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1980~90년대 부산 기업의 역외이전

        김대래 ( Dae Rae Kim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6 항도부산 Vol.32 No.-

        본 논문은 1970년대 말 이후 부산에 입지하였던 기업들의 역외이전에 관한 것이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1980년대 이후 부산경제 침체의 중요한 원인으로 지적되어 왔지만, 정작 이전의 실태에 관해서는 거의 분석이 없었다. 그러한 연구상의 공백을 메움과 동시에 기업이전의 영향과 의미에 관해 파악해 보려고 하였다. 부산의 기업이 역외로 이전하기 시작한 것은 1970년대 후반부터였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과잉성장의 결과였는데, 부산이 감당할 수없는 속도로 팽창하면서 과잉성장 도시의 한계가 드러났기 때문이었다. 인구의 증가는 주택수요의 증가와 함께 지가상승을 가져왔고, 공업용지의 고갈은 기업의 투자를 저해하였다. 더욱이 부산은 서울과 함께 성장억제도시로 지정되면서 부산 역내에서의 공장 신·증축에는 높은 지방세가 부과되었다. 이러한 상황의 복합적인 결과로 1970년대말부터 부산의 기업들은 역외로 떠나기 시작하였다. 부산에서 상대적으로 비싸진 토지를 팔고 대신 부산 외곽지역에서 싸고 넓은 용지를 찾아 떠나는 것이 역외이전의 핵심이었다. 부산의 지가를 인근지역보다 낮추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서 이윤극대화를 위해 입지를 결정하는 기업의 행동을 규제하기는 어려웠다. 용지의 확보가 이전의 가장 핵심적인 원인이었다는 것은 실태조사에서도 밝혀졌다. 부산을 떠난 기업들은 주로 대부분 양산과 김해에 자리 잡았다. 부산의 주력업종인 기계금속과 화학고무업종 등 주력업종 업체들이 역시 많이 이전하였다. 그리고 기업규모가 클수록 먼저 이전하였다. 1980년대까지 이전기업 숫자 자체는 많지 않았지만 정작 큰 기업들은 이 때 많이 이전하였다. 이전업체수가 급속히 증가한 것은 1990년대 이후였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체도 이전하기 시작하였다. 그와 함께 수도권으로의 이전도 늘어났다. 정보통신산업의 발전과 함께 더 넓은 시장을 찾아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새로운 흐름이 나타난 것이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부산경제 특히 제조업의 침체를 가져오는 원인이 되었다. 대기업이 떠나면서 제조업의 구조조정은 지연되었고, 새로운 산업을 받아들일 투자도 지체되었다. 대기업이 가지고 있는 혁신역량을 충분히 누릴 수 없었던 부산경제가 성장의 활력을 유지하는 것은 어려웠다. 기업이전이 시작되었던 시기부터 제조업의 상대적 침체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부산제조업은 비중하락을 겪었다. 그 결과 전국에서 점하는 부산경제의 비중이 동반 하락하면서 일자리의 부족과 인구유출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런 한편 부산기업의 역외이전은 부산경제의 광역화를 가져왔다. 그러나 부산경제의 광역화는 반쪽 광역화였다. 중추관리기능의 집적이 상대적으로 약한 부산은 서울과는 달랐다. 대도시 성장억제정책의 주된 목표였던 서울의 집중현상은 해소되지 않고 오히려 부산의 성장만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하였다. 서울은 제조업을 인근지역으로 보내고 중추관리기능을 중심으로 한 산업을 발전시켰지만 부산은 그러지 못했다. 부산기업의 역외이전과 함께 온 경제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은 결국 산업용지의 확보를 통한 기업의 유치와 중추관리기능의 확충이될 수밖에 없다. 새로운 기업을 부산으로 유치하고 떠나간 기업까지부산경제의 순환권내로 끌어들여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부산으로의 기업이전이 많아지고 광역교통망이 확충되는 것은 부산기업의 이탈이 가져왔던 침체를 극복하는 새로운 경향이라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bout Busan companies migration since the late 1970s. This phenomenon has been attributable to downturn of Busan``s economy after 1980s, bu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done on the period prior to 1980s. This paper fills the gap in the current discourse on this issue. It also tries to analyze impacts and implications of migration of these companies. It was late 1970s that companies in Busan started moving out of the city. This movement was a result of overgrowth of Busan; an overly expanded city, Busan, exposed its own limitations of exaggerative growth. Growing population brought increasing price of lands with increasing demand on housing, thereby absorbing lands available for industrial sites. This hindered further investment on companies. During that time, as Busan was advised to control overgrowth, the government levied high council tax on newly built factories. Under such circumstances, firms started to leave Busan since the late 1970s. The main point of firms`` migration is to find cheap and spacious land while selling comparatively expensive Busan``s land. It was hard to prevent firms from leaving Busan for seeking higher profit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it was impossible to decrease land prices of Busan. A fact-finding committee also found that securing spacious land was a key point of moving out from Busan. Firms that had left Busan mainly relocated in Yangsan and Gimhae. Busan``s core businesses--machine metal, and rubber chemicals-- also transferred. The larger a firm was, the earlier it made its move. The absolute number of firms moving out of Busan was small until 1980s, but all the more most of big firms swiftly made their move first during this time. It was after 1990s that the number of firms moving out increased dramatically. From 2000s, not only manufacturing industry, but also service industry started to move out from Busan. At the same time, transferring into the capital area also increased; that means, as IT industry developed, related industry began to move to the capital area, seeking out new markets. The migration brought downturn in Busan``s economy, especially manufacturing one. As big firms left, manufacturing industry``s restructuring was delayed, and investment on new industries was also deferred. Busan, incapable of enjoying big firm``s innovative capabilities, was difficult to maintain vitality in economic growth. As a result, Busan``s economy that once partakes larger part of national economy started forming smaller part of it, thereby bringing a jobs crunch and population outflow. On the other hand, Busan firms`` transfer widened the range of economic activities of Busan. However, this expansion was not completely successful in that, for example, Gimhae and Yangsan, main areas that firm transferred, did not operate primarily based on Busan network but on other cities. This means that Busan``s role as a core managerial function was much weaker than Seoul. Busan``s weakness could not resolve the over-dependency on Seoul-centered economic bloc, but also failed to stir Busan``s economic growth. Seoul successfully transferred firms to outskirts and continued to play its role as a core managerial function, but Busan failed to follow the same path as Seoul did. The way to resolve Busan``s economic depression following the migration of firms should lie in acquiring a core managerial function through alluring firms within Busan city by securing industrial sites. This is because it is important to allure rising, new companies into Busan, and, moreover, to make companies that had left before come back to Busan``s sphere of influence. The recent trends including firms`` transfer into Busan and expansion of metropolitan transportation network are to overcome economic downturn that was resulted from previous migration of firms.

