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각 이미지에는 있으나 언어에는 없는 것

        김남시(Kim, Nam-see) 한국시학회 2016 한국시학연구 Vol.- No.48

        본 논문은 이미지 연구에서 제기된 문제의식을 시 텍스트 해석에 적용, 새로운 시적 이미지 연구방법론을 모색하려는 문학계의 논의에 대한 시론적 제언이다. 그간의 이미지 연구는 주로 시각적 이미지를 대상으로 하는 바, 그를 문학 이미지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언어를 통해 구성되는 ‘시적 이미지’와 ‘시각적 이미지’의 차이와 개념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라고 여겨진다. 그를 위해 본 논문은 시각적 이미지와 언어적 텍스트의 차이에 대한 이론들을 고찰한다. 무엇보다 시각적 이미지는 묘사하는 대상의 디테일들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담고 있다는 점에서 텍스트와 구별된다. 회화와 문학 사이의 경계를 긋고자 하는 레싱에 의하면, 문학은 시간 속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의 서술하는 데 더 적합하며, 미술은 공간 속에 있는 물체들을 묘사하는 데 더 적합하다. 이는 선행적이고 연속적인 언어와 즉각적이고 병렬적인 시각 이미지의 매체적 특성에서 기인한다. 많은 경우 회화 속 특정 디테일은, 화가의 의식적인 작화 행위의 영역에서 벗어나 그의 습관적, 무의지적 특성을 보여줄 수도 있다. 모렐리는 이를 위작 판별법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사진을 ‘코드 없는 메시지’라고 정의한 롤랑 바르트는 사진 이미지 속에 언어로는 포섭되지 않는 지점(푼크툼, 무딘 의미)이 존재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매체이론가 키틀러는 문학이 언어를 매개로 감각정보를 기록하고 전송하는 기능을 해왔으며, 이는 사진이나 영화 같은 기술적 매체의 등장과 더불어 그 유효성을 상실했다고 진단한다. 이러한 이론들은 문학적 이미지와 시각 매체들이 생산하는 이미지의 개념 및 그 차이에 대한 본질적인 물음을 제기한다. This paper aims to be a suggestion for the discussion of the poetic image raised by literary scholars, who try to apply the theorem of visual image studies to poetic image. Because the image studies hitherto dealt with visual images, it is unavoidable to make clear the difference and concept between ‘poetic image’ and ‘visual imag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theories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visual images and linguistic texts. Above all, the visual image is distinguished from the text in that it contains the details of the objects to be depicted. According to Lessing, who wants to draw the line between painting and literature, literature is better suited to describe the actions that take place in time, and art is better suited to describe objects in space. This is due to the continuity, the medial characteristics of language, which results in different way of perception in poetry and paintings. In many cases, the specific details in the painting may reveal the habitual and unintentional traces, escaping from the artist’s consciousness of painting. Morelli set this as a starting point for a method of discerning the forgery from the original. Roland Barthes, who defines photographs as ‘codeless messages’, argues that in the photographic image there is a point that does not get involved in the language (punctum). The media theorist Kittler noticed that the literature has functioned as a instrument to record and transmit sensory information by language, which, in conjunction with the emergence of technical media such as photography and cinema, has lost its validity. These theories raise the questions of the concept of poetic images and images produced by visual mediums, which must be further clarified.

      • KCI등재

        과거를 어떻게 (대)할 것인가 발터 벤야민의 회억 개념

        김남시 ( Nam See Kim ) 영미문학연구회 2014 안과 밖 Vol.0 No.37

        How to handle the injustice of the past is the crucial question that underlies the thinking of Walter Benjamin. Benjamin`s philosophy of history based on the insight that we have been expected on earth from the deceased to fulfill their claim to deliverance. In this sense, Benjamin`s thinking differs from theories that merely deal with the present. This way of dealing with the past prohibits the usual behavior of the historian, who allows the past to become a tool for the ruling class. The concept Eingedenken is the core of Walter Benjamin`s pragmatic philosophy. It does not refer to the past as a mere object of nostalgic memory. Instead, the past enters into the present and makes an ever-renewing constellation. This paper attempts to outline the concept of Eingedenken and clarify the meaning of Benjaminian dealing with the past.

