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한 경경골 단일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 비교 : 최소 2년 추시

        윤여승(Yeo-seung Yoon),김두섭(Doo-sup Kim),전종세(Jong-se Jeon),강동현(Dong-hyun Kang),이창호(Chang-ho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4

        목적: 동종 아킬레스건을 이용하여 경경골 단일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과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2월부터 2007년 6월까지 본원에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41예 중단일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22예(53.7%),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19예(46.3%)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결과는 Lysholm 슬관절 점수, IKDC scale 방사선학적 결과는 Telos<SUP>®</SUP> 후방 전위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단일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군은 Lysholm 점수가 술 전 평균 52.7±3.9점 최종 추시 시 평균 85.4±4.7점, IKDC scale은 술 전 grade C8예(36.3%), D 14예(63.6%), 술 후 grade A 4예(18.2%), B 14예(63.6%), C 4예(18.2%) 보였으며,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군은 Lysholm 점수가 술 전 평균 50.4±7.4점, 최종 추시 시 평균 87.5±5.12점 IKDC scale은 술 전 grade C 4예(21.1%), D 15예(78.9%). 최종 추시 시 grade A 1예(5.3%), B 15예(78.9%), C 3예(15.8%)였다. 최종 추시 시 Telos<SUP>®</SUP> 후방 전위 검사는 단일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군은 술 전 평균 14.6±2.52 ㎜ (10-19 ㎜), 최종 추시 시 평균 5.06±2.07 ㎜ (3.04-7.43 ㎜), 이 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 군에서는 술 전 평균 16.5±3.84 ㎜ (12-22 ㎜), 최종 추시 시 평균 4.04±1.48 ㎜ (2.18-7.20)㎜로 임상적. 방사선적 평가상 두 군 모두 술 전보다 의미있게 향상되었으나(p=0.001) 두 군 간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p=0.458). 결론: 저자들은 이중 다발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하고 임상적 결과 및 방사선학적 검사의 결과를 단일 후방 십자 인대 재건술을 시행한 군과 비교하였으나 단기 추시 상에서는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아 장기 추시상의 결과 비교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 We performed transtibial single and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of the posterior cruciate ligament using the alia-achilles tendon and compared the results of single bundle reconstruction and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both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41 cases of pos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between February 2000 and June 2007 that had data available for at least 2 years of follow-up. Twenty-two cases (53.7%) underwent single bundle reconstruction and 19 cases (46.3%) underwent double bundle reconstruction. Clinical results were analyzed by Lysholm score and IKDC standards scale, and the radiologic results were analyzed by the Telos<SUP>®</SUP> posterior translation test. Results: The average Lysholm score at last follow-up was 85.4±4.7 in the single bundle group and 87.5±5.1 in the double bundle group. IKDC scores were grade A in 4 (18.2%). grade B in 14 (63.6%) and grade C in 4 (18.2%) in the single bundle group; they were 1 (15.3%), 15 (78.9%) and 3 (15.8%) in the double bundle group. Telos<SUP>®</SUP> posterior translation test scores were 5.06 ㎜ (3.04-7.43 ㎜) in the single bundle group, and 4.04 ㎜ (2.18-7.20 ㎜) in the double bundle group. There was significant improvement in clinical and radiological scores in both groups (p<0.001).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Further study with longer term follow-up is needed.