      • KCI등재

        근대 지방경제단체의 형성(1876-1916) : 부산상업회의소를 중심으로

        김대래(Kim Dae Rae),김호범(Kim Ho Beom),장지용(Jang Ji Yong),정이근(Jung Lee Geon) 한국지역사회학회 2010 지역사회연구 Vol.18 No.1

        Dongrae Chamber of Commerce was established in 1908, and it is since 1907 that Dongrae appeared among the merchants organization. Dongrae Chamber of Commerce not only played its basic role of protecting Korean merchants' interest, but also actively mediated disputes between foreign merchants and local merchants. On the other hand, Busan Chamber of Commerce, the Japanese' economic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1879. It was the first board of trade in the Korea. In accordance with the attempt of the Japanese government to colonize Korea, the role of the Busan Japanese Chamber of Commerce was not limited only to the fundamental commercial and industrial issues. After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Japan tried to integrate the previously ethnically divided Chamber of Commerce. In 1916 Korean Chamber of Commerce and Japanese Chamber of Commerce were merged. The number of the Korean merchants who obtained the membership was merely 5% in 1918. In Busan where Japan's infiltration took place the earliest and widest, the integrated Chamber of Commerce completely fell into the Japanese' hands. The reason why the opposition by the Koreans was less severe than it was in other regions should probably be related to the power of Japanese merchants in Busan.

