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구매과정별 소비자감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의류를 중심으로

        한다혜(Han, Dahye),김난도(Kim, Rando)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소비자감정을 ‘소비의 전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경험하는 모든 감정적 상태’로 바라보고 소비자가 제품을 구매하기 이전 제품의 정보를 탐색하는 과정에서부터 구매한 이후 제품을 사용하는 과정까지의 소비 전반적 과정에 걸친 소비자감정을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의류 구매과정에서 소비자가 경험하는 긍정적․부정적 감정을 정보탐색, 대안평가, 결제, 배송, 수령, 사용이라는 6개의 구매과정에 따라 실증적으로 파악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매과정에 따라 소비자감정이 어떻게 변화하며, 소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구매과정별 소비자감정에 어떤 차이가 나타나는지 파악했다. 또한 구매만족도를 통제하고, 구매과정별 소비자감정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상대적 영향력은 무엇인지 파악했다. 이를 위해 최근 1개월 이내에 온라인 쇼핑을 통해 의류를 구매한 경험이 있는 20~40대 성인 남녀 소비자 49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의류 구매경험과 구매경험 중 느낀 소비자의 긍정적․부정적 감정을 6개의 구매과정에 따라 응답하게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의류 구매과정별 소비자감정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긍정적 감정은 전반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반면, 부정적 감정은 변화값이 증감을 반복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긍정적․부정적 감정 모두 6개의 구매과정 중 유의미한 감정변화는 배송-수령 간의 과정에서 나타났다. 둘째, 구매과정별 소비자감정은 소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는데, 주로 긍정적 감정보다 부정적 감정에서 그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매경험의 전반적만족도를 통제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특성이 각 구매과정별 소비자의 긍정적․부정적 감정에 선택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음을 규명했다. 본 연구의 결론에는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한계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했다. This study considers consumer emotions as all emotional states directly experienced in the entire process of consumption. In this study,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by consumers during the online shopping were empirically identified according to six purchasing processes: information search, alternative evaluation, payment, delivery, receipt, and use.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consumer emo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online purchasing process, what differences appear in consumer emotion by purchasing proces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what factors influenced consumer emotion. To this end, 495 adult male and female consumers in their 20s, 30s, 40s who have purchased clothing through online shopping within the past month were asked to respond to th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consumers during online purchasing experience in six purchasing proces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s in consumer emotion for each online purchasing process, positive emotions were generally upward graphs, whereas negative emotions showed a graph in which the increase and decrease were very frequently different compared to the positive emotions. In addition, significant emotional changes among the six purchasing processes appeared in the process between delivery and receip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sumer emotion for each purchase proces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and the difference was found to be greater in negative emotions than in positive emotions. Lastly, despite controlling the overall satisfaction of the purchasing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exert a selective influence on consumer emotions in each purchasing process. In the conclusion part, the summary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limita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for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통한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의 비교 분석 - 기업의 사회공헌에 대한 소비자 인식 변화를 중심으로

        이혜원 ( Lee Hyewon ),김난도 ( Kim Rando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1

