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플라즈마처리에 따른 고밀도 폴리에틸렌/steel 플레이트의 계면특성에 관한 연구

        김만태(Man Tae Kim),김태형(Tae Hyung Kim),이지훈(Ji Hoon Lee),이경엽(Kyong Yop Rhee) 한국산업응용학회 2009 한국산업응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2

        In this study, the surface modification of polyethylene material was investigated to improve the interfacial strength between the polyethylene and the steel plates. Polyethylene material was surface-modified using a plasma treatment. Two cases of joints (surface-treated polyethylene/steel composites and untreated polyethylene/steel composites) were fabricated using a single lap shear method. Shear and bending tests have been performed using the two cases of composit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tact angle did not change much as the modification time increased. However, the contact angle decreased from ~76˚ to ~41˚ with the modific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shear strength and the bending strength were improved about 3030 % and 7 %, respectively when the polyethylene was plasma-modified using an oxygen gas.

      • KCI등재후보

        음택풍수의 명당발복 설화를 통해 살펴본 우리 풍수문화

        김만태(Kim Man-Tae) 실천민속학회 2010 실천민속학연구 Vol.15 No.-

        풍수신앙은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생활 곳곳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오고 있다. 특히 조선시대에 와서는 개인이나 집안의 길흉회복을 조상 산소와 연관시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서 지금도 개인이나 집안이 잘되고 못되는 까닭을 ‘조상 윗자리가 좋아서’ 또는 ‘조상 윗자리가 나빠서’ 그렇다고 흔히 말한다. “잘되면 제 탓, 못되면 조상 탓”이라는 속담도 자손의 부귀영달과 가문의 흥망성쇠가 조상 윗자리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음택풍수의 오랜 전통을 보여주는 것이다. 풍수설화는 오랜 세월 정서적 공감대를 이루며 자연스레 만들어져, 풍수에 얽힌 우리 삶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담고 있다. 이는 풍수에 대한 한국인의 심성을 이해하는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자료가 된다. 그래서 다양한 풍수설화를 통해 음택풍수의 명당발복 인식에 담긴 무리 풍수문화를 고찰하였다. 적극적 기복 풍수, 현세중심 세계관, 운명종속과 개척의지의 공존, 부계 혈족중심 가족관, 흔백 분리의 이원적 존재인식 등 다섯 가지가 바로 그것이다. Feng-shui beliefs have long influenced. significantly all the aspect of Korean people's life. Especially in the Joseon era, the good and ill luck, fortune and misfortune of an individual or family were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ancestors' graves. Even now, lots of people commonly cite 'the good location of ancestors' graves' and 'the bad location of ancestors' graves' as the reason for the ups and downs of an individual or family. The old saying, ''Pur credit upon oneself when things go well and blame the ancestors when they do not," is an example showing the old tradition of grave Feng-shui that descendants' riches and honors and a family's ups and downs are deeply related to the location of ancestors' graves. Folk tales on Feng-shui which sincerely tell of Korean people' lives related to Feng-shui have been naturally created for a long period, forming people's sentimental sympathy. They constitute an extremely good material that helps to understand Korean people's nature. Therefore, through various folk tales on Feng-shui, this study examined Korean people's Feng-shui culture contained in the notion of grave Feng-shui that propitious site brings a favorable change in fortune. The five things discussed in the study included Feng-shui aimed at aggressively seeking blessing, this life-centered view of the world, the coexistence of following destiny and the willingness to pioneer destiny, paternal kin-centered view of family and the perception of dual. presence explaining the separation of the spirit.

