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식공간의 플라워디자인 조형 표현에 관한 연구

        정소연(Jung, So-Yeoun),이인옥(Lee, In-Ok),김명희(Kim, Myeoung-Hee) 한국식공간학회 2010 식공간연구 Vol.5 No.1

        Dining space of today is simply not the place for an appetite sufficiency but a piece of rest spirit and it is becoming the space of communication in friendship planning and social. Therefore, the dining space of today was demanded inclined the function, decorate and psychological thing. The flower decoration which in dining space does a big role with decorate element is embossed, it is used widely in the dining space. According to the insufficiency of the previous studies in a flower design in a dining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 limit to the analysis. In the situations which a flower design in a dining space is applied by a sense without the standards while there are not the enough definite guides about it, the constant studies and the academic theorization of the types of a flower design in a dining space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서울여자대학교 옥상녹화 지역의 식물 종 증감 및 토양환경 특성 변화

        이상진 ( Sang Jin Lee ),박관수 ( Gwan Soo Park ),이동근 ( Dong Kun Lee ),이은희 ( Eun Heui Lee ),장성완 ( Seong Wan Jang ),김명희 ( Myeoung Hee Kim ),길승호 ( Sung Ho Kil ),이항구 ( Hang Goo Lee ),장관우 ( Kwan Woo Jang ),박범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3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6 No.6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lant species and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on green roofs established at Seoul Women`s University in 2005, 2006 and 2007. The plant species and soi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in 2013. The areas of green roof sites ranged 90~100m2. There were floras of vascular plants of 12 families, 20 genera and 22 species in the 2005 site, 24 families, 37 genera and 38 species in the 2006 site, 14 families, 27 genera and 31 species in the 2007 site. The total number of plant species decreased in 2005 and 2006 sites and increased in the 2007 site established. High proportion of dispersal type was barochory in the 2005 and 2006 site, and autochory in the 2007 site. And the proportion of the compositae family was high in the introduced plants over the sites for the all study sites. Average pH and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of green roof soil were ranged from 5.25 to 5.96 and 7.17 to 8.96% in study sites. The organic matter concentration and pH of green roof soil were lower in 2013 than in the three establishment years. Carbon concentration of green roof soil in the three study sites were ranged from 4.16 to 5.30% and total soil carbon in 10cm depth were ranged from 1.57 to 1.98kg/m2.

