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 part 2 학생 포트폴리오

        김명랑,윤우영,동환,정진택,Kim Myoung-Lang,Yoon Woo-Young,Kim Dong-Hwan,Chung Jin-Taek 한국공학교육학회 2005 공학교육연구 Vol.8 No.4

        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이 비교적 오랜 교육기간 중에 수집한 학습결과물을 의미하며, 교육과정 이수 후의 학생들의 성취도를 잘 반영할 수 있고, 교육과정을 개선하고 다시 검토하여 프로그램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포트폴리오의 평가방법으로서의 우수성을 공학교육의 프로그램학습성과 성취도 평가에 이용하려면, 본 기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교육 실정과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특징을 살펴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학습성과 평가도구로 학생 포트폴리오를 제안하며 실제 모델을 구축하여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의 새로운 기법으로서 활용하고자 하였다. Portfolio contains works that a learner has selected and collected to show growth and change for a limited time period. In terms of an assessment tool, portfolio provides the results of the student with authentic, reflective, interactive and individuals features. Also portfolio provides an opportunity of improvement about curriculum and engineering program. To apply the excellency of portfolio, the principle of portfolio should be understood well and reflected the real state of engineering education. The basic concept of portfolio as a assessment tool of engineering program outcomes was introduced. The example of a portfolio has been also suggested in the form of interactive e-based model. The model has been developed that the assessment for program outcomes was rather done from a student standpoint.

      • KCI등재

        강의평가 응답 태도 건전성 측정도구 개발

        김명랑 ( Myoung Lang Kim ),강민석 ( Min Seok Kang ),민희 ( Min Hee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3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강의평가 결과 활용에 있어서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으로 강의평가 응답 태도 측정 도구를 개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강의평가를 수행하는 주체는 학생들이기 때문에 강의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강의평가에 임하는 태도는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학생들이 강의평가에 임하는 올바른 태도를 "건전성"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건전성을 자율성, 숙고성, 객관성, 기여가능성이라는 이론적 구인모형을 설정하였으며, 각 구인에 해당하는 측정 문항을 개발하였다. 구인 모형 및 측정 문항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국내 서울 및 수도권 3개 대학의 강의 평가 경험이 있는 재학생 총 486명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다. 486명의 자료는 내용타당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되었다. 강의평가 응답 태도 건전성의 구인 타당도 분석 결과 자율성, 숙고성, 객관성, 기여가능성의 이론적 구인모형이 검증되었다. 아울러 총 13개의 측정 문항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강의평가의 타당한 결과 활용을 위한 보완적인 장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tool for integrity of responsive attitudes in students` ratings of instruction to get a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tudents` ratings use practically. Because subjects who do evaluation were students, their attitudes could have a few influence on results in the evaluation process.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define the concept of "Integrity" and establish it`s theoretical model. "Integrity" was defined as students` correct responsive attitudes towards ratings of instruction. The model consists of 4 domains; autonomy, consideration, objectivity and contribution possibility. In order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a survey consisting of a number of basic questions derived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was conducted on 486 students in 3 universities and content validity analysis, exploratory and confirma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4 construct models(autonomy, consideration, objectivity and contribution possibility) and 13 scales were derived after verifying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tegrity of responsive attitudes in students` ratings of instruction. This results could be used by additional tools to interpret students` ratings results validly.

      • KCI등재

        한국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 모형 개발

        김명랑(Myounglang, Kim),윤우영(Wooyoung, Yoon),복기(Bokki Kim)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4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첫 번째 인증기준인 ‘프로 그램 교육목표’는 두 번째 인증기준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및 평가’에 비해 용어로서의 익숙함은 있으 나, 실제 실천 방안이나, 인증평가를 위한 준비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였다. 심지어 용어의 익숙함으로 인해 오히려 인증기준에 적절하지 않고 측정 가능하지 않은 추상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교육목표를 설정 하여 인증평가 시 부족사항으로 지적 받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는 인증에서 요구하는 성과중심과 수요자중심 교육의 철학을 만족하고,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교육목표’ 에 대한 실천방안과 인증평가 준비에 대해 모형을 갖춰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모형은 ‘프로그램 교육목 표’ 기준의 5가지 하위 세부기준을 분석하여 이들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각 프로그램은 본 모형을 적절히 이용하여 자신들만의 특성화를 이룩할 수 있으며, 부차적으로 교육목 표에 대한 인증평가도 무난히 준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ough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s the first and important criterion in ABEEK s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exact meaning and implementation methods have not been understood well. It was often confused with ‘Program Outcomes’ and it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ethods do not reflected well on the concepts of “outcomes based and demand driven education”. A new implementation model for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developed using step by step application. The model explains the meaning of every step (phase), and key constituents in each phase. The specialization and CQI of the program could be satisfied by appling the model properl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공학교육인증의 프로그램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평가 모형 개발