      • KCI등재

        (기획논문) 고도성장기 부산 합판산업의 성장과 쇠퇴(1960~1980년대)

        김대래 ( Dae Rae Kim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5 항도부산 Vol.31 No.-

        합판은 한국에서 6.25전쟁 후의 복구수요를 기반으로 성장하였다. 그리고 1950년대 중·후반에는 유엔군의 군납수요도 합판산업의 성장에 자극을 주었다. 군납을 통해 품질을 인정받은 한국합판은 1961년부터 미국시장에 수출을 하기 시작하였다. 마침 인건비의 상승과 공해우려로 일본이 합판수출에서 철수하는 시기와 맞물리면서한국의 합판산업은 1960년대 중반 이후 급속한 성장을 하였다. 1970년대에는 세계 5위의 합판생산국에 세계 1위의 합판수출국이 되었다. 합판산업의 중심은 부산이었다. 1960년대 중반부터 부산은 한국최대의 합판도시가 되었다. 그리고 세계적인 합판도시가 되었다. 합판이 전성기를 구가하던 시절 부산은 한국산업의 중심도시였다. 한때 한국수출의 29.2%의 수출을 담당하던 도시가 부산이었다. 여기에는 합판이 절대적인 역할을 하였다. 1970년대 부산에는 당시 세계최대의 합판기업이었던 동명목재를 비롯하여 6개의 대규모 수출 합판업체들이 있었는데, 이들 기업은 한국합판생산의 절반을 상회하는 생산을 하였다. 그리고 1970년 동명목재의 생산량은 우리나라전체 합판생산량의 31.2%를 차지하였다.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는 이른바 합판의 시대였고, 부산의 시대였고 또 동명의 시대였다. 그러나 우리나라 합판산업의 성장기반은 취약하였다. 원목의 도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져야 했고 저임금이 유지되어야 하는 구조였다. 그런 조건 속에서도 실제로 수익을 내기는 어려웠다. 생산가에서 차지하는 원재료의 비중이 너무 높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서게 한 것은 정부의 각종 지원이었다. 각종 수출지원으로 합판기업들은 흑자를 볼 수 있었고 성장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외화가득률은 낮았다. 1970년대 말까지 합판은 전성기를 구가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석유파동 이후 등장하기 시작한 자원민족주의로 인해 원목의 구입이 어려워지면서 한국 합판산업은 위기에 직면하였다. 합판가격보다 빠르게 오르는 원목가격과 함께 수출길이 막히면서 합판산업은 위기에 빠져들었다. 마침내 1980년 세계 최대의 합판기업 동명목재가 도산을 하였고 잇달아 기업들이 쓰러졌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에 의한 합판산업의 구조조정이 시행되었다. 동명목재에 이어 부산에서는 태창목재, 반도목재, 광명목재, 대명목재가 퇴출되었다. 6개의 합판수출대기업 가운데 성창기업만이 부산에서 살아남았다. 일반적으로 과잉설비의 정리가 지역별로 균등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관례라고 보면 부산기업들의 집중 퇴출은 이례적인 것이었다. 합판산업의 구조조정 이후 우리나라 합판산업의 중심은 부산에서 인천으로 이동하였다. Plywood industry grew based on the demand coming from restoration after Korean war. Supplying to UN military in the mid and late 1950 also stimulates the growth. Military purveyance guaranteed the quality of plywood, making export to the United States possible since 1961. In accordance with timely decline of Japanese plywood industry due to rising wage and environmental worries, Korean plywood industry achieved the splendid growth after the mid 1960, ranked fifth place in the world as a producer and first place as a exporter in 1970s. Busan was the centre of the industry. Busan became the largest and an international city for the plywood industry. During the highlights of the plywood industry, Busan was the centre of Korean industries. Busan was once in charge of 29.2% of total export of Korea, and plywood industry played a big role here. In 1970, Busan had six of large plywood-export companies including Dongmyoung, the largest one in the world, and these companies produced over the half of the total plywood output of Korea. Also, Dongmyoung produced 31.2 percentages of total output of Korea. The late 1960 to the mid 1970 was the period of plywood industry, of Busan, and of Dongmyoung. However, the foundation of the industry was weak in that the wage had to be kept low and import of hardwood had to be sustained. It was difficult to raise actual profits under these conditions since the cost of raw material was too high in production cost. The government``s various support eliminated these limitations. Many firms could gain profits and grow due to diverse supports for export, but a foreign-exchange earning rate was low. The plywood industry enjoyed its heyday until late 1970. However, the industry faced the challenge as it could not import raw materials more due to resource nationalism after the first oil crisis. The plywood industry came to a crisis as the way to export was blocked since price of raw material increased more rapidly than that of plywood. Finally Dongmyoung, the largest company in the world, went bankrupt in 1980 and other companies consequently went bankrupt too. The government carried out structural adjustment in this situation. Followed by Dongmyoung, Taechang, Bando, Kwangmyeong, and Daemyeong in Busan were liquidated. Only Seongchang survived among the largest six Busan companies. If we say that reducing excessive equipment should be carried out equally across regions, the concentrated liquidation of Busan companies is an aberration. After this structural adjustment, the centre of plywood industry moved from Busan to Incheon.

