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EA를 이용한 경기도 노인복지관 효율성 분석

        김금환,박애경,유서현,이남식,Kim, Keum Hwan,Pak, Ae Kyung,Ryu, Seo Hyun,Lee, Nam Sik 한국벤처창업학회 2013 벤처창업연구 Vol.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인복지관별 효율성 수준과 효율성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가 둘째, 어느 요소들이 노인복지관별 효율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이 직면한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효율성 측정방법을 검토하고, 그 중에서 상대적 효율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과 DEA/AP 수정모형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복지재단(2009)이 발표한 경기도 소재 29개 노인복지관의 20개 시군지역별 평가자료로 한정하였으며, 비모수 통계기법인 DEA분석을 실시하여 20개 시군 단위의 지역별 노인복지관 운영의 효율성 정도 및 비효율의 원인과 정도, 참조할 수 있는 지역 등에 대해 유효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었다. 효율성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이 규모의 효율성에서 비롯되는지 여부를 규명하였고, 준거집단을 제시함으로써 비효율적으로 평가된 노인복지관이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참조해야 할 준거노인복지관을 제시하였다. 또한, 비효율적인 경우 어떤 투입요소에서 발생하였는지?, 얼마만큼의 투입량을 증감시켜야 하는지?, 그리고 어느 투입요소를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효율적인 노인복지관이 되는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시 군 단위의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개별 노인복지관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시 군 단위의 지역간 비효율성 정도, 개선목표, 참조집단에 대한 시사점 도출 등 노인복지관에 대한 전반적 효율성 평가 방향, DEA모형 적용의 유용성 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적지 않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cause of differences among senior welfare centers in that regard, and to investigat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and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What methods would be effective at assessing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taking into account their circumstances was reviewed, andpost-hoc analyses were made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DAE/AP Modified prosthetic which were useful tools to evaluate relative efficiency. After 20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were selected, their yearly operating data of 2009 were util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The evaluation data released by the Gyeonggi Welfare Foundation were analyzed by DEA, which is one of nonparametric statistics, and it was possible to obtain significant results on the regional operating efficiency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14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he causes and degree of their inefficiency and what areas one could refer to. As the data for the counti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it's not quite possible to produce accurate results on the relativ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but this study could be said to be of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how to evaluate the overall operating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the counties involving the degree of their operating inefficiency,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and what reference groups there might be and provided information on the usefulness of the DEA model.

      • KCI등재

        사회적기업의 지역별 분포 특성 분석

        김금환,강영숙,Kim, Keum Hwan,Kang, Young Sook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1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그들을 대상으로 사회서비스를 제공한다. 사회적기업의 주요 수요자인 고령자, 장애인등의 취약계층은 이동 및 접근성에 많은 제약을 받게 되므로 사회서비스 제공자들은 무엇보다도 이들의 접근성을 고려하여 입지를 결정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입지를 결정할 경우에는 일반적인 기업들의 입지결정원리와는 달리 지역의 사회서비스 수요를 우선적으로 고려한 입지를 선택하는 것이 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 기업 뿐만 아니라 사회적기업에게 제공되어지는 제 공급측면의 요인과 수요측면의 요인들은 생산제품의 종류, 수요처의 집중, 인력 분포 등의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전국 국토공간에 무차별적으로 불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지역별로 분포되어 운영중에 있는 사회적기업의 지역별 분포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입지상계수(LQ)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우리나라 사회적기업의 지역별 분포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민간의 사회서비스 공급자로 기능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적기업의 지역별 분포 상태와 분포 특성을 밝혀내는 것은 앞으로의 사회적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입지 및 성장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Social enterprises provide the job and social service to the weak classes at the same time. As the weak classes such as the aged and disabled who are the main consumers of social enterprises are restricted in moving and gradual approach, so social service providers are required to decide the location by considering their gradual approach more than anythingelse. Therefore, in case of deciding the location of social enterprises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else for the social enterprises to select the location by considering the demand of social service of the region preferentially unlike the principles of deciding the location of ordinary enterprises. However, it has been expected that the main causes of various supplying and consuming sides which are provided not only to the ordinary but also the social enterprises might be distributed indiscriminately and unequally in the space of national land by diverse main causes such as the kinds of the products, concentration of the consuming sides, manpower distribution and others, and in this study, what have been used for the examination of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which have been operated by being distributed regionally were LQ technique, and the reg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of Korea have been suggested after having them analyzed. This study has the aim of providing the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olicies for the promotion of social enterprises in the future by clarifying the present situ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s of Korea which have been functioning as the suppliers of private social service, and what are required at this time are the political support and social agreement for the location and growth through continuous studies.

