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유학의 형이상학 전환 ― 이체기용(理體氣用)에서 이승기기(理乘氣機)에로 ―

        김기현 ( Kim Kee-hyeon ) 동양철학연구회 2019 東洋哲學硏究 Vol.97 No.-

        이 글은 성리학(주자학)이 의거하고 있는 형이상학이 동아시아의 형이상학 역사에서 기존의 것을 대체하여 새롭게 건립된 것이었음을 논의한 것이다. 주희에 의해 정립된 이 새로운 형이상학은 “태극자 본연지묘야; 동정자 소승지기야(太極者, 本然之妙也; 動靜者, 所乘之機也.” 16글자를 근간(根幹)으로 한다. 이 언명의 실질적 내용은 리(理)와 기(氣)의 관계에 대한 규정이다. 성리학의 정립자인 주희의 관점에서 볼 때, 형이상자인 리와 형이하자인 기의 관계에 대해 기존 이학은 이체기용(理體氣用)의 사상을 갖고 있었다. 이체기용 사상이 갖고 있는 문제점에 관해 주희가 반복하여 말한 것은 ‘형이상자와 형이하자는 분별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분명한 사실은 주희가 새롭게 제시한 대안인 이승기기(理乘氣機) 사상이 형이상학 면에서 기존의 이체기용 사상과는 근본적으로 노선을 달리 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이 글에서 측은지심 등의 본심(本心)을 사례로 비교 고찰하는 가운데 주희가 문제시한 것들이 무엇이었는지를 추정해낸다. 첫째, 음양 오행의 부단한 운동 변화 과정인 현실 세계를 호상학자들이나 육구연처럼 형이상자인 리의 직접적인 운동 변화로만 설명하는 것은 ‘역유태극(易有太極)’명제를 핵심으로 하는 『주역』의 도덕형이상학에 맞지 않는다. 도덕, 즉 선은 운동 변화 과정의 산물이다. 선의 창출은 리에 의해서만이 아니라 리와 기의 공조(共助)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 주희의 도덕형이상학 입장이다. 둘째, 주희가 볼 때, 이체기용 노선의 이학에 의한다면 공부란 선천적 선심(善心)인 본심이 발현되기를 기다리는 것이고, 그 이전에 평상시에 해 두어야 하는 공부가 없다. 주희에 의하면, 선천적 선심을 확충하는 것보다 더 주력해야 하는 공부는 평상시에 함양하는 공부이다. 노선 간의 이러한 본질적인 차이는 신유학인 성리학이 의거하는 형이상학과 기존의 이학들이 의거하는 형이상학 간의 차이에서 비롯된다는 것이 이 논문의 결론이다. 그러나 리가 선의 창출을 주재한다는 점에서는 두 도덕형이상학 간에 차이가 없다. 다만 이체기용 형이상학에서는 리가 직접 활동함으로써 천리(형이상자)의 현현(顯現)이 이루어지는 반면 이승기기 형이상학에서는 형이상자가 기(氣)의 기(機)에 승(乘)하여 기(氣)의 운행 과정에 간여(干與)하는 가운데 선의 창출을 주재하는 차이가 있다. 당연히 리의 성격에도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두 형이상학 간의 이러한 차이들에 대해 무지하거나 차이를 인정하지 않으면, 철학적 오해가 쌓여가게 되고, 지금까지 적지 않게 그래왔다. This study discusses that metaphysics underlying Neo-Confucianism was the first to emerge in the metaphysical history of East Asia. This new metaphysics established by Chu Hsi is based on the 16 Chinese characters of “The Great Ultimate is the originally-so; motion and tranquility is the chi that is being ridden on (太極者, 本然之妙也; 動靜者, 所乘之機也).” The substantive content of this statement i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From the viewpoint of Chu Hsi who established Neo-Confucianism, the existing Li-Philosophy regarded the Principle to be the substance and the Material Force to be its active func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le as the prior form and the Material Force as the posterior form. What Chu Hsi mentioned repeatedly about the problem in Li t’i ch’i yong’s(理體氣用) formula (or The Great Ultimate is the substance and the motions are its active function) was that ‘it is necessary to discern the prior form and the posterior form.’ Obviously, Li ch’eng ch’i chi(理乘氣機) proposed newly by Chu Hsi as an alternative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existing Li t’i ch’i yong formula in metaphysical terms.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original mind such as in the Mind of Compassion(惻隱之心) using examples, this study explores what kind of problems Chu Hsi posed and encountered. First, like the Confucians of the Hu-Xiang school or Lu Chiu-Yuan, explaining the real world, which is a process of constant movement and change of Yin and Yang and the Five Agents, only as a direct movement and change of the Principle, which is the prior form, does not fit the moral metaphysics of the Book of I Ching whose core is the proposition ‘Change constitutes the Great Ultimate.’ Morality, or goodness, is the product of the process of movement and change. According to Chu Hsi’s moral metaphysics, goodness is created by the Great Ultimate as well as by the combination of the Great Ultimate and the Material Force. Second, Chu Hsi argues that, in terms of Li-Philosophy in the metaphysics of Li t’i ch’i yong, self-cultivation is to wait for the original mind, as an innate good mind, to be manifested, and so it does not have to be done before that time. The systems of Li-Philosophy based on the metaphysics of Li t’i ch’i yong are focused on self-cultivation of holding and expanding the manifested original mind. Therefore, there is no self-cultivation to carry out before the original mind is manifested. Chu Hsi argues that self-cultivation which is carried out in everyday life needs to be focused rather than the expansion of the afore-mentioned innate good mind. This study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is essential difference between the lines stem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taphysics on which Neo-Confucianism is based and the metaphysics on which existing Li-Philosophies are based.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morals of metaphysics in that the Great Ultimate presides over the creation of goodness. In the metaphysics of Li t’i ch’i yong, the prior form achieves self-development by the Principle’s direct action. By contrast, in the metaphysics of Li ch’eng ch’i chi, the prior form presides over the creation of goodness while riding on the Chi of the Material Force and getting involved in the operation of the Material Force. As a result, these two schools of metaphysics also make a difference in the nature of Li (or the Principle). As it has been done so far, no knowledge or acknowledgement of the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branches of metaphysics has caused any philosophical misunderstanding.