      • KCI등재

        창조도시 관점에 근거한 광역시 재정 효율성 비교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김대래 ( Dae Rae Kim ),유영명 ( Young Myung Yoo ),주수현 ( Soo Hyeon Joo ) 한국생산성학회 2011 生産性論集 Vol.25 No.3

        This paper analyzed the efficiency of local financial operation from the perspectives of creative city for 7 metropolitan cities. This paper applies DEA analysis to determine the efficiency of the districts of Busan metropolitan city over time for 3 years (2006-2008). This paper used such factors including number of government employees and expenditure as inputs, culture-based index, city park area and sport facility capacity as outputs.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Seoul and Ulsan were proved to be most efficient, while Busan appeared to be most inefficient in total efficiency points. Second, operational and scale efficiency of metropolitan cities increases over time but Busan still remained in a stagnant state largely due to scale inefficiency. A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we suggest the means of evaluation and supervision for the local public finance operation. The detail indicator should be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five standards: the revis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improvement scheme in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the participation of local community, and the organization of evaluation team.

      • KCI등재후보

        일제강점기 부산지역 인구통계의 정비와 분석

        김대래(Kim Dae-Rae),김호범(Kim Ho-Beom),장지용(Jang Ji-Yong),정이근(Jeong Ee-Kye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05 한국민족문화 Vol.26 No.-

        This paper arranged the population statistics of Busan region. 1906-1944. For this we gathered all the population statistics available from elementary materials. After that we compared several statistics, and tried to find correct values. We made population time series of Busan for the first time. On the basis of them we analyzed the trend of population, ratio of korean-japanese, the rate of population growth, and originating places of japanese immigrants. We found out that Busan was a unique city that japanese had rooted firmly in korea. This was reflected in population trend and characteristics. Also this paper added that population statistics before 1945 has vital problems. So to get more correct population statistics, we have to take into revision methods. We presented such methods as well.

      • KCI등재

        경제개발 초기 부산제조업에 관한 미시적 분석 -1962년 『부산상공명감』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대래 ( Kim Dae-rae ) 부산광역시 시사편찬위원회 2019 항도부산 Vol.37 No.-

        논문은 경제개발이 시작되던 해인 1962년 초 부산의 제조업에 관한 미시적 연구이다. 『부산상공명감』에 있는 제조업체를 다양한 각도에서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우선 5인 이상 종사자수를 가지고 있는 부산의 제조업체는 1,393개였고, 평균 고용인원은 약 30명이었다. 공장은 부산진구에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중구, 동구, 영도구 순이었다. 부산 제조업 전체의 입지는 여전히 원도심에 압도적으로 집중되어 있었다. 동별로는 범일동, 부전동에 가장 많았다. 구와 설립 시기는 서로 상관이 있었으며, 업종에 따라 종업원 규모에도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정 구에 특정업종이 집중되어 있어 구별로 입지하는 업종에 차이가 있었다. 특정 업종의 경우 특정 동에도 집중되어 분포되어 있어, 부산의 공업은 발흥 초기부터 클러스터의 경향을 수반하였다. 100대 기업으로 좁혀보면 방직업이 34개로 압도적인 비중을 점하고 있었으며, 여기에 의류제조업 3개까지 합하면 37개가 섬유산업이었다. 그 다음으로 많은 것은 17개의 고무제품, 12개의 식료품, 8개의 기계로 나타나고 있다. 방직과 의류 그리고 고무를 합하면 54개로 절반을 넘고 있었다. 100대 기업 가운데 정확히 절반인 50개가 부산진구에 분포하고 있었으며, 20개가 동래구에 소재하고 있었다. 전체 제조업체 수에서는 여전히 원도심이 제조업중심지처럼 보이지만 100대 기업으로 좁혀보면 이미 부산 제조업의 중심은 부산진구와 동래구 쪽으로 거의 이동한 상태였다. 한편 일제강점기에 설립되었던 기업들 가운데 많은 기업들이 해방이후 사명을 바꾸는 등을 계기로 설립연도를 해방이후로 바꾼 것이 많았다. This paper is a micro-research of Busan's manufacturing industry in early 1962, the year when economic development planning began. We carefully analyzed the manufacturers in the Busan Commerce and Industry Directory. First, there were 1,393 manufacturers in Busan with more than five employees, and the average number of employees was about 30. The factories were located in most in Busan Jin-gu, followed by Jung-gu, Dong-gu and Yeongdo-gu. The factories were still overwhelmingly concentrated in the old city. By contrast, most factories were in Bumil-dong and Bujeon-dong. Depending on the district(Gu), the era of the establishment of the firms varied, and the size of the employees varied depending on the industry. Certain industries were concentrated in certain districts. Thu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types of businesses that each district had. The same was true of the Dong. Certain industries were more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area. Among the 100 largest companies, 34 were textile companies. Next was 17 rubber product industries, 12 food industries, and 8 machinery industries. The textile industries with 3 clothing and rubber industries together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total, or 54. Of the top 100 companies, exactly 50 were distributed in Busan-jin gu. Next, 20 were located in Dongnae-gu. Although the total number of manufacturers remained at the old city, the top 100 companies differed. Busan’s manufacturing center has already shifted to Busan Jin-gu and Dongnae-gu. Meanwhile, we couldn't find many businesses that were established in Japanese occupation. This was because many firms changed their name and worked as newly established ones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1980년대 이후 신발기업의 도산이 부산경제에 미친 영향

