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 한국전쟁 전후 부산 제조업의 입지 및 업종변화

        김대래 ( Dae Rae Kim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4 항도부산 Vol.30 No.-

        한국전쟁 전후시기의 부산제조업은 전쟁, 휴전 그리고 전후복구라는 경제환경의 변화를 반영하는 단계적 특징을 보였다. 사업체수와 노동자수에서 전쟁기에 크게 증가하다가 휴전직후 답보상태를 보인 후 복구기에 다시 크게 늘어나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사업체 및 노동자수에서의 이러한 추이는 생산액의 추이에서도 그대로 확인되었다. 한편 년도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업종별 추이를 검토한 결과는 한국전쟁 기간 동안 가장 큰 성장을 이룬 업종은 섬유였으며, 섬유와 화학이 1950년대 부산경제를 주도하였다. 그리고 복구기에 들어오면서 업종의 다양화가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다. 세부업종별로 1950년대 부산제조업을 볼 때 화학에서는 고무신공업이 주도하였으며 고무신 공업은 일찍이 부산을 대표하는 산업으로 성장하였다. 고무공업의 일종으로 타이어 공업이 성장하고, 전후 합성수지공업이 새로이 등장해 전국의 생산을 주도하였다. 섬유공업은 전쟁을 통해 가장 성장이 두드러졌다. 특히 견직물 및 인견직물에서 부산은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으며, 피복과 어망에서는 전국적인 지배력을 가지고 있었다. 해방후 혼란속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었던 식품공업은 휴전이후가 되어서야 회복되기 시작하였다. 주정산업이 발달하고 원조물자를 기반으로 한 제당, 제분산업이 새로이 일어나 전국을 주도하였다. 해방직후 재고원료를 가지고 일시적인 성업을 보였던 금속업의 경우 원료의 부족으로 곧 한계에 부딪쳤지만 한국전쟁을 계기로 비록 규모의 한계는 있었지만 철물점 형태의 활발한 창업이 있었다. 금속업과 마찬가지로 기계공업에서도 한국전쟁을 통하여 사업체수와 고용자가 크게 늘어났다. 금속과 기계공업의 회복을 바탕으로 철강, 자전거, 자동차 등의 미래지향적 산업들이 성장할 토대가 마련되고 있었다. 요업에서 부산은 도기와 애자 그리고 초자를 중심으로 강세를 유지했으며, 인쇄업은 임시수도의 부산이전에도 불구하고 한국전쟁기간 동안 특수를 활용하는데 실패하였다. 목재업은 1950년대 중반이후 전국의 중심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 한편 한국전쟁기 부산공업의 입지는 일제말 및 해방직후 나타나던 범일동 및 인근지역으로의 확대흐름을 더 강화하였다. 특히 한국전쟁을 계기로 가장 많은 기업들이 입주한 곳은 부전동이었는데, 이와 함께 인근의 거제동, 양정동, 연지동으로도 입지가 확대되었다. 1957년 공업체들이 밀집해 있었던 동의 주업종을 보면 남항동은 식품과 기계, 대교로와 봉래동은 금속과 기계, 범일동, 전포동, 부전동 그리고 가야동에는 화학과 섬유, 부평동은 식품업종이 중심이었다.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Busan right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shows phased characteristics reflecting changes in the economic environment: war, truce and postwar reconstruction. The number of firms and employees rose sharply during the war, but the numbers stagnated during the period of the truce and grew fast once again during the period of postwar reconstruction. The similar pattern was found in terms of production. Examining the annual data of big 100 firms in terms of the type of industry, one can find that textile industry grew fastest during the Korean War, and textile and chemical industries led the Busan economy during the 1950s. It was during the reconstruction period when Busan`s manufacturing industry diversified in terms of type. The industry of rubber shoes led the chemical industry in Busan in the 1950s, and it soon grew as an industry representing Busan. The tire industry also grew together as part of the rubber industry, and the industry of synthetic resins soon emerged in Busan soon to dominate its national market. The textile industry grew most rapidly during the Korean war, particularly in silk and artificial silk. In particular, the industries of clothes and fishing net in Busan dominated their national markets. The food industry, which took a hit most right after Korea`s independence from Japan, started to recover after the truce. The industry of alcoholic beverage emerged. Sugar and powder industries also grew with America aid. The metal industry, which once flourished with raw material in stock right after the independence, was soon confronted with shortage of raw materials; however, it grew after the Korean War with many small hardware businesses. Like the metal industry, the mechanical industry grew in the number of firms and employees during the Korean War. With restoration of the metal and mechanical industries, the industries of steel, bicycle and car made their first steps towards growth. The ceramic industry also flourished, in particular, in pottery, insular, and glass. The printing industry in Busan failed to take advantage of being located in a provisional capital of the country during the Korean War. The lumber business of Busan had started dominating the national market in the mid-1950s. As industries flourished at and near Bumildong at the end of the colonial era and after independence, more industries grew in the region during the Korean War. Many firms started in particular in Bujundong, as well as in new locations such as Geojedong, Yangjeongdong, and Yeonjidong. In 1957, food and machines were the main industries in Namhangdong, metal and machines in Daegyoro and Bongraedong, chemical and textile industries in Bumildong, Jeonpodong, and Bujeongdong, and food in Bupyungdong.

