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시종 시의 공간성 표현과 ‘재일’의 근거

        김계자(Kim, Gae Ja)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7 No.-

        본 논문은 재일코리언 김시종 시인의 시 창작 방법에 보이는 공간성 표현이 재일의 실존적 삶과 근거로서 작동하는 기제를 분석한 것으로, 확장되는 공간 인식과 ‘재일’의 원점으로 회귀하는 과정을 통해 ‘재일’의 의미를 기점과 확장되는 공간으로 생각해본 것이다. 김시종은 해방 이후에 제주도 4․3항쟁에 가담했다가 당국의 단속을 피해 일본으로 건너간 이래 재일의 삶을 살고 있다. 그는 1955년에 낸 첫 시집 『지평선』에서 망명자가 갖는 노스탤지어를 끊어내고 인식의 전환을 통해 새로운 공간을 생성해가는 지점에서 재일의 실존적 의미를 모색했다. 그리고 1970년에 출간한 『장편시집 니이가타』에서는 북송선이 출항하는 니이가타를 38도선의 연장선상에 위치시켜 ‘재일’의 위치에서 한반도의 남북을 하나의 사정권으로 부감하는 구도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구도는 곧 조국에서는 넘을 수 없는 분단을 일본에서 넘는다는 발상으로 이어져 ‘재일’의 확장된 상상 공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카이노시집』(1978)에 그려진 이카이노의 공간성은 일본사회 속에서 ‘재일’이라는 대항적인 소수자의 로컬리티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집단적인 유대와 공동체 연속의 기제로 기능하고 있음을 노래하고 있다. 그런데 김시종 시 창작에서 보이는 ‘재일’의 삶은 공간적으로 위치 지워지고 확장되어가는 의미인 동시에, 한편으로는 화석처럼 굳어 풍화되지 않는 1945년 여름으로 끊임없이 회귀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와 같이 김시종의 시에 표현된 공간성의 표현은 ‘재일’로 살아가는 실존적 삶과 의미 확장을 보여줌과 동시에, ‘재일’의 근거가 해방의 시점에 근원적으로 닿아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meaning of spatial expressions represented in Kim, Shi Jong"s poems. The spatial expressions showed in Kim"s poems work as the mechanism of Korean-Japanese" existential life. Furthermore, they are to be connected to the starting point of ‘residing in Japan(Zainichi)’, which raises expansive spatial imagination. Kim, Shi Jong went to Japan in 1949 on a charge of 4․3 Uprising under the pressure of Korean authorities. Since then, he has lived in Japan. His first collection of poems Horizon(1955) showed the meaning of existential realistic life as a Korean-Japanese through the conversion of recognition. Also, in epic Niigata(1970), he had a new understanding of spatial imagination. Niigata is located in an extension of the 38th parallel of latitude. He thinks he can go over the division of Korea into north and south, which is impossible if he were in either side of the Korean Peninsula. It is ‘Zainichi’ that makes it possible to imagine spatially beyond the division. In addition, Icaino Anthology(1978) represents Korean-Japanese" locality contrasting to Japanese" one. At the same time, within the Korean-Japanese" living, it is said that topology of Icaino works as the mechanism of banding and maintenance of community. It is also worthy of notice that the meaning of his spatial expressions is fundamentally oriented toward the memory of liberation in 1945.

      • KCI등재

        근대 일본문단과 식민지의 문학자

        김계자(Kim Gae-ja)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1 아시아문화연구 Vol.22 No.-