        김대래 ( Kim Dae-rae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2023 항도부산 Vol.45 No.-

        고도성장을 누리던 신발산업은 1980년대 후반 원화절상과 임금인상으로 갑작스레 위기를 맞았다. 1990년대 전반기 신발기업의 대대적인 도산이 있었고, 많은 기업들이 해외로 설비를 이전하였다. 신발업의 퇴조로 인해 1990년대 부산제조업의 실질생산은 거의 증가하지 못하였고, 1990년대 전반기에는 오히려 감소추세에 있었다. 신발대기업의 도산으로 1987~997년 사이 제조업 종사자수는 절반이하로 줄어들었고, 신발에서는 1990~1993년 사이에 40%가 줄어들었다. 신발기업의 도산회오리가 부산경제에 미친 또 하나의 극적인 변화는 수출의 급감이었다. 신발수출의 급감으로 1988년 86억 달러에 이르렀던 부산의 수출은 2001년에는 46억 달러로 떨어졌다. 신발기업의 도산과 실업자의 급증은 부산인구의 전출입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1988년까지는 부산으로 들어오는 인구가 부산에서 타지로 나가는 인구보다 많았는데, 1989년에는 전출>전입으로 바뀌었고, 신발기업의 대규모 도산이 있었던 1993년에 순전출인구는 정점에 이르렀다. 부산을 대표하였던 신발의 퇴조로 경공업을 대신하여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높아졌다. 신발산업 내에서도 전문화에 승부를 걸고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신흥기업들이 출현하여 성장하였다. 그러나 세계적인 규모를 가지고 있었던 신발대기업의 갑작스런 도산은 대기업의 급격한 감소와 단절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다. The foot wear industry, which had enjoyed high growth, faced a sudden crisis in the late 1980s due to the won appreciation and wage increase.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there was a massive bankruptcy of foot wear companies, and many companies moved their facilities overseas. Due to the decline of the foot wear industry, the real production of the Busan manufacturing industry in the 1990s hardly increased, and in the first half of the 1990s, it was rather on the decline. Due to the bankruptcy of the foot wear giant, the number of manufacturing workers decreased by less than half between 1987 and 1997, and in foot wears industry decreased by 40% between 1990 and 1993. Another dramatic change in the Busan economy caused by the bankruptcy of foot wear companies was a sharp drop in exports. Due to a sharp drop in foot wear exports, Busan's exports, which reached $8.6 billion in 1988, fell to $4.6 billion in 2001. The bankruptcy of the foot wear company and the surge in the number of unemployed people had a decisive impact on the migration of the Busan population. Until 1988, the number of people entering Busan was larger than that of people leaving Busan, but in 1989, it was changed, and in 1993, when the foot wear company bankruptcy in worst, the net transfer population reached its peak. With the decline of foot wears giant, the proportion of heavy and chemical industries increased instead of light industries. Even within the foot wear industry, emerging companies targeting the niche market with a bet on specialization have emerged and grown. But the sudden bankruptcy of the global shoe giants has hampered continuing the innovation and structural transformation opportunities and assets available through them.