      • KCI등재

        창조도시 관점에 근거한 광역시 재정 효율성 비교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김대래 ( Dae Rae Kim ),유영명 ( Young Myung Yoo ),주수현 ( Soo Hyeon Joo ) 한국생산성학회 2011 生産性論集 Vol.25 No.3

        This paper analyzed the efficiency of local financial oper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creative city for 7 metropolitan cities. This paper applies DEA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the distric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over time for 3 years (2006-2008). This paper used such factors including number of government employees and expenditure as inputs, culture-based index, city park area and sport facility capacity as output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eoul and Ulsan were proved to be most efficient, while Busan appeared to be most inefficient in total efficiency points. Second, operational and scale efficiency of metropolitan cities increases over time but Busan still remained in a stagnant state largely due to scale inefficiency. A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 suggest the means of evaluation and supervision for the local public finance operation. The detail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five standards: the revis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improvement scheme in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and the organization of evaluation team.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고도성장기 부산 합판산업의 성장과 쇠퇴(1960~1980년대)

        김대래 ( Dae Rae Kim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5 항도부산 Vol.31 No.-

        합판은 한국에서 6.25전쟁 후의 복구수요를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1950년대 중·후반에는 유엔군의 군납수요도 합판산업의 성장에 자극을 주었다. 군납을 통해 품질을 인정받은 한국합판은 1961년부터 미국시장에 수출을 하기 시작하였다. 마침 인건비의 상승과 공해우려로 일본이 합판수출에서 철수하는 시기와 맞물리면서한국의 합판산업은 1960년대 중반 이후 급속한 성장을 하였다. 1970년대에는 세계 5위의 합판생산국에 세계 1위의 합판수출국이 되었다. 합판산업의 중심은 부산이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 부산은 한국최대의 합판도시가 되었다. 그리고 세계적인 합판도시가 되었다. 합판이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절 부산은 한국산업의 중심도시였다. 한때 한국수출의 29.2%의 수출을 담당하던 도시가 부산이었다. 여기에는 합판이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 1970년대 부산에는 당시 세계최대의 합판기업이었던 동명목재를 비롯하여 6개의 대규모 수출 합판업체들이 있었는데, 이들 기업은 한국합판생산의 절반을 상회하는 생산을 하였다. 그리고 1970년 동명목재의 생산량은 우리나라전체 합판생산량의 31.2%를 차지하였다.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는 이른바 합판의 시대였고, 부산의 시대였고 또 동명의 시대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합판산업의 성장기반은 취약하였다. 원목의 도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했고 저임금이 유지되어야 하는 구조였다. 그런 조건 속에서도 실제로 수익을 내기는 어려웠다. 생산가에서 차지하는 원재료의 비중이 너무 높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게 한 것은 정부의 각종 지원이었다. 각종 수출지원으로 합판기업들은 흑자를 볼 수 있었고 성장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외화가득률은 낮았다. 1970년대 말까지 합판은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석유파동 이후 등장하기 시작한 자원민족주의로 인해 원목의 구입이 어려워지면서 한국 합판산업은 위기에 직면하였다. 합판가격보다 빠르게 오르는 원목가격과 함께 수출길이 막히면서 합판산업은 위기에 빠져들었다. 