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에 대한 초등교사의 특성별 인식 차이

        김달효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3 교사교육연구 Vol.5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3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Woolsan metropolitan citie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were used. As a method of data processing, t-test, F-test, and Scheff′e test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e effects of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appeared a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 plan and implementation, poor implementation of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cramming method of teaching, difficulty in the realization of teacher’s beliefs, intrusion of teacher’s specialization, pressure of the test result, making unnecessary competition and selfishness, hindrance of creative thinking, increase of stress on learning, increase of damage on students who have learning disability and slow learners. 본 연구는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부작용을 교육과정 운영 관련, 교사 관련, 학생 관련, 학교운영 관련 측면에서 교사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333명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t 검증, F 검증 및 Scheff′e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 관련에서는 교육과정 계획과 실제 운영의 차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부실한 운영, 시험과목 교과에만 주력하고 예체능 교과의 지도 소홀, 다양한 수업 방법을 적용하지 못하고 문제풀이식, 주입식, 강의식 수업 진행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교사 관련에서는 교사의 신념이나 철학 발현의 어려움, 학생지도와 관련한 교사의 전문성 침해, 시험결과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학생 관련에서는 불필요한 경쟁심과 이기주의 조장, 협동심이나 공동체 의식 조성의 어려움, 학습에 대한 흥미도 감소와 스트레스 증가, 창의적 사고 저해, 학습부진아의 피해 증가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고, 학교운영 관련에서는 6학년 담임 기피, 강압적인 보충학습 시행, 6학년 담임 이외 교사의 업무 부담 증가, 학교예산의 불필요한 낭비 등의 부작용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 KCI등재

        교육감 주민직선제의 타당성에 관한 재조명

        김달효 한국교육정치학회 2016 敎育政治學硏究 Vol.23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justification of the superintendent direct election system with three(law, alternative, politic) dimension. First, law dimension deals with justification of the superintendent direct election system finding precedent in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 court. Second, alternative dimension deals with justification of the superintendent direct election system refuting another alternatives, in other words a running mate with mayor system and the limited direct election system. And third, politic dimension deals with justification of the superintendent direct election system revealing self-contradiction of the Korea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and the Saenuri-party. 본 연구에서는 교육감 주민직선제의 폐지를 주장하는 것에 대해 법적 차원, 대안적 차원, 정치적 차원에서 그 타당성이 없음을 분석하였다. 법적 차원에서는 「헌법」에서도 교육감 주민직선제의 틀을 보장하고 있으며, 헌법재판소의 판결에서도 교육감 주민직선제가 합헌이라는 것이 밝혀졌음을 다루었다. 대안적 차원에서는 임명제나 간선제는 이미 과거에 문제가 많아서 없앤 것이기에 타당성이 떨어지고, 교육관계자들에 의한 제한적인 직선제는 모호함과 비민주성을 띠기 때문에 위험하며, 시‧도지사와의 러닝메이트 혹은 시‧도지사의 임명+시‧도의회의 승인 같은 대안은 교육감의 지위와 권한을 시‧도지사에 예속시키며 교육의 정치화를 가져옴을 다루었다. 그리고 정치적 차원에서는 새누리당과 교총이 교육감 주민직선제 폐지를 주장하는 시점이 진보 교육감의 당선이라는 것과 맞물리며 그 주장이 일관성이 없고 자기모순적임을 다루었다. 사회구성원들의 교육에 관한 관심이 많고 교육의 관료주의가 강한 우리 사회에는 교육감 주민직선제를 통해 시민들의 교육에 관한 관심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다만, 교육감 주민직선제의 미비한 점은 민주주의의 핵심 요소인 ‘참여‘의 가치를 살리면서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본 학급경영의 잘못된 사례와 교육적 논의