        본 논문은 제국 일본의 문단에서 일본어로 글을 써 활동했던 식민지 조선의 문학자가 행한 대내외적 활동과 그 대표적인 작품을 살펴보고 있다. 그리고 조선의 문학자가 같은 식민지 경험을 하고 있는 대만의 문학자와 연대함으로써, 일제하에서 식민지 지식인으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공유한 김사량과 룽잉쭝의 문학에 나타난 의미를 살펴보았다. 식민지 조선의 문학자가 일본문단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하게 되는 것은 1930년대 이후이다. 장혁주, 김사량이 그 중심에 있었는데, 이들은 일본의 잡지 미디어를 통해 일본문단으로 적극 나아갔다. 장혁주는 당시 상업자본의 중심에서 식민지 문학을 의식적으로 포섭하려 한 종합잡지 『개조』를 통해, 김사량은 신흥문학의 거점으로 자리잡고자 한 문예동인지『문예수도』를 통해 서였다. 이들의 활동이 계기가 되어 일본에서는 조선문학 ‘붐’이 일었다. 무릇 문학은 정치사회적 문제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특히 제국의 언어 일본어를 통해 문학 활동을 해야만 했던 1930년대 식민지 문학자들에게는 선택지가 한정됐을 것이다. 그러나 문학자는 결코 시대적 상황에 수동적으로 머물지만은 않는다. 조선의 김사량과 대만의 룽잉쭝은 식민지적 연대를 통해 식민지 지식인의 문제를 공유하면서 문학 활동을 해나갔다. 김사량의 『빛 속으로』는 언어적 관점에서 경계적 사유의 개념을 끌어내고 있으며, 룽잉쭝의 『파파야 마을』은 제국과 식민지의 혼종적 공간을 보여줌으로써 제국과 식민지의 경계를 짓는 자체의 무의미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thesis discuss the colonial novelists’ works under Japanese Colony, containing Chosun and Taiwan. They wrote novels in Japanese, and made a debut in modern Japanese literary world. In that process, the novelists of Chosun and Taiwan recognized each other what living under Japanese colonialism as intellectuals was like. It was since in the 1930s that novelists of Colony Chosun wrote novels in Japanese literary world with the gloves off. Chang, Hyukju and Kim, Saryang were in this center. Chang was through the magazine Kaizo which would take the colonial literature earnestly under the strategy of commercial publication, and Kim through Bungeisyuto which would hold a place as a base in the new literature. That is, Chang and Kim went out to Japanese literary world through magazines published in Japanese empire. Thanks to their literary activities, Chosun literature boomed in modern Japan. Kim’s novel into the Light is questioning the meaning of writing in Japanese. And his critical suggestion raised the relations with the novelists of Taiwan which was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like Chosun. Taiwanese novelist Rung Ingzzhong who banded with Kim wrote a novel Papaya town, which represents the hybridism of empire and colony.

      • KCI등재

        <일반논문> : 환기와 소거, 그리고 일본어문학: 김석범의 『1945년 여름』

        김계자 ( Gae Ja Kim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4 翰林日本學 Vol.0 No.25