마침내 1980년 세계 최대의 합판기업 동명목재가 도산을 하였고 잇달아 기업들이 쓰러졌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에 의한 합판산업의 구조조정이 시행되었다. 동명목재에 이어 부산에서는 태창목재, 반도목재, 광명목재, 대명목재가 퇴출되었다. 6개의 합판수출대기업 가운데 성창기업만이 부산에서 살아남았다. 일반적으로 과잉설비의 정리가 지역별로 균등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관례라고 보면 부산기업들의 집중 퇴출은 이례적인 것이었다. 합판산업의 구조조정 이후 우리나라 합판산업의 중심은 부산에서 인천으로 이동하였다. Plywood industry grew based on the demand coming from restoration after Korean war. Supplying to UN military in the mid and late 1950 also stimulates the growth. Military purveyance guaranteed the quality of plywood, making export to the United States possible since 1961. In accordance with timely decline of Japanese plywood industry due to rising wage and environmental worries, Korean plywood industry achieved the splendid growth after the mid 1960, ranked fifth place in the world as a producer and first place as a exporter in 1970s. Busan was the centre of the industry. Busan became the largest and an international city for the plywood industry. During the highlights of the plywood industry, Busan was the centre of Korean industries. Busan was once in charge of 29.2% of total export of Korea, and plywood industry played a big role here. In 1970, Busan had six of large plywood-export companies including Dongmyoung, the largest one in the world, and these companies produced over the half of the total plywood output of Korea. Also, Dongmyoung produced 31.2 percentages of total output of Korea. The late 1960 to the mid 1970 was the period of plywood industry, of Busan, and of Dongmyoung. However, the foundation of the industry was weak in that the wage had to be kept low and import of hardwood had to be sustained. It was difficult to raise actual profits under these conditions since the cost of raw material was too high in production cost. The government``s various support eliminated these limitations. Many firms could gain profits and grow due to diverse supports for export, but a foreign-exchange earning rate was low. The plywood industry enjoyed its heyday until late 1970. However, the industry faced the challenge as it could not import raw materials more due to resource nationalism after the first oil crisis. The plywood industry came to a crisis as the way to export was blocked since price of raw material increased more rapidly than that of plywood. Finally Dongmyoung, the largest company in the world, went bankrupt in 1980 and other companies consequently went bankrupt too. The government carried out structural adjustment in this situation. Followed by Dongmyoung, Taechang, Bando, Kwangmyeong, and Daemyeong in Busan were liquidated. Only Seongchang survived among the largest six Busan companies. If we say that reducing excessive equipment should be carried out equally across regions, the concentrated liquidation of Busan companies is an aberration. After this structural adjustment, the centre of plywood industry moved from Busan to Incheon.

