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차 개설에 의한 한양도성 문루 주변지역의 도시 변화에 관한 연구

        김대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서울이라는 도시의 변화 과정에서 과거 물리적 경계였던 한양도성이 근대화의 동인 중 하나인 전차로 인해 어떠한 변동의 과정을 겪었는지, 또한 그러한 변동의 과정에서 도시의 조직과 공간, 체계들이 어떻게 변화하게 되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조선 건국 이후 약 500년 동안 한양도성은 도시의 구조와 영역을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조선이 대한제국으로 바뀌는 역사의 흐름 속에서도 그 형상이 크게 변하지 않고 유지되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들어 한양도성은 도시의 근대화에 있어서 성곽은 골칫거리로 전락하였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새로운 교통기관의 도입은 전통도시 한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500여 년간 성곽도시였던 한양이 전차의 도입으로 변형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지금은 사라졌으나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쳐서 1960년대까지 시민의 발이었던 전차는 도로에 궤도를 설치하고 그 위를 운행하는 노면전차로써, 전차를 운행하기 위해서는 궤도의 부설이 선행되어야 했으며, 궤도가 뻗어나가는 범위가 도시화 규모를 결정짓는 요소가 되었다. 전차는 대한제국이 선포된 다음 해인 1898년 설립되었으며, 1899년 개통식 이후 본격적으로 운행하였다. 처음으로 도입된 전차의 노선은 돈의문부터 종로와 흥인지문을 지나 청량리를 연결하였으며, 두 번째 노선은 종로에서 용산에 이르는 것이었다. 세 번째 노선은 철도역과의 연결에 주안점을 맞추어 서대문 정거장과 남대문 정거장을 연결한 의주로선이 개통되었으나 부설 후 2~3년이 지나면서 운행이 중단되었고, 네 번째 노선은 마포로 이어졌다. 전차의 등장은 한양에 큰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처음 전차가 개통되었을 때만 해도 한양도성은 훼철되지 않았지만, 전차가 등장하였을 때만 해도 원래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던 한양도성이 점차 훼손되기 시작하였으며, 대한제국시기에 성문을 통해 도성 안과 밖을 연결하던 전차가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부터 훼철을 통해 절개한 한양도성 사이로 신설된 도로로 노선을 이전하면서 기존에 가지고 있었던 한양도성의 경계로서의 기능이 변화하기 시작하였음을 의미한다. 대한제국기의 도시 변화 속에서도 여전히 경계로서 여전히 그 기능을 유지하던 한양도성은 일제강점기에 들어 변동이 일어났다. 경성시구개수사업으로 인해 한양의 전통적인 가로체계를 무시하고 동서와 남북 방향으로 뻗은 직선의 도로가 주를 이루는 가로망을 건설하는 것이었다. 주요 거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는 격자형 도시에 대한 제안은 기존의 한양도성과 한양도성의 성문이 가지고 있던 도시 구조 형성의 역할이 사라지게 되었음을 확인시켜 준다. 간선도로의 계획과 함께 도성 내 전차 노선의 확장과 전차의 운행 방식은 당시 도성 내 시가지화가 진행되었던 지역이 어느 곳에 집중되어 있는 가를 잘 보여준다. 대한제국기에 신설된 전차노선은 모두 조선인 주거지를 지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일 병합 이후에는 경성부의 간선도로 계획과 맞물리면서 노선의 성격이 바뀌게 된다. 이러한 발전 형태는 시구개수사업에서 공사가 진행된 순서와 비슷한 양상인데, 당시 전차노선이 이미 개설된 도로 위에 철로를 놓는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폭원의 정비가 이루어진 도로가 우선적인 노선 확장의 대상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전차 교통의 확장 과정을 통해 기존의 한양이 가지고 있던 도시 구조와는 다른 경성이라는 도시의 구조로 변해가는 배경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양도성과 전차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는 연구의 과정 속에서 한양도성이라는 도시의 물리적 경계가 전차라는 도시 변화의 동인을 만나 어떻게 변해갔는지를 한양도성의 문루 주변지역에서 나타나는 도시적 변화에 대해 궤도와 지형, 도시조직의 세 가지 시각으로 분석하였다. 세 가지 분석의 시각은 모두 시간과 장소의 개념을 통합하여 도시를 바라보는 관점을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의 변화에 대한 해석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돈의문은 정동 일대의 시구개수사업으로 인한 계획도로의 개설 및 확장으로 인해 훼철되었다. 전차의 개통과 정비된 도로로 인해 돈의문 일대는 교통의 중심지로 전환되었으며, 교통의 발전을 기반으로 하여 1920년대 이후부터 신시가의 창설 및 기성시가가 확장되어 돈의문 밖으로 도심의 영역이 확장되었다. 돈의문 주변지역의 한양도성의 변동을 궤도와 지형, 필지를 통해 살펴보는 과정에서 궤도 혹은 도로의 형성이 권력의 주체에 따라 새로운 도시구조로 이뤄지는 과정과 함께 궤도와 도로의 확장을 통해 한양도성이 가지던 경계로써의 기능이 사라져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궤도의 확장의 과정에서 지역이 가지고 있던 지형이 변하기도 하였으며, 경계가 사라지면서 필지의 이용행태가 변하여 성 안팎이 하나의 도시 영역으로 확장되어 지역의 경관이 변하게 되었다. 광희문은 1913년 왕십리선을 부설하는 과정에 성벽이 훼철되었으며, 1921년 장충동 일대에 문화주택지 개발을 위해 일대가 철거되었다. 경성 시내의 인구 과밀화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성의 동쪽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광희문 주변지역의 성곽이 훼철된 것이다. 장충단까지의 도로 개통, 전차노선의 연장, 새로운 대중교통수단의 등장과 경성시가지계획에 의한 경성의 확장과 맞물리면서 광희문 주변지역이 도심에 근접한 새로운 주거지로 개발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주택지의 조성을 위해 도시의 중심과 연결되는 간선도로와 주택지에 접근하는 도로를 형성하기 위해 성곽을 훼철했고, 이 과정에서 차량 통행이 가능한 도로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성곽을 절단하고 지형의 변화가 일어났다. 광희문 주변지역은 도시 변화의 과정에서 도로의 개설과 새로운 주택지를 형성하는 과정에 지형적 변화가 크게 동반되었으며, 원래 가지고 있던 지형적인 특성이 모두 사라졌다. 광희문 주변지역은 새로운 필지 형성을 위해 선결되어야 하는 궤도의 형성과 지형의 변화를 수반하고 있는 지역이다. 혜화문 일대의 성곽의 훼철은 도로의 개설로 인하여 일어났는데, 1915년에 형성된 도로로 인해 한양도성의 일부가 절단되었고, 1939년에는 혜화동과 돈암동 사이의 전찻길을 내면서 혜화문 역시 훼철되었다. 혜화문 주변지역은 혜화동까지의 전차 운행으로 필지의 분화 등이 변화를 보이긴 하였지만, 도성 바깥까지 그 영향이 전해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돈암정까지 연결되는 교통여건이 개선되고 1940년대 돈암지구가 주거지역으로 형성되면서 이 지역을 통하는 버스와 전차의 노선의 영향으로 자연적으로 도심과 돈암지구를 연결하는 혜화문 주변지역에도 필지의 분화를 통해 도시의 영역이 확장되었다. 혜화문 주변지역은 도로의 형성이나 지형의 변화의 영향으로 지역의 성격이 변했다고 하기 보다는 돈암지구의 형성을 통해 도성 외부 지역의 필지부터 도성의 방향으로 변해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돈의문과 광희문, 혜화문의 도시 변화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전차라는 요인이 도시의 변화에 작용하는 과정들을 살펴보았지만, 세 지역에 같은 방식으로 작용하지 않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돈의문 주변지역의 경우에는 전차가 운행하면서 한양도성의 경계로써의 기능이 흐려져 도시의 영역이 외부로 확장되어 갔고, 그에 따라 필지와 지형의 변화가 수반되었다. 광희문 주변지역은 새로운 주택지라는 도시구조의 변화를 위해 지형과 도로가 선결되어야 하는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혜화문 주변 지역의 경우에는 도로의 형성이나 지형의 변화의 영향으로 지역의 성격이 변한 것이 아니라 도성 외부 지역의 변화로부터 도성 쪽으로 그 변화가 확장되어 왔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같은 변동의 요인인 궤도의 형성, 지형의 변화, 도시 경관의 변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돈의문, 광희문, 혜화문 주변 지역들의 분석 과정 속에서도 그 중심이 되는 요인과 배경이 되는 요인이 있으며, 전과 후, 원인과 결과로 이뤄지는 요인들이 있었다. 또한, 문루 주변지역의 변화는 이전 시대의 흔적을 바탕으로 진행된다는 점 역시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를 이해하는데 있어 단편적인 시각으로는 한계를 가질 수 있으며, 사료들의 나열을 통해 단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시각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도시가 가지고 있는 연속성 속에서 이해하여야 한다. 