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반의 저수지 위험판단 의사결정지원 방안 연구
김덕길,유지성,장하영,장대원 한국습지학회 2024 한국습지학회지 Vol.26 No.3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집중호우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지자체의 저수지 붕괴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자체 저수지는 대부분 건설된 지 50년 이상된 노후 저수지로, 최근 발생하는 집중호우에대한 붕괴 위험성이 높다. 집중호우에 의한 저수지 붕괴 또는 월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저수용량 변화에 따른 위험을 판단할 수 있는 의사결정지원체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변수 간의 인과관계를 동적으로 나타낼 수있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기법을 활용한 저수지 방류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축하였다. 방류 시뮬레이션을 통해 강우에의한 저수용량 변화를 분석하고, 저수지 월류 예방을 위한 방류시설의 운영시점 및 종료 시점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집중호우에 의한 저수지 월류 발생시점을 파악할 수 있으며, 또한 월류 예방을 위한 방류시설의 용량 및 투입시기를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자체에서는 저수지 피해에 대한 위험을 판단하고, 피해예방을 위한 사전대응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orential rain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increasing, and the damage to reservoir collapse in local governments continues to occur. Most local government reservoirs are aged reservoirs that have been built for more than 50 years, and there is a high risk of collapse due to recent heavy rainfall. In order to prevent reservoir collapse or overflow caused by heavy rainfall, a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that can judge risks due to changes in storage capacity is needed. In this study, a reservoir discharge simulation model was constructed using a system dynamics technique that can dynamically represen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variables. Through discharge simulation, the change in storage capacity due to rainfall was analyzed, and the operation time and termination time of the discharge facility to prevent overflow of the reservoir were analyzed. 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timing of the overflow of the reservoir due to torrential rain, and also the capacity and operation timing of the discharge facility to prevent overflow can be known. 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local governments will be able to judge the risk of damage to reservoirs and establish a preliminary response plan to prevent damage.
김덕길 한국색채교육학회 1995 한국색채조형학회지 Vol.4 No.1
Color energy has as great effects on human body as the light energy. Of course, depending upon types and characteristics, the reations and the benefits vary. Each human body organ only responds to the specific color. Hence, we are unconsciously attracted to the color that creates harmony with our body. The harmonic union between our body and the right colors leaves us in a pheasant mood, and this pleasant mood leads to the psychological comfort, which in turn enhances our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contrast, we are instinctively with drawn from mismatched colorations. Pleasant state of mind has a positive effect on health and unpleasant state of mind has a negative effect on health. Activity rates of our five senses are as follows : the sense of taste 1∼3%, the sence of smell 2%, the sense of touch 3∼15%, the sense of 7∼20% and the sense of sight 60∼87%. Obviousely, our reliance on the visual sensory is the greatest even though there still are different on going arguements debating this theory. When the light hits the retina of eyes, sensory cells absorb the light energy and carry on a chemical reation, resulting the structural alterations on particles in the sensory cells. Simultaneousely, the chemical reaction releases the electronic energy. Then, neurons get excited due to the built up electronic pressure. Excited neurons stimulate the central nerve system, which is resposible for many hormonal secretions, to activate the internal secretions. Light as in colors operates on the skin and nerves. This operation influnces the functions of lung, liver, kidney, and all other organs. The sight factor of tonality can play a positive or a negative role on life. Modern days, people are suffering from the wide spread sight pollution causing physical disorders. Often times usage of pure colors cannot be avoided such as in flags, traditional colorations, traffic lights, etc.. However, other than the necessary occasions, try not to use offensive and stimulating color combinations. Simulation and excitment of the visual sensory system cause direct effects on body organs. Therefore, surroundings should be avoided in using red, orage, and yellow colorings, and black color must be avoided in all cases. Instead, pascal coloration, bright and soft coloration, are recommended. Color-Sociology studies different cultures using the coloration only. The pure colorations give a primitive look. whereas pascal colorations give a calm and elegant look. Therefore, we should use the bright, clear, and soft coloration to create a healthier environment.
김덕길,이임열,이창원,강나래,이종소,김형수 한국습지학회 2011 한국습지학회지 Vol.13 No.2
최근에 홍수조절 기능으로써 강변저류지 조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리실험을 이용한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강변저류지의 홍수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개수로 실험장치를 이용하였으며, 측방구조물로는 횡월류 위어를 이용하였다. 수리실험 결과 횡월류 위어 설치 지점을 기준으로 평균유속과 유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리실험 결과의 검토를 위해 HEC-RAS 모형을 이용하여 실험결과와 모형의 모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수리실험 결과와 모형의 모의 결과가 유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김덕길,김연수,장대원,백천우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6
The incidence and intensity of weather anomalies such as typhoons, heavy rains, and droughts are increasing due to climate change. As a result, the risk of massive natural disasters continues to rise. Flood is a common natural disaster. An accurate evaluation of property value is necessary for an accurate flood damage assess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content-to-structure value ratio (CSVR) was estimated by using the insurance data that carried out an accurate valuation of private assets. The value ratios obtained in this study could help derive practical and accurate results on flood damage analysis.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태풍, 집중호우, 가뭄 등 이상기후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거대 자연재해 발생의 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자연재해는 홍수이며, 홍수에 대한 정확한 피해산정을 위해서는 유형자산에 대한 정확한 자산가치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민간자산의 정확한 가치평가가 수행된 보험자료를 활용하여 CSVR을 산정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CSVR을 활용한다면, 보다 실질적이고 정확한 홍수피해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김덕길,유병국,김재근,신한규,김형수,안경수,장석원 한국습지학회 2012 한국습지학회지 Vol.14 No.1
최근 들어,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습지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습지의 가치평가는 자연습지에 대해서만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댐도 습지의 기능을 수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이를 댐습지라 정의하고 댐습지에 대한 가치평가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 기법으로는 조건부가치측 정법(CVM)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은 용담댐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치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6대광역시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습지생태공원 시나리오에 대한 용담댐습지의 총 가치는 약 420억원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