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졸중 환자에서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 MMSE-K)와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검사(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 NCSE)의 상관관계

        김다혜,강유일,윤진,이경록,한기찬,정현애,Kim, Da-Hye,Kang, You-Il,Yun, Jin,Lee, Kyoung-Rok,Han, Ki-Chan,Chung, Hyun-Ae 대한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학회 2012 PNF and Movement Vol.10 No.3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and the Neuro-behavioral Cognitive Status Examination(NCSE) in Stroke Patients. Methods : We studied sixteen people with stroke(7 males, 9 females) who were admitted to occupational therapy a participants were tested with the MMSE-K, the NCSE. Results : Correlation between the NCSE and the MMSE-K was significant in p<.05, p<.01. The result was orientation r=.652, memory r=.514, attention r=.417, calculation r=.839, comprehension r=.676, repetition r=.960, naming r=.683, construction r=.961, judgement r=.616. Conclusion : The MMSE-K and the NCSE are valid and useful measurement tools evaluating cognitive function of persons with stroke in Korea.

      • KCI등재

        골밀도를 이용한 대퇴근위부 형태 변화의 상관관계 평가

        김다혜(Da-hye Kim),고성진(Seong-Jin Ko),강세식(Se-Sik Kang),김정훈(Jung-Hoon Kim),김동현(Dong-hyun Kim),예수영(Soo-Young Ye),김창수(Changsoo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과 의료기술의 발달로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골다공증 발병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서구화된 식생활로 암질환이 증가하였고 항암치료과 방사선 치료 등으로 인해 골다공증이 발생하게 된다. 골다공증은 골밀도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구조 변화는 고관절 골절의 위험을 나타내는 요인이다. 본 연구는 T-score변화에 따라 정상, 골감소증, 골다공증으로 분류하여 각 군별로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관찰하고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은 부산지역의 D종합병원의 남녀 350명을 대상으로 연령, 성별, T-score변화로 질환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연령, 성별에 따라 골다공증의 발병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T-score변화에 따른 질환 분류와 대퇴근위부 형태학적 특성의 7가지 파라미터로서 Cortical ratio calcar, Cortical ratio shaft, Hip/shaft Angle, Strength index, Section modulus, CSMI, CSA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골다공증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므로 연구 결과는 T-score변화에 따른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를 상관관계 분석함으로써 골다공증을 진단하는데 대퇴 근위부의 형태학적 변화가 지표로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되며, 향후에 대퇴근위부의 형태학적 파라미터가 골다공증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예측인자로서 임상활용이 가능하리라 판단된다. Osteoporosis is increasing in Korea as it becomes an aging society with the rapid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Osteoporosis also develops due to chemo and radiation therapy of cancer which also increases owing to Westernized diet. Osteoporosis is caused by reduced bone density, has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hange of geometry of proximal femur, which is a factor of hip fracture ris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osteoporosis and the change of geometry of proximal femur, which was observed according to T-score variance. The 350 male and female patients are chosen from D hospital in Busan, who were classified by age, sex and T-score values (normal, osteopenia, and osteo poro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age and gender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the diseas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score value h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ometry of the proximal femur such as Cortical ratio calcar, Cortical ratio shaft, Hip/shaft Angle, Strength index, Section modulus, CSMI, and CSA, and is highly correlated with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change of the geometry of the proximal femur could be used as an indicator in the diagnosis of osteoporosis, could enhance the accuracy of the diagnosis in the future, and could be used as a clinical predictive factor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of T-score variance and the geometry changes of the proximal femur.

      • KCI등재

        두힘살근 앞힘살의 형태변이와 두힘살근 뒤힘살과 붓목뿔근 사이의 위치 관계

        김다혜(Da-Hye Kim),도형주(Hyung-Joo Do),김현주(Hyun-Joo Kim),원성윤(Sung-Yoon Won),최다예(Da-Yae Choi),허경석(Kyung-Seok Hu),최종훈(Jong-Hoon Choi),김희진(Hee-Jin Kim) 대한체질인류학회 2010 해부·생물인류학 (Anat Biol Anthropol) Vol.23 No.1

