상지점으로 판단된다. 노점온도 분석결과 풍량이 300CMH 증가함에 따라 전력구와 설비구에서 약 0.4℃∼1℃ 낮아졌다. (5) 지하공동구 현장실측시 결로가 발생된 전력구의 표면온도는 약 22℃로 노점온도 이상으로 되기 위해선 1200CMH의 증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계류된 FPSO의 비선형 운동해석

        김민성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래 들어 해저유전 개발이 증가하면서 심해역 및 한계유전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고정식 해양구조물에 비해 수심에 제한을 덜 받고 단기간 내에 설치 가능한 해양설비인 FPSO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FPSO는 수십 년에 걸쳐 일정한 해역에 계류되어 운용되므로 실제 해상상태에 존재하는 주요 환경외력인 파도, 조류, 바람을 고려한 운동해석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하고, 이를 위한 정확한 환경하중의 추정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점 계류된 바지형 FPSO에 작용하는 환경하중을 추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간영역에서의 운동응답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3차원 패널법을 이용하여 동유체력 계수와 선형 파랑하중을 구하고, 저진동 표류력은 2차 전달함수를 사용하여 Pinkster의 직접적분법으로 계산하였다. 풍하중의 계산은 API-RP2SK에서 추천한 바람 스펙트럼과 Isherwood의 풍동 실험 결과를 이용하였다. 또한 점성에 의한 성분이 대부분인 조류에 의한 하중은 상용 CFD 코드를 사용하여 추정한 후, 내삽법에 의해 시뮬레이션에 적용하였고 과거 관련 자료 및 최근 연구 결과와 비교하였다. 계류력은 catenary 체인을 사용한 준정적 해석을 수행하였고, 천이 운동을 고려하기 위해 시간 기억함수를 이용하였다. 본 해석에 앞서 수치코드 및 시간영역해석의 검증을 위해 반구를 이용하여 해석해와 비교하였다. 반구의 해석을 통한 수치코드의 유효성과 CFD를 이용한 조류력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파도, 바람, 조류 각각의 하중에 의한 운동응답과 세 가지 환경외력이 조합되었을 때의 운동응답을 구하였다. 이와 더불어 계류된 FPSO의 표류 정도를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로 각 환경외력이 FPSO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Recently, the developments of offshore oil fields in the deep ocean are going with activity. With like this tendency, there has been growing demands of FPSO(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 which has many advantages over fixed offshore structures in deep sea. Moored FPSO is operated in a sea area for long time and sea states affect its motion. So the motion analysis of FPSO in environmental loads like waves, currents and winds is necessary. To verify numerical code, the simulated motions of hemisphere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Havelock. Low frequency second order wave exciting forces are predicted by using the direct integration method and wind loads are calculated from standardized wind load coefficients of API. Specially, current loads which are difficult to find in accordance with hull shapes are estimated using a commercial CFD code. The mooring forces are quasi-statically computed from the catenary equation. In this paper, environmental loads acting on spreading moored FPSO are estimated and its nonlinear motion in waves, currents and winds is simulated in time domain.

      • 환경조건에 따른 보수용 폴리머 모르타르의 적용성

        김민성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concrete has been used as a road pavement material for decades in korea. However, it has been reported that concrete pavement has several problems due to mechanical and material properties of the concrete. Unexpected load due to overloaded vehicle and drying shrinkage of the concrete causes the crack, pothole, and spalling to concrete pavement. Many studies for polymer concrete has been performed to repair and prevent the demage of the concrete pavement.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experi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mer type and curing temperature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mer mortar. Setting time of two types of polymers, hardening-delayed polypoxy(HDP) and rapid hardening polypoxy(RHP), was tested to check the working time. Additionally,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was investigated for mortars using these polymers. The setting time of both HDP and RHP was delayed with the lower curing temperature. As the curing temperature increased from 20℃ to –20℃, the tensile strength of RHP decreased by 35% and the tensile strength of HDP decreased by 60% relative to that at the curing temperature of 20℃. The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RHP mortar at the curing temperature of 20℃, 0℃, and -20℃ at the curing age of 24h were 93%, 93%, and 91%, respectively, relative to those at the curing age of 168h. It was confirmed from these test results that, irrespective to curing temperature, RHP mortar at the curing age of 24h develops the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to maximum properties. On the other hand, The flexural strength,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of HDP mortar at the curing temperature of 20℃, 0℃, and -20℃ at the curing age of 72h were 91%, 81%, and 80%, respectively, relative to those at the curing age of 168h. It was confirmed from these test results that, irrespective to curing temperature, HDP mortar at the curing age of 72h develops the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to maximum properties. As the curing temperature decreased from 20℃ to –20℃,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HP and HDP mortars decreased by 22.8% and 62.7%,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should be noted that HDP mortar is more sensitive to the curing temperature. Consider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working time, it can be concluded that HDP mortar is suitable for hot weather condition, whereas RHP mortar is suitable for cold weather condition.

