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격유형별 미디어 작품선호도 조사를 통한 도시의 빛 미디어 축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김남효(Kim, Namhyo),김규정(Kim, Kyujeong)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1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0 No.6

        The public festival has a positive function to produce more pleasure and better life to urban residents on viewpoint of culture marketing. A research of relation between urban festival"s media light environmental and personality type of audiences would give a design guide line on selection of festival media contents. The scope of study festival bounds three urban fesitvals from two thousand eight to two thousand ten. The personaliy indicator is used by self-mootioring scale called NEO-PI-R that Synyder, psychologist established in 1987. This indicator divides into five classes - N: Neutroticism, E: Extaversoon, O: Openness, A: Agreeableness, C: Conscientiousness. As a result, Anaysis of urban festival"s media light environments considering five personality type of audiences are described, N type prefers the change a lot and low stability. E type prefers three dimensional video and dynamic production with passionate pressure. O type prefers radiates objects to promote the imaginative creatures with speculation. A type prefers contemplation arts with one way direction. C type prefers orderly art layout with accomplishing intention. The statistics datas anaynize ten factors to describe the urban complicated fesitival guide line clearly.

      • KCI등재후보

        시의 공간언어 도출에 의한 김영랑 문학 전시관 기획 - 김영랑을 대표하는 시 3편을 중심으로 -

        김윤아 ( Kim Yunah ),김남효 ( Kim Namhyo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8 전시디자인연구 Vol.15 No.1

        전시공간은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교류의 공간이며 작가와 관람객이 상호작용하는 공간이다. 하지만 현대의 많은 문학전시관의 전시방법은 단순히 텍스트와 정보를 나열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방법은 전시를 통해 작가가 표현하고자 했던 감정을 관람객에게 그대로 전달해 주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앞으로의 문학전시관 모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려한다. 그 방법으로는 첫째, 시인의 작품에서 나타난 공간언어를 도출하여 실내 공간에 적용함으로써 시인의 문학작품만을 전시하는 것이 아니라 다채롭고 색다른 경험을 하게 해준다. 둘째, 공간전체를 전시의 일부가 되게 하여 시인의 작품에 힘을 실어 관람객의 집중력과 흥미를 높여준다. 셋째, 시인이 경험했던 다양한 체험들을 관람객이 간접적으로 느껴 볼 수 있는 경험을 통해 시인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단독 작가형 전시관의 부족한 컨텐츠를 보완하면 각각의 전시관마다 전시 방법을 차별화 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특색 있는 전시는 관람객의 방문으로 이어지게 하고, 공간적으로는 문학전시관 자체가 시인과 전시관을 관람하는 관람객을 이어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exhibition space is a space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visitors. However, many modern literary galleries use simple methods of listing text and information. It is difficult to convey the feelings that the poet intended to express through the exhibition to the audience. So, In this thesis, the future model of the Museum of Literature is intended to give directions. First of all, the space language from the poet's works is derived and applied to the interior space, allowing him to experience diverse and different experiences, not just the literature of the poet. Second, it makes the entire space part of the exhibition, thereby empowering the works of poets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and interest of visitors. Third, the various experiences that the poet has experienced can be felt indirectly by the audience to deliver the message the poet wants to convey more effectively. In this way, it is believed that if the content of the exhibition hall is supplemented with insufficient content, each of the exhibition halls will be able to differentiate the exhibition methods. As a result, this unique display allows visitors to come, and in space, the literature gallery itself can serve as a medium to connect poets with visitors who visit the museum.

      • KCI등재후보

        시의 공간언어 도출과 베르그손 이론을 적용한 백석 문학 전시관 계획 - 백석의 대표적인 시 2편을 중심으로 -

        김예진 ( Kim Yejin ),김남효 ( Kim Namhyo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8 전시디자인연구 Vol.15 No.2