이 연구를 통해 서울이라는 도시를 이해하고, 도시를 인식하는 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Since the founding of Joseon for about 500 years, Seoul City Wall had been determined the structure and region of the Hanyang. and despite Joseon turned into the Korean Empire, the role of Seoul City Wall was not changed. Fo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oul City Wall was a blockage in the city moderniza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introduction of new transportation has had a major impact on the traditional city, Hanyang. Hanyang was a walled city during the 500 years, had started to change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tram. Tram was founded in 1898. The first tram line was connected to the Cheongryangri from Donuimun. and the second tram line was connected to Jongno and Yongsan. The third route was uijuro line connecting the Seodaemun Station and Namdaemun Station. But over two to three years, this route was discontinued operation. and the last line in the Korean Empire period was connected Mapo. When the first tram opened, Seoul City wall did not changed the original form. The Korean Empire period, the tram was driving through Seoul City Wall Gates. but ente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ram route has changed to new streets made while demolishing the Seoul City Wall. This means that a function as the boundaries of Seoul City Wall was started to change. Seoul City Wall was lost the role to form the urban structure due to the Urban Improvement Project in Gyeongseong that to making a new road networks ignore the traditional urban road system. Expansion process of tram routes and planning of the main road shows that areas has been focused where urbanization. All tram routes established for the Korean Empire Period has passed the Korean settlements. But Japanese colonial period has changed character of tram route plan. An extension of the tram route is a similar pattern with the order in which The Urban Improvement Project in Gyeongseong progressed. Because of how to create a tram routes take place by putting the tracks on the road, the target of preferential expansion of tram routes was road that has already been maintenances. Through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tram route, The urban structure of Hanyang turned into Gyeongsung. this study was analyzed in three different subject about the urban transformation of surrounding area of Seoul City Wall Gates through introduction of tram Donuimun was demolished due to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road jeong-dong. surrounding area of Donuimun became the center of transportation due to the opening of the tram and maintenance of road.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expands the existing urban city area was expanded out Donuimun. Change in Seoul City Wall of surrounding area of Donuimun was due to losing of function as the boundaries of the Seoul City Wall by expansion of road and tram. Also the terrain has changed due to the extension of the tram and road. and the inside and outside area of Seoul City Wall was expanded to integrated city area by losing of function as the boundaries of the Seoul City Wall. Gwanghuimun was demolished as established Wangsimni tram line in the 1913. And surrounding area of Gwanghuimun was demolished in 1921 for a new residential development Jangchung-dong. Demolition of Gwanghuimun and surrounding area of Seoul City Wall occurr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a Gyeongsung east to resolve the population problem of overcrowding Gyeongsung.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residential area, Seoul City Wall was demolished in order to create the road access to the residential area. Also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roads, Seoul City Wall were cut and changed the landscape. Surrounding area of Gwanghuimun was accompanied by a change topography and expanding of roads In the process of creating a new residential area. This area should be pre-defined changes in the topography and expansions the road for the use of the new urban tissues. Seoul City Wall of surrounding area of Hyehwamun was demolished occurred in the expanding of the road. Seoul City Wall of Surrounding area of Hyehwamun had been cut dut to constructing a road in 1915, and while creating a tram route between Hyehwa-dong and Donam-dong, Hyehwamun were demolished in 1939. This region's urban tissues was divided by tram driving. Bus and tram are created that are connected to donam-dong, and Donam-dong was formed into a new residence in 1940s. As naturally, the urbanization has expanded to surrounding area of Hyehwamun, connecting the city center and Donam-dong. Character of surrounding area of Hyehwamun was not changed by the change in topography or the expansion of road. surrounding area of Hyehwamun was turned into the impact of new residential Donam-dong. In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change in the city, the process of acting on the urban transformation did not happen in the same way. While analyzing surrounding area of Donuimun, Gwanghuimun, and Hyehwamun focusing on expansion of the road, changes in terrain, and changes in the urban landscape, each of the factors was acting in different ways. Each of these factors acted as the main issues and background issues. Or factors acted as cause and effect. Also urban transformation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races of earlier ti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limits to the fragmentary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the c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ity, should be identified the historic materials in a variety of perspectives applied continuously and comprehensively.