      • KCI등재

        흉쇄관절 전방 탈구에서 세 가지 재건술식에 따른 전방전위 비교

        김두섭(Doo-Sup Kim),정회정(Hoe-Jeong Chung),박일환(Il-Hwan Park),신지수(Ji-Su Shin),이준표(Jun-Pyo Lee),장영환(Young-Hwan J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목적: 흉쇄관절의 안정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전방구조물 재건술 간의 생역학 및 기능적 비교 분석은 많지 않다. 이에 저자는 사체에서 대표적인 세 가지 재건술 시행 후 흉쇄관절의 전방전위를 측정하여, 기능적인 면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4개의 흉쇄관절 사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세 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햄스트링건 팔자 재건술(Group 1), 쇄골하근건 재건술(Group 2), 햄스트링건 걸이 재건술(Group 3)을 시행한 후, 그룹 간 전방전위를 위팔어깨관절을 0도에서 90도까지 10도 단위로 증가시키며 측정을 시행하였다. 결과: 세 가지 재건술식 모두 흉골 대비 쇄골의 상승이 유의하게 관찰되었다. Group 1 평균 1.68±0.25 mm, Group 2 평균 1.81±0.23 mm, Gorup 3 평균 2.8±0.58 mm의 전방전위가 관찰되었다(Group 1: p=0.004, Group 2: p=0.001, Group 3: p=0.002). Group 1은 60도부터, Group 2는 50도부터, Group 3은 20도부터 유의한 전방상승이 관찰되었다. 결론: 대표적인 세 가지의 흉쇄관절 재건술을 사체 실험에서 평가한 바 Group 1이 정상 흉쇄관절의 전방전위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Purpose: Currently, biomechanics and function comparison of the reconstruction of structur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sternoclavicular joint stability is not much. In order to confirm the improvement in the functional aspects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after the three most widely used reconstruction methods, we measured the degree of anterior translation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after the operation using cadavers. Materials and Methods: We studied 24 sternoclavicular joints in the cadavers. First, we measured the anterior translation of the clavicle, which was compared with the sternum in 24 normal sternoclavicular joints. We divided the cadaver into three groups and performed each of the three current operations: figure of eight hamastring tendon reconstruction operation (Group 1), subclavius tendon reconstruction operation (Group 2), and hamstring tendon reconstruction operation (Group 3); then we compared the degree of anterior translation in each group. We did the measurement by adding 10 degrees to the glenohumeral joint each time from 0 degrees to 90 degrees. Results: In the normal joint, the clavicle was significantly ascended compared with the sternum. The Group 1 had a 1.68±0.25 mm anterior translation while the Group 2 had 1.81±0.23 mm and Group 3 had 2.8±0.58 mm (Group 1: p=0.004, Group 2: p=0.001, Group 3: p=0.002). The Group 1 showed a low ascending rate of up to 60 degrees, which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at of the normal joint. However, after 60 degrees, the ascending rat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case of Group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ith normal joint of up to 50 degrees. Group 3 showed significant anterior ascending from 20 degree. Conclusion: Through measuring the anterior translation of subjects that underwent three representative sternoclavicular joint reconstructions, we found that the result from the Group 1 was most comparable normal translation of the sternoclavicular joint.

      • KCI등재

        다발성 골수종과 병발한 다발성 근골격계 아밀로이드증에서 발생한 병적 골절

        김두섭(Doo-Sup Kim),이창호(Chang-Ho Yi),윤원식(Won-Sik Yoon),윤여승(Yeo-Seung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2

        아밀로이드증은 다양한 원인으로 조직 내에 아밀로이드가 침착되는 질환으로 다발성 골수종과 동일 범주의 질환이며, 이 질환으로 인해 근골격계의 침착과 병적 골절이 발생할 수 있다. 환자의 치료 및 예후 예측에 정확한 원인의 파악이 중요한데, 저자들은 병적 골절의 발생 및 관절 통증으로 나타난 다발성 근골격계 아밀로이드증을 경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myloidosis, which refers to amyloid deposits accumulated in various organs, belongs to the same category as multiple myeloma; it can be accompanied by pathologic fracture.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e exact cause of amyloidosis in order to decide treatment options and to predict prognosis. The authors described an amyloidosis case with multiple musculoskeletal involvements presented with pathologic fracture and arthrosis, and also reviewed the related articles.