      • KCI등재

        주희 신유학(新儒學)의 관점에서 본 노사 기정진(蘆沙 奇正鎭)의 이기론

        Kim Kee Hyeon(金起賢) 한국동양철학회 2015 동양철학 Vol.0 No.44

        주희 신유학의 등장은 기존의 理體氣用 형이상학으로부터 새로운 理乘氣機 형이상학에로의 일대전환을 의미한다. 중요한 의의를 갖는 이 논제가 전통 학계에서는 물론이고 현대에 이르러서도 여전히 충분히 논의되지는 못하고 있다. 새로운 형이상학은 기존의 사유방식이나 모식을 답습한 것이 아니라 새롭게 제시된 대안이기 때문에 그 이해가 쉽지 않을 수 있다. 주희 이후 600년 후에 활동한 조선조의 蘆沙 奇正鎭은 당시까지의 성리학자들 중 일부가 주희 신유학의 理氣論을 본래 취지와는 거리가 있게 이해하고 있다고 여겨 조심스럽고 신중하게 그 矯正을 희망하였다. 그런데 주희 신유학의 이기론을 꿰뚫어 보고 있던 그의 혜안은 현대의 주희성리학 연구자들에게도 크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이 논문은 주희 신유학의 독창적인 면모를 중심으로 노사의 이기론 이해를 조명해 보고자 한다. 理乘氣之機 명제는 주희 신유학의 이기론에서 관건 명제이다. 형이상자와 형이하자의 관계 및 理 개념에 대한 성리학의 관점은 주희가 40세에 중화신설을 확정지은 이후 이 명제를 세우게 된 배경을 이해해야만 근거 있게 파악될 수 있다. 노사의 이기론은 주희의 이러한 고심과 본지를 이해한 위에서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는 이 글에서 성리학의 理 개념 및 理와 氣의 관계에 대한 그의 입론이 사실은 주희 이기론의 근본 취지에 입각한 것이었음과 그의 의도는 독창적인 학설을 세우려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일부 성리학자들이 성리학 본래의 이기론을 오해하고 있다고 보고 그것을 補整하려는 데 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The advent of Chu Hsi's Neo-Confucianism implies that a great change has occurred from the existing li ti ch'i yong (理體氣用) metaphysics to the new li ch'eng ch'i chi (理乘氣機, the principle rides upon the chi of the ether) metaphysics. This important thesis nevertheless has not been discussed in either traditional Confucian circles or contemporary academic circles. It might b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new metaphysical theory elaborately designed by Chu Hsi. A Neo-Confucian, Ki, jung-jin of the Chosun Dynasty, 600 years after Chu Hsi's death, would like to rectify the many other Neo-Confucians' misunderstanding of his times. It is possible in theory of principle and ether that his keen insight is good for contemporary researchers of Chu Hsi' Neo-Confucianism. The author in the essay discusses Ki jung-jin's theor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 and ether. Chu Hsi's doctrine of the principle rides upon the chi of the ether (理乘氣之機) is one of the most central Neo-Confucian propositions. The author asserts that Ki jung-jin was well aware of Chu Hsi's stance on the issue. The present essay argues that Ki jung-jin did not intend to found a new theory, but to re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 and ether according to Chu Hsi's Neo-Confucianism.