      • KCI등재

        DEA를 이용한 노인복지관 의료복지사업 효율성 분석

        김금환,Kim, Keum Hwa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3 벤처창업연구 Vol.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노인복지관별 효율성 수준과 효율성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가 둘째, 어느 요소들이 노인복지관별 효율성 차이에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의 크기는 어느 정도인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이 직면한 환경을 반영할 수 있는 효율성 측정방법을 검토하고, 그 중에서 상대적 효율성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DEA)과 Tobit 분석을 포함한 다양한 DEA 사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24개 노인복지관으로 한정하였으며, 2011년도 1년간의 운영자료를 이용하였다. 또한, 노인복지관 서비스제공 사업영역중 의료복지사업에 한정하였으며, 상근근무자 등 내적요소만을 투입요소로 하는 모형1과 지역내 노인인구를 포함하는 모형2로 구분하였고, 각각 CCR분석과 BCC분석을 진행하여 유효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한계성에 대해서는 후속적인 보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는 DEA 모형을 이용한 노인복지관의 효율성 분석을 위한 일반적 규범을 제시하였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 결과값을 이용한 다양한 사후분석의 통합연구를 통해 노인복지관의 운영서비스와 관련하여 많은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적지 않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and the cause of differences among senior welfare centers in that regard, and to investigat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differences in efficiency and the size of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What methods would be effective at assessing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taking into account their circumstances was reviewed, and post-hoc analyses were made by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DEA) and Tobit analysis, which were useful tools to evaluate relative efficiency. After 24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their yearly operating data of 2011 were utilized. In this study, we set limits to the medical welfare of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business, and divided into model 2 including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region and model 1, input factors for only internal factors, such as full-time workers. We calculated a valid result by proceeding a BCC analysis and analysis of CCR respectively. A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ollow-up research should be implemented. Yet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ed to present general norms for the efficiency analysis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using a DEA model and made various post-hoc analyses based on the efficiency data to give significant suggestions on the service of senior welfare centers.

      • KCI등재

        노인복지시설의 경영가치 추정 분석

        김금환,박애경,조순점,Kim, Keum Hwan,Pak, Ae Kyung,Joe, Soon Joem 한국벤처창업학회 2013 벤처창업연구 Vol.8 No.1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노인복지시설 운영지출에 의해 이용노인들이 얻게 되는 효과인 사회적 편익, 즉 경영가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노인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해 제공되는 복지서비스를 통해 지역 노인들은 가족들의 경제활동 참여기회 제공, 질환 예방 및 건강증진 기회제공, 삶의 만족감 제고 등의 다양한 영향을 발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시설 이용시 노인들이 얻게 되는 편익을 AHP분석기법을 적용하여 운영가치를 산출하였다. 수도권지역 P노인복지관의 사례를 적용한 결과 노인복지관 운영에 의한 이용가치는 248.4억원으로 추정되었으며, 이 중에서 비용요소에 의해 발생하는 기여효과는 전체의 23.1%인 57.3억원으로 분석되었으며, 자립요소 57.6억원(23.2%), 치료요소 133.4억원(53.7%)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노인복지예산 및 서비스를 소비지출 및 소모성 혜택 정도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요인으로 작용하는 현 시점에서 노인복지정책에 대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The social welfare service is expanding to different field as the social welfare budget is increasing. By this opportunity, it needs to make clear of the basis of argument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korean government's support and aid by social policy should be worked. Welfare economics perspective, this study used by the operating expenditure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old people to effect social benefits to be gained, in other words, business value analysis. Local elderly people, provide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the economic activities of the family welfare services offered to attainment of the elderly welfare policy, and provide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opportunities, to enhance the satisfaction of life, including a wide range of impact will cause. In this study, elderly people use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hen they get the benefits by applying the AHP analysis techniques operating value was calculated. Elderly Welfare Center operated by the result of applying P senior welfare center Case of the metropolitan area value was estimated 248.4 billion won. Contribute to the effects caused by the cost factor of the analysis was 23.1% of the total 57.3 billion won. Independence elements 57.6 billion (23.2%), the analysis of the therapeutic elements 133.4 billion (53.7%) of the net was. The result of the study anticipates the role of basic research material for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support, and aid by the Welf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field at this point in time where the welfare budget policy in terms of universal social service is reinforced, rather than the trend, until recently, of realizing the Elderly welfare budget and service as Consumption expenditure and consumable benefits and the function of performing the effect and evaluation in tentative action of social conflict.

