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세기 말 개화 지식인의 도시 인식과 실천론

        김동완(Gimm, Dong-W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5 공간과 사회 Vol.25 No.2

        이 글은 개화파 김옥균과 박영효의 치도론(治道論)에 대한 번역 작업이다. 한문을 국문으로 바꾸는 번역이 아니라 그들의 주장을 현대의 도시이론과 통치연구틀에서 재해석하는 일이다. 한 세기도 더 전의 담론을 번역하는 일인 만큼 어휘 와 언어구조를 세심히 살피고 있다. 분석의 대강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화기 지식인의 세계 인식을 그들의 입장에서 해석한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북학파 도로관과 개화기 치도론의 담론적 친화(親和)와 인적 관계를 다룬다. 둘째, 서구의 도시(the urban) 통치술이 도입되는 배경을 살피는 한편, 개화기 조선에서 일어난 담론의 변이(mutation)를 분석한다. 셋째, 치도론이 하나의 담론에서 대한 제국의 중요한 정치적 실천이 될 수 있었던 시대적 정당성을 도출한다. 이 글에서 밝히는 치도의 합리성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한편으로는 팽창하는 서구의 시공간으로서 국제질서에 편입하기 위한 조선의 생존 논리와, 다른 한편으로는 19세기 내내 조선사회를 공포에 몰아넣었던 콜레라로부터 해방이라는 위생논리가 치도론의 시대적 합리를 설명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김옥균과 박영효의 치도론이 도시계획, 위생, 건축, 국제정치 등 현대 분과학문의 경계를 넘나드는 통합적인 통치담론이라 주장한다. This study is an interpretation on the ‘Chido’(治道; which means governing streets) theory of Okgyun Kim and Younghyo Park, who is well known as leaders of Gahwa faction(開化派), in the late 19th century.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emporary theoretical viewpoints of both urban governmentality and multiscalar politics, the author elucidates three features of the ’Chido’ theory as follows: 1) obvious influences of the Bukhak(北學) school to the Kim and Park’s theory, 2) proper backgrounds for importing the urban governmental technologies from Western countries and the mutation of the technologies in Joseon, 3) two historical conditions as justification logics of the ‘Chido’ theory. In conclusion, this research argues that Kim and Park’s theory was an interdisciplanary and integrated theory which had three simultaneous goals: 1) a strategy to prove that Joseon held qualification for membership of the international order driven by spatio-temporal expansion of Western Powers, 2) a plan to enhance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defence by accelerating commodity circulation, 3) a way of policing and disciplining Joseon people and making them governable.

      • KCI등재

        울산공업단지의 서막, 정유공장 건설의 정치지리

        김동완(Dong-Wan Gimm),김민호(Min-Ho Kim)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2

        1960~70년대 한국의 산업화와 경제성장을 설명하는 대표적인 프레임은 발전국가론이었다. 그러나 발전국가론의 방법론적 국가주의는 국가의 관계론적 속성을 간과했고, 실제 국가과정에서 나타나는 다중스케일의 전략관계를 주변화했다. 우리는 발전국가를 통해 개발연대의 산업화를 사유하는 방식에 익숙해졌고, 그것을 자명하게 받아들이기도 했다. 이 글의 목적은 이러한 국가중심적 사유를 문제시하고, 그것이 주변화시킨 다중스케일의 전략관계를 복원해 우리가 자명하게 받아들인 산업화의 경로를 재구성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개발연대의 대표 산업공간인 울산공업단지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는 해방 이후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던 울산정유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초점에 두고, 15년 남짓한 시간 동안 이 사업에 연결되었던 다양한 스케일의 전략관계를 검토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Van Fleet 같은 냉전 네트워크의 결절이나, 남궁연 등의 다중 스케일 행위자가 당대에 국가 간 관계나 글로벌 스케일의 사회관계를 울산이라는 특정 공간에 결속시키는 과정에 주목한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 정유공장이, 다중스케일의 경관들이 울산에 중첩해 만든 역사적 산물이란 점을 밝힘으로써, 방법론적 국가주의가 놓친 사회공간의 전략관계를 다중스케일의 시각에서 재구성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problematizes the dominance of developmental state theory and its negative influences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in particular, dealing with the industrialization during the developmental era, 1960s~70s. As is generally known, the theory has been in a position of unchallenged authority on the industrialization experience of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However, at the same time, it has also misled us into overlooking strategic relations that had articulated the state forms at multiple scales.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historical contexts by the theorizing prompted by recent work on state space. I shed light on the multiscalar strategic relations that had shaped the Ulsan refinery plant as a representative state space of the South Korean industrialization during two decades after liberation. Specifically, the study illustrates the features and roles of Cold War networks and multiscalr agnets such as Nam Goong-Yeon. By identifying the plant as a result of sequential articulations between Ulsan and other scales, this study concludes by suggesting to reframing the strategic relational spaces, beyond the view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in the perspective of multiscalar approach.

