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 설계 및 구현

        김경래,최홍락,김경석,Kim, Kyeong-Rae,Choi, Hong-Rak,Kim, Kyung-Seo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As the information age enters, the use of biometrics using the body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and authenticate each individual's identity for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them,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rge and demodulate, so it has high security, high precision, and easy user acceptance. However, the accuracy may be degraded depending on the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or the surrounding light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 side-type finger vein recognizer that is highly versatile among finger vein measuring devices, and authenticated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of DenseNet-201 for high accuracy and recognition rate. The performance of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infrared light source used and the surrounding visible light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The simulations used data from MMCBNU_6000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nger vein images taken directly were used, and the perform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EER.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개개인의 신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인증하는 것은 정보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신체를 활용한 생체인식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중 지정맥 인증 기술은 위조 및 복조하기 어려워 보안성과 정밀도가 높고 사용자 수용성이 용이하여 사회적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신원확인을 위한 알고리즘이나 주변의 빛의 환경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정맥 측정 장치 중 활용성이 좋은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높은 정확도와 인식률을 위해 DenseNet-201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인증하였으며 사용하는 적외선 광원과 주변 가시광선의 영향에 따른 지정맥 인증 기술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전북대의 MMCBNU_6000과 직접 촬영한 지정맥 영상을 사용하고 EER을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동남아 테라와다의 정체성 확립과 바왕가(bhavaṅga) 개념의 전개 (3)

        김경래(Kim Kyunge rae) 불교학연구회 2018 불교학연구 Vol.55 No.-

        본연구는 동남아 테라와다 전통이 정립한 아비담마 개념인 ‘바왕가(bhavaṅga)’의 전개사를 다루는 세 번째 논문이다. 논자는 바왕가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양한 빠알리(Pāli) 문헌을 검토함으로써, 테라와다 전통이 정립한 고유한 아비담마 체계의 특징 및 전개사를 추적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일련의 연구과정을 통해 향후 ‘초기불교’의 (전승자들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 대변자로 여겨지고 있는 테라와다 전통의 성립과정과 역사성에 대해서도 비판적으로 조망해보고자 한다. 앞서 논자는 초기의 바왕가 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넷띠빠까라나(Nettipakaraṇa)』와 『뻬따꼬빠데사(Peṭakopadesa)』에서 발견되는 바왕가 용례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초기 바왕가 개념은 윤회를 활성화 시키는 ‘존재(bhava)의 요소(aṅga)’, 특히 12연기의 항목들을 지칭하는 용어였음을 확인했다. 이후 『밀린다빵하(Milindapañha)』에서 바왕가는 꿈꾸지 않는 깊은 수면상태를 지칭하는 용어로 규정된다. 그리고 이 용례들을 기점으로 바왕가는 심법의 범주에서만 다루어지게 되며, 더 나아가 심의 비활동 상태와 연속성을 변호하는 특수용어로 거듭나게 된다. 바왕가가 아비담마 전문용어로서 인식과정이론에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빳타나(Paṭṭhāna)』에 이르러서였다. 『빳타나』제1권에는 바왕가가 총 10회(8문장) 언급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바왕가는 심법으로서 ‘이숙-무기심’에 해당하고, 전향과 바왕가심에게 무간연으로 조건이 되어준다. 이상의 논의들에 이어 본 논문에서는 『빳타나』제2권의 용례들 중 심소법과 관련된 17가지 문구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바왕가가 다섯 가지 ‘禪의 요소들’ 중 네 가지 심소법들(伺, 喜, 樂, 捨)과 함께 일어날 수 있으며, 삼계와 출세간에서 모두 발생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aims to evaluate the abhidhamma terminology ‘bhavaṅga’ which is found in the abhidhamma treatise Paṭṭhāna (Vol.2). Throughout this series of articles, I shall scrutinize the history and identity of the Theravāda tradition in Southeast Asia. The first written mention of the term bhavaṅga is in the Nettipakaraṇa and Peṭakopadesa. These two texts convey the earliest usage of the term which defines it as a factor (aṅga) of existence (bhava) or the twelve links of the Dependent Origination. The Milindapañha shows us the next step for the doctrinal development of the term. The term bhavaṅga in this text is described as a non-active state of mind, rather like a dreamless deep sleep. The Paṭṭhāna is the first text that describes bhavaṅga as a sophisticated abhidhamma terminology for the cognitive process. The occurrences of bhavaṅga in the Paṭṭhāna Vol.1 and 2 reveal that it is the resultant indeterminate (vipākaavyākata) as well as conditioning for the adverting (āvajjana), the death consciousness (cuti-citta), or rebirth consciousness (upapatti-citta) as the proximate condition (anantara-paccaya). Furthermore, the bhavaṅga possibly arises with four kinds of the mental factors (cetasikā) which are called the sustained application (vicāra), the zest (pīti), the pleasant (sukha) and the equanimity (upekkhā). Given that these mental factors are the constituents of meditation (jhāna), the bhavaṅga arises throughout the spheres, namely, from the sense-sphere to the supramundane.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종교 내러티브(Narrative)에 나타난 citta-vīthi - 『解脫道論』의 ‘菴羅果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김경래(Kim, Kyung Rae)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7 No.-