      • KCI등재

        주희(朱熹)의 호상학(湖湘學) 비판에 관한 연구 : 공부론을 중심으로

        김기현(Kim, Kee-Hyeon) 한국동양철학회 2020 동양철학 Vol.- No.53

        24세에 공직을 시작하면서 公敎育 현장의 실태를 목도한 주희는 이를 계기로 본인및 모든 학인을 위한 바람직한 工夫論을 건립하려는 문제의식을 갖게 된다. 그 후 스승 李侗의 지도하에 道南學의 공부방법을 수행해보았으나 확실하게 얻은 것은 없었다. 스승의 서거 후 湖湘學을 익히면서 비로소 자신의 思惟에 의한 학설을 말하게 되는데 이 시기에는 사실상 호상학의 공부방법을 수용했다고 할 수 있다. 新儒學의 공부론을 정립해가는 과정에서 이렇게 中和舊說 시기에 호상학의 공부방법을 수용했던 주희는 40세에 中和新說을 확정한 이후로는 줄곧 호상학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비판하였다. 그렇다고 호상학에 대한 주희의 비판을 호상학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으로본다면 이는 적절하지 않다. 주희는 일관되게 主體的으로 사유해가는 가운데 자신의문제의식에 의거하여 새로운 공부론을 건립해갔던 것이고, 이 과정에서 호상학은 일정한 의미를 갖는다. 주희의 비판에는 호상학의 공부론을 오해한 부분도 있고, 한편으로 新儒學의 공부론이 어떠한 特長을 갖는지를 확인시켜 주는 부분도 있다. Chu Hsi, who was first appointed a public educational supervisor at the age of twenty-four, decided to establish the optimal theory of moral cultivation for himself and for others, after he witnessed the actual state of public education. Afterwards, he attempted learning the necessary skills from the Dao-nan school under the guidance of Lee Tung, but there were no clear results. Chu Hsi finally established his own theory on these concepts after the death of his teacher, while studying the Doctrine of the Hu-xiang School. However, at this point, it can be said that he had actually accepted the theory of moral cultivation of the Hu-xiang School. Chu Hsi had partially accepted the theory of moral cultivation of the Hu-xiang School based upon the old theory of equilibrium and harmony while establishing the theory of moral cultivation from Neo-Confucianism. After confirming the new theory of equilibrium and harmony at the age of forty, he pointed out and criticized the underlying problems of the Hu-xiang School. However, it is inappropriate to say that Chu Hsi completely rejected all of the ideas proposed by the Hu-xiang School as he simultaneously criticized it. Chu Hsi was an independent thinker who established a new theory of moral cultivation based on his own keen, critical mind, and the Hu-xiang School played a fundamental role in instigating this process. Chu Hsi’ s criticisms contain somemisunderstandings on the theory of moral cultivation as defined by the Hu-xiang School, while still confirm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moral cultivation as set out by Neo-Confucianism.