        本稿は日本の植民地から解放されて25年が經った時点で、「1945年夏」を喚起し、日本語で文學活動を再起した在日朝鮮人の金石範の文學を通して、「解放」と 「敗戰」という觀念と現實を越え、歷史的 な記憶を如何に語っていくかを、日本社會に向けて問うている金石範の問題意識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 金石範の自傳的な小說 ·1945年夏·は1971年から1973年まで發表した 「長靴」、「故香」、「彷 徨」、そして「出發」の四つの短編を長編に編んだもので、1974年に刊行された。小說の內容から見ると、 「彷徨」までは朝鮮解放の以前の時期を扱っており、「出發」が解放以降の時期を背景にしている。ところ が、「8-15」の記錄がない。「8-15」は解放から一ヶ月經った時点で、過去の記憶として追認される。 長編化する過程で、他のところは加筆が行われている反面、肝心な 「8-15」の記錄は物語の時間に沿っ て書かれておらず、後から追認される形で記憶されている語り方は興味深い。にもかかわらず、あえ て、「1945年夏」という題名の下に、前後の內容を配置して長編として構成している理由を考えなければな らないのである。 ·1945年夏·に描かれている 「8-15」を前後した記憶は、暴力で点綴されている。そして、言葉の問 題がこの記憶に干攝し咫延させている。解放を前後して日本から朝鮮半島へ、また、日本へ歸る、という 往復のなかで、觀念的に想像してきた祖國、祖國語と自分との間に隔たりがあり、越えがたい斷絶がある ことを作中人物は認識する。日本と朝鮮、そして、日本人と在日朝鮮人に暴力を受けながら、彼は 「解 放」と 「敗戰」のどちらにも加旦せずに、自分の進むべき道を求めていく。觀念や夢想の 「祖國」より、自 分の現實に沿った道に一步踏み出す決意をする彼の內面を通して、作者の金石範の日本語文學の意味 を探ることができる。 金石範は在日一世代として、意識的に日本語をもって文學活動を再開していこうとして、「8-15」の記 憶を召還し、暴力の記憶と內面の抵抗としての在日朝鮮人文學を展開しているのである。彼が日本語文 學の起点で提起した問題は、現在なお解決できずに殘っており、脫植民社會のなかで忘却されていく記憶 を我ケに喚起しているといえる。 This study considers Summer in 1945 written by Kim, Seok-bum, an autobiographical novel. This novel consists of four short stories, which are later edited in the form of a novel in 1974, when Kim Seok-bum reactivated novel writing in Japanese. In this novel, the main character Kim Tae-jo went over to Colonial Chosun and returned to Japan before liberation in 1945. In other words, he couldn``t see the liberation of his own country. So, the record about ``8.15`` is not seen in this novel. However, not that he wrote defeat of Japan. Nevertheless, Kim Seok-bum combined four stories under the title of ``Summier in 1945``. This study analyzed the meaning of this narrative style. Kim Tae-jo received violence three times both in Japan and Chosun, and by Japanese and Koreans living in Japan. He didn``t participate in either side of liberation or defeat. And he realized what he imagined about his own country as a mere romantic dream. He felt a sense of alienation between himself and his country. Especially Korean language he heard in Seoul was impassable barrier. Since then, he decided to take a step forward basing on the real life of his own. Japanese language to Koreans domiciled in Japan since colonial period is a strangling language. However, ironically through Japanese language they can liberate themselves. If so, what should be written in Japanese? This question was asked when Kim Seok-bum consciously reactivated Japanese writing in 1970``s. Kim Seok-bum is the first generation domiciled in Japan since colonial period. He raised the meaning of writing in Japanese turning back to ``8.15``, which is the starting point of Japanese-language literature by Koreans. His problem posing arouses historical memory being forgotten in post-colonial society.

      • KCI등재

        조선과 일본에 사는 시인 김시종 - 장편시집 『니이가타』에 표현된 `재일`의 의미

        김계자 ( Kim Gae-ja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5 No.-

        이 논문은 재일코리언 김시종의 장편시집 『니이가타』의 표현을 고찰해 식민 이후와 분단의 시대를 살아가는 `재일`의 의미를 생각해본 것이다. 『니이가타』는 1959년에 니이가타 항에서 재일코리언이 북한으로 귀국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제주 4·3사건 이후 정부 당국에 쫓겨 1949년에 일본으로 건너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재일의 삶을 살고 있는 김시종의 `재일`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 표명을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는 시집이다. 김시종은 스스로를 재일 2세로 정위하고 일본사회 속에서 현실적이고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길을 모색해왔다. 그는 남북 분단의 현장이며 38도 선의 연장선상에 있는 니이가타에서 조국에서는 넘을 수 없었던 분단을 넘는 상상을 한다. 이는 재일의 삶을 살고 있기에 가능한 공간 확장의 상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니이가타』는 `재일`이 한국과 일본 사이에 끼어 정체성의 불안을 느끼는 네거티브한 존재가 더 이상 아니라, 한국과 북한, 그리고 일본을 모두 포괄하며 이들을 새로운 의미로 관련지을 수 있는 존재임을 보여주고 있다. 식민과 분단의 어두운 기억 속에서 살던 자아를 깨워 새로운 공간의 상상력을 펼침으로써 남북을 총칭하는 `조선`과 일본을 아우르는 지점에서 재일을 사는 의미를 찾고자 한 시인의 적극적 의지 표명을 읽어낼 수 있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meaning of `Zainichi (在日)` expressed in epic poem Niigata (1970) written by Korean-Japanese poet Kim Shi Jong. Kim sets two points in his creation of poetry. One is summer of liberation released from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in 1945. The other is Japan where he lives as a Korean-Japanese. These two points have made him think about the meaning of living in post-colonial era and the national division of Korea, his home country. His thought like this is well expressed in his epic Niigata. Niigata was written in 1959 when the ship returning to North Korea departed from Niigata of Japan. However, Kim couldn`t return to his home country at that time. He stowed away from South Korea to Japan in 1949. He participated in antigovernment activities occurred in Jeju Island to block the national divis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after the liberation in 1945, the so-called 4·3 incident. Besides, he was having conflict with the organization of North Korea at that time because it required a doctrinaire belief and creation in Korean. Kim was writing poems in Japanese and pursued the life of existence as a Korean-Japanese. Therefore, he decided to remain in Japan instead of returning to North Korea. Of course, he could not return to South Korea because he was a refugee. Kim imagined in Niigata, the place located in an extension of the 38th parallel and the spot of national division. He could not cross the division line when he was in his home country, but he could do it in Niigata through imagination. The life as a Korean-Japanese makes it possible. `Zainichi`, which means living in Japan, has been recognized as a worse situation compared to living in Korea. However, Kim changed his way of thinking. Zainichi can embrace South Korea, North Korea, and Japan. This is the very reason why he lives there as a Korean-Japanese. His thought like this is well expressed by symbolic representations and metamorphose as well as the imagination of spatial extension.