        김달효 한국교육학회 2007 敎育學硏究 Vol.45 No.4

        The significance of classroom is that classroom is the minimum organization of schooling and that classroom is the life place where students spend most time. And many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haracteristics are influenced by teacher's style of classroom management. Therefore, classroom teacher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lassroom management, and should do his/her best for better and effective classroom management. But because of multidimensionary, simultaneity, immediacy, unpredictality, publicness, history of school and classroom, classroom teacher can not do perfect classroom management. But we should make an effort for better classroom management. So, I visited a elementary school and a classroom to observe teacher's classroom management for a month. As a result, I found many problems of classroom management on the spot. These problems are analyzed by three dimension, in other words, order maintenance, condition preparation, and educational management. 담임교사가 학급을 어떻게 경영하는가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뿐만 아니라 인성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효과적인 학급경영이 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잘못된 학급경영이 발생하면 개선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달간의 학급관찰을 통해 초등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학급경영의 문제점을 질서유지적 관점, 조건정비적 관점, 교육경영적 관점에서 구체적인 사례 중심으로 교육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연구결과, 질서유지적 관점에서는 학생에 대한 훈육의 문제, 학생의 보살핌 문제가 관찰되었고, 조건정비적 관점에서는 시간의 준수 문제, 업무의 명확성 문제, 수업조건 정비의 문제가 관찰되었으며, 교육경영적 관점에서는 수업의 능률성 문제, 수업의 전문성 문제가 관찰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The Implications of Bertrand Russell’s Thoughts on Teachers

        김달효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Journal of Humanities Therapy Vol.10 No.1

        Bertrand Russell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holars of the twentieth century, and his life and thought have a lot of meaning.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has been applied to education by combining his life and thought. Therefore, in this study, Russell’s thoughts were considered at the life level, religious level, happiness level, and educational level, and then the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were derived. First, Russellㅍㅍ’s life is a suggestion to the teacher, “Teachers should live as intellectuals who have a conscience to act and practice.” Second, Russell’s religious view gives teachers a suggestion that “teachers should live as courageous intellectuals who have reasonable and rational questions ranging from the subject area to all areas of life.” Third, Russell’s happiness point is to give the teacher a suggestion that “the teacher should have a passion for the right education, love nature, do his best, but live as an intellectual who empties his mind.” And fourth, Russell’s educator’s implications for teachers are that “Teachers should love democratic intelligence, nurture students as awakened democratic citizens, and live as intellectuals who always challenge.”

      • KCI등재

        교육감 주민직선제 존속의 합당함에 관한 조명

        김달효 한국교육정치학회 2016 敎育政治學硏究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교육감 주민직선제가 존속되는 것이 합당함을 법적 측면, 대안적 측 면, 정치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법적 측면에서는 「헌법」에서도 교육감 주민직선제 의 틀을 보장하고 있으며, 헌법재판소의 판결에서도 교육감 주민직선제가 합헌이라는 것이 밝혀졌음을 다루었다. 대안적 측면에서는 임명제나 간선제는 이미 과거에 문제가 많아서 없앤 것이기에 타당성이 떨어지고, 교육관계자들에 의한 제한적인 직선제는 모 호함과 비민주성을 띠기 때문에 위험하며, 시?도지사와의 러닝메이트 혹은 시?도지사의 임명+시?도의회의 승인 같은 대안은 교육감의 지위와 권한을 시?도지사에 예속시키며 교육의 정치화를 가져옴을 다루었다. 그리고 정치적 측면에서는 새누리당과 교총이 교 육감 주민직선제 폐지를 주장하는 시점이 진보 교육감의 당선이라는 것과 맞물리며 그 주장이 일관성이 없고 자기모순적임을 다루었다. 사회구성원들의 교육에 관한 관심이 많고 교육의 관료주의가 강한 우리 사회에는 교육감 주민직선제를 통해 시민들의 교육 에 관한 관심사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다만, 교육감 주민직선제의 미비한 점은 민주주 의의 핵심 요소인 ‘참여‘의 가치를 살리면서 보완해나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중요직무 및 기피직무와 그에 따른 사기진작 방안 분석

        김달효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2

        Teachers are struggling with the job they have to do in school.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clearly grasp the dutie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nd avoidanc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nalyze what incentives and support teachers perceive as helping to boost morale. In this study, the specific job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identifi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FGI) target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importance and avoidance of the duties and the ways to boost moral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the teachers of many elementary school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mportant duties were 'teacher', 'curriculum', 'teaching plan', and avoidance duties were 'school violence', 'curriculum', and 'after-school education'. Most teachers agreed on the compensation provided to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important or avoidant duties. Most teachers preferred 'payment of allowance' and 'reduction of class time' as compensation. 학교현장에서 교사들이 제기하고 있는 어려움들 중에는 직무에 대한 고충이 대표적으로 포함된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접근으로서는 학교현장의 교사가 맡는 직무들을 중요도와 기피도에 따라 명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그에 따라 교사는 어떤 인센티브와 지원을 제공받는 것이 사기진작에 도움된다고 인식하는지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1차적으로 표적집단면담(Focus Group Interview; FGI)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의 구체적인 직무를 파악한 후, 2차적으로 전국의 다수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직무들에 대한 중요도와 기피도 및 그에 따른 사기진작 방안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교사의 중요직무로는 ‘담임’, ‘교육과정’, ‘교무기획’으로 나타났고, 기피직무로는 ‘학교폭력’, ‘교육과정’, ‘방과후교육’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요하거나 기피하는 직무를 담당하는 교사에게 보상 제공에 대한 인식은 대체적으로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제공되어야 할 보상의 종류에 대해서는 대부분 ‘수당 지급’과 ‘수업시수 감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교사와 학생의 지각에 따른 교사의 훈육유형의 실증적 분류

