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소비합리성의 개념에 대한 연구

        김난도 ( Kim Nan Do ) 한국소비자학회 2003 소비자학연구 Vol.14 No.3

        This paper delves into the concept of rationality in consumption behavior. After reviewing the concept of rationality in philosophy, sociology, psychology, and neo-classical economics, the paper focuses on `what is rational consumption.` Rational consumption is based on the rationality of Homo Consumens compared to Homo Economicus. Rationality in consumer Studies so far has been treated as instrumental one: however, the paper argues that purposive rationality should be also considered in forming consumption desire. Based on the conditions of instrumental and purposive rationality, the later part of the paper deals with the cases of irrational and/or non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in buying decision. The main arguments of the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rationality of consumption is composed of two dimensions of rationality : Instrumental and Purposive rationality. ② Instrumental rationality means consistency of buying decision in forming belief, desire, and action of consumption. ③ Purposive rationality means possibility and autonomy of buying decision in forming consumption desire. ④ To get instrumental and purposive rationally, communication rationality in societal level is also necessary.

      • KCI등재

        신제도경제학의 제도개념과 정책연구

        김난도 (Ran Do Kim) 한국정책학회 1997 韓國政策學會報 Vol.6 No.1

        이 글은 그동안 자주 논의되면서도 그 개념규정이나 이론적 실천적 중요성에 관하여 심각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던 「제도」의 개념을 이른 바 신제도경제학의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그동안 제도를 단순히 인간의 행동이 발현하는 場으로서만 파악하고 그 묘사에 그쳤던 이른바 구제도론에 대비되는 이론적 정향으로서의 신제도론은 제도가 인간의 선호와 유인에 미치는 영향을 새롭고 역동적인 시각에서 분석함으로써 제도의 중요성을 다시금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우선 제도를 다루는 방법론적 특징에 주목하여 신제도론을 비환원주의적 제도론과 환원주의적 제도론(소위 신제도경제학)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후자에 대하여 논의의 초점을 맞춘다. 다시 말해서 신제도경제학에 속하는 여러 제도연구가 어떻게 신고전경제학에서의 가정을 완화함으로써 제도개념을 재규정하고, 제도가 인간과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는가를 연구한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신제도경제학의 제도분석이 정책 및 규제연구에 어떠한 함의와 이론적 도전을 제기하는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 KCI우수등재

        가상조직의 등장과 조직연구에의 이론적 · 실천적 함의

        김난도 ( Ran Do Kim ) 한국행정학회 1997 韓國行政學報 Vol.31 No.1

        네트워킹을 포함한 정보기술의 비약적 발전은 기존의 조직개념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이른바 가상조직의 탄생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 논문은 이러한 가상조직이 조직이론에 제기하는 이론적 실천적 함의를 논의한 것이다. 우선 그 개념화를 위하여 가상조직을 사이버 가상조직과 네트워크 가상조직으로 나누고, 가상조직이 전자매체에 의존하고 물리적 속성을 결여함으로써 나타나는 여러 특징을 살펴 보았다. 이어 가상조직을 이론적으로 탐색함에 있어 대두되는 조직구조, 의사소통, 의사결정, 통제와 조정, 사회문화적 문제와 같은 이슈와 아울러 가상조직을 어떠한 메타포로 이해할 수 있는지에 관해서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가상조직의 활용, 조건, 미래를 포함하는 실제적 측면도 고찰하였다. 가상조직의 이러한 연구는 급속히 늘어나는 가상조직에 대한 이해는 물론, 기존의 조직이론에 근원적인 반추를 다시 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우수등재