      • KCI등재

        발터 벤야민 예술론에서 기술의 의미「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다시 읽기

        김남시 ( Nam See Kim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2

        본 논문은 벤야민에게서 기술의 의미를 미메시스,모방,유희, 반복 등 그의 예술론적 개념들과의 연관 속에서 해명한다. 벤야민에게 기술은 인간의 지각과 종류, 나아가 그방식을 변화시켜 자연에 대한 인간의 관계와 집합체의 존재방식을 변화시키는 결정적인 요소이다. 「기술복제」논문에서 벤야민은, 사진과 영화 같은 당대 복제 기술이 예술작품을 다수화, 현재화시킴으로써 전통적 문화예술의 권위를 무너뜨려 그를 집합적 산물로 받아들이게 하고, 대중을 문화예술의 생산과 수용의 주체로 신경감응시키고 있음을 분석한다. 이는 ``인간과 자연의 어울림``을 지향하는 제2기술의 잠재성이 발휘된 것이다.「기술복제」논문을 기존의 매체 중심적 독해에서 벗겨내어 기술을 통한 집합체의 신경감응이라는 관점에서 읽으면, 이로부터 기술 및 기술장치와 관계하는 오늘날 우리의 상황을 사유하기 위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거의 모든 문화,예술작품들을``복제``해, 개개인이 이용가능하게 만들었을 뿐 아니라 광범위한 범위에서의 집단적 감상과 공유를 가능하게 한스마트폰 기계장치와 관련된 네트워크 기술을 분석한다. Die vorliegende Arbeit soll der Begriff der Technik bei Walter Benjamin im weiteren Kontext erlautern, indem er mit anderen Begriffe wie Mimesis, Nachahmung, Wiederholung und Spiel einbezogen wird. Fur Benjamin ist Technik ein entscheidender Faktor, der nicht nur die Beziehung des Menschen zur Natur, sondern auch das Selbst-Verstandnis des Menschen bestimmt, indem sie auf die Art und Weise sowohl der Wahrnehmung als auch der Bewegung des Menschen entscheidend einwirk. Im Kunstwerk Aufsatz versucht Benjamin die Einwirkungen von damaligen reproduktiven Technik wie Photographie und Film aufzuweisen : sie vervielfaltigt und aktualisiert Kunstwerke in unterschiedlichen Situationen, was zur Erschutterung der Tradition, gleichzeitig Kollektivierung der kunstlerischen Produktion sowie des Bewußtseins der Masse fuhrt. Bei der Innervation, die durch und mit der Technik stattfindet, ist die Potential der reproduktiven Technik als die zweite Technik wirksam, die sich auf das Zusammenspiel des Mensschen und der Natur richtet. Was Benjamin im Kunstwerkaufsatz vorhat, ist nicht bloß eine medienspezifische Analyse von Photographie und Film, wie die bisherige Untersuchung unterstellt, sondern eine Konzeptualisierung der Technik, mit deren Hilfe wir uber die innervative Moglichkeit im Umgang mit den technischen Apparaten wie Samrtphone nachdenken konnen.