      • 인공 동면에 의한 청개구리의 생리적 변화 및 동면 기작에 대한 연구

        김대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양서류는 동면 시 활동성 감소, 세포막의 삼투압 감소, 세포막 이온 구배 유지를 위한 에너지 소모 감소, 신진대사와 심박수 감소, 혈장 포도당 증가, 요소 증가 등 다양한 생리적 변화가 나타난다. 양서류는 동면 시 극저온 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기 위해 혈중 포도당, 글리세롤, 요소, 중성지방 농도를 높여 동결보호제(cryoprotectant)로써 사용한다. 현재까지 보고된 양서류의 동면기작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이며, 일부 종에 대해서만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에 대한 연구는 주로 생리학적 측면에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동면의 분자생물학적 기작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비동면, 동면준비기, 인공동면이 유도된 청개구리의 간에서 혈중 포도당, 글리세롤, 요소, 중성지방 농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RNA-seq을 수행하여 glycolysis, gluconeogenesis, glycogen synthesis, glycogenolysis, urea cycle, triglyceride synthesis, glycerol synthesis, glucose transporter(GLUT), aquaporin(AQP) 관련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확인하였다. RNA-seq 결과 총 127,464개의 contig를 확보하였으며, 동면 특이적으로 억제 또는 유도되는 특이발현유전자 4,516개를 확인하였다. 인공 동면 유도에 의해 청개구리의 혈중 포도당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glycolysis와 gluconeogenesis 관여 유전자들의 발현 변화를 mRNA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동면 시 Hexokinase-2 (HK2), Phosphofructokinase (PFK),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1 (PCK1) 유전자 발현이 감소한 것으로 보아 glycolysis와 gluconeogenesis는 억제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음으로 glycogen synthesis, glycogenolysis 관련 유전자들을 mRNA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UDP-glucose pyrophosphorylase (UGPase) 유전자 발현은 동면준비기에 증가하였고 Glycogen phosphorylase (PYGL) 유전자 발현은 동면기에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glycogenolysis를 통해 포도당을 합성하여 동결보호제로 사용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 다른 동결보호제인 글리세롤 농도를 간에서 측정한 결과에서 동면기에 글리세롤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요소와 중성지방 농도를 간과 혈청에서 농도를 측정하였다. 요소의 경우에는 동면 시 간과 혈청에서 요소 농도를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변화를 확인 할 수 없었지만, 중성지방은 혈청에서 유의적인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포도당 수송에 관여하는 GLUTs 유전자를 mRNA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동면 시 GLUT1, 6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고 GLUT5, 8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청개구리의 동면 시 GLUT1, 6가 세포 내외 포도당 수송의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물 분자 수송에 관여하는 AQPs 유전자들에 대한 발현 분석에서 AQP3 발현이 동면준비기에 증가하였다. AQP4는 동면준비기, 동면 시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지만 AQP10 유전자 발현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동면 시 발현이 증가한 주요 유전자들이 공통적으로 관여하는 pathway를 분석하였고, GLUT1 (SLC2A)이 동면 시 신호 전달 체계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GLUT1과 상호작용하는 GLUT6 역시 신호전달 중심부에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청개구리는 동면 시 체내 기관들을 보호하기 위해 glycogenolysis와 glycerol synthesis을 통해 동면 시 동결보호제인 포도당과 글리세롤은 간에서 합성되고 GLUT1과 GLUT6을 통해 간세포 외부로 포도당을 이동시켜주며 혈관을 통해 기관으로 이동하며 AQP3, 4을 통해 간세포 밖으로 수분을 배출 시키고 글리세롤을 축적하여 동면 시 청개구리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합성곱 seq2seq를 이용한 금융시계열 예측

        김대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IMF이래로 확대되어 온 외국인 자본유입으로 인해 한국 유가시장의 변동성이 상승하였고, 시장의 초저금리 기조로 투자자들의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주식예측과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가장 중점적으로 연구되는 방법론은 기계학습을 이용한 방법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계학습 방법론들(LSTM, GRU, Sequence-to-sequence LSTM, Sequence-to-sequence GRU, 합성곱 Sequence-to-sequence)을 사용하여 Kospi200 지수와 S&P500 지수를 예측하는 모델을 개발하고 기계학습 방법론들의 예측성능을 비교·분석한다. 실험은 두 차례로 진행되었으며, 먼저 2020년 5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의 주가 데이터를 이용하여 2020년 9월의 주가 데이터를 예측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슬라이딩 윈도우 기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전 구간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두 실험에서 모두 합성곱 Sequence-to-sequence를 사용한 모델이 가장 우수한 예측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주로 번역에 사용되는 합성곱 Sequence-to-sequence가 금융 시계열 데이터에도 좋은 성능을 보임을 증명한다.