        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종교 내러티브에 담긴 아비담마 인식과정 이론을 분석했다. 내러티브는 주로 경전문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지만 경우에 따라 난해한 아비담마 이론을 해설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 실제로 CE 6세기 한역된 』해탈도론』과 CE 5세기 제작된 』앗타살리니(Atthasālinī)』에는 복잡한 테라와다 아비담마 인식과정 이론을 쉽고 흥미롭게 해석해주는 망고 내러티브가 등장한다. 테라와다 인식과정 이론은 최대 여덟 단계의 心法으로 구성된다. 즉, 인식대상이 감각기관과 접촉하여 인식과정이 시작되면, 비활동상태였던 바왕가가 전향한다. 그리고 인식대상에 상응하여 인식기관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뒤이어 수용, 조사, 결정, 속행, 등록이라는 일련의 인식단계를 거친 후, 다시 바왕가 상태로 복귀한다. 남방 아비담마 문헌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인식론은 테라와다 아비담마 전통의 고유한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해탈도론』과 』앗타살리니』는 이러한 테라와다 인식론을 흥미로운 내러티브를 사용하여 설명해주고 있는데, 그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성 안에 왕이 잠들어 있다. 그 때 어떤 자가 왕에게 망고를 선물하기 위해 성문을 두드린다. 그러자 성을 지키고 있던 문지기, 왕을 지키고 있던 대신, 왕 옆에서 대기하고 있던 시녀와 부인이 그 망고를 받아 왕에게 전한다. 왕은 그 망고를 먹고 다시 잠에 든다. 두 텍스트는 망고를 중심으로 성안에서 벌어지는 위와 같은상황들을 여덟 개의 인식단계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앗타살리니』는 』해탈도론』에 비해 발전된 형태의 아비담마 체계 를 확립했음에도, 이를 해설해주는 내러티브를 오히려 더 단순화시켜 거친 형태로 전개했다. 이는 』해탈도론』이 도입한 내러티브가 초래할 수 있는 존재론적인 오해를 경계하려는 의도였다. CE 5세기 주석가들의 이러한 노력은 향후 테라와다 아비담마의 고유한 특징으로 정착된다. This article scrutinises the abhidhamma technical term “bhavaṅga” in terms of a mango simile. The simile is found in two different abhidhamma texts, namely, the Jié tuō dào lùn or *Vimuttimagga (p.449b18-c08) and Atthasālnī (pp.279-280). The former text is considered to be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early Theravāda abhidhamma text. The latter is the Pāli commentary (Pāli-aṭṭhakathā) on the Dhammasaṅgaṇi, the first abhidhamma treatise. The mango similes found in the two texts are quite similar. Accordingly, a king is sleeping in his palace. His servants are attending to him. Meanwhile, a person comes to the palace to present his mangoes. The king’s servants take them and pass them on to the king. Having awoken and tasted them, the king then goes back to sleep. The two texts compare this simile to each step of the cognitive process “citta-vīthi”, the different steps being: the adverting (轉心, pañca-dvāra-āvajjana); seeing (見心, cakkhu-viññāṇa or dassana); receiving(所受心, sampaṭichana);investigating (分別心, santīraṇa); determining (令起心, votthapana); javana (速心); and, registration (彼事心,tad-ārammaṇa). However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similes in the two texts. The Atthasālini does not describe the term bhavaṅga with the mango simile. In fact, the later Pāli commentarial text became silent when describing the state of bhavaṅga. Meanwhile, the Jié tuō dào lùn stipulates that the situation of the sleeping king is the same as the state of bhavaṅga. These differences imply that the earlier text, Jié tuō dào lùn, could have brought up the ontological misunderstandings by defining the term bhavaṅga.