      • 경기도 가평 사문암지역의 암석·토양 및 식물체내 몇가지 원소쌍의 동태

        민일식,김명희,김연태 中部大學校 自然科學硏究所 2002 自然科學硏究論文集 Vol.11 No.2

        경기도 가평군 일원에 분포하는 사문암지역 및 주변에 산재하는 각섬석 편암, 편마암등의 암석·토양과 이 지역에 생육하는 식물체내에 함유되어 있는 주요 원소의 몇가지 원소쌍 동태를 분석하여 국내 다른 사문암 토양 및 식생과 비교 연구하고자 실시하였다. 모암별 암석간의 Mg 함량 및 Mg/(Fe+Mg)100 비는 사문암> 각섬석편암> 편마암 순으로 사문암의 특성을 잘 나타내고 있다. 풍화토양의 경우 사문암 및 각섬석편암 풍화토양은 Mg 함량이 높았고, 편마암은 Fe 함량이 높아 암석의 경우와는 다른 경향을 보이고 있다. 두 원소의 상대적인 비가 각섬석편암에서 Mg 함량이 높기 때문에 다른 결과를 보이는 것인데, 이는 Mg가 암석으로부터 풍화생성물에 의한 가동률이 Fe에 비해 높아 토양에서 쉽게 거동하기 때문이다. 모암별 암석 및 풍화토양에서의 Ca 함량은 각섬석편암> 사문암> 편마암 순이었고, Mg 함량은 사문암> 각섬석편암> 편마암 순이었다. 각 식물체에서 Fe와 Mg 함량은 각섬석편암지역 및 편마암지역에 분포하는 쑥을 제외하고, 전체 4종의 식물체에서 모두 사문암지역에서 생육하는 경우에 공히 높게 나타났다. 이들 두 원소의 상대적인 Mg/(Fe+Mg)100 비는 참억새에서 사문암 74.5∼79.1> 각섬석편암 68.4> 편마암 50.9 순이었고, 쑥은 사문암 67.9∼83.1> 각섬석편암 47.0> 편마암 34.7 순이었고, 산딸기나무는 각섬석편암 86.5> 사문암 81.8∼82.1> 편마암 71.6 순이었고, 소나무는 사문암 80.0> 편마암 78.7 순이었다. 산딸기나무의 경우 각섬석편암지역에서 Mg의 높은 가동화 때문에 사문암지역 보다 높은 것을 제외하고 전체 전이원소에서 상대적인 비는 사문암에서 모두 높게 나타나고 있어, 이는 모암과 풍화토양과 마찬가지로 마그마의 분화과정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사문암의 특성을 잘 시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참억새의 경우 Ca 함량은 편마암 3.41%> 각섬석편암 3.25%> 사문암 1.36∼2.66% 순으로 나타났고, Mg 함량은 사문암 8.68∼9.85%> 각섬석편암 6.97%> 편마암 2.31%이었다. 이 두원소들의 상대적인 Ca/Mg 비는 편마암 1.4778> 각섬석편암 0.4671> 사문암 0.1380∼0.3062 순이었다. 쑥의 경우 Ca 함량은 사문암 3.90∼4.29%> 각섬석편암 3.90%=편마암 3.90% 순이었고, Mg 함량은 사문암 6.70∼8.51%> 각섬석편암 2.97%> 편마암 1.79%이었다. 이 두원소들의 상대적인 Ca/Mg 비는 편마암 2.1764> 각섬석편암 1.3120> 사문암 0.5047∼0.8670 순이었다. 산딸기나무의 경우 Ca 함량은 각섬석편암 15.69%> 사문암 3.78∼14.03%> 편마암 12.64% 순이었고, Mg 함량은 사문암 12.15∼15.19%> 각섬석편암 8.58%> 편마암 4.93%이었다. 이 두원소들의 상대적인 Ca/Mg 비는 편마암 2.5646> 각섬석편암 1.8227> 사문암 0.2489∼l.1543 순이었다. 소나무의 경우 Ca 함량은 편마암 17.62%> 사문암 3.15% 순이었고, Mg 함량은 사문암 13.69%> 편마암 2.82%이었다. 이 두원소들의 상대적인 Ca/Mg 비는 편마암 6.2552> 사문암 0.2300 순이었다. 이를 전체적으로 보면 Ca 함량은 사문암에서 다른 모암에 비해 낮고 Mg 함량은 반대로 사문암에서 높기 때문에 그 상대적인 비가 편마암> 각섬석편암> 사문암으로 순서가 모두 일정하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has been made to investigate the behavior of several paired element concentrations from the rocks, soils and the growing plants Gapyeong Serpentinite areas, Gyeonggi-Do. The parent rocks were collected by serpentinite(SP), hornblende schist(HS) and gneiss(GN), and the plants were Miscanthus sinensis(MS), Artemisia vulgaris(AV), Rubus crataegifolius(RC) and Pinus densiflora(PD). The Mg concentrations and Mg/(Fe+Mg)100 ratio among the parent rocks are ranked SP> HS> GN, and these results indicate the serpentine characteristics. Mg concentrations of the Sp and the HS weathered soils are higher than the GN, and Fe concentrations of the GN are higher than any other soil types, which indicates the different trends. Ca concentrations of the rocks and soils are ranked HS> SP> GN and Mg concentrations SP> HS> GN. Fe and Mg concentrations of the AV, RC and PD in the SP are higher than any other soil types, except of MS. The Mg/(Fe+Mg)100 ratios are ranked the SP 74.5∼79.1> HS 68.4> GN 50.9 of the AV, the SP 67.9∼83.1> HS 47.0> GN 34.7 of the MS, the HS 86.5> SP 81.8∼82.1> GN 71.6 of the RC and the SP 80.0> GN 78.7 of the PD. Ca concentrations of the AV are the GN 3.41%> HS 3.25%> SP 1.36∼2.66% and Mg concentrations are the SP 8.68∼9.85%> HS 6.97%> GN 2.31%. The Ca/Mg ratios are the GN 1.4778> HS 0.4671> SP 0.1380∼0.3062. Ca concentrations of the MS are the SP 3.90∼4.29%> HS 3.90%=GN 3.90%, Mg concentrations are the SP 6.70∼8.51%> HS 2.97%> GN 1.79%. The Ca/Mg ratios are the GN 2.1764) HS 1.3120> SP 0.5047∼0.8670. Ca concentrations of the RC are the HS 15.69%> SP 3.78∼14.03%> GN 12.64%, Mg concentrations are the SP 12.15∼15.19%> HS 8.58%> GN 4.93%. The ratios Ca/Mg are the GN 2.5646> HS 1.8277> SP 0.2489∼1.1543. Ca concentrations of the PD are the GN 17.62%> SP 3.15%, Mg concentrations are the SP 13.69%> GN 2.82%. The Ca/Mg ratios are the GN 6.2552> SP 0.23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