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멀티포트 메모리 합성기

        김대웅(Daewoong Kim),신현철(Hyunchul Shin)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반도체 소자가 고성능화, 고집적화됨에 따라 메모리 설계 최적화가 중요하게 되었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자동으로 멀티포트 메모리를 합성해주는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과 형태를 가지는 멀티포트 메모리를 쉽고 빠르게 자동으로 합성해주는 멀티포트 메모리 합성기 (multiport memory compiler)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합성기는 설계자가 포트 수, 비트 수, 워드 수/비트 수, 가로 대 세로비등을 입력하면 원하는 멀티포트 메모리를 자동으로 합성한다. 또한, 블록 및 셀 들을 대칭으로 배치하여 가능한한 배선을 공유하여 면적을 최소화한다. 가로 대 세로 비를 조절함으로써 합성된 멀티포트 메모리가 데이터패스 모듈에 적절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게 하였다. Post-layout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합성된 멀티포트 메모리가 정상동작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부모의 학업지원과 정서지원이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내재적 동기의 조절효과

        김대웅(Kim, Daewoong),박하연(Park, Hayeon),이강이(Lee, Kangyi) 한국인간발달학회 2022 人間發達硏究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al academic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whether these effects differ according to intrinsic motivation. Subjects included 6,027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3,048 males, 50.57%) who responded to the sixth survey of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13 (KELS 2013). We used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ing support on academic str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matched-pair strategy was used. The results revealed that academic stress increased as parental academic support increased and emotional support decreased. In addition, academic stress decreased as the intrinsic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creased. The effects of academic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on academic stress differed according to the intrinsic motivation of students.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smaller the increase in academic stress caused by increased academic support, and the greater the decrease in stress caused by increased emotional support. Our results highlight that intrinsic motivation for studying is a factor that relieves academic stress and changes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related to schoolwork. 이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학업지원과 정서지원이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이 영향이 고등학생의 내재적 동기 수준에 따라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 2013의 6차조사에 응답한 고등학교 1학년 6,027명(남성 3,048명, 50.57%)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학업 스트레스에 대한 학업지원 및 정서지원의 영향과 내재적 동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였다. 잠재변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대응 쌍 방식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부모의 학업지원이 증가하고 정서지원이 감소함에 따라 학업 스트레스는 증가했으며, 고등학생의 내재적 동기가 증가함에 따라 학업 스트레스는 감소하였다. 학업 스트레스에 대한 학업지원, 정서지원의 영향은 고등학생의 내재적 동기 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내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학업지원 증가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 증가 폭이 줄었으며, 정서지원 증가에 따른 스트레스 감소 폭이 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에 관한 내재적 동기는 그 자체로 학업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뿐만 아니라 학업과 관련 있는 부모 지원의 영향을 변화시키는 요인임을 의미한다.

      • KCI등재

        예레미야서 빛으로 읽는 애가서 신학

        김대웅 ( Kim Daewoo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7 성경과신학 Vol.82 No.-