      • KCI등재

        중국 조선족의 저출산력

        김두섭(Doo-Sup Kim) 한국인구학회 1996 한국인구학 Vol.19 No.1

        이 논문은 중국내 조선족의 출산력 수준을 한족과 비교하고, 이에 관련되는 주요 결정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조선족이 19세기 중엽부터 중국의 동북지방으로 이주하게 된 역사와 배경을 기술하고, 지난 반세기 동안 조선족인구의 성장과정과 분포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족의 출산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1990년 중국인구센서스의 자료 중에서 길림성과 연변 조선족자치주의 표본자료를 활용하였다. 중국내 조선족인구는 다른 민족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령화된 연령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교육수준이 뚜렷하게 높다는 특징을 지닌다. 출산력 수준은 한족이나 다른 소수민족보다 현저하게 낮은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경향은 조선족이 밀집되어 거주하는 지역일수록 강하게 나타난다. 조선족의 저출산력은 개인이나 가구의 인구학적 및 시회경제적 특성이 미치는 영향력을 배제하더라도 그대로 유의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지난 1980년대 후반 이래 중국에서 남아선호관으로 인하여 출생시의 성비가 높아지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조선족의 경우에는 출생시의 성비불균형현상이 그다지 심각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해 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는 한족이나 다른 민족보다 오히려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조선족의 자녀사망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evel of fertility of Koreans in China in comparison to Hans. From the demographic perspective, this paper attempts to develop explanations for Korean immigration to northeast China since the mid 19th century. Of interest are the trend of population growth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Koreans in China. Attention is also given to the comparison of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between Koreans and Hans in China.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raw data files of the 1990 Population Census from Jilin Province and Yanbian Korean Prefectur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suggest that the level of fertility of Koreans in China is substantially lower than those of Hans and other ethnic minority. This appears to be particularly true for Koreans residing in the regions densely populated with Koreans. The results of ANOVA and MCA confirm that the ethnic factor do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fertility. The lowest fertility of Koreans is found to be consistent after adjusting the effects of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couple and the household. Despite the recent uprising of the sex ratio at birth in China, it is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pattern of sex ratios for Koreans in Jilin Province and Yanbian Korean Prefecture has been fairly balanced and stable. Finally, Koreans are found to have higher level of child mortality than Hans and other ethnic minority.

      • KCI등재

        고령의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분쇄골절의 수술적 치료

        김두섭(Doo-Sup Kim),윤여승(Yeu-Seung Yoon),이창호(Chang-Ho Yi),우주형(Ju-Hyung Woo),나중호(Jung-Ho Rah)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2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5 No.2

        목적: 골다공증이 있는 노인환자에서 상완골 원위부 관절부위 골절로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과 주관절 전치환술 시행 후 기능적 결과에 대해서 평가 보고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1월부터 2009년 10월까지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골절을 주소로 내원한 65세 이상의 환자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8명은 후방 도달법을 이용하여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하고 (Fig. 1), 6명은 주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하였다 (Fig. 2). 평균 추시 기간은 16.3 개월 이였으며 골절형태는 AO 분류로 8명이 C2, 16명이 C3 형태의 골절이였다. 추시 시 모든 환자들은 방사선촬영 및 신체검사를 시행하였고, Mayo 주관절 수행점수, 및 DASH 점수를 이용하여 임상적 결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Group I 18예 모두 골유합 되었으며 골절부터 골유합까지 평균 기간은 14주였다. 합병증으로 2예에서 주두골 절골부위에 불유합이 관찰되었으며 척골신경증상을 보였던 2예 중 1예는 전방이전술에도 불구하고 개선되지 않았다. Mayo 주관절 수행점수는 평균 87.0점이였으며, DASH 점수는 평균 32.4점이였다. 마지막 추시 시에 시행한 이학적 검사에서 굴곡은 평균 121.0도 (95~145도), 굴곡구축은 평균 12도 (0~35)이였다. Group II 6예 모두 추시 기간내 합병증은 없었으며, Mayo 주관절 수행점수는 평균 89.1점 이였으며, DASH 점수는 평균 44.3점이었다. 마지막 추시 시에 시행한 이학적 검사에서 굴곡은 평균 125.1도 (100~145도), 굴곡구축은 평균 12.6도 (0~30)이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의 상완골 원위부 관절내 골절 환자에서 적절한 환자 선택시 내고정술 뿐만 아니라 전치환술에서도 단기 추시 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urpose: To evaluate and report the clinical outcome after surgical treatment of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 of distal humerus in the elderly with osteoporosi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7 to October 2009, 24 patients aged older than 65 years with intra-articular comminuted fracture of distal humerus underwent surgical treatment. 18 patients (Group I) were managed using primary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OR IF) through the modified posterior approach and 6 patients (Group II) were taken primary total elbow arthroplasty.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17.2 months. According to the AO classification, there were 8 C2, 16 C3 type fractures. All enrolled patients were evaluated radiographically and clinically.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with the Mayo Elbow Performance, Disabilities of Arm and Shoulder and Hand, and Musculoskeletal Functional Assessment functional questionnaires. Results: The bony union was observed in 18 patients in group I at average 14 weeks. There were 2 patients with neurapraxia of whom the ulnar nerve symptom did not improve despite of anterior transposition. And non-union at osteotomy sites was seen in 2 patients. The mean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87.0. The mean DASH score was 32.4. The average arc of elbow flexion was 121.0° (range, 95~145°) with mean flexion-contracture of 12.0° (range, 0 to 35). 6 patients in Group II showed no complication during follow up periods. The mean Mayo Elbow Performance score was 89.1. The mean DASH score was 44.3. The average arc of elbow flexion was 125.1° (range, 100~145°) with mean flexion-contracture of 12.6° (range, 0 to 30). Conclusions: With careful patient selection, Total elbow arthroplasty as well as OR IF could achieve good outcomes in elderly of comminuted intra-articular distal humerus fracture with osteoporosis.