      • KCI등재

        서울시 사회복지 예산지출의 계량적 효과 분석

        김금환,조순점,Kim, Keum Hwan,Joe, Soon Joem 한국벤처창업학회 2014 벤처창업연구 Vol.9 No.2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지자체인 서울시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사회복지관련 예산 지출이 서울지역 및 타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계량적으로 살펴보았다. 사회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한 예산 지출은 기업 및 개인의 소비행위를 연속적 및 직 간접적으로 파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산업연관표를 재 작성하여 사회복지 예산 지출의 경제적 효과로써 생산, 부가가치, 고용, 취업 등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계량적으로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지자체인 서울시의 사회복지관련 예산지출에 의해 연간 10조 2백억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며, 6조 4,936억원의 직간접 부가가치를 파급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32,992.3명의 고용 및 203,430.3명의 취업을 창출시키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복지 예산 지출을 소비지출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현 시점에서 복지 분야에 대한 정부 및 서울시의 사회복지정책에 의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판단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Budget for social welfare social welfare with a sharp increase in business is to be expanded in various fields. At this point, do the social welfare policies of local governments and assistance projects support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justification and rationale for concluding that we need clarity, and welfare economics point of this study is related to social welfare spending budget and other areas in Seoul quantitative effects of the economic effects were investigated. Social welfare policy for the achievement of corporate and personal consumption spending behavior is continuously and directly or indirectly derived thereby, and Seoul Industry Input-Output Tables in this study to re-create the social welfare spending as the economic effects of production, value added, employment, work and how do you contribute to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suggested. Municipal social welfare spending in Seoul by the annual production of 10.02 trillion won sikimyeo caused, directly or indirectly Article 6 billion in 4936 to spread the value was analyzed. In addition, employment and 203,430.3 132,992.3 people letting people was estimated to generate employ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welfare spending and social spending in the atmosphere is recognized as a social and financial pressures caused controversy at the present time factor in the welfare sector and the government's social welfare policy in Seoul, intervention and support and assistance of the the validity of the justification debate eventually be support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depends on whether we believe in, and for this study it as a basis for presenting the fundamental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addition, Korea is not a welfare budget is spent volatile social and economic impact on a variety of industries that derive a significant number were found in this study, continued political support and social consensus through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후보

        장애인복지비 지출의 파급효과 분석

        김금환,박애경,김윤재,Kim, Keum-Hwan,Pak, Ae-Kyung,Kim, Youn-Jae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3

        사회복지관련 예산의 급격한 증가가 함께 사회복지관련 사업도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사회복지정책을 수행하는 정부 및 지자체에 의한 지원과 보조사업 추진의 당위성 및 논거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후생경제학 입장에서 장애인복지관련 예산이 국가경제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장애인복지정책의 달성을 위한 예산 지출은 기업 및 개인의 소비행위를 연속적 및 직 간접적으로 파생시키게 되며, 본 연구에서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장애인복지예산의 경제적 효과로써 생산, 부가가치, 고용, 취업 등에 얼마나 기여하는가를 계량적으로 추정하여 제시하였다. 수도권 3개 지자체의 장애인복지관련 예산지출에 의해 연간 1조 3천억원의 생산을 유발시키며, 8,015.9억원의 직간접 부가가치를 파급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17,673.2명의 고용 및 26,825.2명의 취업을 창출시키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장애인 사회복지예산을 소비지출로 인식하는 사회분위기 속에서 사회적 논란 야기 및 재정압박 요인으로 작용하는 현시점에서 복지 분야에 대한 정부 및 지자체의 장애인복지정책에 의한 개입 지원 보조의 당위성 논의의 타당성은 결국 실증적인 분석을 통하여 뒷받침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고 사료되며, 본 연구는 이를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복지예산은 소멸성 지출이 아니며 우리나라 사회 경제에 다양한 영향을 파생시키는 중요한 산업임을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지속적 연구를 통해 정책적 지원 및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The social welfare service is expanding to different field as the social welfare budget is increasing. By this opportunity, it needs to make clear of the basis of argument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Korean government's support and aid by social policy should be worked. This research dealt with the national economic effect in relation to welfare for the disabled in terms of welfare economics. Budget spending for the achievement of welfare for the disabled makes an enterprise or a person spend money continually either in a direct or indirect way. This study shows by the use of analysing the related production effects, as an economical influence of welfare for the disabled budget assuming by means of measuring. The results are analyzed that the production of one trillion and three hundred billon won is annually caused and 8,015.9 hundred million won of the direct and indirect added value is caused by the welfare of the disabled budget expenditure of three local governments of capital area. And it is also assumed it creates employment cause personnel (17.673.2 person) and job cause members (26.825.2). The result of the study anticipates the role of basic research material for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support, and aid by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revised policy for the disabled welfare field at this point in time where the welfare budget policy in terms of universal social service is reinforced, rather than the trend, until recently, of realizing the social welfare budget as consumption expenditure and the function of performing the effect and evaluation in tentative action of social conflict.