      • KCI등재

        ‘짜장면’의 토착화 요인과 문화적 의미

        김만태(Kim Man-Tae) 한국민속학회 2009 韓國民俗學 Vol.50 No.-

        19C말 조선과 청의 교류 상황 속에서 유래된 자장면은 해방 이후 미국의 잉여농산물 원조정책과 한국 정부의 분식장려운동정책에 힘입어 빠르게 소비가 증가하였다. 중국음식점의 증가, 자장면 요리법의 변화, 자장면의 구수하고 일정한 맛, 부담 없는 가격, 외식ㆍ배달문화의 번성, 우리의 국수문화, 한민족과 된장ㆍ춘장의 친연성(親緣性) 등도 자장면이 한국 음식문화의 주요 상징으로 자리매김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한국사회에서 자장면이 갖는 의미는 자장면 소비자의 변수, 즉 연령ㆍ식성ㆍ성별ㆍ사회심리ㆍ경제력ㆍ생활양식ㆍ몸 상태ㆍ거주지 등과 관련이 깊다. ① 향수를 느끼는 음식 ② 특별음식에서 보통음식으로 ③ 간편한 끼니 음식 ④ 편한 사람과 먹는 음식 ⑤ 어릴수록 선호하는 음식 ⑥ 춥거나 속 풀 때는 덜 선호되는 음식 ⑦ 향수와 건강 사이의 갈등 음식 ⑧ 생존경쟁이 치열한 음식 등 8가지가 이 시대 한국사회에서 자장면이 갖는 문화적 의미이다. Jajangmyeon(noodles with stir-fried bean paste) originated from the later 19th century as a result of the exchange between Chosun and Qing dynasties. It rapidly spread in post-liberation Korea due to an aid policy from the US with their farm surpluses and a government campaign to encourage consumption of the flour-based meals. The following factors were important for jajangmyeon to become one of the major national cuisines in Korea: increase of the Chinese restaurants in Korea; change of the recipe for jajangmyeon; palatability and coherently recognizable taste of jajangmyeon; affordable price; popularization of the eating-out culture and home delivery service; traditional noodle culture in Korea; and similarity of the Korean soybean paste with the black sauce of jajang. The meanings of jajangmyeon in Korean society have much to do with the variables of its consumers, which are age, taste, gender, social psychology, economic capacity, lifestyle, body condition, and residential area. Its cultural meanings in Korean society can be categorized into eight: ① it stirs up nostalgia; ② it’s evolved from a special dish to a regular one; ③ it’s a simple meal; ④ people can enjoy it with those who are close to them; ⑤ the younger they are, the more they like it; ⑥ it’s replaced with jjamppong(Chinese-style hotchpotch cooked chiefly with noodles) when it’s cold or they have a hangover; ⑦ people have conflicts over it between nostalgia and health; and ⑧ the jajangmyeon business is very competitive.

      • KCI등재

        세시풍속의 기반 변화와 현대적 변용

        김만태(Kim Man-Tae) 비교민속학회 2009 비교민속학 Vol.0 No.38

        대개 1년을 주기로 계절에 따라 특정한 날을 가려서 관습적ㆍ반복적으로 행하는 세시풍속 안에는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이 잘 응축되어 있다. 그러나 전통 농업사회에서 현대 산업사회로 바뀌면서 우리 세시풍속도 그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 이 글에서는 우리 세시풍속의 본질과 현상을 구분하여 세시풍속을 이루는 바탕은 무엇이며, 그 바탕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전통사회와 견주어 현대사회에서 세시풍속은 과연 어떻게 달라졌으며 또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지 그 현상을 고찰했다. 전통사회에서 세시풍속을 이루던 자연ㆍ인문바탕들이 대개 1960년대를 기점으로 급변함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했던 오랜 세시풍속들도 빠르게 소멸하거나 변모하고 있다. 그런 반면 새롭게 변화된 기반에 적합한 또 다른 세시풍속들이 등장하여 현대인들의 새로운 삶의 주기적 마디로 역할하고 있다. 현대사회어서 어떤 세시풍속들이 새롭게 생겨나고 있으며 앞으로 생겨날 것인가를 조망하고, 현대 세시풍속에 담긴 다양한 생활문회를 읽어내는데 있어 이 글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할 수 있다. Being practiced in a customary and repetitive manner on set days in each season every year, annual cyclic rites have the solid concentration of contemporary people's lives. The shift from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society to the modern industrial one, however, caused many changes to the conventional annual cyclic rites.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foundation of the annual cyclic rites by distinguishing their nature and phenomena and the changes to the foundation. It also aimed to compare the annual cyclic rites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e modern one to understand how they changed and what was the current state. The natural and civilized foundation of the annual cyclic rites in the traditional society went through rapid changes in the 1960s, which resulted in the fast disappearance and alteration of the long-held annual cyclic rites. At the same time, there appeared new annual cyclic rites proper for the newly changed foundation, and they have served as the period nodes for contemporary life. The research findings will offer a new perspective regarding how and what new annual cyclic rites were created in modern society and how to read the diverse life cultures reflected in the contemporary annual cyclic rites.