        김달효 한국교육개발원 2006 한국교육 Vol.33 No.1

        An empirical analysis of teacher's discipline styl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perception and student's perceptionKim, dalhyo(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ly analyze teacher's discipline style. To accomplish this purpose, sixth grades 2,500 students of 73 classrooms of 13 elementary schools and 600 teachers of 21 elementary schools were sampled. As a tool of investigation, questionnaires about teacher's discipline style and discipline effectiveness had made by researcher of this study were used. And as processing of data, factor analysis were used.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The judgers of teacher's discipline style were divided two kinds. One were teachers themselves, and the other were students. When the judgers were students, teacher's discipline style was actually identified as six, in other words, democratic, compromiser, autocracy, mixer, and noninterventionist. And when the judgers were teachers themselves, teacher's discipline style was actually identified as five, in other words, democratic, compromiser, supporter, autocracy, and mixer. 많은 연구들에 의하면, 교사의 학생에 대한 훈육방식에 따라 학생의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맥락에 맞는 교사의 훈육유형을 실증적으로 분류해보는 연구가 우선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훈육유형에 관한 여러 문헌연구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후,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교사의 훈육유형을 실증적으로 분류하였다.연구결과에 의하면, 학생을 교사의 훈육유형의 판단자로 하였을 때는 교사의 훈육유형이 여섯 가지, 즉 민주형, 타협형, 지원형, 전제형, 방임형, 절충형으로 분류되었고, 교사를 훈육유형의 판단자로 하였을 때는 교사의 훈육유형이 다섯 가지, 즉 민주형, 타협형, 지원형, 전제형, 절충형으로 분류되었다.

      • KCI등재

        학생의 능력별 집단편성에 대한 비판적 접근

        김달효 한국교육사회학회 2006 교육사회학연구 Vol.16 No.3

        신자유주의 패러다임의 영향에 의해 우리나라의 교육 분야에서 변화의 힘을 얻고 있는 것이 ‘능 력별 집단편성’이다. 현재는 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으로 시행되고 있지만, 고교평준화제도 폐지 등 학교 단위의 능력별 집단편성으로 점차 확대 시행되려는 움직임이 강하다. 그러나 국내외 의 여러 실증적인 연구결과에 의하면, 능력별 집단편성은 많은 문제점과 불평등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현재와 같이 능력별 집단편성 체제로 확대?시행되려는 시점에서,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능력별 집단편성의 근원적인 문제점을 밝힘으로써 앞으로의 능력별 집단편성의 쟁점에 대 한 좀 더 신중하고 종합적이고 안목으로 고려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수 있는 것은 의의 있는 일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능력별 집단편성과 학생의 학업성취도, 능력별 집단편성과 학생의 자아 개념, 능력별 집단편성과 학생의 학습기회, 능력별 집단편성과 교사의 기대, 능력별 집단편성과 교 수(teaching) 선호도, 능력별 집단편성과 학급의 실제의 측면으로 분석?비판하였다. Due to the influence of Neo-liberalism, ability grouping is gaining an increasing role as a changing force with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Currently, ability grouping is carried out as the differentiated curriculum of the 7th curriculum, but there is a growing movement for its expanded application by ending high school equalization policy and applying it on the level of individual schools. B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ny of empirical research, ability grouping has a lot of problems and unequality factors. Therefore, at this point in time of ability grouping expansion, it is very important to reveal the problems and unequality factors of ability grouping on the basis of empirical research, in order to have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 issues of ability grouping more carefully and comprehensively. So, this paper analysed and criticized ability grouping from the perspectives of (1) ability grouping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2) ability grouping and students' self-concepts, (3) ability grouping and students' studying opportunity, (4) ability grouping and teachers' expectation, (5) ability grouping and teaching preferences, (6) ability grouping and practice of classroo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