      • KCI등재
      • KCI등재

        성리학의 경(敬)공부가 갖는 특수성에 관하여

        김기현(Kim Kee h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7

        경(敬)은 공자 이래 유교의 윤리사상에서 어느 시대에나 중요시되어 왔다. 특히 송대(宋代) 에 성리학이 출현한 이후로는 필수적인 공부가 되었는데, 조선조의 윤리사상에서는 퇴계 이 황을 위시하여 남명 조식 및 율곡 이이에 이르기까지 주요 윤리사상가들 중에 경을 중요시하 지 않은 이가 거의 없다. 이 글에서는 유교 윤리사상의 경을 덕목으로서의 경과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으로 구분하고 서 중국과 한국의 윤리사상 역사에서 하나의 전통이 되어 있는 덕목으로서의 경과 북송(北 宋)시대 정(程)씨 형제에게서 시작된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을 종합적으로 조명하고자 한다. 공부방법으로서의 경은 성리학 이전에는 없었고, 성리학 이후에도 사실상 오직 성리학에서 만 필수적인 공부방법이 되었을 뿐 다른 체계에서는 공부방법이 되지 않았다. 또한 이것을 처음 제시한 정이(程頤)의 경공부론도 그 문하에서는 뚜렷하게 전승되지는 못하다가 남송의 주희(朱熹)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확실하게 성리학의 공부방법으로 확정된다. 향후의 도덕윤리 교육에서는 이 두 가지 경에 대하여 어느 것을 어떻게 연구하고 어떻게 교육에 활용할 것인 지를 다 함께 논구해야 하겠다. Jing has been a noteworthy concept in Confucian ethics ever since Confucius‘ age. Especially in Neo-Confucianism of the Sung Dynasty, it became essential in Neo-Confucian moral self-cultivation. And it was considered very important by all the major Neo-Confucians of the Chosun Dynasty, such as Lee-T’oegye, Cho-Nammyeong, and Lee-Yulgok. Dividing Jing into the categories of virtue and a method of self-cultivation,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 on Jing, which is an important virtue in the tradition of Chinese and Korean ethics and also has been a method of self-cultivation, which the Cheng brothers developed during the North-Sung Dynasty. There was no Jing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before Neo-Confucianism arose. Even after the emergence of Neo-Confucianism, Jing, as a method of self-cultivation, did not belong to any Confucian thoughts, but was established as an indispensable part only present in Neo-Confucianism. And the theory of Jing proposed by the Cheng brothers scarcely passed from the masters to their disciples: it was determined by Chu Hsi of the South-Sung Dynasty. The author thinks that co-operation for ethics education is necessary to the study and use of these two kinds of Jing.

      • KCI등재
      • KCI등재

        『소학』 저술과 ‘미발 함양’ 공부의 상관 관계

        김기현(Kim, Kee-hye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7 도덕윤리과교육 Vol.- No.57