      • KCI등재

        파워록 형상 및 마찰이 동력전달 성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김대래(Dae Rae Kim),장연희(Yeon-Hui Jang),장명근(Myung-Geun Jang),박진아(Jin-Ah Park),김종봉(Jong-Bong Kim) 대한기계학회 2017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41 No.3

        파워록은 동력을 전달하는 축에 설치되는 부품으로, 연결되는 두 축의 비정열을 보상하고 과부하 또는 비정상적인 부하가 걸릴 경우 동력을 단절하여 주요 부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워록의 내륜에 형성된 테이퍼 등의 형상과 볼트 체결력, 그리고 마찰이 동력전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두 개의 모델에 대해 실험과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여 유한요소해석 결과의 신뢰성을 검증하였고. 유한요소 해석 결과 및 이론 분석을 통해서 각 인자가 동력전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 powerlock is used to transmit torque between two shafts, to protect important equipment from overloads, and to compensate for the misalignment of assembled shafts.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shapes of the inner rings, bolt-fastening force, and friction on power transmission performance of powerlocks is investigated. Finite element analysis and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two cases,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validated.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inner rings of various shapes and for various values of boltfastening force and friction coefficient. The main factors that affect the torque transmission performance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귀속사업체의 연속과 단절(1945-1960)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김대래 ( Dae Rae Kim ),배석만 ( Suk Man Bae ) 경제사학회 2002 經濟史學 Vol.33 No.-

        There were about 520 firms owned by Japanese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Busan. The U.S. military government took over most of the firms after 1945, and the number of firm left out was not large. Under the rule of the U.S. military and the first South Korean government, many of these firms collapsed due to unfavorable economic conditions, leaving only 137 firms to be disposed at the end of the 1940s. Although the average size of the vested firms was much larger than that of private ones, most of them failed to grow as dominant palyers in their respective industries in the 1950s.

      • KCI등재

        (기획논문) 부산지역 귀속사업체의 연속과 단절(1945~1960)-화학산업을 중심으로-

        김대래 ( Dae Rae Kim ),배석만 ( Suk Man Ba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09 항도부산 Vol.25 No.-

        본 연구는 화학산업을 대상으로 일제시기 일본인이 소유하였던 부산의 사업체들이 해방 후 어떤 경로를 거쳐 한국인의 재산으로 재편되는가를 개별 기업단위로 추적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미군정에 의한 접수과정에서 대규모 ``유실``은 확인되지 않는다. 일제시기 47개의 사업체가 확인되지, ``연감`` 에 접수된 것으로 기록된 사업체는 6l개였다. 둘째, 일제시기 존재가 확인되는 사업체 중 ``연감`` 에서 접수가 확인되는 사업체는 대부분 불하가 이루어졌고, 불하된 기업의 대부분은 1948년 이전 관리인에 임명된 인 물에게 불하되었다. 셋째, 일제시기 존재가 확인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연감``에 접수된 것으로 기록된 사업체는 불하과정에서 대규모 유실이 있었다. 넷째, 관리인과 불하인의 일치도는 높아서 최소한 1948년 이후 해당사업체의 관리권을 장악한 사랍의 경우 안정적 지위를 유지했고, 이를 이용해 해당 사업체를 불하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track down by which routes the enterprises in Busan own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had been reorganized as the property of Koreans, by focusing on chemical industry in an individual firm unit. As a result, the following facts are proven. First, it is hard to find evidence for large scale ``loss`` in the process of the registration led by the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47 enterprises are confirmed to have exis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but 61 enterprises were registered on the ``1948 yearbook.`` Second, among the enterprises whose exist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has been confirmed, most of the enterprises on the yearbook were disposed of. The majority of the disposed enterprises were disposed of to the person appointed to a manager before 1948. Third, among the enterprises on the yearbook despite the fact that their existence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has not been confirmed was large scale loss in the process of disposal. Fourth, the agreement of manager and the person to whom an enterprise was disposed of was so high that those who seized the power of an enterprise after 1948 maintained a stable status; this stable status demonstrates his or her ownership of a disposed enterprise.