        행정의 조직경제학적 접근 : 대리인 이론의 행정학적 함의를 중심으로

        권순만,김난도 ( Kwon Soon - Man,Kim Ran - Do ) 한국행정학회 1995 韓國行政學報 Vol.29 No.1

        이 논문은 組織經濟學의 가장 중요한 분야의 하나인 代理人 理論(Principal-Agent Theory)의 소개와 행정학 연구에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한 것이다. 첫째 章에서는 대리인 이론의 개괄적 설명으로서 委任者-代理人 관계의 본질, 逆選擇과 道德的 危害를 비롯한 非對稱的 情報의 문제, 不確實性과 危險分擔, 인센티브제공과의 相衝문제, 그리고 대리인 이론의 연구동향에 관하여 간략히 설명하였다. 다음 章에서는 대리인 이론의 한국 행정에의 적용으로서, 1) 國民-國會-政府官僚制 관계의 대리인 이론적 설명, 2) 政府官僚組織에서 발생하는 대리인문제 및 공무원들에 대한 動機賦與, 3) 政府規制 및 公企業管理에서 발생하는 대리인 이론적 논의들, 그리고 4) 선거, 정부조직내에서의 기능분화와 같은 기타 논점에 관해서 살펴 보았다. 마지막 章에서는, 대리인 이론이 내포하는 행정학 연구에의 理論的 含義를 논의함으로써 결론에 대신하였다.

      • KCI우수등재

        정부인력관리 혁신을 위한 중앙인사기관의 개편방안 모색

        판석,김난도 ( Pan Suk Kim,Ran Do Kim ) 한국행정학회 1997 韓國行政學報 Vol.31 No.3

        본 논문은 날로 치열해져 가는 국제경쟁을 헤쳐갈 수 있도록 중앙정부의 인사기능을 어떻게 조직적·기능적으로 개편할 것인가에 관한 것이다. 현재 총무처가 담당하고 있는 우리 나라 중앙인사기관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대안으로 현재와 같은 총무처를 없애고 인사기능을 중심으로 독립합의형의 중앙인사위원회(가칭)를 설치하고 현재 총무처내의 비인사기능은 조달·공보·보훈담당 기관 등과 통·폐합하는 방안 등을 제시한다. 다시 말해서 총무처를 없애고 인사위원의 신분과 독립성을 보장하는 중앙인사위원회를 설치하고 비인사관련사무는 통·폐합하여 작고 효율적인 정부를 구축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개혁이야말로 새로운 천년(millenium)을 준비하면서 정부의 인사조직분야에서 반드시 풀어야 할 중요한 시대적 과제 중의 하나이다.

      • KCI등재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통한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의 비교 분석 - 기업의 사회공헌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이혜원 ( Lee Hyewon ),김난도 ( Kim Rando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트렌드를 구성하는 세대 연구에서,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를 구분하여 각각이 어떻게 영향력을 미치는지, 또 그 영향력의 차이는 어떠한지에 대한 실증적인 탐구를 수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반복된 횡단면 데이터인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소비자행태조사를 이용하여 ‘사회공헌을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탐색적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공헌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에서 연령별, 시기별, 코호트별 평균값 차이를 발견하였다. 특히 Z코호트는 다른 코호트와는 달리 시기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공헌 활동과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의 연관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의 상대적 영향력을 구분하기 위해, 연령을 1-수준의 변수로, 시기와 코호트를 2-수준의 변수로 설정해 위계적 교차분류임의효과모형을 분석한 결과, 연령효과와 코호트효과는 정의 효과를 갖고, 시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연령효과와 시기효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연령효과와 코호트효과의 상호작용은 부의 효과를 가졌다. 특히 전체 데이터에서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난 연령과 코호트라는 두 변수를 수준을 다르게 두어 교차 분석하였더니 서로 반대의 효과가 있음이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연령효과와 시기효과, 코호트효과는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효과이며, 사회공헌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도 다르고, 그 영향의 방향도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층모형의 방법론을 적용해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의 활용과 소비자 행태 연구에서의 동태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exploration of how age effect, period effect, and cohort effect influence the trend in generation studies, and what the differences of each aspect impact to the consequences. The questionnaire of “Thought of companies that make mor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s a better company” in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of the Korean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which is the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was used to analyze in this study. First, an exploratory data analysis found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of consumers' positive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by age, period, and cohort. Contrary to other cohorts, Z cohorts, in particular, present that consumers recently tend to evaluate companies more positively when companies engaged more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Next, to distinguish the relative influence of age effects, period effects and cohort effects, the hierarchical APC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 (HAPC-CCREM) was analyzed by setting age as a 1-level variable and period and cohort as a 2-level variable. The age effect and cohort effect had positive static effects, but the period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ge and the cohort had a negative effect,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ge and the period. particularly, cross-analysis of two variables, age and cohort, which are highly correlated, resulted in contrary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ge effect, period effect, and cohort effect are different effects, and each of the effects can be measured separately. Each of the effects shows the different results on the size of the impact on consumer perception toward companie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direction of the impact.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ynamic approaches in the study of consumer behavior and utilizing various time series data in the future by conducting and applying the methodology of the multi-level model in this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캥거루족 가구의 소비패턴 유형화와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다혜(Han, Dahye),소연(Kim, So-Yun),김난도(Kim, Rando)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4