      • KCI등재

        항구-도시 인터페이스의 변동과 수변재생: 로테르담을 사례로

        김동완(Gimm, Dong-Wan) 한국지역지리학회 2020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6 No.3

        이 글은 네덜란드 로테르담 항구의 수변 공간 변동을 항구-도시 인터페이스(port-city interface) 개념으로 분석한다. 세계 10대 항구 도시이자, 유럽 최대의 항구 도시인 로테르담의 역사적 경험을 추적해 수변 공간 재생을 둘러싼 분리와 연결의 정치를 고찰한다. 초점은 세 가지이다. 첫째는 컨테이너화로 대변되는 해운 기술, 해운 산업의 변동이 항구 지역에 초래한 변동과 이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살핀다. 다음으로는 이에 대한 도시적, 국가적 대응으로서 도시 / 항구 분리가 어떻게 진행되었고, 그로 인한 수변 공간의 변화가 무엇이었는지 검토한다. 끝으로 항구-도시의 재연결을 추진하는 로테르담의 전략적 변화를 확인한다. 이 연구는 로테르담 항구에 일어난 일련의 과정을 인터페이스의 변동으로 정의하고 해석함으로써 향후 수변 공간 연구에 시사하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한다. 특히 수변 공간의 다중성을 포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개념의 장점이 해양 도시 지역 연구에서 갖는 잠재력을 주장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port-city interface as a geographical concept for the waterfront. By reviewing the concept, this article suggests a new framework for interpreting and evaluating human interventions, especially urban practices, to the waterfront. To this end,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separation and connection between the port and the city is illustrated through the case study of Rotterdam, Netherlands. It analyzes a series of practices that have been continuously manipulating waterfront places since the 1990s and draws geograph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KCI등재

        대항품행 그리고 성미산 스타일

        김동완(Gimm, Dong-Wan),신혜란(Shin, HaeRan) 비판사회학회 2016 경제와 사회 Vol.- No.111

        이 연구는 발전주의 도시화에 대항하는 성미산 마을의 발전 과정을 푸코의 품행과 대항품행의 개념틀로 바라본다. 논의의 초점은 1980년대 중반부터 2011년까지 한국의 도시화 과정에서 대항품행의 장소로 형성된 서울 마포구 소재 성미산 마을이다. 우리는 이 마을에서 한국 발전주의(developmentalism)의 주체성, 특히 도시적 삶의 품행이 어떻게 거부당했는지를 품행 대 대항품행이라는 견지에서 살펴본다. 이 논문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동육아로 시작한 성미산 마을은 방과 후 학교, 슬로푸드, 공동주택 등 도시 내에서 한국도시가 그 운영원리로 내재화한 발전 원리, 즉 발전주의적 품행에 지속적으로 질문을 제기했다. 여성노동 인구 통치에 대한 예속화된 반응으로 공동육아가 시작되었지만, 한국 발전주의 도시화의 상식을 성찰하게 하는 저항으로서 발전했다. 보육, 교육, 주거, 환경, 산업의 다양한 장에서 펼쳐진 권력관계만큼 저항이 일어나 뻗어 나가는 방향도 다중적이다. 질문하고 거부하고 다르게 통치 받을 권리는 권력의 그물망만큼이나 복잡한 대항의 품행들을 만들어 낸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지배에 내재된 저항이라는 관계론적 권력론의 명제와 함께, 지배와 동원이 저항으로 뒤바뀌는 변주의 과정을 확인하고, 대항품행의 끌개가 되는 특정한 장소적 특성을 제안한다. This paper looks 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Sungmisan Maul [village] as resistance to the developmentalist urbanisation that has taken place in South Korea. Through the framework of conduct and counter-conduct suggested by Foucault, it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Sungmisan Maul during the period spanning the 1980s through 2011 in pursuit of alternative lifestyles and values. We look at how the subjectivity of Korean developmentalism, especially urban life, became very much individual competition-oriented as conduct was questioned and resi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ungmisan Maul started as collective childcare activities based on community value. It expanded into comprehensive resistance, including resistance against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that would remove a forest, to reconsider common senses of Korean developmentalism urbanisation. As counter-conduct against Korean urbanisation, Sungmisan Maul suggested alternative types of childcare, education, residence, environment, and industry. Both conduct and counter-conduct are exercised in the complex net form. This research serves as a reminder that the notion of relational power resistance is part of governing power, not external to it. It also suggests that characteristics of a particular place emerge as attractors of counter-conduct.