      • 정량적 평가지표에 의한 X선 영상 기반 치아와동 컴퓨터 보조검출 시스템에서의 동적윤곽 알고리즘 비교연구

        김대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아우식증은 우리나라 국민의 구강건강을 위협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초기에 발견하면 간단한 처치만으로 회복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우식증이 심해져 환자의 고통과 동반하여 치료기간 및 비용이 증가한다. 그렇기 때문에 초기 상태의 병변을 찾아내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치아우식증은 병변의 크기나 형태, 특징, 질감이 치아에 따라 다양하며 X선 촬영환경에 따라 대조도와 잡음이 달라 진단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연구에 사용된 데이터는 7개의 자연 치아를 확보하여, 치아마다 2개씩 다른 와동을 만들어 총 14개의 와동을 지닌 7개의 치아로부터 촬영한 X-선 영상을 이용하였다. 입력된 X-선 영상으로부터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명암 대조 스트레칭과 양방향 필터를 적용한 뒤 캐니 엣지(Canny Edge)를 이용하여 치아와동의 윤곽선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Active Contour model인 스네이크 알고리즘과 DRLSE(Distance Regularized Level set Evolution)를 이용하여 와동의 윤곽을 검출하였다. 프로그램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전문의가 판단한 와동 영역(Ground truth)과 2가지 알고리즘의 적용 결과 영상을 오류척도(Error metrics)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Dental caries is a typical disease that threatens the oral health of the people of Korea. If it is found at first, it can be recovered by simple treatment. However, as the time passes, the caries becomes worse and treatment period and cost increase with suffering of pati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identify lesions in the initial state. There are many problems in detecting dental cavities. In dental caries, size, shape, feature, and texture of the lesion vary according to the teeth. Also contrast and noise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X-ray environment and diagnosis difficulties arise. The data used in the study from incisor to molar. Each teeth contains two cavities of different shape. We find the region of interest from the input X-ray image, and then contrast stretching, bilateral filter were applied, and the outline of the dental cavity was shown using Canny Edge. Finally, the outline of the dental cavity was detected using the active contour model Snake algorithm and DRLSE (Distance Regularized Level Set Evolution) algorithm. In order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performance of two algorithms, we compared the ground truth determined by the dentist and these algorithms by applying the error metrics.

      • 연주 지휘법에 관한 연구 : J.S. Bach의 St. John Passion(BVW245)중 (1, 10, 16a~e, 24, 30, 33, 34, 40곡)을 중심으로

        김대한 장로회 신학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바흐의 요한 수난곡을 중심으로, 곡의 내용을 분석하거나 연구하기보다는 '어떻게 연주 지휘할 것인가'에 대한 것을 중점으로 하여 바흐의 요한 수난곡의 지휘법을 제시하였다.

      • 낙동강 수계의 인위적 하천 교란 구간에 대한 어류상 평가에 관한 연구

        김대한 湖南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하천교란은 생태계에서 군집 구조나 개체군의 증감과 하천형태를 변화를 물리적으로 일으키는 불연속적인 사상이다. 하천의 교란에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 변화, 구조물 설치, 골재 채취에 따른 서식처의 훼손 등이 있다. 본 연구는 하천 복원 시 문제가 되는 하천교란을 파악하기 위하여 낙동강의 교란이 예상된 지점에서 어류상을 평가하여 수행하였다. 하천 교란 여부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3가지 유형의 조사 구간과 각 참고 구간을 지정하였다. 하천 생태 평가는 3가지 유형의 조사 구간을 대상으로 어류상을 분석하는 방법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하천생태평가의 주요 범주는 종 조성, 군집분석, 생태계 구조 그리고 서식처다양성으로 삼았다. 하상이 모래인 안동댐 하류에서 출현한 어류는 총 3목 7과 21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였다. 안동댐 하류 어류상 분석 결과 우점도는 59.7, 종다양도는 1.6, 종균등도는 0.5, 종풍부도는 3.4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의 출현빈도는 33.3%(7종), 외래어종의 출현빈도는 4.8%(1종)였다. 하상이 모래인 내성천 구간의 출현한 어류는 총 3목 5과 14종이었고 우점종은 붕어였다. 내성천 참고구간 어류상 분석 결과 우점도는 37.2, 종다양도는 1.7, 종균등도는 0.7, 종풍부도는 2.4이었으며 한국고유종의 출현빈도는 21.4%(3종)였다. 조사 기간 중 수위가 높게 유지되어 댐에 의해 교란된 안동댐 하류는 내성천보다 종수와 풍부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그 밖의 대부분 군집분석 지수는 내성천 구간이 안동댐하류보다 높아 어류군집이 상대적 안정성을 나타냈다. 안동댐 하류와 내성천의 어류상 평가를 수행한 결과 내성천의 종합 점수는 춘계에 낮아졌고 추계에는 높아졌으나 안동댐에서 방류하는 유량은 어류의 생태계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출현 종은 길안천 보다 임하댐 하류에서 다소 많았으나 한국고유종, 외래종, 서식처 다양성 등은 길안천 참고구간에서 대부분 양호하게 나타났다. 하상이 자갈인 임하댐 하류에서 출현한 어류는 총 3목 7과 28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였다. 임하댐 하류 어류상 분석 결과 우점도는 40.7, 종다양도는 2.4, 종균등도는 0.7풍부도는 4.5이며 한국고유종의 출현빈도는 35.7%(10종), 외래어종의 출현빈도는 7.1%(2종)였다. 하상이 자갈인 길안천 참고구간에서 출현한 어류는 총 3목 6과 23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였다. 길안천 참고구간 어류상 분석 결과 우점도는 26.2, 종다양도는 2.4, 종균등도는 0.8, 풍부도는 3.8이며 한국고유종의 출현빈도는 39.1%(9종), 외래어종의 출현빈도는 4.3%(1종)였다. 출현 종은 길안천 보다 임하댐 하류에서 다소 많았으나 한국고유종, 외래종, 서식처 다양성 등은 길안천 참고구간에서 대부분 양호하게 나타났다. 어류상 평가 결과 임하댐 하류보다 길안천에서 평가 점수의 변화가 매우 적어 안정적인 어류 생태계 유지가 용이한 것으로 추정된다. 하상이 모래인 감천 골재채취 구간에서 출현한 어류는 총 3목 4과 17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였다. 감천 참고구간 어류상 분석 결과 우점도는 81.8, 종다양도는 0.9, 종균등도는 0.3, 풍부도는 2.6이며 한국고유종의 출현빈도는 41.2%(7종)였다. 하상이 모래인 감천 참고구간에서 출현한 어류는 총 3목 7과 22종이었고 우점종은 피라미였다. 군집분석은 특징은 우점도 62.9, 종다양도 1.5, 종균등도 0.4, 종풍부도 3.4이며 한국 고유종은 22.7(5종), 외래어종은 3.6%(3종)였다. 연구 기간 중 골재채취로 인하여 교란이 나타나 감천에서 어류의 출현 종수와 종 다양성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감천 참고구간은 골재채취 구간보다 어류상의 변동이 적어 보다 안정적인 어류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어류상의 항목별 평가를 종합한 결과 감천 참고구간이 골재채취 구간보다 높아 교란을 받은 골재채취 구간의 안정성이 취약한 것으로 여겨진다. 