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집단지성 구현을 위한 토의 수업에서 "월드카페형 대화법"의 적용 가능성 모색

        김다원(Da Won Kim)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는 ‘월드카페형 대화법’ 토의 수업이 집단지성 구현을 위한 토의 수업으로서의 가능성이 있는지를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월드카페형 대화법’ 토의 수업을 대학 교양 수업 ‘발표와 토론’수업의 지구적 이슈 학습 영역에 적용해 보았다. ‘월드카페형 대화법’ 토의 수업의 집단지성 구현 효과를 찾아보기 위해 실험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설문 반응 결과와 토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 반응 분석에서는 학습에의 참여도를 분석하였고 토의내용 분석에서는 토의 주제에 대한 논의 전개 양상을 분석하였다. 전체 학생의 85.4% 학생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 이유로는 자유로운 토의 분위기, 생각의 연결에서 오는 즐거움, 조 간 경쟁 심리의 배제 등이 있었다. 학생들의 학습 주제에 대한 논의 전개 정도 분석에서는 주제에 대해 제시된 의견 수, 제시된 의견을 중심으로 전개된 논의의 정도가 통제 집단 학생들의 일반적인 토의 수업 진행 결과와 비교해 볼 때, 더 많은 의견 수와 심층적인 논의 전개 양상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월드카페형 대화법’ 토의 수업이 개인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며 동시에 개인의 적극적인 의견 제시와 상호 의견 개진을 통해 더 깊이 있는 논의를 전개함으로써 집단지성 구현의 가능성을 담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World Cafe’ conversations for collective intelligence. For this purpose, ‘World Cafe’ was applied to the class ‘presentation and discussion’ of university class. To explore the effect of ‘World Cafe’ conversations for collective intelligence I surveyed the respons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lass and analyzed results of the survey and class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82 percent of all students were actively involving in the class, second, topics were more discussed through World Cafe class than general discussion class. These results suggest ‘World Cafe’ class induced active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in class and have the effect producing the collective intelligence.

      • KCI등재
      • KCI등재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

        김다원 ( Kim Da-w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6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4 No.4

        본 연구는 오늘날 관심받고 있는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를 찾아보고 지리교육의 현장 적용성을 제고하기 위해 호주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를 분석하였다. 그간 지리교육은 세계시민교육의 핵심교과로 인정받아 왔다. 특히, 호주 지리교육은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적 측면과 방법적 측면에서 역할과 기여면 에서 특별함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호주 지리교육의 세계시민교육에서의 역할과 기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면에서 자연환경과 인간의 삶을 결부한 장소성, 장소 간의 연결, 세계의 복잡성과 다양성, 그리고 상호 연결망, 글로벌 이슈 등을 통해 세계시민교육의 내용을 학습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둘째, 방법 면에서 관찰, 분석, 현장답사 등의 탐구학습과 GIS, GPS, 구글어스 등 지리정보와 ICT 활용을 통해 글로벌 관점과 지리적 상상력으로 세계에 대한 통찰력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셋째,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 관점에서 `환경`에의 접근 교육이다. 호주에서는 지리교육을 통해 환경에 대한 교육과 환경을 위한 교육을 위해 인간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적 관점으로 교육에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우리교육에서 세계시민교육과 지리교육과의 관계를 고려해볼 필요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geography education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Australia in order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eography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 core subject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particular, Australian geography education has played a special role and contribution in educating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methodological aspects of the education. The role and contribution of Australian geography education analyzed from the point of view of world citizenship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in contents, places, connections between places, global diversity, complexity and the interconnection between places, global issues are included in geography education. Second, in methodological aspects, inquiry learning including observation, analysis and fieldwork and using of geographic information such as GIS, GPS, Google Earth and maps help to foster an insight into the global with a global perspective and geographical imagination. Third, in terms of the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the environment `environment` is learned to the students. It is the access to educ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on the environ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education in primary school.