        최근 한국 사회에서 부모에게 주거적·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캥거루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캥거루족을 새로운 가족 형태로 바라보고, 선행연구에서 서로 상반되는 시각으로 다루어지는 캥거루족 가구의 이면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캥거루족 가구만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소비패턴에 따라 유형화하여 그 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캥거루족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1차년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507개의 캥거루족 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캥거루족 가구는 비캥거루족가구에 비해 총자산, 총부채, 총소득, 월평균 지출액이 모두 유의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캥거루족에 비해 피복비, 교통비, 통신비 등 선택재의 지출비중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캥거루족 가구를 소비패턴에 따라 유형화한 결과, 자녀용돈비중심형, 식비주거비중심형, 교육비중심형, 보건의료비중심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들은 가구의 사회인구적·경제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캥거루족 가구의 유형별 가구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녀용돈비 중심형은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보건의료비 중심형은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식비주거비 중심형은 주거환경 만족도가 낮은 반면, 교육비 중심형은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캥거루족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각 하위 만족도별 영향요인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캥거루족 소비패턴 유형은 가구주의 주거환경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입만족도나 여가활동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캥거루족 가구를 소비패턴 및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 등을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같은 캥거루족 가구라 할지라도 그 가구의 일반적·경제적 특성에 따라 매우 다른 삶의 질을 보일 수 있음을 밝혔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캥거루족 가구의 ‘다양성’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n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kangaroos tribe who depend on their parents for housing and financ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Kangaroos households as a new family form and to examine the backside of kangaroo households from various angles, which are dealt with from opposite perspectives in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kangaroo households only,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s, looked closely behind them, and investigated the life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kangaroo householders. To this end, a total of 507 kangaroo household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21st year Korea Labor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angaroo household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assets, total debt, gross income, and monthly average expenditures than non-kangaroo households, and the proportion of optional materials such a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expen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Kangaroo. Secon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kangaroo households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s, they were classified into children s allowance centered, food-residential centered, education centered, and health care centered, and each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head of household by type of kangaroo households, the children s allowance centered type showed high satisfaction overall, while the health care centered type showed low satisfaction overall.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head of a kangaroo fami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each sub- satisfaction level. In particular, the consumption pattern type of the kangaroo tribe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householder s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amily relationship, but had no effect on income satisfaction or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kangaroo households can show very different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gener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by examining consumption pattern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householder from various angles. Ultimate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a discussion on the ‘diversity’ of kangaroo households.

      • KCI등재

        소비문화의 차원화 및 척도개발 -서울, 뉴욕, 스톡홀름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선우 ( Sun Woo Kim ),김난도 ( Ran So Kim ) 한국소비자학회 2011 소비자학연구 Vol.22 No.4