      • KCI등재후보

        보문 : 큰느타리버섯 갓우수 품종 육종

        임착한 ( Chak Han Im ),김민근 ( Min Keun Kim ),제희정 ( Hee Jung Je ),김경희 ( Kyung Hee Kim ),김선영 ( Sun Young Kim ),김계자 ( Kye Ja Kim ),박성자 ( Sung Ja Park ),하영아 ( Young A Ha ),김미진 ( Mi Jin Kim ),김설화 ( Sul Ha Kim 한국균학회 2012 韓國菌學會誌 Vol.40 No.3

        갓모양이 우수한 계통과 대길이가 길고 속성형질을 가진 계통을 모본으로부터 교배육종으로 두 가지 형질을 모두 가진 우수품종을 육성하고자 하였다. 낮은 갓명도 형질의 동형접합체를 만들기 위하여 KNR2312 유래 단핵균사들로 자가교배를 실시하여 갓명도가 45.2, 품질이 6.5인 중간모본 KNR2312-2636-10 × 18을 선발하였고, 이를 A8B10(나) 유래 단핵균사와 이종교배 하였다. 이후 낮은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KNR2312 유래 단핵균사와 여교배를 실시하여 갓명도가 49.5, 품질이 7.3 수확량이 95.1 g인 가5나5KNR2312-47KNR2312-12 × 38 계통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계통은 갓모양이 우수하고 특히 갓끝이 24mm로 다듬기나 유통중 파손이 적을 것으로 사료된다. Two strains Pleurotus eryngii KNR2312 and A8B10 (Na) which have good traits in cap quality and speedy growing were selected to breed a new strain carrying the two traits. KNR2312-2636-10 × 18 (Ga) with 45.2 cap lightness and 6.5 quality was breeded by a consecutive inbreeding between KNR2312-derived monokaryons. Ga5 × Na5 came from outcrossing between Ga and Na was backcrossed with KNR2312-derived monokaryons twice to improve quality in cap color and shape. Therethrough Ga5NaKNR2312-47KNR2312-12 × 38 carrying lightness of 49.5, quality of 7.3 and weight of 95.1 g was selected. The selected strain possesses good quality and dark color of cap. Especially its edge is 24 mm thick, therefore it is not likely damaged during processing and distribution.

      • KCI등재후보

        장르를 횡단하는 상상력: 신카이 마코토의 <언어의 정원>

        김계자(Kim, Gae-Ja)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횡단인문학 Vol.2 No.1