      • KCI등재

        예술 주도 도시재생의 지속가능성 확보 방안 연구: 런던 혹스턴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가 지원 플랫폼을 사례로

        김동완(Gimm, Dong-Wan),황은정(Hwang, Eunjung)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2 No.4

        도시재생의 결과가 젠트리피케이션을 야기하는 경우는 많다. 특히 예술경관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은 예술가들의 작업공간과 주거공간을 위협한다. 한국에서도 낯설지 않은 과정으로, 이미 홍대나 대학로에서 이런 과정을 본 적이 있고, 지금도 대도시의 소위 ‘힙 플레이스’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상이다. 그러나 아직 이 문제에 대처하는 정부 대응은 온정적 수준에 그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술이 주도하는 도시재생에서 예술가의 퇴출 을 최소화한 사례로 영국 런던의 혹스턴 지역을 살펴본다. 이 지역에서 예술가들은 쇠퇴한 도심을 재생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하지만, 성공한 재생에 뒤따르는 임대료 상승으로 퇴출위기에 몰린다. 그러나 이 위기를 극복하는 방식에 있어 이 지역은 여느 사례와 다른 특징을 가진다. 본 논문의 초점은 예술가들의 주거/작업공간을 확보해 지원하는 예술가 지원 플랫폼에 있다. SPACE나 ACME 등 런던의 대표적 비영리기구들은 정부의 행ㆍ재정적 지원을 조직해 예술가들에게 저렴한 공간을 제공해 오고 있다. 특히 이들은 젠트리피케이션 이후 현금보조 중심의 기존 전략에 자 산보유를 통한 현물보조를 병행해 임대료 상승에 따른 예술가 퇴출을 최소화한다. 이 글은 1960년대부터 혹스턴 지역의 역사적 변천을 검토함으로써, 최근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국내 예술가 레지던스 사업과 도시 재생 사업에 정책적 함의를 도출한다. The more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can more easily lead to gentrification. In particular, the gentrification after artists-led regeneration frequently brings about displacement processes of artists themselves.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e way of public intervention to prevent artists displacement by gentrification. It focuses on a Hoxton area of inner London where a deindustrialized location offered artists a socio-spatial environment and productive resource to work since the late 1960s. During the period, some influential artists had established and developed artist support platforms. They negotiated with local councils, the Greater London Authority and the Arts Council England for short leases on abandoned industrial buildings, and created affordable work spaces for artists. However, a strategic change was made by the platforms when they faced a sharp increase in rental price as a result of regeneration in Hoxton. By purchasing freeholds, they could secure studios for artists and the art scene of the area. The paper argues that the in-kind transfer by the platforms has been a buffer to prevent artists’ displacement despite the gentrification since the 1990s.