대상하천의 어류상에 적용한 하천평가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본 연구결과는 어류의 생태적 특징 분석을 주된 내용으로 삼은 하천생태평가 방법과 이의 적용이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어류가 서식하는 하천 범위를 생물학적으로 옳게 인식하게 함으로써 기존의 물리적, 화학적 평가방법과 함께 폭넓은 하천의 평가를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tream disturbance might be thought discontinuous employment and phenomenon that change physical stream appearance and fluctuating community structure and/or population size in aquatic ecosystem. The types of disturbance in streams were as follows : change of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equipment of constructions, damage of habitat by aggregate gathering and some other various appearance. The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apprehend solving the problems on stream disturbance during artificial stream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be disturb grasp for performed. Nakdong River of disturb happened is anticipated site of ichthyofaund a subject with assessment. Three kinds of surveying sites and each reference sites were designated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contingent stream disturbance efficiently. Ichthyofaunal analyses was applicated as tools for assessment to stream ecosystem each kinds of surveying sites. Major categories of assessment to stream ecosysteam were as follows: species composition, species diversity, ecosystem structure, and habitat suitability. Twenty-one fish species were belonging three orders and seven families with dominant species as pale chub which were living at the down stream of Andong dam with sand river bed approximately. The dominance index was 59.7, diversity index was 1.6, species evenness was 0.5, species richness was 3.4, the friquency of Korean endemic species was 33.3%(seven species), and the frequency of introduced species was 4.8% (one species) as result of ichthyofaunal analysis at down stream of Andong dam. Fourteen fish species were belonging three orders five families with dominant species as crucian carp which were living at the Naeseongcheon as reference site with sand river bed approximately. The dominance index was 37.2, diversity index was 1.7, species evenness was 0.6, species richness was 2.4, the frequency of Korean endemic species was 21.4%(three species) as result of ichthyofaunal analysis at the Naeseongcheon as reference site. The species number and richness were appeared at down stream of disturbed Andong dam higher than Naeseongcheon while the water level was sustaining highly during this survey. However, comparative stability of the Naeseongcheon was appeared rather higher than down stream of Andong dam because of most ichthyofaunal community indices high at the Naeseongcheon. Discharged flow of Andong dam did affected to ichthyofaunal community, however, total assesment scores of Naeseongcheon were lower in spring and highly scored in the autumn at the Naeseongcheon, as the results of ichthyofaunal assesment between the down stream of Andong dam and Naeseongcheon. Species numbers at Imha dam were more Gilancheon in greater, however, Korean endemic species, introduced species, habitat diversity and some characters of Gilancheon were favorable mostly. Twenty-eight species were belonging three orders and seven families with dominant species as pale chub which were living at the down stream of Imha dam with gravel river bed approximately. The dominance index was 40.7, diversity index was 2.4, species evenness was 0.7, species richness was 4.5, the frequency of Korean endemic species was 35.7%(ten species), and the frequency of introduced species was 7.1% (two species) as result of ichthyofaunal analysis at the down stream of Imha dam. Twenty-three fish species were belonging three orders and six families with dominant species as pale chub which were living in the Gilancheon as reference site with gravel river bed approximately. The dominance index was 26.2, diversity index was 2.4, species evenness was 0.8, species richness was 3.8, the frequency of Korean endemic species was 39.1%(nine species), and the frequency of introduced species was 4.3% (one species) as result of ichthyofaunal analyses at the Gilancheon as reference site. Species numbers at Imha dam were more Gilancheon in greater, however, Korean endemic species, introduced species, habitat diversity and some characters of Gilancheon were favorable mostly. It was ease to sustain stable aqutic ecosystem because of assesment score was very small as the result of assesment at Gilancheon more than down stream of Imha dam. Seventeen fish species were belonging three orders and four families with dominant species as pale chub which were living in the aggregate gathering site of Gamcheon with sand river bed approximately. The dominance index was 81.8, diversity index was 0.9, species evenness was 0.3, species richness was 2.6, the frequency of Korean endemic species was 41.2%(seven species) as result of ichthyofaunal analysis at the aggregate gathering site at the Gamcheon. Twenty-two fish species were belonging three orders and seven families with dominant species as pale chub which were living at the Gamcheon as reference site with sand river bed approximately. The dominance index was 62.9, diversity index was 15, species evenness was 0.4, species richness was 3.4, the frequency of Korean endemic species was 22.7%(five species) and the frequency of introduced species was 3.6% (three species) as result of ichthyofaunal analysis at the Gamcheon as reference site The species number and the species diversity were descending, so stream was disturbed by aggregate gathering at the Gamcheon during survey. More stable ichthyofauna reference site of aggregate gathering at the Gamcheon was sustaining so ichthyofaunal change was less than aggregate gathering site at the Gamcheon. Naive stability aggregate gathering site at the Gamcheon was assumed with disturbance in view of the reference site at the Gamcheon was appeared rather higher than aggregate gathering site at the Gamcheon, as the result of ichthyofaunal total assesment throughout whole item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method and application for assesment of stream ecosystem using ecological characteristic analyses of fish, the possibility of evaluating tool for riparian ecosystem applicated to ichthyofau