        본 논문은 애가서와 예레미야서의 상호본문성을 분석하여 애가서 시인이 여호와의 자비를 요청하기 위해 사용한 문예 기법들과 신학 주제들을 조명했다. 애가서의 시들은 바벨론 제국의 유다 정복으로 예루살렘 신앙 공동체가 당한 예외적 고통을 강렬한 긴장과 심오한 사상이 결합된 유려한 문체로 그려냈다. 시인이 사용한 정서적 표현들은 예루살렘의 처절한 상황과 그곳 공동체의 영적 고뇌를 가감 없이 드러낸다. 극도의 고통 속에서 여호와를 향해 터져 나오는 대담한 항변과 탄식의 언어들은 예루살렘 공동체가 여호와께 드린 신앙적 대화인데, 이를 위해 시인은 예레미야의 예언을 통해 시온의 재난에 대한 신학적 관점을 수립했다. 시인의 노래들 속에서 통렬한 언어로 표현된 믿음의 고뇌와 환희는 여호와로부터 버림받는 경험이 무엇인지 이해하려 애썼던 포로기 예루살렘 공동체의 신학적 탐구가 맺은 결실이다. 논자는 애가서 시인이 자기의 노래와 예레미야의 예언 사이에 설정한 대화 방식에 천착했다. 상이한 두 본문의 대화 관계를 규명하려면 언어 차원의 유사성이나 의도적 변형뿐만 아니라 주제적 차원의 상관성도 숙고해야 한다. 애가서 시인은 선행하는 본문을 독자/청중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환기시킴으로써 예레미야의 예언 사상을 자신의 노래와 결합시키는 탁월한 문예적 기법을 보여준다. 그 결과 예레미야 예언의 문맥 속에서 시온의 재난을 묘사하는 언어들은 애가서의 새로운 문맥 속에서 그 본래의 의미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반 영되거나 추가되거나 강화되거나 수정된다. 예레미야의 예언과 그것을 다시 사용한 시인의 애가가 생산하는 상호본문성은 1) 예언과 애가 사이에 공유된 어휘나 구문(이때 어휘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약간의 변이를 동반한 것을 포괄), 2) 예언과 애가 사이에 재현된 유사한 상황, 3) 예언과 애가가 공유하는 요소들의 양적 밀집, 4) 예언의 문맥과 애가의 문맥의 대화 관계 등을 근거로 식별된다. 예레미야의 예언과 상호 작용하여 드러나는 애가서의 신학은 1) 시온에 닥친 가공할 재앙은 여호와께서 내리신 심판이라는 예루살렘 공동체의 현실 인식, 2) 부정한 아내 유다 백성의 간음과 배신당한 남편 여호와의 분노가 시온이 당한 재난의 원인이라는 예루살렘 공동체의 자기이해, 3) 형벌당한 백성의 고통에 공감하시는 여호와의 자비에 대한 예루살렘 공동체의 확신, 4) 여호와의 공의로운 심판에 대한 예루살렘 공동체의 열망 등이 특징이다. One of the most elaborate compositions in the Bible is Lamentations. This paper attempts both to probe what the poet captures through the oracles of Jeremiah for the purpose of framing his theological perspective of Zion`s catastrophe and to analyze how the poet applies it strategically to his writing of laments. Even the bizarre compositional integration of the daring accusation of God with tearful pleading for divine mercy comes to be in harmony with the poet`s desire to persuade God to return God`s heart to the covenantal community of faith at Jerusalem. The five poems in Lamentations are put forward by a remarkable poetic form, of which emotional phrases fathom the heights and the depths, the length and the breadth of the brutal reality with which the faith community was faced after the Babylonian destruction of Jerusalem. In the poet`s laments the agony and ecstasy of the Israelite covenantal relationship with God find poignant expression, highlighting the poet`s quest for understanding the community`s experience of God-forsakenness. The major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that Lamentations is a persuasion-oriented rhetoric which adopts a few theological themes of the book of Jeremiah and adapts them to the milieu of the survived community in Zion. The poet carefully devises several methods to touch the heart of God. Indeed, the poet, or collectively the survived community, actively attempts to persuade God. In doing so, the poet shows wonderful skills in using various poetic devices such as delicate repetitions, vivid images, and judicious adoption of divine utterances from the prophetic book. Creating strongly allusive language and developing unique thematic ideas, the poet shows his masterful arts to interweave some notions from Jeremiah`s prophecies with his strategic laments. Consequently, motifs and imagery in the portrait of Zion`s calamity are designed to reflect, add, modify, and even take advantage of the original meaning in their earlier context, in order to reinforce the poet`s argument. Most of all, his reuse of the same mode of diction as Yahweh has taken in his pathos with Jeremiah is marvelous. Each section of this article will be structured to explore those intertextual features between Lamentation and the book of Jeremiah: (1) the pain of zion: the violence Zion suffers is God`s unrelenting judgment, (2) the reality of Zion: the divine vengeance on Judah`s infidelity, (3) the conviction of Zion: God`s 0compassion with the covenantal Israel, (4) the desire of Zion for the Day of the Lord`s judgment. The identifying categories of intertexts between Lamentations and the Book of Jeremiah includes (1) the shared language or syntax between the poet`s laments and Jeremiah`s oracles, (2) the re-enacted situations between the two texts, (3) quantitative density of the shared components between the two texts, and (4) the transition of context through the dialogic relation between the two texts.