        문화적 소양을 향상시키기 위한 활동이 늘어나면서 전시 공간에 대한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문학 전시관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면서 한국문학계에 영향력을 끼친 문인들의 면모를 계승하려는 노력이 많이 보인다. 그 중에서 당시 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한국문학계에 긍정적 영향력을 많이 끼쳤음에도 불구하고 이면에 가려진 문인으로 시인 백석을 선정하여 백석문학 전시관을 설계한다. 디자인 과정에서 베르그손의 '물질과 기억'이라는 철학 이론을 '기억'이라는 공통된 키워드로 연결하여 실내 공간 연출에 적용시킨다. 베르그손의 이론과 백석의 삶과 그의 대표적인 두 개의 시인 '수라',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에서 나타난 공간언어를 바탕으로 하여 백석문학 전시관을 계획한다. 프로그램과 대지를 설정하고 문학 전시관의 주제가 적용된 공간 시나리오를 기획한다. 공간 시나리오 속 각 공간의 컨셉 및 사용자 행동을 바탕으로 실내 공간을 구성한다. As an increase to improve cultural development has occurred, people have interested in the exhibition space. Also, people have grown very attentive to literature galleries, they try to inherit the aspect of writers who have influenced the korean literary world. However, despite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the Korean literary community, many writers which are due to the social environment lived in the shadow. Among them, by selecting Baek Seok, this study is Baek Seok Literature Gallery is designed. During the design process, Bergson's 『matter and memory』is linked with Baek Seok because of a common keyword "memory" and applied to interior design. Based on Bergson's theory, his life and spatial language in two representative poets, 『Sura(修羅)』and 『In a Room of Bak Si-Bong at Yu-dong, South Sin-Uiju(南新義州t 柳洞朴時逢方)』, this study plan the Baek Seok Literature Gallery. This study set up exhibition programs and sites and plan space scenario where the theme of literature exhibition is applied. The interior design is constructed based on the concept and user behavior of each space in the space scenario.

      • ‘기억의 궁전’ 전시개념을 적용한 주거 계획

        김예진 ( Kim Yejin ),김남효 ( Kim Namhyo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7 전시디자인연구 Vol.14 No.1

        독립적인 성향이 강해지고, 평균수명이 점차 연장되고 있는 현대사회 속에서 1인가구라는 새로운 주거 집단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집이라는 공간이 가족구성원과 소통하고 대화하는 장소가 아닌 외롭게 존재하는 공간으로 의미 변화가 생겼다. 외로움이나 공허함을 느끼는 사람들은 정서적인 고통을 느끼게 되며 정서적 불안감에 사로잡힌다. 이러한 사람들은 자신의 정서를 회복하기 위해 추억이 담긴 장소에 가거나 사진을 보는 행위 등을 통하여 행복했던 순간의 기억을 상기시킨다. 이와 같이 행복했던 순간을 기억하려는 사람들은 행복한 기억을 떠올리기 위한 특정 행동을 한다. 이를 적용하여 주거 공간 자체가 기억을 떠올리는 매개체가 될 수 있도록 공간을 계획하였다. 이 계획 속에 기억의 궁전이라는 전시개념을 적용하여 주거 공간 자체가 기억의 궁전이 되어 기억을 추억하고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1인 가구가 기억의 궁전과 같은 기억 회상 공간에 거주하면서 외로움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최소화하고 기억 속에서 정서가 치유되는 주거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a modern society where the indepentent tendency is getting stronger and the life expectancy is getting longer, a new residential group called Single-person household has appeared. This change leads to a transition in the meaning of the house from a place of communication with family members to the place of being alone. Those who feel loneliness or emptiness have distress and are devoured by the emotional anxiety. These people remind themselves of happy memories through going to a memoried place or seeing pictures to restore their emotions. Those who want to remember such happy momtents do certain actions to recall happy memories. By applying these phenomena, we have a plan that a residence space itself would be a medium to recall memories. We applied the exhibiton concept of the Palace of Memory to the plan, therefore, the residential space itself becomes a palace of memory to recall and keep memories. Based on this, we would suggest the space that single households minimize and heal the negative emotions such as loneliness by living the recalling space like a palace of memory.

      • 현대인들을 위한 명상센터 기능의 공간체험 미술관

        문경원 ( Moon Kyeongwon ),김남효 ( Kim Namhyo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6 전시디자인연구 Vol.13 No.2