      • 일제강점기 경성 도심부 공간구조의 변동

        김대한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서울은 조선시대와 대한제국기, 일제강점기, 근대를 거치며 역사적 층위가 쌓여 만들어진 수도이다. 그 안에서도 세종대로는 수도로서의 상징성을 띄는 대표적인 가로이다. 세종대로는 정치와 경제의 중심지이며, 주요 간선도로들이 연결되어 있는 수도 서울의 중심축 역할을 하고 있다. 세종대로는 세종로와 태평로가 합쳐져 만들어진 가로이며, 그 역할과 위상은 조선시대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일제강점기 광화문통과 태평통은 도시계획으로 공간구조의 변화를 겪었다. 조선시대 丁자 형태의 도시구조는 태평통 신설 이후 경복궁에서 숭례문까지 이어지는 새로운 도시의 축으로 바뀌었다. 육조거리 좌우의 관청들은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바뀐 행정 조직에 따라 근대식 건물들로 교체되었다. 또한 태평통을 비롯한 도로들의 신설과 확장으로 인해 덕수궁의 궁역이 변하였고, 새로운 시설물의 설립으로 도시의 경관이 변하였다. 일제강점기 경성의 도심부는 도시계획으로 인한 공간구조의 변화를 살펴 볼 수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는 세종대로가 크게 변동했던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그 일대의 공간구조 변화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일제강점기에 시행되었던 시구개수사업과 시가지계획령과 같은 도시계획으로 인한 도시의 변화 속에서 나타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를 세 시기로 나누어 도시의 변화상을 분석하였다. 제1기는 1910년~1924년의 시구개정사업 시기이며, 제2기는 1920년대 도시계획에 대한 움직임이 점차 활발해지고, 경성을 비롯한 각 지역에 도시계획 안이 마련되는 시기로서, 조선시가지계획령이 제정되기 바로 이전의 시기인 1925~1934년, 제3기는 1934년~1945년의 조선시가지계획령 시기이다. 제1기인 1910년~1924년의 경성 도심부는 경성시구개수로 인해 새로운 공간구조로 만들어졌다. 황금정광장을 중심으로 한 방사상 도로망과 경성 도심부의 격자형 정비를 중심으로 한 경성시구개수는 기존의 도시조직을 무시하고 도시 구조를 재편하여 식민 지배를 이루어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었다. 경성의 도심부에는 광화문에서 서울역을 잇는 새로운 도시의 축이 형성되었으며, 새로운 건축 기술의 도입을 바탕으로 각 관청 터에 근대식 관청 건물이 들어서면서 도심부 가로의 경관이 변하였다. 또한 광장이라는 근대적 가로공간의 등장으로 공간 구조의 변화가 나타났다. 광화문통 남쪽의 황토현광장은 대한제국기 권력의 중심지였던 경운궁을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성되었다. 남대문통과 본정이 맞닿은 교차로 부분에 형성된 조선은행 앞 광장은 조선은행, 경성부청사, 경성우편국 등 식민 통치시설이 밀집한 장소이자 일본인 거주지인 본정의 입구로서 새로운 도시의 중심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제2기, 1925년~1934년 사이의 경성 도심부 공간구조의 변화는 식민 통치시설의 이전으로 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주요 식민 통치시설들이 이전하게 되면서 일본인 거주지 위주로 진행되었던 개발에서 북촌이 개발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는 1910년대에 진행된 시구개정을 통해 남북 방향의 도로의 개설과 정비가 이루어져 남촌과 북촌 사이의 연결문제가 해결되었기 때문이다. 광화문통의 변화는 1926년 조선총독부의 이전으로 인해 시작되었다.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안으로 이전하게 되면서 광화문통은 식민권력의 중심지가 되었다. 광화문통에 전차가 도입된 것도 1916년 총독부의 신청사 건설공사를 위해서였다. 조선총독부가 경복궁으로 자리를 옮긴 후, 이전까지 종로 이남에 치우쳐 있던 도로 개수가 종로 이북에 집중되기 시작하였다. 조선총독부 청사를 이용하는 일본인의 편의를 위한 시설과 관사가 서촌과 북촌 지역에 들어서기 시작하였으며, 도로의 정비, 전차노선의 연장 과 복선화가 이루어졌다. 태평통 역시 경성부청이 이전해 오면서 조선총독부-경성부청-숭례문-경성역을 연결하는 중심가로의 위상을 더욱 확고하게 할 뿐만 아니라 경성부 중심이 갖는 입지적 상징성을 가질 수 있었다. 신설된 조선신궁과 경성역은 숭례문 주변 지역의 경관을 크게 바꾸었다. 숭례문에서 남산 방향으로 조선신궁을 연결하기 위해 도로를 확장하고, 경성역의 개통으로 경성역과 그 배후 지역을 연결하는 길이 새로 형성되었다. 남대문통 역시 근대적 가로 경관이 갖추어졌다. 주변의 건축물에는 근대식 설비가 빠르게 적용되어 규모의 대형화, 재료의 다양화, 입면양식의 근대적 변화 등이 일어났으며, 1930년에는 미츠코시백화점이 들어서면서 조선은행 앞 광장은 경성을 대표하는 시가지가 되었다. 제3기인 1934년~1945년의 경성 도심부의 변화는 조선시가지계획령과 그로 인한 경성부의 확장에 영향을 받았다. 1934년 제정된 조선시가지계획령은 기존 경성 도심부의 정비가 아니라 외곽지역에 신시가지를 건설하는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조선시가지계획령의 가로계획은 거의 대부분이 도심에서 외곽지역으로 연결되는 노선으로 이루어졌다. 도심에 해당되는 노선은 단지 몇 개의 노선이며 노폭 확장이나 가로정비 계획에 그쳤기에 1930년대 경성부 도심의 도시구조는 큰 변화가 없었다. 도시의 영역이 확장된 1930년대 경성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로 인해 다양한 도시 문제들이 발생하였다. 과대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교통인구가 급증하게 되었고, 도심부에는 심각한 교통난이 발생하였다. 교통난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시도된 것이 교통수단과 가로시설물을 통한 가로의 정비이다. 이는 도시의 광장 계획에서 조선은행 앞 광장이 포함되지 않고 도로 정비계획에 포함된 사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조선은행 앞 광장은 전차 통행량과 승하차량이 가장 많은 곳일 정도로 교통의 주요 결절점이었다. 증가하는 교통량으로 인해 조선은행 앞 광장은 되려 광장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게 되었고, 1930년대 말에는 도로 정비의 일환으로 원활한 교통을 위해 순환식 로터리로 바꿔 조성되었다. 1930년대에는 가로의 운용 자체가 사람의 활동이 아닌 차량 중심의 공간으로 변하게 되었다. 광화문통과 태평통 역시 차량의 증가에 따라 가로시설물이 설치되고 보차분리의 형태로 가로공간이 변하였다. 일제강점기 경성 도심부의 공간구조는 도시계획, 행정구역, 가로구조, 식민 통치시설, 교통시설, 가로시설물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러나 새로운 도시공간을 만들고자 한 도시계획과 도심부 공간구조의 변화상 역시 이전 시기의 흔적을 바탕에 두고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경성 도심부 공간구조의 역사적, 중층적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Seoul is a capital city built with an accumulation of historical layer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modern times. Among many places in Seoul, Sejong-daero, which runs from Gwanghwamun to Seoul Station, is a special street with symbolism as a capital city. Not only is Sejong-daero the center of politics and the economy, it also serves as a central axis of the capital city Seoul, where major arterial roads run from east to west. Sejong-daero is an integrated street of Sejong-ro and Taepyeong-ro, whose role and status continue to this day. Sejong-ro, or Yukjo Street in the Joseon Dynasty, was located in front of Gyeongbokgung Palace, the main royal palace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the widest street in Hanyang. Yukjo Street was the central government district where Uijeongbu (the policy-making an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Joseon Dynasty), Samgunbu (three military headquarters), and Yukjo (six ministries) government offices were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and was the street where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major colonial ruling facilities were loc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aepyeongtong is a street which did not exist in the Joseon Dynasty. King Gojong, who declared the Korean Empire, designated Gyeongbokgung Palace as a main royal palace and built roads around it. Taepyeongtong was