      • KCI등재

        바벨 제국주의와 하나님 절대주권

        김대웅(Daewoong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5 Canon&Culture Vol.9 No.2

        본 논문은 제 2 바벨론 제국 내 유대인 포로들의 신앙을 다룬 다니엘서가 자기의 신학 사상을 형성하기 위해 창세기를 해석하여 사용한 방식들을 분석한다. 다니엘 1장과 2장은 문학적 인유를 활용하여 독자/청중인 유대인 포로들로 하여금 창세기 10장의 니므롯 기사 및 11장의 바벨탑 기사와 그 교훈들을 기억하게 함으로써 바벨론에게 유린당한 하나님 나라의 현실을 바라보도록 이끈다. 문학적 인유는 독립된 두 본문의 동시적 활성화를 위한 문학적 장치이며, “상호본문성,” “영향,” “반향,” “인용,” “사용,” “모방,” “표절,” “인유,” “미드라쉬,” “성경 내적 주석/해석”등 본문간 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술어들과 구별되어야 한다. 다니엘서의 저자 다니엘은 대홍수 이후 바벨을 다룬 창세기의 본문들이 다니엘 1장과 2장의 서사와 긴밀한 대화를 나누게 함으로써, 바벨론에 유수하던 유대인 독자/청중의 현실 이해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다니엘은 그의 동시대 유대인들에게 하나님을 대적하는 제국주의에 굳건히 대응하여 신실한 정체성을 고수하도록 고무했고, 이 목적을 위해 창세기의 바벨 이야기에 사용된 다양한 언어와 주제들을 다시 사용하거나 확장하거나 혹은 창조적으로 변형하였다. 특히 공용 언어 모티프, 절대 주권, 인간 정치학의 반역적 본질, 바벨에 대한 하나님의 승리 등은 환기되는 본문(창세기 10장, 11장)과 암시하는 본문 (다니엘 1장, 2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논자는 다니엘의 문학적 인유의 분석 절차를 주요 신호와 보조 신호 분석, 그리고 인유의 최대 활성화로 구분한 다음, 그 절차에 따라 다니엘 1장과 2장의 인유를 해석함으로써 포로기 바벨론 지역 유대인들의 신앙과 현실 이해가 그들의 성경 해석 위에 굳건히 근거했음을 입증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literary allusions in Daniel 1 and 2 to Genesis 10 and 11. I define “allusion” as a literary device for simultaneous activation of two separate texts.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llusion" differs in many points from other technical terms that are designed to describe varying textual relationships: “intertextuality,” “influence,” “echo,” “quotation/citation,” “mimesis/imitation,” “plagiarism,” “midrash,” and “inner-biblical interpretation/exegesis.” This study shows that the author of the book of Daniel (i.e., Daniel) interpreted Genesis to shape his theology for the exiled Jews in Babylon in the sixth century B.C. Through the literary allusions, Daniel actualized the themes and topics of the account of the Tower of Babel in Genesis in his new composition. I argue that Daniel inspired his Jewish readers/audiences to resist steadfastly to imperialism hostile to the God of Israel, while recycling, expanding, or transforming the details of the Tower of Babel story in Genesis. Particularly remarkable is that the motif of universal language, absolute dominion, rebellious nature of human politics, and divine triumph over Bebel, resurfaces in Daniel 1 and 2 (alluding texts) in such a way to highlight the strong consonance with Genesis 10 and 11 (evoked texts). In doing so, Daniel, on the one hand, helps Jewish Diaspora in Babylon both to identify itself as God’s true people and to resist the Babylonian imperialism under the control of the divine sovereignty.