        김명랑(Myounglang, Kim),윤우영(Wooyoung, Yoon),복기(Bokki Kim)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2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의 첫 번째 인증기준인 ‘프로 그램 교육목표’는 두 번째 인증기준인 ‘프로그램 학습성과 및 평가’에 비해 용어로서의 익숙함은 있으 나, 실제 실천 방안이나, 인증평가를 위한 준비에 대한 이해는 부족하였다. 심지어 용어의 익숙함으로 인해 오히려 인증기준에 적절하지 않고 측정 가능하지 않은 추상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교육목표를 설정 하여 인증평가 시 부족사항으로 지적 받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는 인증에서 요구하는 성과중심과 수요자중심 교육의 철학을 만족하고, 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 교육목표’ 에 대한 실천방안과 인증평가 준비에 대해 모형을 갖춰 제시하고자 한다. 본 모형은 ‘프로그램 교육목 표’ 기준의 5가지 하위 세부기준을 분석하여 이들도 모두 만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각 프로그램은 본 모형을 적절히 이용하여 자신들만의 특성화를 이룩할 수 있으며, 부차적으로 교육목 표에 대한 인증평가도 무난히 준비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ough the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is the first and important criterion in ABEEK s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exact meaning and implementation methods have not been understood well. It was often confused with ‘Program Outcomes’ and it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methods do not reflected well on the concepts of “outcomes based and demand driven education”. A new implementation model for ‘Program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developed using step by step application. The model explains the meaning of every step (phase), and key constituents in each phase. The specialization and CQI of the program could be satisfied by appling the model properly.

      • KCI등재

        프로그램학습성과 달성을 위한 평가도구 연구 : Part 3 졸업논문

        김명랑(Myounglang, Kim),윤우영(Wooyoung, Yoon),동환(Donghwan,Kim),정진택(JinTaek, Chung),복기(Bokki Kim) 한국공학교육학회 2007 공학교육연구 Vol.10 No.1

        프로그램학습성과 평가도구로서의 졸업논문은 4년 동안 습득한 공학의 기초지식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응용하는 능력과 논문 작성을 통하여 공학적인 논리와 사고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이러한 졸업논문의 평가방법으로서의 우수성을 공학교육의 프로그램학습성과 성취도 평가에 이용하려면, 본 기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교육 실정과 프로그램공학 교육의 특징을 살펴 적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그램학습성과의 평가도구로서의 졸업논문의 특징과 함께 갖추어야할 성질 및 학습성과 평가를 실제 측정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과 구체적인 루브릭의 예를 제시하였다. 또한 졸업논문을 이용하여 공학프로그램에서 공학인증기준을 만족시키는 방법에 대해 서도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Undergraduate thesis contains overall results that students has acquired to express their ability during four university years. Undergraduate thesis includes an ability to apply knowledge of engineering, communicate engineering logic and thinking effectively, and use the techniques, skills for engineering practice. In terms of an assessment tool for program outcomes, undergraduate thesis provides the results of the student with authentic, reflective, interactive and individuals features. Also undergraduate thesis provides an opportunity of improvement about curriculum and engineering program. To apply the excellency of undergraduate thesis, the principle of undergraduate thesis should be understood well and reflected the real state of engineering education. The basic concept of undergraduate thesis as a assessment tool of engineering program outcomes has been introduced. The rubrics for measuring of a specific outcome was also suggested.