formed through an urban structure reorganization during this period. Taepyeongtong became the political center with establishment of the Japanese ruling facilities, such as the Administration Office Building of Gyeongseongbu and Bumingw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central area of Gyeongseongbu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an area where a change in spatial structure can be looked around due to urban planning. Gwanghwamuntong and Taepyeongt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derwent a change in their spatial structure due to urban planning. After new construction of Taepyeongtong, the city structure in the shape of the character 丁 (Jung) in the Joseon Dynasty changed to a new city axis running from Gyeongbokgung Palace to Sungnyemun Gate. The government offices on the left and right of Yukjo Street were replaced with modern buildings according to the chang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during the Korean Empire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the palace area of Deoksugung Palace changed due to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roads, including Taepyeongtong, and the urban landscape changed with construction of new facilitie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ral area of Gyeongseongbu based on urban plann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midst of the changes in the urban structure due to the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in Gyeongseong and the Gyungseong town planning Act, physical changes in the streets located in the central area of Gyeongseong and how the elements that form street space, such as buildings around the streets and street facilities installed on the streets changed were integratedly analyzed.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the central area of Gyeongseong was created with a new spatial structure due to the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in Gyeongseong. The radial road network centered on Hwanggeumjeong Square and the the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in Gyeongseong, centered on the grid-type maintenance of its central area, were aimed at achieving the colonial rule by ignoring the existing urban organization and reorganizing the city structure. In the central area of Gyeongseong, a new urban axis running from Gwanghwamun of Gyeongbokgung Palace to Namdaemun Station was formed, and with the construction of modern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t the site of each government office, landscape around streets changed. In addition, a change in the spatial structure appeared in the shape of a modern street space called a Square. Hwangtohyeon Square in the south of Gwanghwamuntong was formed with the purpose of replacing Gyeongungung Palace, the center of power during the Korean Empire. The square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formed at the intersection of Namdaemuntong and Bonjeong, became a central space of a new city as a place where colonial ruling facilities, such as the Bank of Joseon, the Administration Office Building of Gyeongseongbu, and Gyeongseong Post Office, were concentrated and an entrance to Bonjeong, a Japanese residence. The change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ral area of Gyeongseong between 1925 and 1934 can be said to be due to relocation of the colonial ruling facilities. With the relocation of the major colonial ruling facilities, Bukchon began to be developed, breaking away from development focused on a Japanese residence. This was because roads in the north-south direction were constructed and maintained through the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conducted in the 1910s, solving a connection problem between Namchon and Bukchon. With relocation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26, a change in Gwanghwamuntong began. As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oved into Gyeongbokgung Palace, Gwanghwamuntong became a center of colonial power. Introduction of electric cars to Gwanghwamuntong was for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fo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16. Afte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oved to Gyeongbokgung Palace, city street improvement that had previously been concentrated in the south of Jong-ro began to concentrate in its north. Facilities and official residences for the convenience of the Japanese who use the building for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egan to enter the areas of Seochon and Bukchon, and road maintainance, electric car line extension, and double tracks were made. With relocation of the Administration Office Building of Gyeongseongbu to Taepyeongtong, not only did it become more firmly established as a central street connecting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 Administration Office Building of Gyeongseongbu, Sungnyemun Gate, and Gyeongseong Station, but it was able to have symbolism of the location as a center of Gyeongseongbu. Joseon shrine and Gyeongseong Station, which were newly established in this period, greatly changed the landscape of the area around Sungnyemun Gate. A road was expanded to connect Joseon shrine in the direction of Namsan Mountain from Sungnyemun Gate, and with the opening of Gyeongseong Station, a new road connecting Gyeongseong Station and the area behind it was formed. Namdaemuntong also had a modern streetscape. Modern facilities were rapidly applied to their surrounding buildings, resulting in enlargement of