      • KCI등재

        DEA 모형을 이용한 노인복지관의 지역별 효율성 분석

        김금환(Keum Hwan Kim),김윤재(Youn Jae Kim) 한국노인복지학회 2013 노인복지연구 Vol.0 No.60

        급속한 고령화 시대를 맞아 노인관련 예산의 증가와 노인복지관 시설의 확충이 이루어지져 전국적으로 281개소의 3,770명의 직원이 종사하고 있는 가운데 준공공기관인 노인복지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시설간 · 지역간 격차 발생 원인과 해소, 운영 효율성 제고, 운영의 비효율성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개선방안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가족부와 한국사회복지협의회(2009)가 발표한 평가자료를 이용 비모수통계기법인 DEA 분석을 실시하여 14개 광역시도 단위의 지역별 노인복지관 운영의 효율성 정도 및 비효율의 원인과 정도, 참조할 수 있는 지역 등에 대한 유효한 결과값을 산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광역시도 단위의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개별 노인복지관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광역시도 단위의 지역간 비효율성 정도, 개선목표, 참조집단에 대한 시사점 도출 등 노인복지관에 대한 전반적 효율성 평가 방향, DEA모형 적용의 유용성 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는 적지 않다 하겠다. There is an increase in the budget for the elderly and the number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today’s aging society, and 3,770 people engage in senior social welfare in 281 senior welfare centers that are quasi- public institutions. It’s urgently required to find out what causes individual disparities and regional divide among senior welfare centers in welfare services, and a variety of reform measures should be taken to get rid of the gaps among senior welfare centers, to redress their operating inefficiency and ultimately to bolster their operating effici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The evaluation data released by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and the Korea National Council on Social Welfare were analyzed by DEA, which is one of nonparametric statistics, and it was possible to obtain significant results on the regional operating efficiency of social welfare centers in 14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the causes and degree of their inefficiency and what areas one could refer to. As the data for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were utilized in this study, it’s not quite possible to produce accurate results on the relative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but this study could be said to be of significance in that it suggested how to evaluate the overall operating efficiency of senior welf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involving the degree of their operating inefficiency, what improvements should be made and what reference groups there might be and provided information on the usefulness of the DEA model.

      • KCI등재후보

        방문요양센터 조직특성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울시 요양보호사 중심으로-

        서영희,김금환,Seo, Young Hee,Kim, Keum Hwan 한국벤처창업학회 2012 벤처창업연구 Vol.7 No.4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조직특성 직무태도 등에 따라 수급자인 노인들이 인식하게 되는 만족정도는 달라지게 되며, 이들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여야 할 필요성이 있음에 따라 요양보호사들이 인식하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서울지역 방문요양센터에 소속되어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들을 대상으로 업무자율성, 보상, 교육과 개발, 구성원 상호관계 등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조직특성 요인이 직무스트레스의 인식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방문요양센터에 소속되어 근무하는 요양보호사는 근무시간이 짧을수록, 월급여가 많을수록, 업무자율성이 보장될수록, 구성원들과의 상호관계성이 좋을수록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으로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방문요양센터 운영자들은 요양보호사들의 근무조건인 1일 근무시간과 급여수준에 대한 개선 뿐만 아니라 직장에서의 구성원 상호간의 유대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며, 통제와 규제보다는 요양보호사들이 업무에 대해 책임을 갖고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조직환경을 개선해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care-workers-perceived job stress level according as the elderly-perceived satisfaction varies depending on care worker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 attitudes toward work, and there's necessity of reducing their job stress. Hereupon, this study, targeting the care workers at domiciliary visit care centers in Seoul district, analyzed the influential factors of organizational factors consisting of the sub-factors, such as job autonomy, compensation, education and development, members' interrelationship, etc. on the perception level of job stress.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shorter their working hours, the more their salary, the more guaranteed their job autonomy, and the better their interrelationship is, the care workers at a domiciliary visit care center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job stress. Accordingly, the operators of domiciliary visit care centers are requested to have a lot more concerns for diverse forms of improvements which can not only improve care workers' working conditions, such as daily working hours and a pay level but also promote a sense of fellowship between member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the operators should improve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so that care workers can freely carry out their assigned business with a sense of responsibility rather than relying on control and regulation.