      • KCI등재후보

        한국인의 삶에서 수연례(壽宴禮)가 갖는 의미 분석

        김만태(Kim Man-Tae) 실천민속학회 2008 실천민속학연구 Vol.12 No.-

        부모의 무병장수를 감사하며 축하하는 수연례는 효행사상을 확립하기 위한 방편으로도 이용되었다. 수연례는 의식(ceremony)을 통해 새로운 사회적 지위를 획득하는 통과‘의례’(rite) 측면도 있지만, 가족주의를 바탕으로 유교적 사회질서를 실현하기 위해 사람이 실천해야 할 ‘규범’(norm)이 주이다. 한국사회에서 수연례는 ‘자식의 효심, 축수의 기원, 체면을 위한 과시, 품앗이 관행’ 등이 만들어낸 문화이다. 문화의 특성상 수연례도 많이 변화하고 있다. 효행의 물질적 경향, 평균수명의 연장, 실리적 사고경향, 품앗이 관행의 약화 등으로 오늘날 수연례는 ①환갑에서 칠순으로 ②잔치에서 여행으로 ③점차 남녀차별 없이 ④집에서 전문뷔페로 ⑤이제는 부조 없이 등으로 변하고 있다. 이 가운데서도 無부조의 경향이 가장 특징적이다. 지금은 수연례를 통해 노인으로서 새로운 사회적 지위를 획득한다는 의미 및 같은 60갑자를 다시 맞이하는 것을 축하한다는 의미, 즉 의례적 의미가 약화되었다. 또한 자식들의 효행을 담보한다는 규범적 의미도 많이 약해졌다. 이로 인해 수연례는 임의적 의례로의 성격이 보다 더 강해지고 있다. In Korea, Suyeonrye, a birthday feast for an elder which has been conducted to celebrate and express thanks for parents’ health and longevity, has been used as a way to encourage people to practice filial piety. Suyeonrye partly represents rites of passage which people acquire a new social status, but mainly represents norms people are required to observe to establish and maintain the order of Confucian society based on familism. In Korean society, Suyeonrye was a cultural phenomenon created by a combination of ‘children’s filial piety,’ ‘pray for longevity,’ ‘ostentation of one’s wealth and power,’ and ‘the practice of non-monetary labor exchange.’ However, every culture changes, Suyeonrye is also undergoing some changes. These days, the way of celebrate Suyeonrye is going through the following changes due to the current trend to practice filial piety in materialistic way, prolonged life span, people’s attitudes that seek practicality, and the gradual disappearance of the practice of exchange labor; ①from 60th birthday(Korean age of 61, Hwangap) to 69th birthday(Korean age of 70, Chilsun), ②from a cerebration party to travel ③gradual equalization between men and women, ④from homemade food to buffet prepared by professional cooks, and ⑤no congratulatory money. Among these changes, no congratulatory money is the most distinctive. These days, Suyeonrye is not much regarded as a passage rite through which a person gains a new social status of an elderly. Along with its ritual meaning, its normative meaning that encourages children’s filial piety is also diminishing. As a result, Suyeonrye is increasingly accepted as an arbitrary event.