        본 연구는 트렌드를 구성하는 세대 연구에서,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를 구분하여 각각이 어떻게 영향력을 미치는지, 또 그 영향력의 차이는 어떠한지에 대한 실증적인 탐구를 수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반복된 횡단면 데이터인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의 소비자행태조사를 이용하여 ‘사회공헌을 많이 하는 기업일수록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한다’는 문항에 대한 분석을 실시했다. 먼저 탐색적으로 분석한 결과, 사회공헌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에서 연령별, 시기별, 코호트별 평균값 차이를 발견하였다. 특히 Z코호트는 다른 코호트와는 달리 시기가 증가함에 따라 사회공헌 활동과 기업의 긍정적 이미지의 연관성을 높게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연령효과, 시기효과, 코호트효과의 상대적 영향력을 구분하기 위해, 연령을 1-수준의 변수로, 시기와 코호트를 2-수준의 변수로 설정해 위계적 교차분류임의효과모형을 분석한 결과, 연령효과와 코호트효과는 정의 효과를 갖고, 시기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연령효과와 시기효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연령효과와 코호트효과의 상호작용은 부의 효과를 가졌다. 특히 전체 데이터에서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난 연령과 코호트라는 두 변수를 수준을 다르게 두어 교차 분석하였더니 서로 반대의 효과가 있음이 도출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연령효과와 시기효과, 코호트효과는 구분하여 측정할 수 있는 서로 다른 효과이며, 사회공헌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도 다르고, 그 영향의 방향도 다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층모형의 방법론을 적용해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점에서, 향후 다양한 시계열 데이터의 활용과 소비자 행태 연구에서의 동태적 접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an empirical exploration of how age effect, period effect, and cohort effect influence the trend in generation studies, and what the differences of each aspect impact to the consequences. The questionnaire of “Thought of companies that make mor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s a better company” in the Consumer Behavior Survey of the Korean Broadcast Advertising Corporation, which is the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was used to analyze in this study. First, an exploratory data analysis found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of consumers' positive percept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by age, period, and cohort. Contrary to other cohorts, Z cohorts, in particular, present that consumers recently tend to evaluate companies more positively when companies engaged more in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Next, to distinguish the relative influence of age effects, period effects and cohort effects, the hierarchical APC cross-classified random effect model (HAPC-CCREM) was analyzed by setting age as a 1-level variable and period and cohort as a 2-level variable. The age effect and cohort effect had positive static effects, but the period effec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ge and the cohort had a negative effect, as well as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age and the period. particularly, cross-analysis of two variables, age and cohort, which are highly correlated, resulted in contrary effects. Therefore,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age effect, period effect, and cohort effect are different effects, and each of the effects can be measured separately. Each of the effects shows the different results on the size of the impact on consumer perception toward companies’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direction of the impact.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of dynamic approaches in the study of consumer behavior and utilizing various time series data in the future by conducting and applying the methodology of the multi-level model in this research.

      • KCI등재

        캥거루족 가구의 소비패턴 유형화와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다혜(Han, Dahye),소연(Kim, So-Yun),김난도(Kim, Rando)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4

        최근 한국 사회에서 부모에게 주거적·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캥거루족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캥거루족을 새로운 가족 형태로 바라보고, 선행연구에서 서로 상반되는 시각으로 다루어지는 캥거루족 가구의 이면을 다각도로 살펴보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캥거루족 가구만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을 소비패턴에 따라 유형화하여 그 이면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캥거루족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와 그 영향요인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1차년도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총 507개의 캥거루족 가구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캥거루족 가구는 비캥거루족가구에 비해 총자산, 총부채, 총소득, 월평균 지출액이 모두 유의하게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캥거루족에 비해 피복비, 교통비, 통신비 등 선택재의 지출비중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캥거루족 가구를 소비패턴에 따라 유형화한 결과, 자녀용돈비중심형, 식비주거비중심형, 교육비중심형, 보건의료비중심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각 유형들은 가구의 사회인구적·경제적 특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캥거루족 가구의 유형별 가구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자녀용돈비 중심형은 전반적으로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보건의료비 중심형은 전반적으로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식비주거비 중심형은 주거환경 만족도가 낮은 반면, 교육비 중심형은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캥거루족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본 결과, 각 하위 만족도별 영향요인에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캥거루족 소비패턴 유형은 가구주의 주거환경만족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입만족도나 여가활동 만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캥거루족 가구를 소비패턴 및 가구주의 삶의 만족도 등을 다각도로 살펴봄으로써 같은 캥거루족 가구라 할지라도 그 가구의 일반적·경제적 특성에 따라 매우 다른 삶의 질을 보일 수 있음을 밝혔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캥거루족 가구의 ‘다양성’에 대한 논의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n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kangaroos tribe who depend on their parents for housing and financ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at the Kangaroos households as a new family form and to examine the backside of kangaroo households from various angles, which are dealt with from opposite perspectives in previous studies.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kangaroo households only, categorized them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s, looked closely behind them, and investigated the life satisfac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f kangaroo householders. To this end, a total of 507 kangaroo households were analyzed using data from the 21st year Korea Labor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angaroo household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assets, total debt, gross income, and monthly average expenditures than non-kangaroo households, and the proportion of optional materials such as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expens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n-Kangaroo. Second, as a result of categorizing kangaroo households according to consumption patterns, they were classified into children s allowance centered, food-residential centered, education centered, and health care centered, and each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 i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head of household by type of kangaroo households, the children s allowance centered type showed high satisfaction overall, while the health care centered type showed low satisfaction overall. Final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head of a kangaroo family,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each sub- satisfaction level. In particular, the consumption pattern type of the kangaroo tribe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householder s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family relationship, but had no effect on income satisfaction or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kangaroo households can show very different quality of life depending on the gener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by examining consumption patterns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householder from various angles. Ultimately,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a discussion on the ‘diversity’ of kangaroo households.