      • KCI등재

        일반논문 : “역사의 기관차”. 역사를 보는 발터 벤야민의 시각

        김남시 ( Nam See Kim ) 한국비교문학회 2013 比較文學 Vol.0 No.60

        “Marx sagt, die Revolutionen sind die Lokomotive der Weltgeschichte. Aber vielleicht ist dem ganzlich anders. Vielleicht sind die Revolutionen der Griff des in diesem Zuge reisenden Menschengeschlechts nach der Notbremse”. Dieser Satz von Walter Benjamin druckt einen Kern seines Denkens uber die Geschichte in einer sehr anschaulichen Weise aus. Der Metapher ?Lokomotive “weist auf den materiellen Hintergrund der modernen Auffassung der Geschichte auf, indem er fur Marx als Bildnis von der Treibenskraft der Weltgeschichte auftritt, die gleich mit ?Revolutionen” zusammen zu setzten ist. Bei Futurismus tritt Lokomotive auch als ein prominenter Symbol des Neuen auf, das nicht nur die Welt verkleinert, sondern durch die enorme Geschwindigkeit selbst die Sensibilitat des Menschen erneuert. Die Futuristen nahmen dies mit gestreckten Armen auf, als Zeichen dafur, dass die Geschichte befindet sich immer in einem unendlichen Prozess des Fortschritts. Die vorliegende Studie zielt darauf, Benjamins Geschichtsphilosophie in einem Vergleich mit denen zusammen zu stellen, die scheinen, sowohl historisch als auch theoretisch sehr nah zueinander zu stehen; Karl Marx und Futurismus. Ein wesentlicher Unterschied liegt darin, dass Marx und Futurismus, trotz ihrer ideologischen Gegensatze eine grundlegende Auffassung von Geschichte als Fortschritt teilen, wahrend Benjamin sich diesem Fortschrittsglauben heftig abwendet. Benjamins Geschichtsphilosophie zeichnet sich dadurch, dass sie sich jegliche Annahme des teleologichen Verlaufs der Geschichte entgegensetzt.

      • KCI등재

        혁신으로서의 레디메이드 - 보리스 그로이스의 ‘새로움’ 개념을 중심으로

        김남시 ( Kim Nam S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본 논문은 보리스 그로이스의 새로움 개념에 입각해 뒤샹의 레디메이드가 일으킨 혁신의 내용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로이스의 새로움 개념은 문화적 아카이브(미술관)과 세속적 공간의 차이를 출발로 삼는다. 새로움은 그 경계의 해체나 지양이 아니라 이동에서 나온다. 뒤샹은 가장 세속적인 사물인 변기를 작품으로 내놓은 레디메이드를 통해 문화적 아카이브(미술관)와 세속적 공간 사이의 가치 경계를 전도하는데 성공하였다. 나아가 예술생산과 가치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에서는 포괄될 수 없던 예술 작품의 실현에 요구되는 노동의 문제를 처음으로 가시화시켰으며, 이는 이후 예술과 노동 사이의 다양한 관계를 모색하는 예술적 실천이 등장할 수 있게 한 배경이 되었다. 뒤샹의 레디메이드는 미술관의 역할을 크게 변화시켰다. 뒤샹 이후 미술관은 이미 가치화되어있는 사물들을 수집, 전시하는 장소가 아니라 당대의 문화적 가치경계 속에서 가치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것, 다시말해 새로운 것을 보존하고 생성시키는 장소가 되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nnovations of Duchamp s ready made based on Boris Groys concept of ‘the new’. It starts with the difference between cultural archives (art museums) and secular spaces. The new comes from the movement of boundary, not from the dismantling or destruction of it. Duchamp succeeded in preaching the value boundary between the cultural archive (art museum) and the secular space through his ready-made, the toilet, which is the most secular thing. Furthermore, it first visualized the problem of labor required for the realization of works of art, which could not be covered by the traditional concept of art production and value, which in the future enabled artistic practices to explor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art and labor. Duchamp's ready made also dramatically changed the role of the museum. Since Duchamp, the museum has become not only a place to collect and display objects that have already been valued but to be recognized as valuable in the cultural value boundaries of the day, that is, a place to preserve and create new things.