      • KCI등재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지식과 위치 학습 연구

        김다원 ( Da W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8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16 No.2

        본 연구는 지리 교육의 기본 개념으로서 위치 지식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지식의 형성과 위치 학습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위치와 위치 지식의 의미를 이론적으로 접근하여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지식의 의미와 위치 학습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지도상 위치에 대한 확인으로는 위치에 대한 인식이 지역을 이해하는 기초 개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 이는 지도상에서 지역의 이름을 확인하는 의미만을 갖게 된다.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지식은 절대적 위치, 상대적 위치, 위치로 인해 갖게 되는 위치 속성에 대한 지식의 상호 연계 결합이 필요하다. 이를 구조화된 위치 지식이라고 한다. 구조화된 위치 지식의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지도상의 위치를 바라볼 수 있는 절대적·상대적 위치 지식과 다양한 위치와 연계한 위치 속성 지식의 결합이 필요하다. 그리고 절대적 상대적 위치 지식의 형성을 위해서는 먼저 세계 인식의 틀 형성을 위한 대륙에 대한 위치 지식 형성, 그리고 세계의 다양한 국가 인식을 위한 기준국가(Seeding Effect)에 대한 선정과 이들 국가에 대한 선행 위치 지식의 형성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 이해를 위한 구조화된 위치 지식의 형성을 위해서는 절대적 상대적 위치 지식을 바탕으로 위치-기후·지형-생활모습 간의 구조화된 계열적인 위치 학습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define the location knowledge and present the location knowledge and location learning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ld regions in geography education.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first of all, I approached meaning of location and location knowledge theoretically and presented the location knowledge and location learning method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ld regions in geography education. In reference to the word `location`, I took absolute location and relative one into account. The ignorance about the longitude and latitude made them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bout climate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clothing, food, house, living style, and so on) of that region. The relative location knowledge related to the other regions and those natural surroundings and the linkage of those region locational attributes are needed in order that the location knowledge on a map could be connected to the knowledge about the actual region living figures. So I call it `the structured location knowledge`. In order to form the structured location knowledge, the location knowledge of region on a map have to be connected to the multiple knowledge about absolute and relative locations with the knowledge of diverse location attributes. And in order to form absolute and relative location knowledge it needs a formation of continent location knowledge and then location knowledge of seeding effect nation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hat the location learning for g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have to be systematically accomplished departments of location-climate·geographical features-region living features.

      • KCI등재
      • KCI등재

        문학작품 읽기에서 장소에 대한 지리적 지식의 유용성 탐색 연구

        김다원 ( Da W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5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에서는 문학작품 읽기에서 작품의 배경요소인 장소에 대한 지리적 지식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사람들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일상의 삶에서 ‘읽기’ 활동을 한다. ‘읽기’ 활동에 수반되는 것이 텍스트에 대한 해석이다. 해석을 위해서는 외적으로 드러난 현상과 문자의 의미 파악 뿐 아니라 내용에 담긴 상징적 의미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학작품에서 장소는 서사내용을 보완하거나 표현하기 위해 활용된다. 그런 면에서 볼 때, 문학작품 의 배경요소인 장소에 대한 지리적 지식은 서사내용 분석과 작품 해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문학작품에서 장소는 형상화의 방법과 서사내용의 흐름 표현의 방법으로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키츠의 <핑갈의 동굴>, 박경리의 <토지>, 그리고 파울로코엘료의 <연금술사> 작품을 사례로 문학작품에서 장소의 역할과 장소에 대한 지리적 지식의 유용성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implications on geographic knowledge of the places in reading literatures. Students do ‘Reading’ activities in daily life for a variety of purposes. It accompanies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For the interpretation of text, analysis of external phenomena as well as the symbolic meaning contained in it is needed. Places in literature are utilized to supplement the narrative contents or the presentation of them. Geographical knowledge of the places in literary works may be useful in the narrative contents analysis and interpretation works. Especially, in this study, Keats’s <Fingal’s Cave>, Park Kyeong Ni’s Novel <Toji>, and Paulo Coelho’s <Alchemist> were used as cases to explore the usefulness of geographical knowledge about the roles of the places.