        본 논문은 『소학』이 아동 교육을 위한 교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윤리교육에 대한 주희(朱熹)의 확고한 이론(공부론)과 신념이 구현(具現)된 저술임을 논구한 것이다. 주희는 스승 이통(李侗)으로부터 미발시(未發時)의 함양공부가 필수이고 관건임을 지도받는다. 그 후 호상학(湖湘學)을 수용하면서 세운 자신의 중화구설(中和舊說)에 미발시 함양공부가 결여되어 있음을 발견하고는 미발시 함양공부를 포함하는 중화신설(中和新說)을 확정짓는다. 주희 신유학(新儒學)의 공부론에서는 미발공부와 이발공부 중 미발시(未發時)의 함양공부가 근본적이고 우선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미발시란 일상생활 중 희노애락 등의 정서가 아직 발동하지 않은 상태를 지칭한다. 미발시 함양공부의 핵심은 거경(居敬)이다. 그리고 오륜(五倫)은 이 경(敬)공부와 함께 『소학』의 실질적 내용을 구성하는 두 축이다. 오륜의 윤리규범을 몸에 익히게 하려는 『소학』의 함양공부가 미발에 속할 지 이발에 속할 지에 대해 이 논문에서는 미발시(未發時) 함양공부로 결론낸다. 성리학에서 대학공부는 사물의 이(理)를 궁구하는 공부이고, 소학공부는 사(事)를 익히는 공부이다. 어려서부터 쇄소응대(灑掃應對) 등등의 일상적 윤리 규범(즉 事)을 능숙하게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하는데, 이 미발시의 함양공부를 구체적으로 체계화한 교과서가 『소학』이다. This study discusses that 『Xiaoxue』 is not just an educational material for children but also a book in which Chu Hsi’s firm theories and beliefs regarding moral education are realized. From Lee Tung, his Master, Chu Hsi learned that it is essential and important that one should cultivate oneself before the feelings of pleasure, anger, sorrow, and joy are aroused yet (wei-fa). Then Chu Hsi accepted Huxiangxue, and developed and established the old theory of equilibrium and harmony. As he found that han-yang after the feelings have been aroused(yi-fa), was not specified in his old theory, he later developed the new theory of equilibrium and harmony which includes han-yang in the state of wei-fa. In the theory of self-cultivation under Chu Hsi’s Neo-Confucianism, the wei-fa cultivation is recognized as more fundamental and preferential than the yi-fa cultivation. The wei-fa refers to a psychological state in which the feelings of pleasure, anger, sorrow and joy are not aroused in everyday life. A key of the wei-fa cultivation is Ju-jing. In addition, the Five Moral Norms is the other pillar that, along with the study on Ju-jing, constitutes substantial parts of 『Xiaoxue』. Concerning whether han-yang specified in 『Xiaoxue』, which intends to help practice the rules of ethics of the Five Moral Norms, belongs to the state of wei-fa or yi-fa, this study concludes han-yang is in the state of wei-fa. In the Neo-Confucianism, 『Daxue』, or the Great Learning, involves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principles of things, while the study on 『Xiaoxue』, or the Elementary Learning, relates to the learning of actual practices. From childhood, one should cultivate the ability to practice the rules of ethics in everyday life, e.g. housekeeping, taking care of guests, standing in attendance, etc., and 『Xiaoxue』 is a textbook which systematizes elements related to han-yang in the state of wei-fa.

      • KCI등재

        공부론(工夫論)의 관점에서 본 퇴계 성리학과 양명학의 차이성(差異性)

        김기현(Kee Hyeon Kim) 퇴계학부산연구원 2009 퇴계학논총 Vol.15 No.-

        성리학과 양명학은 모두 理의 具現을 최종 목적으로 하지만 성리학은 양명학의 心卽理 명제를 긍정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성리학의 泰斗인 李退溪는 理의 "發·動·到"를 긍정하였다. 이에 따라 1980년대 이후로 특히 외국의 연구자들이 퇴계 성리학에 주목하여 理發說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해 왔다.현대 연구자들의 주된 관심은 퇴계의 성리학이 과연 朱子學을 벗어났는가의 여부에 있다. 우리의 논의는 工夫論의 관점에서 이 문제를 확인해 본 시도이다. 기존의 연구자들이 理 개념을 놓고 퇴계의 해석이 본래의 주자의 개념으로부터 얼마나 달라졌는가를 탐구하였다면, 저자는 퇴계의 성리학설이 工夫論 면에서 과연 성리학의 노선에서 離脫한 것인지의 여부에 답한다.저자에 의하면, 퇴계의 성리학설은 성리학의 공부론에서 조금도 비켜나가지 않았으며, 陽明學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볼 만한내용 또한 없다. Chu Hsi's philosophy denies Wang Yang-ming's proposition that principle and the mind are one(心卽理), though both Chu Hsi's and Wang Yang-ming's Neo-Confucianism is a philosophy of principle. Nevertheless, Yi T'oegye, so called the Chu Hsi of Korea, held that principle could assume the role of a transformative agent. Since the 1980's, therefore,especially to foreign scholars who had reached convergence of opinion on what may be called the general thrust of Chu Hsi's thinking on principle, Yi T'oegye's doctrine of principle's issuance(理發說) has emerged as the focal point in the study of Yi T'oegye's philosophy of principle.Modern scholars take note of the question whether or not Yi T'oegye's rethinking of Chu Hsi's philosophy went beyond what may be called the Chu Hsi line, and the author also deals with this question. While earlier scholars have explored the question whether or not Yi T'oegye's interpretation had represented a remarkable improvement on Chu Hsi's original formation of the idea of principle, the author answers the question whether or not Yi T'oegye's interpretation led to any significant change in the original theory of moral self-cultivation.The author asserts that Yi T'oegye did not significantly improve on either the form or the content of Chu Hsi's theory of moral self-cultivation, and that Wang Yang-ming's philosophy of principle had no influence on Yi T'oegye's philosophy.