      • KCI등재

        아카이브 미술에서 과거의 이미지 발터 벤야민의 `잔해(Trummer)`와 `파편조각(Scherbe)` 개념을 중심으로

        김남시 ( Nam-see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9 No.-

        본 논문은 발터 벤야민의 두 개념, "잔해(Trummer)"와 "파편조각(Scherbe)"를 통해 아카이브 미술이 갖는 실천적 의의를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카이브 미술은 과거의 사건이나 특정 인물이나 장소와 관련된 도큐멘트, 오브제, 흔적 등을 수집, 발굴해 특정한 방식으로 배치하고 조직함으로써 그 과거의 이미지들을 현재로 소환해내는 작업을 벌인다. 이때 제시되는 과거의 이미지들은 단편적이고 불연속적인 특징을 지니며, 그를 통해 이전의 공식적 역사서술에 대한 비판적 개입을 목표로 한다. 그런데, 이러한 단편적이고 불연속적인 과거의 이미지들을 현재에 소환하는 작업이 왜, 그리고 어떤 점에서 비판적이고 나아가 정치적인 잠재성을 지닐 수 있는가? 발터 벤야민의 `잔해` 개념은 인류의 역사를 피지배자들에 대한 폭력과 야만의 과정으로 파악, 그러한 과거의 고통과 억압의 구제를 함축하고 있다. 파괴의 흔적으로 남은 잔해에는 결여되고 부재하는 것들이 필연적이며, 역사란 그러한 탈연속적이고 단편적이며, 동시에 여러 시대가 뒤엉켜있는 잔해로부터 구성되는 것이다. 나아가 잔해 개념은 과거의 잔해를 발굴하여 현재로 소환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은 현재의 맥락과 요구로부터 출발한다는 점을 함축한다. 하지만 잔해 개념만으로는 그렇게 해서 소환해내는 과거의 메시아주의적 구제의 지향이 이야기되기 힘들며,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파편조각` 개념을 과거의 이미지를 바라보는 또 하나의 사유형상으로 제시한다. 파편조각 개념에는 잔해와는 달리 그 조각들을 찾아, 모으고 결합함으로써 부서지기 이전의 상태를 복원할 수 있다는 전제가 깔려있다. 벤야민은 각각의 서로 다른 언어들을 근원적인 언어 ― 순수언어 ― 의 파편조각들이라고 개념화함으로써 서로 다른 언어들 사이의 번역, 나아가 언어적 실천들이 그 근원적인 순수언어를 향하는 상호보완적 지향을 가지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이 파편조각 개념은 과거의 이미지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바, 우리가 불러내는 과거의 이미지들은 우리가 구제하고자 하는`바로 그 과거`를 향한 `파편조각`으로, 다시 말해 바로 그 과거를 의도하는 다양한 의도의 방식으로서 파악될 수 있게 된다. 현재가 과거의 이미지 속에서 자기 자신이 의도된 것으로 파악하는, 멈추어선 변증법의 순간이란, 과거의 이미지를 파편조각으로 파악할 때 비로소 온전히 이해된다. 아카이브 미술이 불러내는 다양한 과거의 이미지들은 과거의 잔해이면서 동시에 파편조각으로 사유되어야 하며, 그럴 때에야 비로소 우리는 아카이브 미술이 지금 현재에 대해 갖는 비판적 잠재성을 포착해낼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the archive art via the two concepts of Walter Benjamin "wreck" and "debris". Archive art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summoning the image of the past to the present by placing documents, objects etc.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person or event in the past with the aim to critically intervene on official historiography. But the images of the past, presented by archival art, are kind of fragments and discontinuous features. How these fragmented and discontinuous image of the past can have a critical and political potential and why? Walter Benjamin`s concept `Debris` has a significance of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mankind as a process of violence and barbarism by the ruler. So the wreck are remainings of this destruction and violence. While history is not a continuous and piecemeal process, it has to be constructed from the wreck that is intertwined different periods at the same time. Furthermore the concept of wreck implies that discovering the wreckage of the past and working with it departs from the current context and needs. But with the concept wreck alone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ssianic resurrection of the past that can be treated as the essence of Walter Benjamin`s philosophy of history. In this regard, this paper presents the other concept `debris` as a tool to think the image of the past. The concept Debris has, unlike the wreckage, the premise that you can restore the previous state of the unbroken by combining the collected pieces. In his philosophy of language Benjamin postulate `pure language(reine Sprache)` as the origin state of language, from which each different language is understood as the debris of it. Applied to the image of the past, the concept of `debris` can be helpful to think the practical meaning of the archival art. Each image of the past presented by the archival art can be thought as `wreck` as well as `debris` of the past. Whenever we recall each image of the past, we intend `the very past` in mind. At the moment we discover ourselves in that image of the past, so Benjamin, it could become the dialectical image where the past meet the present. The images, used in archive arts, should be conceptualized as the wreck of the past while at the same time as debris. Only when we do that we are able to capture the critical potential of this practices with images.