        산만하고 빠르게 움직이는 삶 속에 있는 현대인들은 자신의 감정을 되돌아보고 보살피는 시간을 갖기 힘들다. “표현되지 않은 감정은 죽어 없어지는 것이 아니다. 감정이 살아서 묻히게 되면 나중에 더 괴상망측한 모습으로 다시 나타난다.”라는 프로이트의 말처럼 현대인들의 과거 경험에서 발생한 감정들은 신경증과 같은 잘못된 방식으로 표출되곤 한다. 프로이트의 “'정상적 인간'이란 사실 평균적인 의미에서 정상일 뿐이다. 그의 자아는 여기저기에서 크게 또는 작게 정신병자의 자아와 비슷하다.”의 주장처럼 현대인들은 정도의 차이일 뿐이지 그들의 자아는 신경증을 앓고 있다. 그러나 사회는 더 빠르게 변화하고 각자 자신만을 내세우며 조화되지 않는 소음들만 생겨나 점점 더 소란스러워진다. 이런 세상에서는 온전히 자신에게 몰입해 마음 구석에 있는 무의식의 감정들을 돌볼 수 없다. 현대인들은 자신에게 몰입하는 시간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지 못하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 조차 알지 못한다. 따라서 현대인들의 현실을 반영하여 대책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조화롭지 않은 소음을 정리하고 자신에게 몰입할 수 있도록 돕는 여러 활동들을 유도함으로써 공허함을 채워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문화 및 공간체험이 가능한 미술관을 제안하고자 한다. Modern people who stand fast-moving and swift lives have been trouble to can afford to look back and take care of themselves. “An emotion that is not represented doesn’t dying out. If it is bottled up, it will take the weird shape again.” As Freud said, the emotion from past experiences of men in the modern world also used to present in the wrong way such as a nervous disease. “Normal person is only normal in the relative sense. Their ego is similar to the ego of insane person, slightly or seriously.” As Freud said, Modern people have been just various degrees that their egos suffered from neurosis. But the society is rapidly changing more and more, and people just only can think about themselves. So, inharmonious noise is emerging and it can cause turmoil. In such a world, it is not possible to take care of unconscious emotion in the deep recesses of a mind immersing myself. Nowaday people don’t recognize the importance about the time immersing myself and they do not even know what to do. Therefore this study reflected to solve the problem to reflect the current realities facing comtemporary people. We propose a special gallery that visitors can do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nd space experience with leading many activities that help the person arrange disharmony and stuck in one's self. and they would complete their empty.

      • KCI등재후보

        중국 주거 공간에 적용된 풍수(風水)의 환경심리학 분석 -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주거 공간에 관련된 기념관을 중심으로 -

        송기운 ( Song Qiyun ),김남효 ( Kim Namhyo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9 전시디자인연구 Vol.16 No.2

        중국에서 풍수(風水)는 고대 중국부터 나타났고, 정치와 민간인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현대 과학 발전에 따라 ‘풍수(風水)에 내포되어있는 과학적인 요소는 무엇이 있을까’ 에 대한 질문이 많이 생겼다. 풍수(風水)는 봉건 사회의 산물이지만 그중 많은 심리학이 포함되어있다고 생각한다. 현대 사회 발전에 따라 사람들은 의식주와 관련된 신체적 욕망을 추구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적 욕망에 대해서도 중시하게 되는 추세이다. 풍수(風水)학은 고대부터 주거 공간에 대해 많은 영향을 끼친 학문으로써 현대 주거 공간에서도 여전히 많이 사용되고 있다. 풍수(風水)학에 따라 공간을 배치할 때 사용자에게 공간이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관련된 것을 심리학을 통해 해석해보려 한다. 중국에 있는 고대 및 근대 주거공간을 전시하는 박물관들을 몇 곳 선정하여 이들이 설계할때 받은 풍수(風水)의 영향 및 심리 영향에 대해 분석하려 한다. Chinese Feng Shui originated in ancient China, Has a huge impact on politics and the people. With the development of modern science, The issue of scientific factors contained in Feng Shui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Feng Shui is the product of feudal society, But I think it contains a lot of psychology.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people no longer only pay attention to clothing, food and shelter, and more focus on the spiritual world of people. Feng Shui has given people a lot of guidance in living space since ancient times. In modern times, it is still frequently used and living space. Spatial adjustment through the guidance of Feng Shui, how this effect can be applied to people, what kind of influence can be brought about, I want to analyze these through psychology. Four museums showing ancient and modern living spaces in China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impact of Feng Shui on the psychological environment.