      • KCI등재

        율곡(栗谷)의 ‘칠정포사단(七情包四端)’ 명제가 함의(含意)하는 두 가지

        金起賢 ( Kim Kee-hyeon ) 한국유교학회 2013 유교사상문화연구 Vol.54 No.-

        율곡은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다(七情包四端)’는 명제를 세웠다.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는 七包四 진술은 퇴계와 고봉 간의 제1차 사단칠정 논변에서 이미 고봉이 제기하였고, 퇴계 또한 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율곡의 七包四 명제는 퇴계ㆍ고봉을 비롯하여 많은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칠포사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의미들을 함의한다. 이 글은 그 차이를 두 가지로 정리하여 드러낸 것이다. 일반의 성리학자들이 말하는 七包四는 다음 두 사실을 前提로 하고서 칠정은 사단을 포함한 모든 情의 전체집합 명칭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첫째, 四端과 七情은 근본적으로 성격을 달리 하는 두 부류의 情의 집합이며, 둘째, 사단의 善ㆍ惡과 칠정의 선ㆍ악은 각각 긍정된다. 반면에 율곡이 말하는 七包四는 사단을 별도의 한 부류의 情 집합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율곡에 따르면 사단은 칠정 중 善한 정들의 일부를 지칭한다. 그리고 어느 情이 되었든, 모든 정은 도덕가치와 직접 관련이 있다. Lee Yul-gok confirmed the proposition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The perception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had already been proposed by Ki Ko-bong in the 1st four-seven debate; the opposite debater Lee T’oe-gye did not deny the perception. However, Lee Yul-gok’s assertion has different meanings which distinguishes it from the perception of other Neo-Confucians, including Lee Toe-gye and Ki Ko-bong. Focusing on these two points, the author discusses the differences. Usually, the term “seven feelings” of saying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means the whole human emotions, and the saying is based on two assumptions: one,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are two different collections of human emotions, namely two categories of human emotions; and two, good or bad of the four beginnings are distinguished from the good or bad of the seven feelings. On the other hand, by saying that the seven feelings include the four beginnings, Lee Yul-gok did not place the four beginnings under another category of human emotions. According to Lee, the so-called “four beginnings” refers to some good ones of the seven feelings. And whatever the case, none of the human emotions is irrelevant to moral value.

      • KCI등재

        주자학의 미발(未發) 개념 정립 과정

        김기현(Kim, Kee-hyeon) 한국양명학회 2016 陽明學 Vol.0 No.44

        이 글은 남송의 주희에 이르러 정립된 주자학의 미발(未發) 개념을 주희의 문제의식을 따라 추적해 가면서 그 정립 과정을 고찰한 것이다. 주희는 스승인 도남학 계열의 이통의 지도를 받으면서부터 희로애락 미발시의 공부에 적극적으로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후에 장식을 통해 호상학의 양심의 싹[端倪]을 찰식하는 공부법을 접하면서 마침내 자신의 미발이발설을 세우게 되었다. 그러나 일련의 사유(思惟) 과정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는 최종적으로 40세에 자신의 중화신설을 확정짓기에 이른다. 기존의 연구들이 주희의 중화구설과 중화신설을 상세히 논의하고 있지만, 주희의 문제의식을 따라 가면서 주희의 사유 과정 및 미발 개념 정립 과정을 고찰한 경우는 찾기 어렵기에 본 논문은 이 점을 중심으로 주자학의 미발 개념정립 과정을 논의한 것이다. This essay investigates the establishing concept of Wei-fa(未發) in Neo-Confucianism, following Chu Hsi’s discussions and thinking. Under the tutelage of Master Lee, Chu Hsi had begun to actively participate in self-cultivation Wei-fa of human feelings. After the Master died, a young scholar, Chang Shih, taught Chu Hsi self-cultivation of Hu-Nan School how to examine and recognize clues of the conscience. Over time, however, he grew dissatisfied with some of the School’s theory, and by the age of 40 had established his own conception of Wei-fa. Although researchers discussed the old and new theory of Wei-fa, few studies exist on Chu Hsi’s establishing concept. In this paper, the author argues details on Chu Hsi’s Neo-Confucianism’s establishing concept of Wei-f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