      • 기혼직장여성의 부부갈등이 일 만족에 미치는 영향

        최은숙(Eun-Suk, Choi),김금환(Keum-Hwan, Kim)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기혼직장여성이 인지하는 부부간의 갈등요인이 직장에서의 일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여성의 심리적 부담과 정서상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 및 서비스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여성가족패널조사 5차년도 자료 최종 응답자 7,746명 중에서 기혼직장여성 3,183명의 응답자료를 최종적으로 사용하여 분석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부부관계 즉, 남편과의 질적인 유대관계는 여성의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미치고 일만족에 중요한 요인이므로 이에 대한 대안도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부부갈등은 여성의 심리적 요인을 통해서 일만족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일만족은 부부갈등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어 기혼 직장여성의 일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도 역시 필요하다. 업무 자체의 부담보다는 일만족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그 조직의 성차별문화가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경직되고 일 중심적인 조직 문화를 가족친화적 조직 문화로 변화시켜 나가야 한다. In this research, we confirm how conflicting factors of married couple recognized by married workplace satisfy work in workplace and alleviate the problem of psychological burden and emotion of women We tried to present policies and services that can be done. For this reason, we finally used the response data of 3,183 women in married workplace out of 7,746 final respondents in the panel survey of the family survey for women in the fifth year, presenting the analysis results and presenting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did. First, in this study, an alternative to this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as it is an important factor for satis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couples, that is, qualitative relationships with husbands, affecting psychological factors of wome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flict between the couple can change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through the psychological factor of the woman. Secondly, there is also a need for measures to improve work satisfaction of women in married work places, as work confidence is confirmed to be significantly affected by couple s conflict. It is not a burden of the business itself, but as a factor impeding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since the organization s gender discrimination culture is acting, it is being rigidified, changing the central organizational culture of work into a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culture I have to do.

      • 교통복지 관점에서 교통약자 이동권 향상 방안 연구

        한치영(Han, Chi Young),김금환(Kim, Keum Hwan) 한국복지실천학회 2021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요 개선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별교통수단 이용 대상자는 휠체어를 탑승하는 중증 교통약자중에서 버스·지하철·택시 등의 이용이 어려운 사람으로 이동에 심한 불편을 느끼는 반드시 필요한 사람과 보호자로 제한해야 한다. 둘째, 경증 교통약자를 위해서는 일반 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바우처 택시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셋째, 농어촌이나 산간벽지 등에서 운행하는 버스에 대하여 수요자 중심의 수요대응형 교통서비스, 탄력적 정류장 정차, 지선노선 등의 도입으로 탄력적 운행을 지원해야 한다. 넷째, 버스 운전기사 및 교통서비스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등 특정 교육을 이수한 경우에만 지속적인 업무 종사가 가능하고 추가 수당을 지급하는 유인정책의 도입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통복지 대상자의 범위에 현재의 법적 교통약자로 분류되어 있는 신체적 교통약자와 함께 경제적 및 지역적 교통약자를 포함하여 교통복지의 특성에 따른 개념을 새롭게 정리하고, 이를 통하여 다양한 교통약자를 위한 교통복지 서비스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관한 시사점 및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main improvement measures presen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below. First, the people who use special transportation are those who have difficulty in using buses, subways, taxis, etc. among the severely vulnerable people who board wheelchairs, and those who absolutely need it and who feel terrible inconvenience in traveling. Must be restric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voucher taxi system that allows general taxis to be used for people with mild traffic vulnerabilities. Thirdly, for buses operating in agricultural and fishing villages and mountain wallpaper, it is necessary to support elastic operation by introducing consumer-centered demand-responsive transportation services, elastic stops, and branch lines. Fourth, the introduction of a manned policy that allows continuous work engagement and provides additional allowances only when specific education such as education for improving awarenes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taken for bus drivers and transportation service-related workers. is necessary. Through this research, we have newly organized the concept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welfare, including the physically vulnerable people who are currently classified as legal traffic vulnerable people in the range of traffic welfare people, as well as the economic and regional traffic vulnerable people. It is hoped that through this, various vulnerable people will be able to provide suggestions and basic materials on how traffic welfare services should be structu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