        간추림 : 본 연구는 한국인 두힘살근 앞힘살의 형태학적 분석과 더불어 두힘살근 뒤힘살과 근접하며 동일한 신경분포를 갖는 붓목뿔근(stylohyoid muscle)과 두힘살근 뒤힘살 사이의 해부학적 위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재료로는 한국 성인시신 34구(남: 21, 여: 13, 평균나이: 65 (24~89세))를 사용하였다. 34구의 시신 중 8예에서 두힘살근 앞힘살과 턱목뿔근의 덧힘살 (accessory belly)을 확인하였다. 덧힘살은 아래턱솔기(mandibular raphe)의 표면을 교차하지 않는 유형(unilateral type)과 교차하는 유형(crossover type)으로 분류하였으며, 각각 3예와 5예에서 나타났다. 두힘살근 뒤힘살과 붓목뿔근 사이의 국소적인 위치 관계를 관찰한 결과, 관찰한 49쪽 중 32쪽(65%)에서 붓목뿔근의 힘살이 안쪽과 가쪽으로 나뉘어 두힘살근 뒤힘살의 힘줄을 감싸면서 목뿔뼈로 닿았으며, 이를 붓목뿔근 힘살이 두힘살근 뒤힘살 힘줄의 가쪽으로 더 두꺼운 경우(21쪽)와 안쪽이 가쪽 부분보다 더 두꺼운 경우로 세분하였다 (11쪽). 관찰한 49쪽 중 17쪽(35%)에서 붓목뿔근이 두힘살근 뒤힘살보다 안쪽으로 지났으며, 붓목뿔근의 힘살이 두힘살근 뒤힘살의 가쪽으로 주행하는 경우는 관찰되지 않았다. 두힘살근 앞힘살 부위에 존재하는 덧힘살의 형태는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턱끝밑부위의 이러한 불규칙적인 형태는 비심미적인 목의 외형을 형성할 뿐 아니라 임상에서의 진단과 수술 과정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 대부분의 자료에서는 붓목뿔근 힘줄의 끝부분을 두힘살근의 중간힘줄이 관통하는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나, 연구 결과 붓목뿔근이 두힘살근 뒤힘살의 안쪽으로 지나는 경우가 35%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는 두힘살근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 관계에 대한 보다 정확한 이해와 더불어 턱끝밑부위(submental region)와 위목부위(upper neck region)의 수술을 포함한 치료 시 적용 가능한 지침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digastric muscle is located in the suprahyoid region which consists of anterior belly, intermediate tendon and posterior belly. This muscle is an important landmark when performing an operation of submental and upper neck region. Previous researches have reported about variations of the anterior and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about the general morphology of the digastric muscle and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musc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rphology of the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and confirm the topographic relationship between the digastric muscle and the stylohyoid muscle of Korean. Thirty-four cadavers (21 males, 13 females; mean age 65 years; range 24~89 yea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skin, subcutaneous tissues, superficial fascia and platysma were removed and a detailed dissection was performed, with extreme care being taken not to damage underlying the muscles of submental and upper neck region. After the dissections, all specimens were sketched and photographed. In 8 specimens, we observed the accessory bellies of the an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We classified the accessory bellies into the crossover type (five specimens, 14.7%) that cross the mandibular raphe and unilateral type (three specimens, 8.82%). The findings resulting from observation of the anatom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and stylohyoid muscles, the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perforated the stylohyoid muscle in 32 cases (65%) out of 49 sides. This case was subdivided into the belly of the stylohyoid muscle lean to the lateral (twenty-one specimens, 42.9%) or medial side (eleven specimens, 22.4%) of the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In 17 specimens (35%), the stylohyoid muscle existed on the medial side of the posterior belly of digastric muscle.