      • KCI등재

        황금 송아지 숭배 사건에 관한 성경 내적 해석

        김대웅(Daewoong Kim)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6 Canon&Culture Vol.10 No.2

        본 논문은 성경 본문의 해석을 보관하고 또한 전수한 책으로서의 모세오경이 구약 성경 내에서 내적 해석의 흐름을 보여주는 실증적 예로서 시내산 황금 송아지 숭배 사건을 고찰한다. 이스라엘의 황금 송아지 사건은 성경저자들의 성경 내적 해석을 보여주는 매우 흥미로운 주제이다. 이 사건은 출애굽기 32장에 가장 먼저 기록되고, 이후 모세는 신명기 9장-10장에서 이 사건을 회고하되 신명기의 청중들에게 필요한 새로운 강조점을 끌어낸다. 오경의 저자로서 모세는 시내산 반역 사건을 출애굽기에서 기록하고 이후 다시 신명기에서 새롭게 설명하고 적용하는 해석의 예를 보여준다. 황금송아지 사건은 열왕기서를 기록했던 바벨론 포로시대 이후의 역사가에게도 중요한 신학적 통찰을 주었으며, 시내산 언약 파기 사건을 강조한 모세의 의도는 여로보암 서사의 저자를 통해 충실히 지속되었고, 다시 한 번 새롭게 해석되었다. 모세의 성경 내적 해석과 그 요점을 재사용한 열왕기 기자는 단과 벧엘에서 송아지를 만들어 숭배했던 여로보암의 국가 정책은 본질상 이스라엘이 시내산에서 여호와를 송아지에 빗대어 숭배하여 반역했던 사건의 재현으로 설명했다. 이 포로 후기의 역사가에 따르면, 이스라엘로 하여금 여호와와 맺은 언약을 배신하도록 이끄는 미래의 유혹이 가나안 원주민들의 우상들과 문화라고 했던 모세의 경고와는 달리, 이스라엘을 배교와 언약파기로 이끌었던 원인은 이스라엘 자신이 세운 왕이었음을 밝힌다. This essay deals with the golden calf narratives as an exemplary text in which the Pentateuch preserved and transmitted Moses’ particular interpretation of the same event. Furthermore, the case of Israel’s worship of the golden calf embodies inner- biblical exegesis of the authors of the other books in the OT. The event in Exodus 32 was first written by Moses, who recalls it in Deuteronomy 9-10 with a new emphasis for the contemporary audience. Moses emphasizes the divine grace in the Exodus version of the golden calf narrative, whereas he modifies the point of the narrative in Deuteronomy by stressing the divine wrath more than the divine grace so as to warn the covenantal Israel of the critical danger of idolatry. Later, the golden calf narratives in the Pentateuch inspired the Kings’ author, who reflected the narratives after the fall of Jerusalem by the Babylonians. The post-exilic Israelite historian understood the Jeroboam calves as a representation of the betrayal of Israel at Mt. Sinai through the calf worship. Unlike the Mosaic warning that the potential seduction of Israel into idolatry would be the cultic system of the Canaanites, Israel was led by her king (Jeroboam) to rebel their God and destroy the covenanted relationship with God.

      • KCI등재

        다니엘의 묵시적 이상과 에스겔의 소명 기사: 다니엘 7장의 에스겔 1장 인유(Allusion) 해석

        김대웅 ( Kim Daewoong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6 성경과신학 Vol.80 No.-

