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목재(廢木材) 활용(活用)을 위한 플라즈마 처리(處理) 효과(效果)에 대한 연구(硏究)

        김미미,임중연,Kim, MiMi,Lim, Joong Yeon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3 資源 리싸이클링 Vol.22 No.2

        In this study, surface modification of wood powder by atmospheric pressure plasma treatment was investigated. The composites were manufactured using wood powder and polypropylene(wood powder : PP = 55 wt% : 45 wt%). Atmospheric pressure plasma was treated as condition of 3KV, $17{\pm}1$KHz, 2 g/min. Helium was used as carrier gas and monomer such as hexamethyl-disiloxane(HMDSO) was used to modify surface property by plasma polymerization. The tensile strength of untreated waste wood powder(W3) and homogeneous wood powder(H3) were about 18.5 MPa, 21.5 MPa while the tensile strength of plasma treated waste wood powder(PW3) and homogeneous wood powder(PH3) were about 21.2 MPa, 23.4 MPa, respectively. And tensile strength of W3 and H3 were improved by 14.6% and 8.8%,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for mechanical property, morphological analysis, we obtained improved interfacial bonding of polypropylene and wood powder modified by plasma treatment. 본 실험에서는 상압플라즈마에 의한 목분의 표면개질에 대해 조사하였다. 복합재는 목분과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목분 : 폴리프로필렌=55wt% : 45wt%). 상압플라즈마는 carrier gas로 헬륨과 HMDSO를 모노머로 사용하였고 3 KV, $17{\pm}1$KHz, 2 g/min의 조건에서 처리하였다. 폐목분의 인장강도는 상압플라즈마 처리를 통해 18.5 MPa에서 21.2 MPa로 14.6% 증가하였고 단일수종목분의 경우에도 21.5 MPa에서 23.4 MPa로 8.8% 증가하였다. 이것으로 상압플라즈마 처리는 목분의 표면을 개질하여 폴리프로필렌과의 계면결합력을 증가시켜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언어의 바깥, 글쓰기의 윤리 - 최하림의 후기 시세계를 중심으로

        김미미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9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0 No.3

        이 글은 최하림의 제4집에서부터 발견되는 ‘풍경’을 동반한 외적 변화에주목하여 이것이 그의 전체 시세계 안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에 대해분석하고자 한 글이다. 그가 제4집 이후의 후기 시세계에서 보여준 외적변화는 이전 시세계와 내적 연관성을 지닌 것으로서 풍경과 풍경의 화행적차원인 침묵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최하림이 보여준 풍경은 그가 등단 초기부터 일관되게 지녀왔던 문학과 언어에 대한 자의식 및 사회와 개인의 관계에 대한 물음을 융합하여 제3의 국면을 펼쳐 보인 것으로 언어의폭력성 및 언어와 사물 사이의 거리에 대한 인식이 무한한 타자성에 대한인식과 결합하여 얻은 열림의 세계이며 언어의 이미지화를 통해 실현된다. 최하림이 보여준 풍경의 화행적 차원이자 윤리적 실천으로서 침묵은 말하지 않기를 택함으로써 취한 언어에 내포된 사물의 살해에 대한 거부이자상징계의 질서에 대한 저항이다. 이는 다시 주체의 소멸을 통해 비인칭의기억을 떠오르게 하여 부재의 공동체를 긍정하는 윤리적 차원을 그의 글쓰기에 도입하는 역할을 한다. 결과적으로 최하림이 후기 시세계에서 보인외적 변화로서 ‘풍경’은 침묵을 통해 실천된, 그의 전체 시세계를 관통하는‘윤리’라는 내적 연관성의 다른 외피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landscape throughout the entire poetic world of Choi Ha-rim, noting the external changes that have been accompanied by the landscape since his fourth collection of poems. The external changes in his poetic world after the fourth collection are internally related to the former poetic world and can be examined by dividing it into the landscape itself and the silence as a speech-act dimension of the landscape. Choi Ha-rim presents a third phase by combining his self-consciousness in literature and language with questions about social-personal relationships, which he has consistently held since the beginning of his literary career, in other words, that is the landscape. For him, the landscape is the world of openness that has been achieved by combining the violence of language and the perception of distance between language and things with the perception of infinite typography, and are realized through the imagination of language. Also, the silence as a speech-act dimension of the landscape becomes a rejection of the killing of objects in the language chosen as a means of silence and resistance to the order of symbols. This, in turn, serves to bring back the memory of impersonality through the disappearance of the subject, thereby introducing an ethical dimension in his writing that affirms the community of the absence. As a result, the landscape, as the external changes in the later period of the fourth collection of Choi Ha-rim, is a different surface, where the inner relation of ethics through his whole poetic world is realized through silence.