      • KCI등재

        한스 프린츠혼 『정신병자들의 조형작업(Bildnerei der Geisteskranken)』의 미학적 의의

        김남시 ( Nam See Kim ) 한국미학회 2012 美學 Vol.70 No.-

        본 논문은 미술사가이자 정신의학자였던 한스 프린츠혼이 1922년 출간한 책 『정신병자들의 조형작업』의 핵심내용을 개괄하고 그 미학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이 책에서 프린츠혼은 형상화 충동이라는 개념을 모든 형상화 활동의 내적 동기로 설정, 표현욕구, 유희충동, 꾸밈충동, 모사경향, 질서화 경향, 상징욕구라는 여섯 가지 내재적 충동들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형상화를 분석하는 이론을 제시한다. 이것은 그의 주도로 수집된 정신병자들의 조형 작업물들을 단지 병리적 정신의 소산물로 보는 대신 모든 사람들에게도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형상화의 시도로 보려는 그의 기본적인 관점이 반영된 것이다. 외부세계의 구속으로부터 벗어나 전적으로 자신의 내적 감각과 자의적 논리를 좇는 분열증적 자폐로 인해 정신병자들의 조형물들에는 우리에게 익숙한 사물의 모습이나 관습적 지각상을 넘어서는 자유로운 표현들이 등장한다. 나아가 바로 그러한 이유로 여기에서 프린츠혼이 제시하는 형상화 충동이 보다 분명한 형태로 가시화되고 있다. 형상화의 심리적 근거로 작용하는 형상화 충동으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형상화 유형을 설명하는 그의 이론은 클레, 막스 에른스트 등을 통해 초현실주의 회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으며, 나아가 전문적인 미술 교육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조형작업까지도 예술로 간주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아웃사이더 아트라는 분야가 생겨나는 데 결정적 영향을 주었다. This paper aims to give an overview and to clarify the aesthetic significances of <Bildnerei der Geisteskranken> (Artistry of the Mentally Ill), which art historian and psychiatrist Hans Prinzhorn published in 1922 in Berlin. In this book he presents a figuration theory, based on the intrinsic artisitc impulse, which he calls ``urge to compose(Gestaltungsdrang)``. This fundamental urge of human being consists of six kinds of implicit tendencies, expressive urge, playful urge, decorative urge, tendency to imitate, ordering tendency, symbolic needs, whose various relations result in the correlative forms of figurations. With this theory he sees the works of mentally ill not just as the outcome of mental pathology but as the figurative expressions of urge, which can be applied to all human being. Being away from the redemption of the outside world and immersed entirely in their own inner sense and logic, the works of the schizophrenic insane shows the free and arbitrary figurations, which go beyond our usual view of the world. This is why the expressive urge becomes more obvious appear in their artistry. Prinzhorn`s book gave an important impulse for art produced outside the mainstream, that is, the works by the non professional people who did not receive art education as like psychiatric patients, self-taught visionaries and children. Not to forget it`s direct impact on Klee and Max Ernst, and through him on Art of Surrealism.

      • KCI등재

        예술가의 마니페스트 -미래주의 마니페스트를 중심으로

        김남시 ( Nam See Kim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0 No.-

        현대예술이 이전까지의 예술과 크게 구분된다면,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예술운동 덕택이다. 미래주의, 다다 그리고 초현실주의 등은 자신들의 세계관과 이념을 공공연히 그리고 매우 공격적 방식으로 ‘선언’함으로써 활동을 시작하였다. 정치가나 사회 운동가도 아닌 예술가들이 마니페스트를 발표함으로써 활동을 시작했다는 사실은 아방가르드 예술운동의 성격을 규정짓는 핵심 특징 중의 하나이다. 예술가가 마니페스트를 내 놓는다는 건 어떤 의미를 갖는 것일까? 이는 그들의 예술 활동과 예술가로서의 정체성과는 어떤 관계를 가질까? 본 논문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구해보기 위해 마니페스트라는 장르의 정의와 특징을 일별한다. 역사적으로 중요한 마니페스트를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사회, 정치적 질서에 저항하는 비권력 주체의 마니페스트가 갖는 특징을 도출한다. 기존의 사회, 정치적 질서에 의거하고 있는 권력 주체의 마니페스트와는 달리 비권력 주체의 마니페스트는 이념과 생각을 공공적으로 표명함으로써 아직 존재하지 않는 주체를 호명해, 수행적으로 창조해 내는 ‘수행적 포에지’에 해당된다.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예술가, 그 중에서도 미래주의자들이 마니페스트는 장르가 갖는 이러한 특징을 예술운동의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The Avant-garde art movement of 20th Century was one of main forces, which differentiate the modern art from the classical era. Futurism, Dada, and Surrealism initiated their activity with Manifest, in which they declare their world view and ideology in public in a very aggressive way. That the artists, not politicians and social activists has begun their activity with manifest, is one of the important features of Avant-garde art movement. What is the meaning of this kind of action? Which meaning has it with their identity as artists? This paper aims to give answer to these questions. It begins with a short overview of the definition and the history of manifests, to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is genre. It focuses on ‘manifest of opposition’, the manifest of those, who has no social and political power. Excluded from the social and political power, it has to use the performative dimension of manifest and to try to call the collective subject of the future society, which the manifest it self want to create. Avant-garde artists, especially the Futurist made use of this features of manifest in the area of art movement.