      • KCI등재

        엔트로피로 본 도시와 지속가능성 : 도시 엔트로피 체계에 관한 시론적 연구

        김동완 ( Dong-wan Gimm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2 人文論叢 Vol.58 No.-

        이 논문은 엔트로피를 국소적으로 관리하는 공간 장치로서 도시를 규정한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전환이라는 시대적 요청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도시 개념의 재구성을 시도한다. 우선 엔트로피 개념에 대한 간략한 소개와 도시 엔트로피에 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간단한 사고 실험을 진행함으로써 인간 정주체계의 변화가 엔트로피를 어떻게 관리해 왔는지 추론한다. 이후 인류 도시화 과정, 특히 근대 도시의 역사적 경험을 조망함으로써 개략의 변화 추이를 살핀다. 끝으로 한국 발전주의 도시화 과정을 엔트로피 관리 장치라는 개념으로 개괄하고, 그 특징과 구조에 관한 시론적 검토를 진행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도시 간 분업 구조 속에서 아파트 도시화라는 개별 도시의 엔트로피 특성을 진단한다. This paper defines a city as a spatial device that locally manages entropy. This paper attempts to reconstruct the concept of a city necessary to faithfully fulfil the demands of the times of transition to a sustainable city. First, the discussion starts with a brief introduction to entropy, a review of existing studies on urban entropy, and a simple thought experiment to infer how changes in the human settlement system have managed entropy. Afterwards, we look at the changes in outline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human urbanization, especially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modern cities. Finally, the developmentalist urbanization of South Korea is outlined with the concept of an entropy management device, and a theoretical review of its characteristics and structure is carried out. This study diagnoses the entropy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ities called apartment urbanization in Korea's inter-city division of labour.

      • KCI등재

        통치성의 공간들

        김동완(Gimm, Dong-Wan) 한국공간환경학회 2013 공간과 사회 Vol.23 No.2

        이 글은 정치권력이 공간을 조형하는 논리를 푸코의 통치성 차원에서 검토하고자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푸코의 통치성 강의를 중심 텍스트 삼아 구체적인 통치성의 공간들, 이를테면 도시, 영토, 구역 등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독해했다. 강의 전반에 산재되어 있는 통치성의 지리를 푸코의 사유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재구성해, 어떤 지식들이 공간에 관여했는지, 그 결과 발생한 통치실천의 공간들이 국가의 발견에 어떤 기여를 했는지 살펴보았다. 푸코의 견해에서 보자면 근대 서구 통치의 합리화는 지극히 지리적인 현상들, 이를테면 성곽도시의 해체, 영토국가의 등장, 도시 개념의 고안 등에 매우 직접적인 연관을 맺고 있었다. 즉, 통치성 논의 전반에 걸쳐 통치성의 지리라 불릴 만한 공간적 실천들이 매우 중요한 경험적·이론적 지위를 가지고 있었다. 우리 입장에서는 이러한 통치성의 공간들이 한국의 사회공간을 조형하는 중요한 참조물이었다는 의미가 크다. 개항 이후 한국에 수입된 서구 통치술의 근대적 판본, 그 판본이 그렸던 공간의 전형이 푸코가 그리는 통치성의 공간들이기 때문이다. 이런 인식에서 이 논문의 마지막 단계에서는 동아시아 탈식민국가이자, 냉전의 최전선에 있었던 분단국가 한국에 대해 간략히 논의했다. 이를 통해 서구 통치술이 한국 땅에 수입되면서 겪을 수밖에 없었던 충돌과 변용에 대해 시론적인 수준에서 검토했다. Why have states governed cities? How have states been shaped through governing practices. This article began with this question and tried to rethink Foucault’s literature on the governmentality. The focus is the invention of governing technologies for dealing with urban problems in western Europe since late medieval age. The main text is Foucault’s lecture [Security, Territory, Population]. This study attempts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urban problems by which governmentalities are urged to be varied and changed. By providing recent achievements of the human geography field, the possibility of variegated governmentalities are, at least theoretically, justfied. Furthermore Foucault’s historical evidences could give a useful way to develop his frame in the context of Korea if two preconditions can be satisfied: 1) elucidation on the features originated with the colonial experience, 2) consideration on geopolitical singularities of divided sta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