      • KCI등재

        SNS를 활용한 협동학습에서의 인지적 평가와 대처 전략에 대한 연구

        김명랑 ( Myoung Lang Kim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구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14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협동학습에서 예비교사들의 인지적 평가와 대처 전략을 분석하여 시사점 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4개 대학의 70명의 예비 교사들은 SNS를 활용한 협동학습에 참여하 였고, SNS 협동학습에 대한 도움요인, 개선요인, 대처 전략에 대한 개방형 질문에 응답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SNS를 활용한 협동학습은 학업에 대한 성취도 증가와 새로운 관점에 대한 수용에 도 움을 준다고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를 활용한 협동학습에서 개선이 필요한 요인을 교 수자와 튜터의 피드백과 구성원들의 과제 활동으로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인식을 통해 나타난 대처 전략은 긍정적인 재인식과 직접 대처, 성찰인 것으로 나타났다. SNS를 활용한 협동 학습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대처 전략에 대한 연구 결과는 수업에서 새로운 도구와 방법을 적 용하며 실행하는데 있어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xplore the process of cognitive appraisal and coping about cooperative learning of social network service. 70 pre-service teacher among 4 university participated in project of cooperative learning of SNS then they respond to open ended questions of their perceived positive factors, improvement factors and coping factor. The result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perceived that cooperative learning of SNS has positive factors on achievement and perspective-taking. Second, they recognized to instructors and tutors` feedback and group members` activity as an improvement factor. Third, coping strategies through their cognitive appraisals were positive reappraisal, confrontive coping, and planful problem solving. Such results suggest that using cooperative learning of SNS for instructional purpose could support meaningful strategies in terms of use of new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instructional technology.

      • KCI등재

        미래학습환경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김명랑(Myounglang, Kim),정종원(Jongwon, Jung) 한국교육방법학회 2010 교육방법연구 Vol.22 No.3

        정보통신 기술의 급격한 발달의 변화는 교육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부분의 학교와 교실의 모습은 기존의 획일적인 지식전달의 패러다임의 구조에서 크게 변화하고 있지 못하다. 혁신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학습환경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집단의 의견수렴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예비교사들은 장차 새로운 학습환경에서 직접적으로 교육활동을 진행해야하는 수행자라는 점에서 이들이 갖는 미래지향적인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미래의 학습환경에 대해서 자유롭게 작성한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이들이 인지하는 학습환경의 모습과 교수?학습활동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소재 대학교에서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예비교사 36명이 조별활동을 통해 작성한 시나리오와 제시된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 의견의 내용을 수집하여 질적인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시나리오와 의견을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가상체험 프로그램, 홀로그램, 학습자 개인용 단말기 등이 미래의 교수.학습환경에 주로 이용될 수 있는 공학적 요소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공학적 요소를 바탕으로 이루어질 교수.학습활동에 대하여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도입, 채택, 적응단계 별로 예견되는 문제점, 교사로써의 역할,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방법 등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apid development in the area of information technology accelerate changes in global and local society including culture, economy, and education. The current changes in education invol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instructional media, instructional methods, process and result of learning. Nevertheless, learning environments including physical shape of school and classroom had not changed appropriately that support new paradigm and principles of teaching and learning required in the changing world. It is important to collect many ideas and voices from diverse stakeholder to design and construct innovative and futuristic learning environments. However,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has not been explored and included during such process for designing innovative learning environments. Preservice teachers are expected to take an critical role as they became inservice teachers who support student learning in innovative learning environmen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perception and ideas of preservice teachers regarding innovative instructional media and instructional activity in futur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We collected and analyzed preservice teachers' scenarios about innovative and futuristic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s as well as their followed online discussion while participated preservice teachers gave feedback on peer's scenarios. The result shows tha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virtual reality, hologram, individual mobile devices would be important instructional media in the future learning environments.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ir changed perception about the role of teacher in innovative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미국의 공과대학 교양교육과정에 대한 비교 연구

        김명랑(Myounglang, Kim),박혜영(Hye Young, Park),장선영(Sunyoung Cha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07 공학교육연구 Vol.10 No.1

        과대학은 다른 인문, 사회 계열과는 달리 교양교육과정이 전공과정과 뚜렷하게 구분되기 때문에 어떤 형태와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느냐에 따라 학생의 학습 성과(outcomes)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한국의 공과대학에서는 공학교육인증(ABEEK) 시행에 따라 그 기준에 부합하는 교양교육과정을 구성하는 방법상의 문제에 많은 혼란이 있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국의 우수한 공과대학으로 꼽히고 있는 스탠포드대학교(Stanford University), 메사추세스공과대학(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로즈헐맨공과대학(Rose-hulman Institute of technology)과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와 미시 간대학교(Michigan University-Ann Arbor) 그리고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와 캔자스주립대학교(kansas state University)의 교양교육과정을 비교하여 한국 공과대학 교양교육과정 구성에 시사점을 찾기 위해 구현방식과 학문적 영역상의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A general education course is different from a major course in an engineering college. Therefore, they influence a learning outcomes according to their forms and contents. In particular, an engineering college in korea is open to argument against a general education course. Because a general education course has to observe the criterion of ABEEK.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general education courses of engineering colleges in USA. For it, this study analyzes the completion method and academic area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property and implication of a general education course in an engineering colle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