      • KCI등재

        한국 합판산업 통계의 정비와 기초적 분석

        김대래(Dae-Rae Kim) 한국산업경제학회 2016 산업경제연구 Vol.29 No.1

        본 논문은 한국 합판산업의 성장과 쇠퇴를 파악하기 위한 1차 작업이다. 그 일환으로 1954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합판통계의 시계열을 구축하고 기초적 분석을 하였다. 한국합판통계는 완성되지 않은 면적단위와 부피단위의 두 계열이 존재하며 부피단위의 통계에도 다시 두 계열이 존재한다. 이러한 시계열들을 비교 검토하여 적합한 환산비율을 도출하여 일관된 시계열을 만들고, 기본적 분석을 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50년대 중반 전후복구 수요를 바탕으로 출발한 합판산업은 1960년대 초부터 급격한 확장세를 보이며 성장을 하였다. 수출수요에 견인된 합판은 1978년에 정점에 도달한 뒤 급격히 생산이 줄어들었는데, 합판의 초기성장과 급격한 확장에는 유엔군납과 수출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 한국합판생산량의 약 10% 정도가 유엔군에서 소비되었다. 그리고 1963년부터 전체 합판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수출하였는데, 그 비율은 1972년 87.5%까지 올라갔으나, 1977년을 정점으로 역시 급격히 줄어들었다. 둘째, 합판산업은 한국초기공업화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합판수출이 한국전체 수출에서 점하는 비중은 1968년에는 14.9%로까지 올라갔다. 1972년까지 한국수출의 10% 이상을 합판이 차지하였다. 공산품으로는 처음으로 수출에 성공한 합판은 수출지향적 공업화의 모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외환보유고가 빈약했던 한국경제에 주요 외화조달원으로서 기여하였다. 셋째, 고도성장을 하던 합판산업은 원목가격의 급등으로 갑자기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합판가격보다 빠르게 증가하는 원목가격으로 합판기업들은 경영위기에 직면하였고, 이것은 1982년 정부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으로 나타났다. 구조조정 이후 합판은 수입산업으로 전환되었는데, 1980년대 말부터 급증하던 수입은 2013년에는 78.1%에 이르고 있다. 수입대체산업에서 출발하여 세계1위의 합판수출국가로 성장하였다가 마침내 수입산업으로 변모한 합판산업은 우리나라에서 하나의 산업이 겪을 수 있는 사이클을 가장 먼저 보여주었다. This paper presents a preliminary work to identify the growth and decline of the plywood industry in Korea from 1954 to 2013. This research makes a consistent time series data and analyzes it. In korean plywood statistics, there are two series, area units and volume units and there exist two series of statistics in volume units as well. This paper compares these time series to derive the appropriate conversion ratio and create a correct time series data, and analyze it. The major conclusions are as following: First, Korean plywood industry based on the recovery demand after the mid-1950s showed a rapid growth from the early 1960s due to the export demand. Plywood industry reached its peak in 1978 and soon faced a drastic decline. In the early growth and rapid expansion of the plywood industry, sales to UN military and export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late 1960s and early 1950s approximately 10% of plywood produced in Korea was consumed by the UN, through which the companies explored and created routes for export. Plywood exported more than half of its total production by 1963, and 87.5% of the production volume in 1972. However, it faced a sharp decline after the peak in 1977. Secondly, the plywood industry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early Korean Industrialization. The plywood industry consisted of 14.9% of the entire South Korean export market in 1968. By 1972 plywood exports accounted more than 10% of Korea"s exports. Plywood industry for the first time succeeded in overseas exporting, and showed a model of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As the main source of the foreign currency, plywood industry contributed to the South Korean economy, which was very poor at the time. Thirdly, the plywood industry declined sharply because of the rapid rising of timber prices. In 1982, the structural adjustment of the industry took place and the plywood began to be imported rather than exporting. A massive plywood import began at the end of 1980s. In 1989, 42.1% of the total domestic consumption of plywood were imported, and the ratio was continually increased to 78.1% in 2013. Today, South Korea is one of the major importing countries of plyw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