        언어와 사상이 유사하지만 저자와 배경이 다른 성경 본문들을 우리는 어떻게 의미 있게 읽을 수 있을까? 두 본문을 연결시켜야 한다면, 과연 그것은 항상 정당한 독해인가? 이 질문에 대하여 기존 연구자들은 “상호본문성,” “영향,” “반향,” “인용,” “모방,” “모형,” “새로 쓰기,” “미드라쉬,” “성경 내적담론/주석/해석” 같은 다양한 개념들을 해답으로 제시해왔다. 논자는 이스라엘 텔아비브 학파의 일원인 지바 벤-포랏(Ziva Ben-Porat)의 모델을 차용하여, 성경 본문간 유사성 연구와 그 타당한 해석을 위하여 양 본문을 동시에 활성화 시키는 장치로서 문학적 인유(allusion)를 사용했다. 문학적 인유는 본문의 저자가 기존 본문을 의도적으로 차용했는지, 혹은 두 본문의 저자들이 하나의 공통된 문학 자료를 활용했는지 확인하고, 후행 본문 저자의 선행 본문사용 의도에 천착한다. 이 해석은 성경 본문 해석에 있어서 저자의 의도를 존중하는 개혁주의 신학 전통의 유산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 문학적 인유는 형식, 기능, 관계의 측면에서 분석된다. 논자는 다니엘 7장에 사용된 문학적 인유를 규명하기 위한 범례로서 1) 어휘적 구문적 일치, 2) 인유의 양적밀집, 3) 유사 상황 재현, 4) 선행 본문에 대한 의도적 수정, 5) 선행 본문으로부터 후행 본문으로 문맥 전이, 6) 다수 인유의 축적 효과 등을 사용한다. 이를 위한 실증적 예시로서 논자는 다니엘 7장의 이상과 에스겔의 1장의 이상에서 작동하는 인유를 비교한다. 바벨론 포로들을 위해 다니엘이 묵시적으로 묘사한 네 짐승들은 선지자 에스겔이 본 네 생물들과 비슷하거나 다르다(다니엘 7장, 에스겔 1장). 다니엘은 여호와의 영광에게 자발적으로 복종하는 보좌 생물 묘사를 자신의 네 짐승 묘사에 끌어들임으로써, 하나님의 주권에 굴복 당할 인간 나라들의 기형성과 반역성을 효과적으로 부각시켰다. 문학적 인유를 통하여 에스겔의 하나님의 권능 강조를 자신의 이상 기록의 배경으로 사용함으로써 선지자 다니엘은 하나님의 온 세상과 시간에 대한 절대 주권을 종말의 지평 위에서 확장시킬 수 있었다. Numerous scholars have long attempted to explain how separate texts are meaningfully associated and why they need to be read together. Employing Ziva Ben-Porat’s model, I propose literary allusion as “a device for simultaneous activation of multiple texts.” In studying allusion, one is required to explain the author’s active, deliberate use of antecedent texts, while asking about whether a textual affinity results either from one text borrowing another text or from two texts appropriating a common literary pool. The allusion study in dealing with biblical texts respects, therefore, the authorial intention, which is one of important aspect of the Reformed theological legacy.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drawing a marvelous analogy between Ezekiel’s “weird throne-bearers” and Daniel’s “hybridized beasts,” Daniel maximizes the four beasts’ abnormality and unruliness at once. Likewise, Daniel underscores the theme of the divine sovereignty, while offering a thematic contrast between the chariot-bearers’ volunteering obedience to the Glory of YHWH and the monstrous beasts’ forced submission to the Ancient One. In doing so, it is demonstrated that allusion has three principle factors: the form of the sign of the allusion, the function of the allusion, and the relation of the alluding text to the evoked text. I will use six criteria for identifying allusion: (1) lexical and syntactical agreement, (2) Quantitative Density of Allusion, (3) Reenactment of Similar Circumstance, (4) The Purposeful Use of Scripture, (5) Transference of Context, and (6) Accumulative Force of Clusters of Allusion.

      • KCI우수등재

        중학교 1학년 또래 관계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목적별 이용 정도에 따른 다집단 분석

        김대웅(Daewoong Kim),이강이(Kangyi Lee) 한국아동학회 2020 아동학회지 Vol.41 No.5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lusters of the purpose of using smartphones of 7th graders and explor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lation between peer relationship and smartphone dependency by clusters. Methods: We analyzed the first wave data from the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2018. To identify clusters, we conducted latent profile analysis models. The effects of peer relationships on the smartphone dependency were analyzed using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The results identified five pattern groups; the proportions were 42.3%, 6.7%, 23.1%, 17.4%, and 10.5%, respectively. The 7th graders in the cluster 1 reported a relatively higher level of each purposes than that reported by other clusters. Those in cluster 2 reported a relatively lower level of each purposes. The mean scores for playing games and watching videos were especially high for cluster 3 and those for playing music were high for cluster 5. Cluster 4 was similar to cluster 1, but their social media usage score was not high level but medium. The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7th graders’ peer relationships predicted smartphone dependency among clusters 1 and 3, but not among cluster 2, 4, and 5. Conclusion: Clusters of 7th graders can be identified based on the purpose of using a smartphone. The relation between peer relationships and smartphone dependency is different by the clusters. Increasing peer relationships for clusters 1 and 3, clusters with high scores in playing games and videos was associated with decreasing smartphone dep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