      • KCI등재

        소비자학 분야에서의 세대의 개념, 범주 및 특성에 관한 연구

        권정윤 ( Kwon Jeong-yun ),김난도 ( Kim Rando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5

        본 연구는 소비자학의 주요 개념으로서 ‘세대’를 학술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필요한 다음의 세 가지 논점에 대한 검토를 목표로 하였다. 첫째, 소비자학 분야에서 세대는 어떻게 규정되어왔는가? 둘째, 대한민국 소비자는 몇 개의 세대로 나눌 수 있으며 어떠한 명칭이 적절한가? 마지막으로, 각 세대는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 이다. 이를 위하여 지난 20년 간 소비자학 분야에서 게재된 세대 연구 24편을 고찰하였으며, 이 때 Kertzer의 세대개념 및 세대연구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코호트효과·생애주기효과·시기효과의 개념을 활용하여 분석의 틀을 마련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소비자학 분야에서 세대 개념은 주로 ‘코호트적 세대’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생애 주기적 세대’에 속하는 중장년층과 같은 명칭 또한 개념적 구분없이 혼용되고 있다. 둘째, 가장 많이 나타난 세대 범주는 베이비붐 세대, X세대, 청년층(청년세대)이며, 베이비붐 세대를 제외한 다른 세대에 대해서는 세대범주와 명칭에 있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세대별로 재무적 특성, 가치관 및 라이프스타일 특성, 그 외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재무적 특성에 있어서는 생애주기 효과가 강한 영향력을 보이는 반면, 가치관 및 라이프스타일에 있어서는 여러 시점에 걸쳐 특성이 유지되는 코호트 효과가 강조되었으며, 그 외 특성은 세대간·시점간 비교가 불가능 하였으나 각 세대별로 강조되는 연구주제 자체가 세대의 특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여기에는 시기효과가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소비자학 분야에서 필요한 세대 연구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gene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s of all ages. Although many studies in consumer research have been dealt with generations, there has been no agreement on the concept, ranges, or characteristics of consumer generations. To discuss generation as a principal research subject in consumer studies, it is necessary to fing out the following points. First, what is the concept of generation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Second, how many generation groups are there and what names do they have? Finally, what are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each generation ha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aimed to review the generational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over the past 20 years. The 24 generational studies were selected from four major journals. The main findings show that, first, in the consumer studies field, the concept of generation is mainly used as ‘generation as a cohort’, but ‘generation as a life-cycle’ are also used. The conceptual confusion leads to interpret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in that the cohort effect and the age effect are not distinguished. Second, frequently used generational names are the Babyboom generation, the X generation, and the young generation. In case of Generation X and the young generation, the boundary of generation group can be subdivided through more research. Third, the analysis of generational consumer values, lifestyle, and financial states reveal that life-cycle effects have strong influence on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cohort effects are emphasized in values and lifestyle aspect. Research in various topics seems to be affected by period effects indirectl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of generational studies for the further research, as well a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generational studies conducted in the field of consumer studies.