        소비문화 연구에 대한 관심이 학문적으로는 물론 비즈니스 실무적 접근을 위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실증적 소비문화 연구를 위하여 소비문화의 차원화를 시도하였다. 소비문화연구의 사적 고찰을 통하여 소비문화는 소비재를 매개로 한 의미의 상호작용으로 발현된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소비문화의 주요한 분석단위로 의미와 상호작용을 활용하고자 하였다. 소비문화는 의미성에 따라 기능과 상징의 범주, 그리고 상호작용성에 따라 개인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범주로 구분될 수 있다. 각 범주를 두 개의 축으로 삼아 개인적 기능, 개인적 상징, 사회적 상징, 사회적 기능의 네 개의 소비문화 차원이 도출되었다. 소비문화의 각 차원은 두 개의 하위차원으로 구성 되는데, 개인적 기능 차원은 경제성과 검약지향, 개인적 상징 차원은 향유와 자기표현지향, 사회적 상징 차원은 타자승인과 유명선호지향, 그리고 사회적 기능 차원은 친사회와 친환경지향의 하위차원으로 이루어진다. 소비문화 차원의 척도 개발을 위하여 대한민국 서울, 미국 뉴욕, 스웨덴 스톡홀름의 세 도시 20-40대 소비자 각 500명 등 총 1,500명을 대상으로 2006년 9월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문화의 차원 측정을 위하여 총 20개 문항의 조사도구가 최종적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소비문화의 두 차원인 의미성과 상호작용성에 기반하여 소비문화를 실증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상징적 의미 범주에 속하는 차원간 및 기능적 의미 범주에 속하는 차원간의 상관관계가 각각 매우 높게 나타나 기능과 상징이 소비문화 차원화를 위한 명확한 기준임을 확인하였으며 사회적 기능 차원은 상징적 의미 범주와 정적인 관계를 보이고 있어 일정 부분 상징적인 의미를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를 활용하여 향후 각 국가별 소비 문화 비교분석 및 그 원인파악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It is demanding to understand a consumer culture for academic interests and for the business success as well. This research tried to find dimensions and measures of consumer culture, which enable consumer culture researchers to conduct an empirical cross-cultural comparison study with elaborated tools. To develop an internationally applicable measures, authors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countries with consideration of the structural differences in economic level and economic system; south Korea, USA, and Sweden. While both USA and Sweden are included in the western culture and have a GDP of 40,000 US dollars, USA adopts a typical free market economy and Sweden is the representative of adjusted market economy. South Korea is originally embodied with the Asian culture and has a GDP of 20,000 US dollars. Consumer culture is a whole body of consumer lifestyle, which addresses all the consumptionrelated practices in our everyday lives. Through the historical review of consumer culture studies, authors found that the meaning of consumer culture expanded from the functional to the symbolic. While the original nature of consumption is to fulfill functional needs, more focus is putting on the capability to create a symbolic meaning of consumption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In addition, consumption includes social interaction. The meaning of consumption goods have a movable nature and function as media of communication. Social interaction through consumption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individual dimension such as hedonic symbol and social dimension such as social distinction.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consumption is more getting to imply the relations between peoples. Sustainable consumer culture,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alternative consumer cultures, functions positively to the society and to the environment as well. Moreover, sustainable consumer culture implies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 and the society as well as interac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environment. Authors found that a consumer culture is an interaction of meaning via consumer goods, and herein, a meaning and an interactivity can be the main analysis unit. A consumer culture is classified into two dichotomies by meaning and interactivity; functional-symbolic and individualsocial. These two dichotomies are combined into a 2×2 cross-classification, and four-celled dimensions of consumer culture are produced; individual-functional, socio-functional, individualsymbolic and socio-symbolic. Each dimension has two sub-dimensions; ``economical efficiency`` and ``frugality``(individual-functional dimension), ``fun pursuing`` and ``self expression``(individualsymbolic dimension), ``approval by others`` and ``brand-good preference``(socio-symbolic dimension), and ``pro-social action`` and ``pro-environmental action``(socio-functional dimension). To validate the measure of consumer culture dimension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in September 2006. The respondents were 1,500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of three metropolitan cities in Republic of Korea, USA and Sweden: Seoul, New York, and Stockholm. As a result of survey, a questionnaire with 20 questions was developed to measure consumer culture dimensions. A consumer culture was apparently dimensionalized by the meaning category, functional-symbolic with a high corelation between the dimensions in symbolic and in functional meaning category separately. In addition, a socio-functional dimension provides symbolic meaning to consumers with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ymbolic meaning category. The symbolic nature of the consumption in the socio-functional dimension gives us an insight for the sustainable consumer culture expansion. If the symbolic meaning of the consumption in the socio-functional dimension can be discovered by country/cultural level, the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s can be triggered voluntarily by consumer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of empirical cross-cultural consumer research by establishing the dimensions and by developing measures of a consumer culture. The dimensions and measures of consumer culture are expected to be a start point to understand of the each country`s consumer culture and compare consumer culture with another one. For further consumer culture study, a phenomenal research can be combined with to explore the origins and the roles of the meaning of consumer goods and the direction of the interaction through the consum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