        본고는 신카이 마코토(新海誠) 감독의 <언어의 정원(言の葉の庭)>을 대상으로 일본의 고전시가인 단카(短歌)가 시각적 영상 장르인 애니메이션으로, 그리고 애니메이션의 노벨라이즈에 의해 소설로 구성된 방식을 고찰하여 장르를 횡단하며 새롭게 생성되는 신카이작품세계의 특징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신카이는 <초속 5센티미터>에서 보여준 장르 횡단의 가능성을 계승하여 <언어의 정원>에서는 고전시가인 단카에서 모티브를 차용하여 애니메이션의 서사로 구성하고, 다시 노벨라이즈에 의한 소설도 발간했다. 즉, 단카에서 애니메이션으로, 그리고 소설로 이어지는 장르 횡단적인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소몬카의 문답 형식과 고대의 말이 갖는 시각적 이미지가 현대 서사의 서정적 미학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고전 시가의 모티브를 활용하여 현대 대중문화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며 괄목할 만한 성공을 거두고 있는 신카이 마코토의 평가에 대하여 한계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 또 가능성에 대해서는 새롭게 활용할 수 있는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 This paper considers Shinkai Makoto’s animation The Garden of Words from a genre-crossing point of view,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Shinkai’s animation. The Garden of Words show the genre-crossing characteristics of modern subcultural contents very well. That is to say, the classical poetry Tanka(短歌) in Manyoushu(万葉集) is motivated to the narrative of this animation, and furthermore developed into the novel by the novelization of the animation. This genre-crossing characteristic stems from the corresponding style of Soumonka(相聞歌), one style of Tanka, and the visual image of the ancient words. Shinkai Makoto created a modern narrative by utilizing this style and the image of the ancient words. It is time to criticize the problematics of his narrative properly and, at the same time, evaluate the possibilities he has shown through the new experiment by utilizing classical sources and creating nto modern subcultural contents.

      • KCI등재

        1920년대 식민지조선의 일본어문학장에 각축하는 창작주체

        김계자(Kim, Gae-ja)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4 아시아문화연구 Vol.35 No.-

        본 논문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에서 발간된 일본어잡지에 조선인의 창작이 게재되기 시작하는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일본어문학장에 주목해, 조선인이 일본인과 상호 침투, 각축하면서 나타나는 서사 및 담론을 추적하여, 식민지적 일상의 착종된 욕망이 서사로 형상화된 양상을 조선공론 과 조선급만주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일본어문학장은 일본인, 그중에서도 재조일본인과 조선인의 창작 주체가 혼재하는 공간이었다. 그런데 재조일본인과 조선인의 서사물에 그려진 ‘조선’내지 ‘일선’은 엄밀히 말해 내면화된 타자를 그리고 있지는 않다. 식민지 당지에서의 조선인과 재조일본인의 동거는 상호 침투된 일상과 그 속에서의 긴장관계를 노정하고 있지만, 소통 없는 공존의 형태로 같은 일본어문학장 안에 놓여있을 뿐이다. 사실 ‘내지’일본인과 재조일본인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일본어문단에 조선인이 진출하기는 여러 면에서 어려움이 따랐을 것이다. 제국의 언어로 식민지의 일상을 그려내야 하는 것의 곤란함과 당혹감은 이수창의 대부분의 소설이 그렇듯이 침잠하는 내면의 고백 서사로 표출되어, 개별화되고 반복적으로 재생되었다. 식민지 조선의 일본어문단은 일본 ‘내지’에서 투고된 글이 많았던 초기와는 달리, 점차 재조일본인의 비중이 커졌고, 일본어잡지는 식민지 조선인에게 대중화시대의 읽을거리로 자리 잡게 되었다. 1920년대에 식민지 조선인이 일본어문단으로 나아가 내놓은 작품 속에는 식민 당지에 거주하는 재조일본인과 조선인이 상호 침투, 길항하면서 각축한 식민지적 일상의 혼종적 측면이 잘 나타나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gives attention to Japanese literature of colonial Chosun in the 1920’s when Koreans started to present Japanese writings in the Japanese magazines published in Chosun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rough these writings, we can see the aspects how colonial entangled desire of daily life was represented in the narratives. This article analyzed them focusing on the Japanese magazine Chosunkouron and Chosun and Manchuria. Japanese literature of colonial Chosun in the 1920’s was the mixed place of Koreans and Japanese. Koreans entered the Japanese literary world. Their narratives reveal contemporary strained relations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in the colony. Lee, Su-chang, one of the Korean writers, presented Japanese short stories and translations consciously to the Japanese literary world. However, he had the difficulties as a colonial Korean in advancing toward the Japanese literary world. The embarrassment of writing in the language of the colonial ruler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confessing narrative falling into the inner world. The colonial memory of Koreans was expressed individually and repeatedly through confession style. In the Japanese literature of colonial Chosun in the 1920’s, Japanese’ entangled sense, superiority toward colonial Koreans and complex toward Japanese in Japan, and Koreans’ colonial desire were mixed, forming competing subjects of creation.