      • KCI등재

        연암의 자연 사물 관찰과 글쓰기 양상 분석 연구

        김다원(Da Won Kim) 대한지리학회 2014 대한지리학회지 Vol.49 No.5

        연암의 관찰법을 활용한 자연사물 글쓰기는 자연환경 관찰력을 배양하는 데 일조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암의 『열하일기』 글을 대상으로 하여 연암이 활용했던 관찰법을 분석하였다. 연암의 관찰법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연암의 관찰법은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관찰이다. 둘째, 오감을 활용한 관찰과 오감 활용의 위험성과 한계 인식이다. 셋째, 자연과 인간에 대한 평등 의식을 지닌 관찰이다. 연암은 자연을 인간과 같은 위치에서 바라보았다. 넷째, 부분적으로 관찰한 것들을 형상화 기법을 활용하여 생동감있게 그리고 현장감있게 묘사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다섯째, 다양한 관점을 활용한 다양성 발견 관찰이었다. 이러한 연암의 자연사물 글쓰기의 원천은 자연사물에 대한 세부적 관찰과, 교감, 형상화, 다양한 관점과 다양성 발견에 기반하고 있다. Yeon-Am’s observation of natural objects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cultivation of the observation skills. In this study, I analysed Yeon-Am’s observation skills in the book 『Yorha Ilgi』. Yeon- Am’s observation skills are as follows. First, Yeon-Am observed a specific and detailed. Second, Yeon-Am was examined by utilizing the five senses and presented its risks and limitations. Third, Yeon-Am observed with the equality between man and nature and looked at the same level of human and nature. Fourth, Yeon-Am expressed those observed by utilizing the shaping techniques vividly. Fifth, Yeon-Am found a variety of features by a variety of perspectives. The orgin of Yeon-Am’s writing is based on specific and detailed observations of the natural objects, joining nature, shaping techniques and diversity in perspective.

      • KCI등재

        중학생들의 위치 지식과 지역 이해와의 연계 유형 분석 연구

        김다원(Kim Da-Won) 대한지리학회 2008 대한지리학회지 Vol.43 No.3

        본 논문은 세계 지리 학습을 수행한 8학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 지역에 대한 위치 지식과 지역 이해와의 연계 유형을 분석하여 세계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학습 대안 제시의 바탕으로 삼고자 하였다. 위치 지식과 지역 생활 모습과의 연계 유형 분석에서 지역의 생활 모습을 위한 위치 지식으로는 세계 지도상에서의 정확한 위치 지식, 경위도 상의 위치 지식, 그리고 상징 지역과 상위 지역, 주변 지형과 연계한 상대적 위치 지식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연계성 형성을 위해 위치 속성 지식이 필요하였다. 지도상 위치 지식이 지역의 생활 모습 파악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경위도상의 위치 지식, 다른 지역 및 환경과 관련한 상대적 위치 지식, 그리고 이러한 위치로 인해 갖게 되는 위치 속성에 대한 지식의 결합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를 구조화된 위치 지식이라고 하였다. 구조화된 위치 지식의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지도상 위치를 바라볼 수 있는 절대적, 상대적 위치 지식과 이로 인해 갖게 되는 다양한 위치 속성 지식이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학습에서는 위치-기후ㆍ지형-생활모습의 구조화된 계열적인 위치 학습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the connection types between locatio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ld regions which 8th grade students are recognizing. I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knowledge and region understanding(clothing, food, housing and living style and so on), I analyzed the relation types between location knowledge and region living figures. Absolutely understanding the region needed the exact location knowledge on the world map, the knowledge of the longitude and latitude, symbolic area and the higher ranking region and the information about natural surroundings in which I grasp the region living figures. In addition, it needed the knowledge of locational attributes for the connection formation between region location knowledge on maps and understanding the region. The relative location knowledge related to the other regions and those natural surroundings and the linkage of those region locational attributes are needed in order that the location knowledge on a map could be connected to the knowledge about the actual region living figures. So I call it ‘the structured location knowledge’. In order to form the structured location knowledge, the location knowledge of region on a map have to be connected to the multiple knowledge about absolute and relative locations with the knowledge of diverse location attributes. Therefore, it would be necessary that the location learning for getting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 have to be systematically accomplished departments of location-climate°§geographical features-region living fig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