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5-fluorouracil 이 근간이 된 화학요법에 실패한 진행성 위암에서 Docetaxel 과 Cisplatin 복합화학요법

        이효락(Hyo Rak Lee),박세훈(Se Hoon Park),송서영(Seo Young Song),박준오(Joon Oh Park),이순일(Soon Il Lee),김기현(Ki Hyun Kim),김원석(Won Seog Kim),정철원(Chul Won Jung),임영혁(Young Hyuck Im),이홍기(Hong Ghi Lee),박근칠(Keun Chil Park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2 No.1

        N/A Background: There is no effective treatment in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failed to first-line chemotherapy. Taxane is one of new drugs identified as having substantial activity in gastric cancer. We performed a phase II trial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docetaxel plus cisplatin regimen as a salvage chemotherapy for advanced gastric cancer failed to 5-fluorouracil (5-FU)-based chemotherapy. Methods: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cancer patients failed to 5-FU-based regimen with an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performance score≤2 were eligible in this trial. Docetaxel (60mg/㎡) was infused over 1 hour , before cisplatin (60 mg/㎡) infused over 2 hours on day 1, once every 3 weeks until disease progression or unacceptable toxicity was detected. Response to treatment was assessed every two or three cycles. Results: From October 1999 to December 2000, forty-one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wenty-eight of forty-one patients were assessable for response. Partial response was observed in seven patients and stable disease in four patients. The response rate was 25.0% (95% confidence interval: 20.4-29.6%) and median duration of response was 22 weeks (range: 11-53 weeks). The median survival of all enrolled patients was 24 weeks (range: 7-65 weeks). For a total of 112 cycles of chemotherapy, grade 3 and 4 toxicity was 8.9% for neutropenia, 4.5% for nausea/vomiting and 1.8% for mucositis. Conclusion: Salvage chemotherapy with docetaxel plus cisplatin regimen in gastric cancer was active with acceptable toxicities. (Korean J Med 62:83-89, 2002)

      • KCI등재후보

        방광의 MALT 림프종 1예

        이지연,김원석,송서영,이순일,박준오,김기현,고영혜,정철원,임영혁,강원기,이홍기,이희정,박찬형,박근칠 대한내과학회 2002 대한내과학회지 Vol.63 No.1

        Primary lymphoma of the urinary bladder is a rare non-epithelial bladder tumor accounting for less than 1% of all bladder tumors. Approximately 17 cases of MALT lymphomas of bladder have been reported in the literature. Most reported MALT lymphomas of bladder have a female sexual preponderance with a mean age of 58 years with common presenting symptoms of hematuria, dysuria and urinary frequency. The reported prognosis of MALT lymphoma of the urinary bladder is excellent. We report a case of MALT lymphoma of urinary bladder in a 57-year-old woman patient who presented with a two-year history of persistent dysuria and urinary frequency. An intravenous pyelogram and cystoscopy revealed a 1 cm focal elevated lesion at the base of urinary bladder. The tissue obtained by transurethral resection (TUR) showed plasma cell infiltration consistent with low grade marginal zone B cell lymphoma. The immunohistochemical studies showed an immunoglobulin restriction to lambda light chain while the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analysis of the tissue showed a monoclonal Ig heavy-chain gene rearrangement. The clinical staging protocol revealed that the tumor was primarily arising from the urinary bladder with no evidence of other site involvements. The patient received radiation therapy of 3060 cGy in 17 fractions.

      •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의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및 질환의 임상양상에 대한 고찰 : Analysis of Risk Factors

        박세훈,이홍기,최성철,이효락,김기현,남은미,김원석,윤성수,강원기,박찬형,김선우,박근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0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5 No.1