      • KCI등재

        전쟁과 식민의 기억 : 히노 게이조의 문학을 중심으로

        김계자 ( Gae-ja Kim ) 국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일본공간 Vol.29 No.-

        본고는 히노 게이조가 베트남전쟁을 취재하고 돌아와 소설을 쓰기 시작하여 일본의 패전과 귀환체험, 그리고 식민지 조선의 기억과 조우하는 과정에서 전쟁과 식민의 기억이 새롭게 환기되고 형상화되는 방식과 그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히노 게이조는 일본에서 태어나서 식민지 조선으로 이주하였고, 패전 후에 일본으로 귀환, 1960년대에 다시 서울로, 그리고 베트남전쟁 취재를 위해 특파원으로 두 차례 베트남을 다녀오는 등, 그의 이력에 이동이 계속된 점이 특징적이다. 그 영향으로 그의 문학은 이동에 따른 상대적인 장소성과 부유하는 인간의 존재적 문제에 천착하는데, 다른 귀환자 문학과는 다르게 내면의 정체성이나 귀속의 장소로 수렴되지 않고, 주체와 공간 사이의 경계의 확장과 새로운 관계성의 구성을 ‘집’이라는 구체적인 장소의 문학적 형상화로 보여주고 있다. 패전 직후의 단상에서 문학 활동을 시작하여 식민지 조선에서의 기억과 귀환 체험을 소설화한 초기작부터 「차안의 집」과 「그 저녁놀」에 이르기까지 작자 스스로 ‘사소설’이라고 언급한 일련의 작품 속에서, 계속된 이동이 만들어낸 식민지 조선에서의 기억 환기가 새로운 관계성의 공간으로 형상화된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how Hino Keizo began writing novels after covering the Vietnam War, and analyzes that the memories of war and colonization are newly recalled and embodied. Hino Keizo was born in Japan and moved to colonial Chosun in 1934. After Japan’s defeat in 1945, he repatriated to Japan. In the 1960s, he visited Seoul again, and returned to Japan as a correspondent to cover the Vietnam War. As a result, his literature represents the relative topology by the continuous movement and the existence of floating people, showing the expansion of boundaries between subject and space. This characteristic composes new relationships, representing a literary embodiment of “home”. Hino Keizo’s works from the early works to the series of autobiographical novels are created by continuous movement, representing the memories of war and colonization and symbolic of a new relativity and place of memory.

      • KCI등재

        1950년대 재일조선인의 문화운동

        김계자(Kim, Gae-ja)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4 No.-

        본고는 오사카 재일조선인의 대중적 기반이 된 잡지 『진달래』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진달래』는 오사카 조선시인집단의 기관지로서, 서클지로 시작해 재일조선인 좌파조직의 변동과 노선 변화에 따라 점차 소수 정예의 문예동인지의 성격으로 변해갔다. 그러나 특히 전반부에 보여준 1950년대 재일조선인의 생활상에는 재일조선인의 다양한 목소리와 이들의 집단적 총화로서의 성격이 잘 나타나 있다. 즉, 시를 한 번도 써보지 못한 재일조선인들이 자신의 표현을 획득해가는 주체적인 공간이었고, 이러한 시 창작을 통해 재일조선인들의 공동체적 로컬리티를 만들어갔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식민에서 해방으로, 그리고 다시 한국전쟁을 겪어야 했던 1950년대 재일조선인의 현실적인 생활과 민족 문제 등이 원초적이면서 집단적인 목소리로 표출되었다. 뿐만 아니라,『진달래』는 서로의 시작품에 대해 비평하고 시론에 대한 공동 논의하는 공론장이었으며, 또 타 지역동포 집단과 소통하고 연대하는 매개가 되었다. 이와 같이 『진달래』는 전후 일본사회에서 식민과 전쟁으로 이어진 삶을 살아간 재일조선인들에게 창작과 공론의 장으로 기능한 대중적 기반의 원형이 된 잡지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considered the circle poetry journal Jindalrae published by Korean-Japanese poets living in Osaka in 1953. The circle journal means an organic journal functioning as a general base in the 1950’s. However, changes of Korean- Japanese’ left organization and alteration of route with it affected on the character of Jindalrae. That is, Jindalrae started as a circle journal to organize Korean-Japanese politically, and gradually turned into a literature coterie magazine managed by a few elite poets. However, especially, Korean- Japanese’ lives of the 1950’s represented in the first half of journal reveal Korean-Japanese’ various voices and the characteristics as a unity of ethnic group. To be concrete, there expressed the process that many Korean-Japanese members who had no experience of writing poets became to acquire their own expression through writing poets, and these activities led the formation of communal locality. In these cultural movement, there revealed substantial lives and ethnic issues through primitive voices of Korean-Japanese who had experienced colonization, liberation and war again. These voices were expressed as a form of Korean-Japanese group. In addition, Jindalrae became the public sphere of discussing and criticizing mutual poems, and arguing poetics together. In other words, Jindalrae functioned as a public argument sphere of Korean-Japanese. Besides, it mediated relations with other Korean-Japanese’ poetry groups of other areas. Korean-Japanese poetic groups of different areas communicated and banded together through Jindalrae in the 1950’s. As mentioned above, Jindalrae was the space of creation and public criticism, and became the primitive public base of cultural movement of Korean-Japanese in the 1950’s.

