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안녹화식물 선발을 위한 식생 피복도 모니터링

        김동엽(Kim Dongyeob),임상준(Im Sangjun),권혁민(Kweon Hyuck-Min),임재홍(Yim Jaehong)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B Vol.30 No.5B

        본 연구는 식물의 비사저감효과를 정령화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안녹화에 적합한 식물을 선발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서 몇몇 초본식물을 현장식재한 후 식물 생장의 지표로서 시기별 식생 피복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문헌조시를 통하여 24종의 해안녹화식생 후보군을 선정하여 식생포지에 생육한 후, 내염성실험을 실시하여 갯기름나물, 갯패랭이, 땅채송화, 섬기린초, 좁은잎해란초, 큰꿩의비름, 털머위, 해국 등 7종을 선정하였다. 현장식재실험은 내염성실험에서 선정된 7종과 일반 초화류인 꿀풀과 좁은잎해란초 등 2종을 추가한 총 9종에 대하여 경상북도 울진 오산항 부근 해안가에 식재 포장을 설치하여 실시되었다. 각 식물별로 약 1년 동안 정기적으로 촬영된 사진을 이미지 프로세싱 기법으로 처리하여 최종적으로 피복도를 계산하여 시기별 변화 양상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섬기린초, 갯패랭이, 해국 등이 연중 높은 피복도를 나타낸 반면 꿀풀과 좁은잎해란초는 거의 모든 개체가 고사하여 매우 낮은 피복도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섬기린초, 갯패랭이, 해국 등이 해안녹화에 적합한 종으로 판단되었다. 추후 본 여구에서 선정된 식물들의 비사저감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한 풍동을 이용한 추가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suitable plants for beach revegetation as a preliminary study for quantifying the effect of decreasing sand movement. After planting some herbal plants in field, monitoring of temporal change of vegetation coverage which was index of the growth rate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s, 24 candidate plants for beach revegetation were selected, then seven species of them, Peucedanum japonicum Thunb., Dianthus japonicus Thunb. ex Murray, Sedum oryzifolium Makino, Sedum takesimense Nakai, Sedum spectabile Boreau, Farfugium japonicum (L.) Kitam., Aster sphathulifolius Maxim. were picked through salinity tolerance experiments in laboratory. Seven species selected by salinity tolerance experiments and two additional herbal plants,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Nakai and Linaria vulgaris Mill., not the candidates, were nine final species which were planted in the beach around Osan port, Uljin, Korea. The changes of vegetation coverage of each species were investigated from photos periodically taken for about a year using image processing methods. As a result of the monitoring, Sedum takesimensei, Dianthus japonicus and Aster sphathulifolius were observed with high coverages during the whole monitoring while Prunella vulgaris var. lilacina and Linaria vulgaris were observed with low coverage during the same period. Consequently, Sedum takesimensei, Dianthus japonicus and Aster sphathulifolius were concluded as the most suitable plants for beach revegetation. Furthur study to quantify the effects of decreasing sand movement by the selected species is needed.

      • KCI등재

        붕괴모의실험을 통한 산사태 조기경보용 계측센서의 반응성 분석 및 활용성 고찰

        강민정,서준표,김동엽,이창우,우충식,Kang, Minjeng,Seo, Junpyo,Kim, Dongyeob,Lee, Changwoo,Woo, Choongshik 한국산림과학회 2019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8 No.2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ctivity of a volumetric water content sensor (soil moisture sensor) and tensiometer and to review their use in the early detection of a shallow landslide. We attempted to demonstrate shallow and rapid slope collapses using three different soil ratios under artificial rainfall at 120 mm/h.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easured value of the volumetric water-content sensor converged to 30~37%, and that of the tensiometer reached -3~-5 kPa immediately before the collapse of the soil under all three condit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a temporal range for early warnings of landslides using measurements of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sensor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oil slope, but could not generalize and clarify the exact timing for these early warnings. Further experiments under various conditions are needed to determine how to use both sensors for the early detection of shallow landslides. 이 연구는 붕괴모의실험을 통하여 체적함수비센서와 텐시오미터의 반응성을 분석하고, 산사태 조기경보용으로의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산림토양과 사질토의 배합비율을 조정한 3개의 토양조건에서 120 mm/h의 인공강우를 적용하여 얕은 깊이에서 빠르게 진행되는 붕괴형태를 실험적으로 모의하고, 그 과정에서의 두 센서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실험조건에서 체적함수비센서 및 텐시오미터의 계측값은 각각 30~37%, -3~-5 kPa으로 수렴된 이후에 붕괴가 발생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토층 최하부에 설치된 체적함수비센서의 계측값을 활용하여 조기경보 발생시점의 범위를 논의하였으나, 이를 일반화하여 명확한 시점으로 규정할 수는 없었다. 두 센서를 실용적인 차원에서 산사태 조기경보용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조건에서의 추가적인 실험 및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GIS 공간분석 기반의 토석류피해지 토사유출 특성 연구

        서준표(Seo, Junpyo),우충식(Woo, Choongshik),이창우(Lee, Changwoo),김동엽(Kim, Dongyeob)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5

        산사태·토석류가 발생했을 때, 하류로 유출되는 토사량을 예측하는 것은 사방댐 규모·배치 등 사방사업에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사태·토석류 피해지역에 항공영상 촬영을 실시하고, GIS 공간분석을 수행하였다. 토석류 발생시 하류로 유출되는 토사량에는 계류길이, 계류폭, 발생원의 붕괴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류로 유출되는 누적 토사량은 계류길이와 높은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이를 이용하여 토사유출량을 추정할 수 있는 식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식은 그룹화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4가지 추정식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토석류 토사유출량 추정식은 토석류 발생시 하류로 유출되는 토사량을 예측하고, 사방댐 설계시 규모·배치 의사결정에 활용함으로써 재해예방 등 산지 하류지역의 방재효과에 기여할 수 있다. When landslides and debris flows occur, predicting sediment discharge is important for soil erosion control. In this study, aerial photography and GIS spatial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a landslide and debris flow area. The sediment discharge was most affected by the flow length, flow width, and the amount of slope failure within the source area. In particular, the sediment discharge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flow length. We have developed an equation that can estimate sediment discharge. The developed equations are grouped and four estimation equations are proposed. The developed sediment discharge equation can predict the amount of soil runoff downstream when a landslide and debris flow occur in a forest watershed. In addition, it can be used to make design decisions concerning the scale and location of erosion control dams, contributing to disaster prevention in downstream area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