      • KCI등재

        한국 ODA 사업의 정책일관성 연구: 영국, 네덜란드와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김다혜(Dahye Kim),김태균(Taekyoon Kim),손혁상(Taekyoon Kim),문경연(Kyungyon Moon)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8 동서연구 Vol.30 No.2

        2015년 9월 UN은 2030년을 목표 년도로 하는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채택하였다. 17개 분야의 광범위한 개발의제를 포함하고 있는 SDGs는 국가의 대외정책(무역, 투자, 농업, 환경, 안보, 이민 등)이 원조정책과 모순되지 않도록 하는 개발을 위한 정책 일관성(PCD)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PCD 국제동향과 규범, 그리고 구체적인 사례로서 영국과 네덜란드의 PCD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2년 한국의 동료검토 검토 보고서에서 지적한 PCD 분야의 개선요소를 검토하고, 향후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 국제규범으로 자리매김한 PCD의 국내 내재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는 PCD와 관련하여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여전히 개발을 위한 정책일관성에 대한 법적 기반과 정치적 선언 등이 부재하며, 비일관성을 해소와 각 부처 간의 의견들을 조율하고 조정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조정기제 또한 부재 하였다. 이로 인해 PCD 조정 기제가 비원조 분야의 정책일관성에 대한 논의로까지 확대되지 못하였으며, 모니터링 및 분석, 보고 체계의 경우 평가소위가 존재 하였지만, 원조분야의 평가에 그쳤고, PCD에 관한 모니터링 분석 및 보고 기능은 수행하지 못하였던 것을 확인하였다. In September 2015, the United Nations adopted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SDGs) with a target date of 2030. The SDGs, which encompass a broad range of development agendas in 17 sectors, further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olicy Coherence for Development(PCD) in coordinating foreign policy such as trade, investment, agriculture, environment, security, and immigration to comply with aid policies. Against its backdrop, the global trend of PCD norms and the cases of PCD in England and the Netherlands are analyzed. Based on the OECD DAC Peer Review of South Korea in 2012, we examine the improved areas of the PCD and search for policy implications to internalize the PCD which has become the international agenda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o summarize our findings, Korea has potential for PCD, but there is still no legal basis and political declaration for PDC, and it does not establish the authoritative mechanism to resolve inconsistencies and to coordinate differences among the ministries. As a result, the PCD has not been extended to discuss the coherence between aid and non-aid external policies. PCD Monitoring and analysis, and reporting system are yet to be implemented

      • 뇌졸중 환자의 EEG phase synchrony 에 따른 움직임 및 운동의지비교: 예비 결과 분석

        김다혜 ( Da-hye Kim ),박완주 ( Wanjoo Park ),김연희 ( Yun-hee Kim ),김성필 ( Sung-phil Kim ),김래현 ( Leahyun Kim ),권규현 ( Gyu-hyun Kw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 5 명을 대상으로 상지 운동(Affected hand 의 주먹 쥐기/펴기운동) 시 참가자의 운동의지와 운동 수행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을 가정하고, 운동 수행 및 운동의지가 존재하는 Active movement 와 운동 수행을 하지만 운동의지가 없는 Passive movement, 운동 수행은 없지만 운동의지가 있는 Motor Imagery(MI)의 세가지 task 에 따른 뇌파의 연결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이 때 EEG 영역 간의 연결성을 보기 위한 분석 방식 중 하나인 Phase locking value(PLV)를 통해 각 task 간의 차이를 비교 및 분석했다. 운동 수행은 동일하지만 운동의지 유무에 따른 차이는 Passive movement 가 전반적으로 뇌 영역간 연결이 감소하고 Active movement 가 motor task 시작 후 375ms 를 기점으로 급격히 증가함을 보이는 데에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운동수행 유무에 따른 차이는 687.5ms 이후 Active movement 에 비해 MI 에서 뇌 영역 간 연결 수가 확연히 감소하는 데에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 시의 motor task 에 따른 EEG 영역간의 연결성을 토대로 운동의지 검출이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인간 망막 색소상피 세포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천연 및 합성 화합물들의 세포 보호 효과 비교