      • KCI등재

        40세 이하에서 견관절 전방 탈구가 동반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관절내 병변 및 임상 결과

        김두섭(Doo-Sup Kim),윤여승(Yeo-Seung Yoon),이동규(Dong-Kyu, Lee),박현국(Hyeun-Kook Park),박장희(Jang-Hee Park),신존정헌(John Shin)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4 No.1

        목적: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서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경우 동반 병변을 조사하고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5월부터 2008년 11월까지 견관절 탈구가 동반된 상완골 대결절 골절 환자중 40세 이하의 30명을 대상으로 관절경을 시행하였다. 동반 병변을 확인한 후 도관나사 고정 또는 봉합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을 시행하였다. Constant 점수와 Rowe 점수를 조사하였다. 결과: Bankart 병변 2예, 골성 Bankart 병변 4예, Perthes 병변 4예, free ALPSA 병변 2예, GLAD 병변 3예, 관절낭 파열 6예 관찰되었고, 회전근 개 부분 파열 5예 (16.7%), SLAP type I 2예 (6.7%), SLAP type II 병변 1예 (3.3%), 이두장건 파열 1예 (3.3%)가 관찰되었다. Constant 점수는 술 전 평균 56.30±11.83점에서 술 후 평균 94.43±7.82점으로 증가하였고 (p=0.034), Rowe 점수는 52.56±9.96점에서 91.76±9.56점으로 증가하였다 (p=0.026). 결론: 견관절 전방 탈구를 동반한 대결절 골절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동반 병변 확인과 골절 치료로 우수한 임상 결과와 골유합을 보였다. 2차 관절경 검사상 Perthes 병변, Free ALPSA 병변, GLAD 병변 및 관절낭 파열은 봉합술을 시행하지 않았지만 자연 치유되거나 더이상 손상의 범위가 증가되지 않았고 술 후 이차적인 불안정성을 유발하지 않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companying lesions of humerus greater tuberosity fracture with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and to analyze its clinical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May 2005 to November 2008, arthroscopy was performed on a total of 30 selected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humerus greater tuberosity fracture with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and who were also under the age of 40. The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onstant and Rowe scores were compared. Results: There was a total of 21 cases of anteroinferior labral lesions: 2 Bankart lesions, 4 bony Bankart lesions, 4 Perthes lesions, 2 free ALPSA lesions, 3 GLAD lesions and 6 capsular tears. For other lesions, 5 rotator cuff partial tears, 3 SLAP lesions and 1 biceps tendon rupture were found. The constant scores were increased from 56.3 to 94.43 points (p=0.034), and the Rowe scores were increased from 52.56 to 91.76 points (p=0.026). Conclusion: For humerus greater tuberosity fracture with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the accompanying lesion was identified and the fracture was treated using arthroscopy. Good clinical results and bone union were achieved. According to the secondary arthroscopic findings, all of the Perthes lesion, the free ALPSA lesion, the GLAD lesion and the capsular tear spontaneously healed or they did not progress to extended rupture although arthroscopic suture was not performed. Any postoperative secondary instability was not observed.