      • KCI등재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존재 양상과 향후 전망

        김만태(Kim Man-Tae)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2

        세시풍속 안에는 그 시대 사람들의 삶의 모습이 잘 응축되어 있다. 세시놀이도 그중 하나이며 세시풍속은 민속놀이를 잉태하고 전승해온 주요 기반이다. 그러나 우리사회가 전통 농어업 사회에서 현대 산업ㆍ정보사회로 바뀌면서 세시풍속도 그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 이에 따라 세시풍속을 모태로 전해오던 민속놀이들도 빠르게 사라지거나 변모하고 있다. 현대 세시풍속안에서 민속놀이가 어떤 모습으로 존재하고 있는지 살피기 위해 먼저 세시풍속을 이루는 기반이 어떻게 변했는지를 고찰했다. 민속놀이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세시놀이를 ‘세시’와 ‘놀이’로 구별해 인식하는 기존의 논의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세시풍속의 변화(기반)→세시놀이의 변화(양상)’란 맥락 속에서 규명했다. 현대 세시풍속에서 민속놀이의 전개 양상을 ‘소멸ㆍ생존ㆍ전수ㆍ신생’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전통사회에서는 삶의 주요한 대목마다 마을공동체나 놀이집단을 통해서 삶과 밀착되어 자연스레 놀아지던 세시놀이들이 이제는 대부분 소멸되었거나 무형문화재ㆍ지역축제라는 제도적 장치를 통해 전승되고 학교ㆍ사회교육의 교육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다. 그런 반면 변화된 세시풍속에 부응하여 새롭게 형성되는 세시놀이들도 많다. Seasonal customs reflect the lives of contemporary people in a condensed manner. Seasonal plays are part of seasonal customs, which have been a major foundation to incubate and pass down folk plays. As Korea moved from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and fishing society to the modern industrialized and information society, however, Korea’s seasonal customs have gone through many changes, which then caused folk plays rooted in seasonal customs to rapidly disappear or alter.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changes to the foundation of seasonal customs to understand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 Taking another step from the conventional discussions that distinguished ‘seasonal’ from ‘plays’ in seasonal plays that account for a big part in folk plays, the study investigated them in the context of ‘changes of seasonal customs(foundation) → changes of seasonal plays(patterns)’. The development patterns of folk plays in modern seasonal customs were divided into “disappearance, survival, transmission, and new birth.” Having been performed naturally by a village community or play group at every major event of life in its close relations to it in the traditional society, seasonal plays are mostly gone, transmitted through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local festivals, or performed in schools and venues of social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re are many new seasonal plays created in response to the changed seasonal customs.

      • KCI등재

        한국 점복의 정의와 유형 고찰

        김만태(Kim Man-Tae) 한국민속학회 2008 韓國民俗學 Vol.47 No.-

        우리 민속문화를 보다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점복신앙에 녹아있는 우리 삶의 모습을 결코 외면할 수 없는데, 보다 체계적인 점복신앙 연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먼저 占卜을 학문적 용어로서 보다 엄밀하게 규정하는 작업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점복의 목적ㆍ시기(豫), 수단ㆍ방법(兆ㆍ卜), 해석ㆍ이해(占) 등 점복행위의 모든 요소들을 고려하여 점복에 대한 정의를 새롭게 해본다면 점복은 “인간이 자신의 상황을 보다 유리하게 하고자 미리 조짐으로부터 신의(神意)를 알아내는 일련의 행위”라고 말할 수 있다. 기존의 점복 분류들이 대부분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의 분류 체계를 따르거나, ‘신-인간-자연’의 틀 안에서 ‘신점-인위점-자연점’이란 분류를 하는데 반해, 이 글의 새로운 분류는 점복을 ‘신(神意) → 징표(조짐) → 인간(해석 → 예지)’이라는 일련의 과정으로 보고, 각 점복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분류기준은 바로 ‘징표’라는 점에 주목하여, 신이 그 뜻을 드러내는 징표의 차원인 ‘시간ㆍ공간ㆍ인간’을 통해 시상점(時相占)ㆍ물상점(物相占)ㆍ인상점(人相占)ㆍ괘상점(卦相占)ㆍ인위상점(人爲相占)ㆍ계시점(啓示占)ㆍ주물상점(呪物相占) 등 7가지로 점복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점복의 새로운 유형들 대부분이 조어(造語)로서 처음에는 낯선 감이 없지는 않다. 하지만 앞으로 보다 체계적이고 본격적인 점복신앙 연구를 위해서는 현실과 문헌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점복들을 명료한 기준으로 범주화하는 유형 작업이 필수적이며, 또한 자의적(恣意的)이며 제국주의적 가치관이 내포된『조선의 점복과 예언』의 점복 유형을 극복해야한다는 당위성을 함께 고려해볼 때, 이 글에서 제안하는 점복의 새로운 유형은 그 대안의 하나로서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다. Beliefs in divination should be examined first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Korean folk culture. For a more systematic research on beliefs in divination, divination should be defined using academic terms in the first place.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of divination acts including the aimㆍtime, meansㆍmethod(signsㆍfortune-telling), interpretationㆍ understanding of divination, this study newly defined divination as “a series of acts to forecast God's intentions through signs in order to make things better.” Unlike most established classifications of divination that follow Murayama Chijun's classification system or divide divination into 'fortune telling using God's power -fortune telling using human's spiritual power-fortunetelling using nature' within the framework of 'God-human-nature', a new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considers divination as a series of processes described as 'God(God's intention) →sign(indicator) →human(interpretation→foresight).' Noticing that signs are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at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ach divination better than anything else, this study classified divination into the following seven areas through 'timeㆍspaceㆍhuman', in which God's intentions are revealed in signs: Sisangjeom, Mulsangjeom, Insangjeom, Gwaesangjeom, Inwisangjeom, Gyesijeom, and Jumulsangjeom, The names of these new types of divination are mostly created through word formation and thus may sound strange at first. However, for a more systematic and vigorous research on beliefs in divination,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numerous divinations practiced in real life or mentioned in literature on the basis of explicit criteria. In addition, given the undisputed view that the types of divination in『Divination and Forecast in Joseon』which contain arbitrary and imperialistic values should be overcome, the new types of divin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lay their roles properly as an alternative.