      • 우주 발사체 엄빌리칼 시스템의 현황 및 적용사례

        김대래(Dae Rae Kim),임찬경(Chankyoung Lim) 한국추진공학회 2017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7 No.5

        우주 발사체에 사용되는 엄빌리칼 시스템은 지상의 유공압 및 전계장 라인들을 발사체로 연결하여 발사운용 과정에서 발사체 내부로 유공압의 공급 및 발사체와 전기적 연결들을 가능하도록 하다가 발사직전 또는 발사와 동시에 발사체로부터 분리되는 장치이다. 발사운용과정에서는 전기적 및 유공압적으로 확실히 연결되어 기밀 및 체결 성능을 보장하여야 하고 분리시점에는 확실한 분리특성을 보장하여야 한다. 따라서 체결력을 적절하게 선택하여 체결력과 분리성능 두가지를 모두 만족시키도록 하는 것이 엄빌리칼 시스템 설계의 핵심 요소이다. 이와 같은 장치 특성에 따라 엄빌리칼 시스템은 우주발사체 개발 초기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형식의 엄빌리칼 장치들이 연구되고 발사체에 적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까지 주로 사용되었던 각 엄빌리칼 시스템들 그 특징과 그 작동개념별로 구분하여 기술하고 향후 한국형 발사체에 적용될 엄빌리칼 시스템의 개요에 대해 소개한다. The umbilical system used for launch vehicle is to connect all ground supply lines (Pneumatic, hydraulic and electrical) to launch vehicle and disconnect those at few second before launch vehicle lift-off (or simultaneously with launch vehicle lift-off). During launch preparation stage, all umbilical shall be securely connected and also at separation stage, separation of all umbilical line shall be guaranteed. Therefore finding an appropriate connection force is a key factor on development of umbilical system. According to these design requirement, various kind of umbilical system has been developed from early stage of space development till today. In this paper, various kind of umbilical system developed so far is introduced according to its feature and operational concept. Also, umbilical system used for KSLV-II is introduced

      • 발사체 이륙시 엔진최대추력에서 발사체 고정을 해제하는 지상고정장치의 유압시스템 작동 시험 및 특성 분석

        김대래(Dae Rae Kim),양성필(Seong Pil Yang),이재준(Jae Jun Lee),김범석(Bum Suk Kim),송오섭(Oh-Seob Song),이영신(Young-Shin Lee) 한국추진공학회 2016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2

        한국형 발사체 지상고정 장치 (Vehicle Holding Device)는 발사체 하부에서 발사체를 고정하는 장치로서 발사체 이륙시 엔진 최대 추력에서 고정을 해제하고 발사체는 이륙한다. 이 과정에서 모든 고정 장치는 동시에 작동하여야 한다. 또한 고정해제시 장치의 고정력을 일시에 제거하는 경우 발사체 추진체가 탱크 내부에서 상하로 진동하는 “카동아동아동 (ka doing a doing a doing mode)” 현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점진적으로 고정력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동시 작동 요구 조건” 및 “점진적 고정해제 요구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설계된, 복잡한 유압기기 없이 추압기 및 파이로 밸브로 유압실린더의 속도를 발생시키고 오리피스에 의해 유압구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발사체 지상고정장치 유압시스템의 작동 시험을 통하여 운동특성을 분석하고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서 최대추력에서 동작할 수 있는 발사체 지상고정 장치의 개발을 위한 공학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The responsibility of the vehicle holding device (VHD) for KSLV-II launch vehicle is to hold the launch vehicle securely while it is stayed on launch pad vertically and release launch vehicle safely at maximum thrust after engine ignition to allow a lift-off of launch vehicle. During a release of the holding mechanism of VHD, to prevent the Ka doing a doing a doing mode which is vertical oscillation of entire liquid propellant, gradual release of launch vehicle is required. Also, a release of all VHD should be synchronized very precisely. In this study, to comply the “gradual release and synchronized operation requirement”, a simple and reliable hydraulic system using orifice and pyro valve to control speed of hydraulic cylinder is tested instead of using complicated hydraulic components. As a result, it is verified that hydraulic system meets the requirement. Through this study, engineering basis to develop VHD releaseing launch vehicle at maximum thrust during lift-off is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