        김다혜(Da Hye Kim),김정환(Jeong-Hwan Kim),박세광(Seh-Kwang Park),정지원(Ji-Won Jeong),김미영(Mi-Young Kim),남수완(Soo-Wan Nam),이혜숙(Hyesook Lee),최영현(Yung Hyun Choi) 한국생명과학회 2021 생명과학회지 Vol.31 No.2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망막 색소상피 세포의 손상 및 퇴화는 시력 소실을 포함한 다양한 망막질환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유래 14종 단일 성분과 합성 화합물 2종을 대상으로 망막질환 개선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람 유래 망막 색소상피 세포를 대상으로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16종의 후보물질 중 H₂O₂에 의해 유발된 세포독성을 개선시키는 효능을 보인 5종(auranofin, FK-509, hemistepsin A, honokiol 및 spermidine)을 선별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H₂O₂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손상 및 활성 저하 억제능을 평가하였으며, auranofin을 제외한 4종에서 유의한 세포 보호 효능이 관찰되었다. 더불어 H₂O₂에 의해 유도된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FK-506, honokiol과 spermidine이 DNA 손상을 개선시켰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5종의 후보물질이 활성 산소종의 생성에는 뚜렷한 억제 효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이는 5종의 후보 물질이 ROS-비의존적 기전을 통해 세포 보호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조사 대상 후보물질 중에서 spermidine이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망막 색소상피 세포의 보호 효능이 가장 우수한 천연물 유래 단일 물질임을 규명하였으며, 동시에 합성물질로는 FK-506이 망막세포 보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작용 기전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본 연구 결과는 spermidine과 FK-506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망막질환의 위험을 억제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Oxidative stress causes injury to and degeneration of retinal pigment epithelial (RPE) cells. It is involved in several retinal disorders and leads to vision los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14 kinds of natural compounds and two kinds of synthetic compounds on oxidative stress-induced cellular damage in human PRE cell lines (ARPE-19). From among them, we selected five kinds of compounds, including auranofin, FK-509, hemistepsin A, honokiol, and spermidine, which have inhibitory effects against hydrogen peroxide (H₂O₂)-mediated cytotoxicity. In addition, we found that four kinds of compounds (excluding auranofin) have protective effects on H₂O₂-induced mitochondrial dysfunction. Furthermore, the expression of phosphorylation of histone H2AX, a sensitive marker of DNA damage, was markedly up-regulated by H₂O₂, whereas it was notably down-regulated by FK- 506, honokiol, and spermidine treatment. Meanwhile, five kinds of candidate compounds had no effect on H2O2-in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levels, suggesting that the five candidate compounds have protective effects on oxidative stress-induced cellular damage through the ROS-independent pathway. Taken togeth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H2O2-mediated cellular damage-such as cytotoxicity, apoptosis,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DNA damage-spermidine and FK-506 are the natural and synthetic compounds with the most protective effects against oxidative stress in RPE. Although further studies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mechanism responsible are requir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e possibility of using spermidine and FK-506 to suppress the risk of retinal disorders.

      • 동작침법과 신바로 약침을 이용한 한의학 치료로 호전된 주관절 내측 및 외측 상과염 환자 치험 5례

        김다혜(Da Hye Kim),조명재(Myeong Jae Jo),김은정(Eun Jung Kim),김선우(Seon Woo Kim) 대한스포츠한의학회 2020 대한스포츠한의학회지 Vol.20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s of Motion style acupuncture Treatment(MSAT), Shinbaro Pharmacopuncture and other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 patient who has elbow pain and dysfunction diagnosed with Medial and Lateral Epicondylitis. Methods The treatment effect was evaluated with a Numeric rating scale(NRS), elbow range of motion(ROM), score of Manual muscle test(MMT) and elbow physical examination(Cozen test, golf elbow test). Results After treatment, symptoms of the patient such as elbow pain and dysfunction were improved. The NRS decreased and the patient showed improvement in ROM and score of MMT. Conclusions Korean treatments including MSAT and Shinbaro Pharmacopuncture appeared to be effective in relieving pain and recovering the fucnction of joint associated with Medial and Lateral Epicondylitis, although further study is needed.

      • KCI등재

        들깨 새싹 추출물의 췌장 RINm5F 세포에서 NF-κB 경로를 통한 사이토카인에 의한 손상 예방 효과

        김다혜(Da Hye Kim),김상준(Sang Jun Kim),정승일(Seung-Il Jeong),유강열(Kang-Yeol Yu),천춘진(Chun Jin Cheon),김장호(Jang-Ho Kim),김선영(Seon-Young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7 생명과학회지 Vol.27 No.5