      • KCI등재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의 조선 점복조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만태(Kim, Man-Ta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6 No.-

        일본 제국주의에 의해 조선 민간신앙 조사의 일환으로 수행된 무라야마 지쥰(村山智順)의 『조선의 점복과 예언(朝鮮の占卜と豫言)』(1933)은 1930년대 초반까지의 조선의 점복풍속에 관해 방대한 자료를 수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점복 연구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그의 점복 조사보고서는 제국주의 지배 이데올로기의 관점과 간접적인 조사방법 등으로 인해 실상(實狀)을 과장 · 왜곡 · 누락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그의 점복조사에 대해 비판적 고찰이 별로 없었다. 점복풍속은 조선에만 국한된 것이 결코 아니며 동서양과 시대를 막론하고 인류의 보편문화임에도 불구하고 무라야마는 제국주의적 시각에서 자의적(恣意的)으로 조선 점복풍속을 통해 조선인은 미개하고 타율적 · 소극적 이라고 왜곡함으로써 일제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려는 의도에 충실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라야마의 점복조사의 가치와 한계를 점복자료의 수집과 집성, 점복유형의 분류, 점복자료의 해설과 활용 측면 등으로 구분해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Chousen no senboku to yogen 朝鮮の占卜と豫言 (The Divination and Prognostication of Joseon) (1933) reported by Murayama Jijun (村山智順) from the survey on folk faith of Joseon entrust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holds the very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studies on the divination in Korea in that it collected vast amount of data of folk customs associated with the divination in Joseon till the early 1930s. However, in this report, there are problems which exaggerated, distorted, or omitted the realities due to its indirect approaches viewed the subjects with eyes of the Imperialistic ideologies. And there have been no critical reviews upon such issues so far while the works of Murayama Jijun have been simply referred to by many researchers examined the divination in Korea without filtration. Even though the custom of divination wasn`t limited within Joseon but was human`s universal culture all time from the West to the East, Murayama was devoted to conveying the intention of justifying Japan`s colonization by highlighting low-level and primitive features of Joseon`s divination arbitrarily from the imperialistic perspective and distorting Joseon people to heteronomous and passive on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e works of Murayama Jijun by demarcating the extent of his works in respects of the collection, compilation, classification, interpretation, and exploitation of the survey data.