      • KCI등재

        ‘운동으로서 문학’의 미적 범주 연구 — 오월시 동인의 미적 전략을 중심으로 —

        김미미 현대문학이론학회 2020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1

        ‘운동으로서 문학’을 미적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 이 연구는 오월시 동인지를 대상으로 삼아 형식적 실험으로서 장시 및 다른 예술 장르와의 연합으로서 판화시집 발행이라는두 가지 미적 전략에 주목하여 이것이 궁극적으로 어떤 미적 범주로 설명될 수 있는지를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형식적 실험으로서 장시는 운율의 무의미화와 부름의 행위를 통해항구적 현재성을 얻고 독자를 증인의 자리에 세움으로써 질적 전이를 통한 수행성을 획득함을 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판화시집의 발행을 통해 장르융합을 꾀하였는데 이는 예술계의 연대를 통한 양적 팽창과 더불어 질적 변이를 통한 사회의 변혁을 노린 것이었다. 판화가 지닌 태생적 전위성뿐만 아니라 복제성이 지닌 질적 변이의 과정은 오월시 동인이의도하였던 예술에 힘을 부여하고 사회변혁을 이끌 수 있는 동력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오월시 동인이 행하였던 미적 전략으로서 장시의 실험과 판화시집의 발행이 지닌 의미는거대한 사회적 악 혹은 절망에 맞서 그것의 내면화를 거쳐 통어할 수 있는 것으로 전환하고자 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었다. 그들은 불가능한 상황 앞에서 그것을 미적인 것으로넘어서려는 실천을 행했고 이는 심미적 행위를 통해 윤리적 주체로 거듭난 것으로 설명할수 있다. 즉 오월시 동인이 미적 전략을 통해 얻고자 했던 힘과 자유는 불쾌를 쾌로 바꾸는 인간의 내적·정신적 능력의 발현으로서 숭고로 범주화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

        어휘사 연구를 활용한 ‘표준 어휘-방언 어휘’에 대한 태도 교육

        김미미 우리말학회 2012 우리말연구 Vol.31 No.-

        이 글은 어휘사 분야의 연구를 활용하여 ‘표준 어휘-방언 어휘’의 관계에 대한 올바른 태도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기존의 국어교육에서 시행해 온 표준 어휘-방언 어휘에 대한 교육 내용을 검토하고 그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국 어 교육에서는 표준 어휘-방언 어휘에 대한 태도 교육을 가치 차원에서만 접근하는 경향이 있었다. 물론 방언 어휘에 대한 기존의 가치적 교육 내 용이 유의미한 것임은 분명하지만, 그것만으로는 표준 어휘와 방언 어휘 에 대한 그릇된 시각을 수정하기에 부족한 점이 있다. 다음으로 어휘사적 관점에서는 표준 어휘와 방언 어휘의 관계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어휘(벌레[蟲])를 통해 살펴보고, 그 결과를 표준 어휘와 방언 어휘 에 대한 태도 교육에 적용시켜 보았다. 앞으로 어휘사 분야에 축적된 성 과물들을 활용하여 방언 어휘를 올바른 시각에서 교육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할 수 있는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문병란 시세계에서 제1시집 『문병란시집』의 위상 재고(再考) - 『문병란시집』과 『정당성』을 중심으로

        김미미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8

        The existing studies on the poetic world of Moon Byeong-ran, which is represented by the keyword of 'people' or 'participation,' have (un)consciously concealed or excluded Moon Byeong-Ran's poetry collection, his virgin poetry. This paper try to diagnose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and suggest a place properly or a place where should be placed in the literary world. Most of the studies have classified and judged the works in Moon Byeong-Ran's poetry collection[『문병란시집』] as exceptional, and placed the second poetry Justification[『정당성』] at the beginning of the poem world. Then, looking at the fact that this paper tried to draw the topographical map of the literary world, the work of clarifying the poetic difference against the poetry of Moon Byeong-Ran's poetry collection and Justification can provide clues to solve such a problematic situation. The works of the first collection of poetry focused on self-consciousness and linguistic formations were regarded as having a tendency to be different from other poems after that. However, given the apparent fact that Moon Byeong-ran's literary foundation lies in postwar literature, the evaluation of the first collection should be reconsidered. In the process of reevaluation,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specificity of Korean postwar literature and acceptance of existentialism. Existentialism in Korean literature in the 1950s, while incorporating postwar anxiety into its form of self-consciousness as a form of exploring self-consciousness, This is because the politics of this has provided a stepping stone to the future of participatory literature.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Moon Byeong-ran's modernistic aspect shown in the first poetry and the participative aspect shown in the poetic world after the second poetry are all created with the same literary foundation as postwar literature and existentialism. ‘민중’ 혹은 ‘참여’라는 키워드로 대변되는 문병란의 시세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그의 제1시집인 『문병란시집』을 (무)의식적으로 은폐 혹은 배제하고 있었다. 본고는 그와 같은 문제적 상황을 확인하고, 그의 시세계에서 『문병란시집』이 놓여 있는, 혹은 놓여 있어야 할 자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자의식과 언어적 형상화에 치중한 제1시집의 작품들은 그동안 별개의 것으로 평가받고 있었지만 그의 문학적 토대가 전후문학이라는 사실을 고려할 경우 작품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재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재평가의 과정에는 한국 전후문학과 실존주의 수용이 지닌 특수성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1950년대 한국문학에서 실존주의는 전후의 불안의식을 내재화하면서 자의식을 탐구하는 형태로 모더니즘과 결합하여 수용되면서도 실존주의 문학이 가진 정치성이 이후 참여문학으로 나아가게 되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기 때문이다. 결국 문병란이 제1시집에서 보여주었던 모더니즘적 면모와 제2시집 이후의 시세계에서 보여주었던 참여적 면모는 모두 전후문학과 실존주의라는 동일한 문학적 토대를 두고 발아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