      • 1930년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의 이념과 성격

        김민성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Independence Party was established in Shanghai on Jan. 25, 1930 for the integration of independent activists focusing on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t was a party for independence movement established to solve or overcome the ideological dispute after the failure of the “National Consolidation Movement” in Oct. 1929. The ideolog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is shown through its platform and policy’s ideology and character. The party’s platform is the basic ideology pursued by the party while the party’s policy is the detailed code for realizing the basic ideology. Korean Independence Party platform and policy was made by 7 initial members such as Yi Dongnyeong, Ahn Changho, Jo Wangu, Lee Yupil, Kim Dubong, Ahn Gonggeun, and Jo Soang. Among 7 initial members, the person who stands out was Ahn Changho. After the national representative meeting, he often visited US and China to argue for “Korean Cooperation Movement”. He thought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at that time was the independence of Korea from Japan. In addition, he argued that the ideology and idea for getting independence is not critical. He thought that it would be OK even if we discuss on the system of the new Korea only after Korea achieves the independence from Japan. His ideas are well shown in his Samildang speech in 1926 and his letter to Hongeon or his friend Hongeon. Up t now, his idea “Daegong” has not been well identified or studied. But, his argument shown in the “National Cooperation Movement” was not much different from it. In addition, his idea of “Daegon” was reflected on the platform and policy for Korean Independence Party. It is because in the platfor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the idea “fully take back Korea’s land and sovereignty from Japan” and Korea’s independenc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precious goal. The platform of Korea Independence Party in 1930, was not different from those for Korean National Party, reconstructed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Integrated Korean Independence Party”. It means that the platfor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remained until 1940 with the policy being changed a little. However, in 1942 when People’s Revolution Party participated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Provisional National Parliament, there was a suggestion that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should be changed to the ideology of Samgyun. Cha Riseok prepared the “The draft theoretical syste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platform” to refute the argument for changing the platform and policy of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to the ideology of Samgyun. “The draft theoretical syste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platform” was made of 5 chapters and among them, what was critical was Chapter 5. Chapter 5 “explanation of ideology of Samgyun” argued that due to three reasons,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 Independence Party cannot be changed to the ideology of Samgyun. The argument that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was based on the Jo Soang’s ideology of Samgyun is not correct. Rather than that, it is confirmed that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was much affected by Ahn Changho’s idea of Daegong.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 Independence Party in 1930 were passed down to those for Korea People’s Party in 1935, those for reconstructed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then those for Integrated Korea Independence Party. In addition, the “The draft theoretical system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platform” prepared by Cha Riseok in 1942 clearly shows that the platform and policy of Korea Independence Party was not affected by the ideology of Samgyun. On top of that, it is confirmed that Ahn Changho’s idea of Daegon which has not been well known up to now were reflected on the platform and policy of conduct of Korean Independence Party. 韓國獨立黨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독립운동계의 통합을 위해 1930년 1월 25일에 上海에서 결성되었다. 1929년 10월 ‘민족대당촉성운동’의 결렬 이후 파벌적 대립을 청산, 극복하기 위해 만들어진 독립운동 정당이었다. 한국독립당의 이념적 지향은 黨義·黨綱을 통해 나타나고 있다. 당의는 정당이 추구하는 기본이념이며, 당강은 기본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강령이다. 한국독립당의 당의의·당강은 이동녕, 안창호, 조완구, 이유필, 김두봉, 안공근. 조소앙 등 7명의 기초위원에 의해 만들어졌다. 7명의 기초위원 중 주목해야할 인물은 안창호였다. 그는 국민대표회의 이후 미국과 중국을 오가며 ‘민족대당촉성운동’을 주창하였다. 안창호는 우리나라의 독립이 가장 최우선적인 과제라고 생각하였다. 또한 이를 이루기 위한 사상과 주의는 크게 상관없다고 하였다. 이를 통해 독립을 맞게 되면 이후에 새로운 국가에 대한 제도를 논해도 된다고 한 것이다. 이러한 내용은 1926년 삼일당 연설과 1931년 그의 동지인 홍언에게 보낸 서한 등을 통해 잘 드러나 있다. 그동안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대한 실체가 제대로 규명이 되지 않았으나, ‘민족대당촉성운동’에서 주장한 내용이 대공주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이었다. 그리고 그의 대공주의가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의 제정과정에서 반영되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한국독립당 당의에서 “국토와 주권을 완전광복하고”라며 우리나라의 독립을 최상의 목표로 삼았기 때문이다. 1930년 한국독립당 당의는 한국국민당, 재건 한국독립당, ‘통합 한국독립당’ 당의와 차이가 없었다. 즉 한국독립당 당의가 1940년까지 큰 변함없이 유지된 것이다. 당강만 약간 바뀌었을 뿐이었다. 하지만 1942년 민족혁명당이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에 참여하는 상황에서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을 삼균주의로 바꿔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었다. 차리석은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을 작성하여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을 삼균주의로 바꾸자는 주장에 대해 반박하였다.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주목해야할 장은 5장이다. 5장 “삼균주의론에 대한 설명“에서는 세 가지 이유를 들어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을 삼균주의로 바꿀 수 없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동안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이 조소앙의 삼균주의에 의해 제정되었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른 것이었다. 오히려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에는 안창호의 대공주의에 영향을 크게 받은 것으로 확인된다. 1930년 한국독립당의 당의·당강은 1935년 한국국민당, 재건 한국독립당, 1940년 ‘통합 한국독립당’의 당의로 이어지고 있었다. 그리고 1942년 차리석의 「한국독립당 당의의 이론체계 초안」은 한국독립당 당의·당강이 삼균주의에 의한 것이 아니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뿐 아니라 실체가 분명하지 않던 안창호의 대공주의가 한국독립당 당의·당강 제정에 반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