      • KCI등재

        부적에 나타난 북두칠성의 조형성(造形性) 연구

        김만태(Kim Mantae) 한국무속학회 2007 한국무속학 Vol.0 No.15

        이 글은 오래전부터 우리민족의 매우 친숙한 섬김 대상이었던 북두칠성이 북두칠성 부적이란 추상적 조형물로 나타난 것에 주목하여 그 조형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부적은 단순히 복을 빌고 재앙을 쫓는 주물(呪物)만이 아니다. 부적의 제액초복 인식 뒤에는 인간의 간절한 염원과 이에 감응하는 하늘의 섭리가 자리하고 있다. 북두칠성 부적은 하늘의 별이 인간 운명을 다스린다고 여겼던 사람들, 그 중에서도 북두칠성을 유난히 소중히 했던 사람들의 신앙 에너지가 공경과 예배로 표출되고, 그것이 다시 조형적 상징체계로 화현(化現)된 것이다. 도·불교의 전래 이전부터 우리 민족은 북두칠성이 사람의 운명에 영향주고 있음을 인식하고서 고유의 칠성신앙을 갖고 있었는데 그 바탕 위에 도불이 교섭됨에 따라 독송하는 칠성경은 불경에서 조선 후기에 갈수록 점차 도경으로 바뀌었고, 북두칠성 부적은 도부(道符) 대신 불부(佛符)가 줄곧 사용되어왔다. 현재 우리 민간에서 사용하고 있는 북두칠성부는 당나라 때 바라문승이 번역한 『불설북두칠성연명경』에서 제시되고 있다. 이 경에서는 북두칠성의 일곱별에 탐랑·거문·녹존·문곡·염정·무곡·파군 등의 이름을 차례대로 붙이고서 이들을 동방의 일곱 세계를 주재하는 일곱 여래로 각각 묘사하며 그에 해당하는 부적도 함께 수록하고 있다. 북두칠성부의 조형적 특징은 '본명성(本命星)-예물(口誦·주문)-상(床)-예배자'라는 조형구조에서 '본명성'인 북두칠성의 일곱별을 부적에 시각적으로 직접 표현하지 않고 하늘에 실제로 떠있는 북두칠성으로 상정하고 있으며, 부적에서는 '예물(주문)-상-예배자'만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북두칠성 부적이 지니는 의미를 보다 온전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하늘의 실제 북두칠성과 북두칠성부를 결합시켜서 함께 고려해야만 한다. 북두칠성부의 조형구조를 '靈'(신령 령)으로 비유하자면, 雨는 생략된 채 예물과 주문을 의미하는 세 개의 口와 예배자인 巫만 시각적으로 표현되어 있는 형상과 매우 비슷하다. 따라서 북두칠성부에서 우리는 북두칠성에게 가족의 평안무사·수명장수 등을 축원하는 주부의 간절한 모습과 마음을 발견할 수 있다. Recognizing that the Ursa Major, which had long been one of the most familiar objects of worships for Koreans, took an abstract formative form of talismans,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formative implications of the Ursa Major talismans. Talismans do more than just praying for good luck and keeping off a misfortune as a fetish. Behind such fundamental functions lie people's strong wish and the Heaven's corresponding providence. The Ursa Major talismans were made as those individuals who believed that the stars in the sky controlled the fates of human beings and especially those who particularly valued the Ursa Major expressed their religious energy through respect and worship and embodied it as a formative symbol system. Even before Taoism and Buddhism were introduced to Korea, the Korean people thought that the Ursa Major affected the human destiny and developed their own unique Ursa Major religion. As Taoism and Buddhism began to spread wider, their Ursa Major books were gradually changed from the Buddhist scriptures in early Chosun to the Taoist scriptures in late Chosun. The Taoist Ursa Major talismans were eventually replaced with the Buddhist ones, which continued to be in use since then. The Ursa Major talismans currently used among the Korean public trace their origin back to the Bulseolbukduchilseongyeonmyeonggyeong translated by a Brahman monk in Tang Dynasty. In the book, the seven stars of the Ursa Major were named Tamrang, Geomun, Nokjon, Mungok, Yeomjeong, Mugok, and Pagun and depicted as the seven Buddhas ruling the seven worlds in the Orient. Also included in the book were their individual talismans. As for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Ursa Major talismans, the seven stars of the Ursa Major, which are the "life stars" in the formative structure of "life starsoffering(recitation·incantation)-table-worshiper," are not given direct visual descriptions but assume the existence of the actual Ursa Major in the sky. The talismans only contain the remaining "offering(recitation·incantation)-table-worshiper." Thus it's important to connect the Ursa Major talismans to the actual Ursa Major in the sky in order to have a complete understanding of their implications. When the formative structure of the Ursa Major talismans is compared to the letter '靈'(which means a divine spirit), it's like that 雨 is omitted with only the three 口s meaning offerings and 巫 meaning a worshiper visually expressed.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Ursa Major talismans clearly reflect the strong wishes and hopes of housewives who pray to the Ursa Major for the well-being of the family, longevity, healthy and happy children, and realization of wishes, in which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 KCI등재