        배경:동종조혈모세포이식에서 이식 전 CMV 항체(IgG) 양성률을 알고, CMV 감염 및 질환의 발병률을 구하며, CMV 감염 및 질환의 위험인자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재 시행되고 있는 CMV 선제요법의 효율성을 판단하고자 단일 기관에서 경험한 50례의 동종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동종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받은 50명의 성인 환자 중 이식편 생착 이전에 사망한 5명을 제외한 45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수혜자와 기증자 모두에서 CMV 혈청검사를 시행하였고, 조혈모세포이식 후 백혈구수가 500개 이상이 되는 시점부터 면역억제제 사용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매주 1회씩 CMV 혈액배양검사와 CMV 항원혈 검사를 시행하였다. CMV 감염의 진단은 CMV 혈액배양검사와 CMV 항원혈 검사 중 어느 하나라도 양성인 경우로 하였고, 이 경우 선제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위의 두 가지 검사가 모두 음전된 후 일주일까지 투여하였다. CMV 질환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먼저 유도요법을 21일간 시행한 후 유지요법을 면역억제제 사용이 종료된 시점까지 투여하였다. CMV 감염 환자가 CMV 선제요법에도 불구하고 CMV 질환으로 진행된 경우를 선제요법의 실패로 정의하였다. 또한, 고연령, 원인질환, 이식시 원인질환의 진행상태, 전신방사선 조사, T cell depletion, GvHD 예방을 위한 스테로이드의 사용, 그리고 비혈연간일치 기증자 혹은 혈연간부분불일치 기증자 등에서 CMV 감염 및 질환의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과:총 45명 환자 중 이식 전 CMV 항체(IgG)는 모든 수혜자(100%)와 기증자의 93.3% (42명)에서 양성이었다. CMV 감염은 17명(37.8%)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7명이 CMV 질환으로 진행되어 CMV 질환의 발병률은 15.6%였다. 시행된 선제요법의 실패율은 41.2%였다. CMV 감염의 위험인자로 통계적 의의가 있는 것은 기증자의 형태였으며, CMV 질환의 위험인자로 통계적 의의가 있는 것은 T cell depletion, GvHD 예방을 위한 스테로이드의 사용, 기증자의 형태 등이었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CMV 감염의 위험인자로 통계적 의의를 찾을 수 있는 것은 없었고, CMV 질환의 위험인자로 통계적 의의가 있는 것은 T cell depletion이었다. 통계적으로 의의는 없었으나 비혈연간 기증자 혹은 혈연간부분불일치 기증자인 경우에 CMV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본 연구에서 이식 전 CMV 항체는 모든 수혜자(100%)와 대부분의 기증자(93.3%)에서 양성으로 서구의 CMV 항체 양성률에 비해 매우 높았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CMV 질환의 위험인자로 통계적 의의가 있는 것은 단지 T cell depletion 뿐이었다. 기증자의 형태에 따라 CMV 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는데, 대부분의 CMV 질환은 비혈연간 기증자 혹은 혈연간부분불일치 기증자에 의한 동종조혈모세포이식에서 발생하였다. 이는 조혈모세포이식 후 면역기능의 회복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CMV 선제요법은 그 성공률이 58.8%에 지나지 않아 향후 보다 나은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Cytomegalovirus (CMV) is the major cause of infection-related mortality and morbidity in patients undergoing allogeneic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study to determine the pre-transplantation seropositivity of CMV and risk factors for CMV infection and disease, an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e-emptive therapy and CMV treatment currently used. Methods:Forty-five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HSCT at a single institution from Feb '96 through Sep '99 were screened for CMV infection by CMV blood culture and CMV antigenemia assay every week following HSCT. The screening tests were performed during continued immunosuppression. CMV infection was defined as positive CMV antigenemia or blood culture. CMV disease was diagnosed when the clinical evidence of CMV disease was present and CMV was discovered in blood or other specimens. Once the CMV infection or disease was diagnosed, pre-emptive therapy or CMV treatment was performed, respectively. Results:All recipients (100%) and most donors (93.3%) were CMV seropositive before HSCT. Seventeen patients (37.8%) were infected with CMV, and CMV disease developed in 7 patients (15.6%). Success rate of pre-emptive therapy was 58.8%. We analyzed the previously described risk factors for CMV infection such as age, underlying disease, disease status, total body irradiation, T cell depletion, steroid use for GvHD prophylaxis and alternative donors. Of these, only variable of statistic significance was alternative donors. Among the risk factors for CMV disease, T cell depletion, steroid use for GvHD prophylaxis and alternative donor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statistically.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showed that the risk for CMV disease was raised significantly by T cell depletion. Conclusion:This study confirms that CMV seropositivity in Korean is higher than in Western people. CMV infection and disease developed in 37.8% and 15.6% respectively, which is similar to other studies. Most CMV diseases were developed in patients receiving HSCT from alternative donors. Since the failure rate of CMV pre-emptive therapy was high (41.2%), it is recommended to provide a better way in preventing CMV disease.

      •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의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 : Assessment of Risk Factors

        안중경,이홍기,황정혜,박세훈,이효락,송서영,이순일,박준오,김기현,김원석,정철원,임영혁,강원기,박근칠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2002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7 No.1

        연구배경: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집중 치료 시 예후가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계 환기는 강력한 사망 예측 인자로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식 환자에서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를 밝힌 연구는 매우 드물다. 따라서 기계 환기를 시행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임상적 특징을 살펴보고 기계 환기에 대한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삼성서울병원에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 중 기계 환기를 시행한 23명과 기계 환기를 시행하지 않은 14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기계 환기에 대한 위험 인자의 여부에 관해서는 chi-square 또는 Fisher's exact 검정을 시행하였으며 기계 환기에 대한 각 위험 인자의 영향에 관해서는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기계 환기를 시행한 23명의 환자 중 30일째 생존자는 1명이었고 6개월째 생존율은 0%였다. 생존자와 사망자 모두에서 다기관 기능부전이 관찰되었으며, APACHE II 점수와 SAPS II 점수에 의한 예측 사망률은 각각 56%, 59%였다. 조혈모세포이식 후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로는 선행 질환이 혈액질환, 부분불일치 동종이식, 간정맥폐색성질환, 이식 전 질병 상태가 재발하였거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경우였다. 다중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은 단지 부분불일치 동종이식을 시행한 경우였다. 결론: 현재까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 집중 치료의 역할에 대해서는 확실히 정립되어 있지는 않으며, 이식 환자에서 기계 환기는 강력한 사망 예측 인자이다. 따라서, 조혈모세포이식을 시행한 환자에서 기계 환기의 위험 인자와 불량한 예후 인자를 고려하여 기계 환기 여부에 대한 신중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Background: Respiratory failure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is a frequent, critical complic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HSCT). Patients who require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fter HSCT generally have a very poor prognosis. Mechanical ventilation in HSCT recipients is a strong predictive factor of mortalit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an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after HSCT.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all patients >15 yrs old who received HSCT at Samsung Medical Center and subsequently required mechanical ventilatory support between 1996 and 2001. Results: Thirty-day mortality rate in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was 95.6%. The mean predictive mortality rates of APAHCE II score and SAPS II score were 56% and 59%, respectively. Reasons for mechanical ventila-tion were sepsis (47.8%) followed by fungal infection (13%) and diffuse alveolar hemorrhage (8.7%). Univariate analysis identified relapsed or refractory diseases at HSCT, hematologic disease, hepatic venoocclusive disease and allogeneic or HLA-mismatched transplant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ion. O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allogeneic mismatched transplant remained significant. Conclusion: Overall outcome of HSCT recipients undergoing mechanical ventilation is very poor. Therefore, the risk factors and the poor prognostic factors for mechanical ventil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making further treatment decision for HSCT recipients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