scale,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and modern changes in elevation type, and with the establishment of Mitsukoshi Department Store in 1930, the square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became a representative city area in Gyeongseong. The Joseon Town Planning Act, which was enacted in 1934, focused on construction of newly developed districts in peripheral regions, not on maintenance of the existing central area of Gyeongseong. Most of street planning in the Joseon Town Planning Act consisted of routes from central areas to their peripheral regions. There were only a few routes connecting to the central areas, and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ral areas in the 1930s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because only road expansion or street maintenance was conducted. Due to rapid increase of population, various urban problems occurred in Gyeongseong in the 1930s, when its area was expanded. With the progress of overurbanization, traffic population increased rapidly, and serious traffic difficulties occurred in the central area. What was attempted to solve the traffic difficulties was street maintenance through means of transportation and street facilities. This can be confirmed through a case where the square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was not included in the plan for urban squares, but included in the road maintenance plan. The square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was the place where volumes of electir car traffic and vehicles people got on and off were the heaviest. Due to an increase in traffic volume, the square in front of the Bank of Joseon was not able to properly play its role as a square, and in the late 1930s, it was changed to a circular rotary for smooth traffic. In the 1930s, street operation itself was changed not for a human activity but for a vehicle-centered space.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ehicles, street facilities were also installed at Gwanghwamuntong and Taepyeongtong, whose street space chaged in the form of separation between pedestrians and vehicles.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ral area of Gyeongseo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s a changing process due to the combined impacts of several factors, such as urban planning, street structure, colonial ruling facilities,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street facilities. However,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historical and multi-layered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structure at the central area of Gyeongseong in that the urban planning which attempted to create a new urban space and the change in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central area were also made based on the traces of the previous period.

      • 자율 무기 체계의 책임 귀속 문제

        김대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율 무기 체계(AWS)는 많은 국가들에서 일종의 사활적 이익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그 개발과 배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러나 그 사용에 있어 윤리적인 문제가 야기된다는 우려가 있어왔다. 특히 AWS의 사용 자체에 본질적으로 윤리적인 결함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어왔으며, 이는 대표적으로 로버트 스패로우(Robert Sparrow)의 두 편의 논문에 의해 지적되었다. 본고의 목적은 스패로우의 주장을 차단하고, AWS가 본질적으로 윤리적 문제를 일으키지 않을뿐더러 책임 간극도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스패로우의 주장을 검토하면서 우선 ‘책임 간극 논변’을 살펴 볼 것이다. 스패로우는 ‘책임 간극 논변’을 통해 AWS가 전쟁 범죄를 일으키게 되면 설계자, 지휘관, AWS가 모두 책임을 질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AWS의 사용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나아가 AWS를 적 전투원에게 사용하는 것조차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나는 스패로우의 주장이 갖는 문제점을 설명하고, 그에 반대하는 다른 학자들의 견해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그 주장들도 성공적이지 않음을 보일 것이다. 그 후, ‘지휘 책임’이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성공적으로 AWS 전쟁 범죄 사례의 책임이 지휘관에게 귀속될 수 있다는 것을 보이고자 한다. 따라서 책임 간극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일 것이다. 이어 AWS의 사용에 대한 간략한 제언으로 논문을 마무리하고자 한다. In many countries, the autonomous weapon system(AWS) is considered a kind of tool for national vital interest. So, many countries are trying to research and deploy AWS. However, there are some worries about some ethical problems with AWS. Especially, there are some arguments for the claim that using AWS is intrinsically unethical. Robert Sparrow is one of thoes who argued that using AWS is intrinsically unethical, within his two papers about AWS. In this paper, I refuse Sparrow’s argument. Also, I show that AWS is not intrinsically unethical, and there is no responsibility gap in deploying AWS. I first introduce Sparrow’s ‘Responsibility Gap Argument’. Sparrow claims that if AWS commits war crime, anyone who related the situation(Programmer, Commander, AWS itself) couldn’t get a responsibility about crime, so there are some ethical problems in using AWS. Furthermore, Sparrow says that AWS is an intrinsically unethical weapon system, so it would be immoral even if AWS engage with the legal combatant. However, I show that Sparrow’s arguments have some faults, and can't explain his own scenario. I introduce other ideas, which can't address the problem either. After that, I show that a commander is not only culpable but also responsible for a war crime committed by AWS, in light of the notion of ‘Command Responsibility'. The upshot will be that responsibility gets assigned to commander in which case no responsibility gap remains with regard to deploying AWS. I then finish the paper by proposing a brief restriction about A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