      • KCI등재

        트위터와 새로운 문자소통의 가능성. 발터 벤야민의 "이야기 erzahlung" 개념을 중심으로

        김남시 ( Nam See Kim ) 한국기호학회 2011 기호학연구 Vol.30 No.-

        This paper aims to think about Twitter as a way of new communication by relying on Walter Benjamin`s concept of "Story (erzahlung)." In the oral tradition, stories are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peaker and the audience, who are present in the same place at the same time. They share experiences both by telling and by hearing of the story. The story is created not only with the speaker`s own experience, but also with others` experiences that he has heard. Hence, the stories shared in this way make it possible for experiences to be circulated through different times and in different places, providing different audiences with useful advice for life. Because the story originated from real life and shared among present individuals, it differs from the novel, which is consequences of the printing technology. One condition of books is characterized by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ance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and such distance may reflect the incommensurability of experiences that modern subjects undergo. Story also differs from information, in that unlike stories, it barely contextualizes the trail of the personality. Communication via Twitter is conducted with writing, but the technology of real-time communication enables the verbalization of writing, which in turn enforces the communal solidarity of users. The one-sideness and uncertainty of written communication are resolved through the follower structure. Twitter functions today as an important media of social and political changes, because it as a new communication method actualizes the communal potentiality that story has in the oral tradition, about which Benjamin offers discerning conceptual insights.

      • KCI등재

        바움가르텐 『미학』과 비코 『신학문』에 나타난 계몽의 긴장 -미학과 문화학의 학문적 접근을 위한 시도-

        김남시 ( Nam See Kim ),김문환 ( Moon Hwan Kim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2 人文科學 Vol.96 No.-

        Vicos Nouvo Scienza (1725) und Baumgartens Aesthetica(1750) stellen sich als ein intellektueller Versuch dar, gegenuber der Einseitigkeit der Aurklarung die eigentliche Einheit und Totalitat des Menschen geltend zu machen. Entgegen der mathematischen und naturwissenschaftlichen Methode, die seit Descartes auf alle Wissensgebiet einheitlich angewendet worden war, hebte Vicos Nouvo Scienza den unabhangigen Wert der Kultur und Geschichte des Menschen hervor, wahrend die Aesthetica von Baumgarten dem sinnlichen Vermogen, dessen Unklarheit im aufklarischen Denken stets abgewertet worden war, einen Zugang zur reicheren Wahrheit der Welt philosophisch verleihte. Auf dieser Weise trugen die beiden Werke zur produktiven Spannung des Aufklarungsdenken im 18 Jahrhundert stark bei. Auberdem schuffen die gewagten intellektuellen Ansatze beider Werke einen neuen Wissensraum, von dem aus sich die Asthetik und die Kulturwissenschaft als neue moderne Wissenschaft hervorbrachten. Angesichts der heutigen wissenschaftlichen Situation, wo die Asthetik und die Kulturwissenschaft sich unter den neuen moderenen Lebensbedingungen auf ein gemeinsames Ziel richten, namlich zur Auffassung modernen Lebensverhaltnisse durch die mikroskopischen Analyse unterschiedlichsten kulturellen Phanomene, mussen die beiden Autoren-Vico und Baumgarten - neu interpretiert wer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