        중국 명리원전 『낙록자삼명소식부주(珞?子三命消息賦注)』 고찰

        김만태 ( Kim Man-tae ) 영산대학교 동양문화연구원 2016 동양문화연구 Vol.24 No.-

        『낙록자삼명소식부주(珞?子三命消息賦注)』는 중국 전국시대(戰國時代)의 낙록자(珞?子)가 지은 것으로 전해지는 『낙록자부(珞?子賦)』에 오대(五代) 말에서 북송(北宋) 초의 서자평(徐子平)이 주석(註釋)을 달았다고 알려진 초기 신법사주(新法四柱) 명리서(命理書)이다. 낙록자의 실체는 비록 불분명하지만 그가 저술했다는 『낙록자부』는 심오한 고법사주(古法四柱) 이론을 담고 있다. 그래서 『낙록자부』는 서자평을 비롯한 이동(李仝)·왕정광(王廷光)·석담영(釋曇瑩) 등이 모두 주해(註解)를 할 정도였다. 그러므로 신법사주의 관점에서 고법사주를 새롭게 재해석한 『낙록자삼명소식부주』는 그 원문(原文)의 위작(僞作)과 서자평의 실존(實存) 여부에 대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자평사주(子平四柱)·자평학(子平學)으로도 불리는 신법사주의 대표적 저작(著作)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사고전서(四庫全書)』에 수록되어 전하는 『낙록자삼명소식부주』는 제요(提要)와 상하(上下) 2권의 본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별도의 편장(編章)으로 구분되어 있지는 않다. 고법사주의 연본(年本)·입태월(入胎月)·납음오행(納音五行) 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오직 일주(日主)를 중심으로 간지오행(干支五行)의 생극제화(生剋制化)를 통해 운명을 추리하는 체계를 세웠다. 그리고 새로운 신법사주의 용어와 개념들을 제시하고 설명하여 신법사주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낙록자삼명소식부주』에 함축된 명리(命理)의 인식과 특징은 일주위주론(日主爲主論), 고법사주와 삼원(三元)의 인식 차이[특히 지장간(支藏干)], 오행의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중시, 조후용신(調候用神)의 묘용(妙用) 강조 등 11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대부분 신법사주의 인식과 특징을 전형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LuoluziSanmingXiaoxifuzhu(珞?子三命消息賦注)』 is an early period the new ways in sizhu(新法四柱) Mingli literature(命理書), which is known as having been added with Xuziping`s footnote during late O dynasty-early North Song to 「Luoluzifu(珞?子賦)」, known as having been written by Luoluzi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Nevertheless the truth of Luoluzi was uncertain, however 「Luoluzifu」, written by him, includes profound the old ways in sizhu(古法四柱) theory. Therefore, 『LuoluziSanmingXiaoxifuzhu』, which newly interpreted Gufasizhu from a viewpoint of Xinfasizhu is considered as a representative literature of Xinfasizhu, which is also called as Zipingsizhu(子平四柱), nevertheless the dispute on the forgery of the original and Xuziping`s existence. 『LuoluziSanmingXiaoxifuzhu』 of 『Siku Quanshu(四庫全書)』 is composed of 2 parts, i.e. summary(提要) part and first and second volume, which is not divided with separate chapters and sections. 『LuoluziSanmingXiaoxifuzhu』 established a system that inferred the destiny through Shengkezhihua(生剋制化) of Ganzhiwuxing(干支五行) only with Rizhu(日主) without consideration on Nianben(年本)·Taiyue(胎月)·Nayinwuxing(納音五行) of Gufasizhu. Also, prepared the basis of Xinfasizhu by suggesting and explaining the term and concepts of new Xinfasizhu. Awareness and characteristic of Mingli(命理) implied in 『LuoluziSanmingXiaoxifuzhu』 are the contents that mostly show the awaren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ways in sizhu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