      • KCI등재

        우리나라 은퇴자의 은퇴 적응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진(Sujin Lee),이해랑(Haerang Lee),최현자(Hyuncha Choe),김난도(Rando Kim),나종연(Jong-youn Rha) 한국FP학회 2018 Financial Planning Review Vol.11 No.2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은퇴연령은 낮아지면서, 은퇴 후 생활이 길어졌다. 이에 은퇴 후 달라진 생활에 적응하는 것에 대해 관심도 높아졌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이 가진 자원에 따라 은퇴 적응의 수준이 달라질 수 있다는 자원중심동적관점에서 우리나라 은퇴자들의 은퇴적응수준에 따른 유형과 유형별 영향 요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국노동패널 4차(2001년) 조사’의 은퇴자 576명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은퇴자들의 은퇴적응 유형은 은퇴적응형, 관계적응형, 은퇴부적응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은퇴적 응형은 건강과 지역사회에서의 역할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보통 이상의 적응 수준을, 관계적응형은 가족관계와 친구관계에서만 보통 이상의 적응 수준을, 은퇴부적응형은 모든 항목에서 보통 이하의 적응 수준을 보이고 있다. 각 유형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은퇴 후 경과기간, 자원의 수준에서도 명확한 차이가 있다. 은퇴적응형의 경우 70대 비중이, 자가 주택 소유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은퇴 경과기간은 약 5년 6개월로 다른 유형에 비해 은퇴 후 기간이 짧다. 또한 모든 영역(신체적, 경제적, 동기부여적, 정서적, 사회적)에서 소유한 자원이 가장 높다. 관계적응형의 경우, 은퇴 후 경과기간이 약 6년이며, 정년퇴직이나 조기퇴직을 한 비율이 높았고, 저축금으로 생활비를 조달하는 비율이 높았다. 은퇴부적응형 경우, 40, 50, 80대의 비율이 높았으며, 본인의 근로소득이나 이전소득으로 생활비를 조달하고 있었으며, 은퇴 후 경과 기간이 약 7년 10개월로 가장 길다. 이 유형은 개인이 지닌 자원이 모든 영역에서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낮은 수준이다. 둘째, 은퇴적응 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각 유형별로 상이했다. 은퇴적응형과 관계적응형을 구분하는 요인은 정서적 자원과 혼인상태 변화 유무, 근로, 비활동이다. 정서적 자원이 낮을수록, 은퇴 후 혼인 상태가 변화가 없었을 경우, 근로활동을 하며 다양한 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은퇴적응형보다 관계적응형에 속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관계적응형과 은퇴부적응형을 구분하는 요인으로는 신체적, 경제적, 동기부여적 자원, 연령, 성별, 비활동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경제적, 사회적 자원, 연령이 적을수록, 여성보다 남성일수록, 평소 다양한 활동을 하지 않을수록 관계적응형보다 은퇴부적응형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은퇴부적응형과 은퇴적응형을 차별화하는 변수는 동기부여 자원을 제외한 모든 자원들, 연령, 성별, 건강 상 이유로 퇴직, 비활동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은퇴적응의 개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여, 이론을 바탕으로 한국의 은퇴자들의 은퇴적응수준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은퇴적응 수준 유형별 특성 및 각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여, 은퇴 후 생활에 대해 보다 정교한 설계를 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As life expectancy increased and retirement age decreased, life after retirement became longer. After retirement, interest in adapting to a different life has also increased. In this study, we examined retirement adaptation and types of Korean retirees through the resourcebased dynamic perspective that the level of retirement adaptation varies according to the resour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576 retirees of the "Korea Labor Panel 4th (2001) Survey" are as follows. First, the retirement adaptation level (economic, health, occupational role, relationship aspect) of Korean retirees was 2.76 points (average of 5 points). Second, retirement adaptation patterns of retirees in Korea can be divided into “well-adapted type”, “relational-adapted type”, and “mal-adapted type”. The “well-adapted type” showed a higher level of adaptation than usual in all areas except for health and community roles. “relational-adapted type” showed moderate or higher level of adaptation only in family relations and friendship. “mal-adapted type” showed lower level of adaptation respectively. Each type has a clear difference i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duration of retirement, and level of resources. Third, factors affecting retirement adaptation type were different for each type. This study comprehends the concept of retirement adaptation and confirms retirement adaptation level of Korean retirees based on the theory.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tirement adaptation type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each type were identified, and it was helpful to make a more sophisticated design for life after retirement.

      • KCI등재

        신국정관리와 인사개혁의 방향 : 21세기의 지식혁명시대에 대비하여

        정정길,김난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0 行政論叢 Vol.38 No.1

        본 논문은 세계화와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정보화가 초래한 지식혁명의 시대인 21세기를 대비하는 인사개혁의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식사회의 성격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새로운 국정과제를 점검한 후, 많은 한계를 보인 바 있는 신자유주의적 행정개혁의 논리에서 벗어나 비정부단체·준정부조직·민간조직들과 유기적인 협조아래 민간과 공공부문의 포괄적인 국정관리를 필요로 하는 신국정관리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신국정관리의 수행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국가발전의 중심축이 될 능력있는 고위 엘리트관료들을 필요로 하는데 전문화된 일반가로서의 엘리트관료를 양성하기 위한 인사개혁의 방향을 개방형인사제도의 도입, 직위분류제적 요소의 강화, 지식관리와 정보관리를 위한 경력관리의 필요성, 순환보직과 업무인수인계의 형식화 문제의 해결 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특히 이러한 전환은 중앙인사위원회를 중심으로한 인사행정기관의 제도적 개편이 관건이 된다는 판단 아래, 제도적 개혁의 필요성을 강조함으로써 결론에 대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