      • KCI등재

        상완골 근위부 분쇄 골절 환자에서 내고정술과 반치환술의 결과 비교

        김두섭 ( Doo Sup Kim ),이동규 ( Dong Kyu Lee ),이창호 ( Chang Ho Yi ),박장희 ( Jang Hee Park ),나중호 ( Jung Ho Rah ) 대한골절학회 2011 대한골절학회지 Vol.24 No.2

        목 적: 저자들은 상완골 근위부 골절 환자에서 내고정술과 반치환술을 시행한 군 간의 임상적, 방사선학적 결과를 비교하여 상완골근위부 분쇄 골절 치료 방법의 선택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3월부터 2007년 3월까지 치료 후 2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64예 (내고정술 38예, 반치환술 26예)를 대상으로 방사선학적, 임상적으로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 과: 골유합은 내고정술 군이 평균 15.6주에서 관찰되었다. Constant 점수는 내고정술 군 평균 75±6.5점, 반치환술 군 평균 70±7.4점이었다 (p=0.034). 삼분 골절에서 내고정술 군 평균 78±5.4점, 반치환술 군 평균 71.2점이었다 (p=0.028). 사분 골절에서 내고정술군이 평균 72±8점, 반치환술 군이 평균 69±9.2점이었다 (p=0.041). 결 론: 상완골 근위부 분쇄 골절의 수술적 치료 시 상완골 두의 혈행의 보존을 위해 연부조직 박리에 주의를 기울이고 적절한 해부학적 정복을 시행할 경우 삼분 골절은 물론 사분 골절에서도 내고정술을 통해 반치환술보다 좋은 임상적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urpose: Authors compare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internal fixation group and hemiarthroplasty group for comminuted proximal humerus fracture to find out which the treatment method have to be chose for comminuted proximal humerus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were treated from March 2005 to March 2007 and available for 2 years follow-up were targets of this study. The internal fixation group had 38 cases, and hemiarthroplasty group included 26 cases. The results were analyzed both clinically and radiologically. Results: On average, Bone union took 15.6 weeks in the internal fixation group. Constant score between the internal fixation and hemiarthroplasty groups were on average 75±6.5 points and 70±7.4 points (p=0.034). In 3-part fracture, Constant score between both groups were 78±5.4 points from the former and 71±2 points, respectively (p=0.028). In 4-part fracture group, Constant score were 72±8 points for the internal fixation group and 69±9.2 points for the hemiarthroplasty group (p=0.041). Conclusion: Internal plate fixation can gain better outcome than hemiarthroplasty in 4-part fracture as well as 3-part fracture of proximal humerus by careful dissection for preservation of blood supply for humeral head and optimal reduction.

      • KCI등재

        경골 고평부 골절 시 슬관절 구조물의 동반손상

        김두섭 ( Doo Sup Kim ),윤여승 ( Yeo Seung Yoon ),전종세 ( Jong Se Jeon ),조태연 ( Tae Yeon Cho ),이창호 ( Chang Ho Lee ) 대한슬관절학회 2010 대한슬관절학회지 Vol.22 No.1

        Purpose: We wanted to analyze the incidence of soft tissue injury associated with fractures of the tibial plateau. Materials and Methods: From November 2005 to December 2008, 36 patients with tibial plateau fractures were examined by radiologic studies. The fractures classified according to Schatzker`s classification by using the plain radiographs and computed tomography, and then magnetic resonance imaging was done for assessing the accompanied injuries of the knee structure. Results: For the 36 cases, accompanying lesions were observed in 30 cases (83.3%). Lateral meniscus damage was the most frequently associated damage, and this was observed in 17 cases (47.2%). Medial meniscus damage was found in 13 cases (36.1%). Anterior crucial ligament damage was found in 11 cases (30.6%). Posterior crucial ligament damage was found in 3 cases (8.3%). Medial collateral ligament damage was found in 16 cases (44.4%) and lateral collateral ligament was found in 8 cases (33.3%). Conclusion: Because soft tissue injury frequently accompanies tibial plateau fracture, MRI evaluation and proper management are necessary regardless of the severity of the fractures.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