        들깨(Perilla frutescents (L.) Britton var.) 새싹은 꿀풀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들깨 새싹에탄올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췌장 베타 세포 손상에 대한 예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췌장 소도 주위에 염증 세포 침습으로 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은 1형 당뇨병의 발병원인에 해당된다. 인터루킨-1β (IL-1β), 인터페론-γ (IFN-γ), 종양괴사인자-α (TNF-α) 등의 사이토카인은 활성산소 형성을 유도한다. 세포 내 활성산소 축적은 췌장 베타 세포 기능장애와 세포사멸을 이끈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증가 시켰으며 활성산소 생성을 억제하였다. 사이토카인은 세포생존율을 감소시켰고, iNOS와 COX-2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산화질소 생성을 유도하였다. 들깨 새싹 추출물은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세포생존을 농도 의존적으로 예방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에 의한 산화질소 생성과 iNOS와 COX-2의 단백질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 더 나아가 들깨 새싹 추출물은 췌장 베타 세포주(RIN-m5F)에서 IκBα 인산화 억제를 통해서 NF-κB의 활성화를 상당히 감소시켰다. 요약하자면, 본 연구 결과는 들깨 새싹 추출물이 사이토카인으로 유도된 췌장 베타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결과적으로 들깨 새싹은 혈당 증가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의한 베타 세포 손상을 완화하여 당뇨에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sprouts (PFS) is a plant of the labiatae family. The purpose of this work was to assess the preventive effects of PFS ethanolic extracts (PFSEs) on cytokine-induced β-cell damage. Cytokines, which are released by the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round the pancreatic islets,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type 1 diabetes mellitus. The combination of interleukin-1β (IL-1), interferon-γ (IFN-γ),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induced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ROS led to β-cell dysfunction and apoptosis. PFSEs possess antioxidant activity and thus lead to downregulation of ROS generation. Cytokines decrease cell viability, stimulate the ex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and induce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PFSEs prevented cytokine-induced cell viabil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cubation with PFSE resulted in significant reduction in cytokine-induced NO production that correlated with reduced levels of the iNOS and COX-2 protein expression. Furthermore, PFS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ctivation of nuclear factor κB (NF-κB) by inhibition of IκBα phosphorylation in RINm5F cells. In summary,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rotective effects of PFSE might serve to counteract cytokine-induced β-cell destruction. Findings indicate that consumption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on var. sprouts alleviates hyperglycemia-mediated oxidative stress and pro-inflammatory cytokine-induced β-cell damage and thus has beneficial anti-diabetic effects.

      • KCI등재

        적무 새싹 추출물의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지방합성 억제 효과

        김다혜(Da Hye Kim),김상준(Sang Jun Kim),정승일(Seung-Il Jeong),천춘진(Chun Jin Cheon),김선영(Seon-Young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11

        적무(Rahphanus sativus L.) 새싹은 십자화과 식물이다. 본 연구에서는 적무새싹 물 추출물의 α-amylase, α-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에 대한 활성 억제능과 3T3-L1 지방 전구세포를 이용하여 지방합성 억제 효능을 평가하였다. 적무새싹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α-amylase, α-glucosidase, 췌장 리파아제 효소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적무새싹 추출물은 3T3-L1 지방 전구세포의 지방세포 분화, 지방 및 중성지방 축적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적무새싹 추출물은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α와 같은 지방합성 전사 인자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지방합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적무새싹 추추물은 지방합성과 수송 저장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FABP4)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이 연구는 적무새싹이 지방합성 전사인자는 물론 지방합성 단백질 발현의 제어를 통해 비만을 억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The red radish (Raphanus sativus L.; RR) sprout is a plant of the cruciferous family. In this study, we elucidated the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RR sprout (RRSE) against α-amylase, α-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enzyme activity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α-amylase, α- glucosidase, and pancreatic lipase enzyme activity was inhibited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by RRSE treatment. RSSE also abolished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lipid and triglyceride accumulation without cytotoxicity in 3T3-L1 adipocytes. In addition, RRSE modulated the expression of the proteins related to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γ,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 1 (SREBP-1), and CCAT/enhancer binding protein (C/EBP)α. RRSE also suppressed expression of the proteins responsible for lipid synthesis, transport, and storage: adiponectin, fatty acid synthesis (FAS), perilipin, and fatty acid bind protein-4 (FABP4). This study showed that RRS treatment has the potential to inhibit obesity by controlling the expression of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and adipogenic prote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