      • KCI등재후보

        도(道)가 철학에 따른 중국 산수화 여백기법의 전시 적용 - 중국 베이징의 미술관을 중심으로 -

        현걸 ( Xuan Jie ),김남효 ( Kim Namhyo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19 전시디자인연구 Vol.16 No.2

        중국 산수화는 중국화의 일종이며 산수라고도 불리는 산천의 자연경관을 주제로 그리는 중국의 전통 회화이다. 중국 산수화의 여백기법은 도(道)가 철학의 완전한 구현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일상 속 스트레스의 증가와 나날이 발전되는 시대의 배경 아래 중국의 현대인들은 중국의 전통문화가 담긴 소박하고 편안한 공간을 추구한다. 중국화는 중국 전통문화 정신의 가장 큰 해석이며 중국화의 일종인 중국 산수화의 구도법 중 여백기법은 중국화 전시공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전시공간에서 여백의 작용은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객으로 하여금 무한적인 상상을 할 수 있는 공간의 여지를 주며 큰 범위의 여백으로 인하여 작품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등 다양한 방면에서 영향을 준다. 중국의 수도인 베이징에 있는 미술관을 분석하여 여백의 특성과 여백의 효과를 분석해낸다. Chinese landscape painting, which takes mountains and rivers as the theme, is a kind of Chinese traditional painting. The blank techniques of Chinese landscape painting are also the embodiment of Taoist philosophy. With the increase of daily pressure and the development of the Times, contemporary Chinese people are also pursuing the traditional culture, which are full of ordinariness and ease. Chinese painting is an important embodiment of the spirit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s one kind of Chinese painting, Chinese landscape painting, using an unique technique which is particularly common in the composition of the painting called Blank technique. The wide space of blanks in the paintings gives people infinite imagination when they are appreciating the paintings and also make the paintings more unique. By analyzing the paintings in the art museum located in the capital of China,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Blank techniques are studied.

      • KCI등재후보

        3D 홀로그래피를 활용한 프로젝션 매핑 광고의 내러티브 구현에 관한 연구

        한수진 ( Sujin Han ),김규정 ( Kyujung Kim ),김남효 ( Namhyo Kim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1 예술과 미디어 Vol.10 No.2

        프로젝션 매핑 기술은 실제 3D 제품 혹 모형, 건 축물에 3차원 홀로그래피 영상을 덧붙이는 단순한 영상 구현을 넘어선, 입체적이고 환상적인 효과를 제공하여 아트 퍼포먼스와 상업 광고의 경계를 허 물어 소비자들에게 감성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강력한 매체로 빠르게 중요한 영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프로젝션 매핑 광고는 3D 홀로그래피를 통해 투 영된 광고 이미지의 입체감 표현뿐만 아니라 빛과 공간 조형의 구현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자의 총 체적인 시지각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가상적 체험과 사실적 재현으로 광고의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극히 일부 지역적 광고수단으로만 사용될 수 있다는 단점들이 남아있다. 3D 홀로그래피와 다양한 프로젝션 매핑 방식으 로 구현된 이미지는 광고 속에 담고 있는 내러티브 와 결합하여 실재감을 극대화하는 영상을 표출하며, 관람자와 더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도록 돕는다. 3D 홀로그래피 프로젝션 매핑 광고는 기존방식의 2D 광고보다 소비자에게 전략적으로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는 주의(Attention)와 흥미 (Interest)를 유발하는데 효과적인 매체 수단으로 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본 연구를 통해 3D 홀로그 래피를 실제 건축물이나 스크린 광고 등에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고, 프로젝션 매핑을 통하여 시지각적 효과나 내러티브를 극대화하는 방식 등을 밝힘으로 써 새로운 형태의 광고매체로 발전 가능성을 제안 하고자 하였다. Projection mapping technology along with 3D holography video provides a solid and fantastic effect to the real 3D product and modeling beyond the simple video realization. It blurs the boundary between art performance and commercial advertisement and becomes an important sector rapidly as a strong media which lets consumers communicate with them emotionally. Projection mapping advertisement can provides the stereoscopic effect of the image of advertisement and control the formation of light and space by using 3D holography. Therefore, it is expected to deliver the message of advertisement with visual experience and realistic reappearance in order to stimulate consumers` general curiosity of sights and perception. But, it still has weaknesses that it can be used by only the advertisement measure of some region. The image realized by 3D holography and various projection mapping methods expresses the image maximizing realistic sense by combining with narrative included in advertisement and is helpful to communicate with spectators more actively. 3D holography projection mapping advertisement has a possibility as the effective media drawing attention and interest which can deliver the message strategically rather than 2D advertisement of existed methods. And,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examples applying 3D holography to actual building, screen advertisement, etc. and suggest a possibility of developing to new-typed advertisement media by revealing the method maximizing effects or narrative of sight and perception through the projection mapp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