      • KCI등재

        번역되는 ‘조선’

        김계자(Kim, Gae-ja)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2 아시아문화연구 Vol.28 No.-

        재조일본인 오야마 도키오(大山時雄, 1898~1946)는 재조일본인을 대상으로 동시대 조선의 현실을 알리고 “양 민족의 공영”을 위해 경성에서 일본어잡지 『조선시론』(1926.6~1927.10)을 간행했다. 『조선시론』은 2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유지되었지만, ‘내선 풍속의 비교’나 ‘조선의 행사’를 기획 소개하고 조선의 언어문제를 다루는 등, 조선에 대한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다. 검열제도로 인해 잡지에서 다루고 있는 내용에 제한을 받기는 했지만, 재조 일본인의 조선을 바라보는 관점을 잘 보여주고 있는 잡지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동시대의 조선의 신문에서 시사문제를 다룬 내용을 발췌해 소개하거나 잡지에 발표된 조선의 문학작품을 소개해간 점은 특기할 만한데, 이러한 소개가 일본어역을 통해서 이루어졌다는 사실은 주의를 요한다. 물론 다른 문학 작품의 번역에 김억의 에스페란토역으로 소개된 경우도 보이는데, 본 논문에서는 제국의 언어 일본어로 번역해 소개된 문학작품을 고찰 대상으로 하여, 그중에서도 본문의 이동(異同)이 많은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그중에서 특히 최서해의 ?기아와 살육?은 임남산(林南山)이 번역했다고 명시되어 있는데, 임남산은 당시 신문기사 등의 정황으로 볼 때 식민지 조선인으로 추정된다. 한국어 원문과 일본어역을 비교해본 결과 번역을 둘러싼 제국과 식민지의 정치적 역학관계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임남산이 개작한 일본어역에는 식민 종주국의 입장에서 조선의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이 개입되어 있었고, 이는 욕망의 식민 공간에서 제국의 언어로의 이동에 스스로의 문화를 억압하고 제국의 그것에 동질화시키려는 번역의 메커니즘이 작용하고 있음을 추론해볼 수 있다. Oyama Tokio who was in Korea during the colonial period published Chosunshiron in 1926, which was published for 2 years. The characteristic of this magazine is that the issues and literature of contemporary Korea were introduced mainly in translated Japanese, except some Esperanto translations. In particular, novels revealing the colonial reality in the 1920s were translated into Japanese. Of these, the novel Hunger and Slaughter is printed with the interpreter elucidated. He is Im, Nam-san, who is supposed to be Korean. His translation shows many remakings covering a wide range. Although he is a Korean, his remakings represent images of Chosun on the imperial Japanese prospect. From his translation, we can see the relation of dynamics intervened in the translation into imperial language. In the colonial space full of desire, an appearance that control the culture of their own and identify toward that of empire is present. Translation is not transparent, much less that into imperial language. The translation showed in Im, Nam-san"s text represent the mechanism of translation conducted between empire and its colony. This implies the inside of literature of Chosun which has not been freed from the inertia of Japanese in the 1930, 4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