      • KCI등재

        스리랑카 국가종교의 분열과 아바야기리 세력

        김경래(Kim Kyung Rae)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6 No.-

        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스리랑카 테라와다 전통에 등장했던 신비의 사원 아바야기리(Abhayagiri-vihāra)의 기원과 발전을 살펴보았다. 빠알리 문헌들의 증언에 따르면, 아바야기리 사원은 왓타가마니아바야 통치기에 건립된 직후, 기득권인 마하위하라(Mahāvihāra) 세력과 경쟁관계를 형성했고, 그 결과 테라와다 최초분열의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론은 좀 더 입체적이고 역사적인 재검토를 필요로 한다. 이에 논자는 현존하는 사료들을 비판적으로 비교·검토하여 아바야기리 사원의 연대기를 재구성해보았다. 본 논문에서 살펴본 텍스트는 나가르주나 꼰다 비문(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과 『앗타살리니(Atthasālinī)』이다. 카즌스(Lance Cousins)는 이 두 텍스트를 근거로 아바야기리 세력이 CE 5세기 이전부터 확고한 ‘부파(nikāya)’로 확립되어 있었고, 당시 기득권이었던 마하위하라 세력의 견제를 받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논자가 이들 두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나가르주나 꼰다 비문에는 단지 ‘마하위하라’라는 소속이 언급되어 있을 뿐, 그 이상의 추가적인 함의는 발견되지 않았다. 『앗타살리니』 또한 인도 본토의 다양한 ‘부파(nikāya)’들이 존재했음을 증명해줄 뿐, 아바야기리의 존재는 암시해주지 않았다. 이상의 사료검토를 바탕으로 확립한 아바야기리의 기원과 전개과정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다밀라 침략 이전 ‘아바야기리’라는 명칭(지명)이 생겼다. 이 지역은 종교적 거점으로 발전했고, 이 과정에서 아바야기리 사원이 건립되었다. 이 사원을 중심으로 한 세력은 점차 기득권인 마하위하라 세력과 모종의 대립관계를 형성했다. 그러나 빠알리 주석서가 확립되던 CE 5세기까지 이들은 마하위하라를 구심점으로 하는 단일 교단을 유지하고 있었다. 즉, 아바야기리 사원은 마하위하라 세력에 포함된 다수의 사원들 중 하나에 불과했다. The article examines the two phrases from the 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 and the Atthasālinī which Lance Cousins both regarded as pieces of actual evidence for the existence of the Abhayagiri fraternity. The first text is the Nāgārjunakoṇḍa Inscription, which mentions: ‘ācariyanaṃ theriyānaṃ vibhajavādānaṃ... mahāvihāravāsinaṃ vihāre ’. Cousins rendered the phrase as ‘in the monastery...of the teachers of the Theriya school, the Vibhajjavādas...the Mahāvihāravāsins.’ Then he concluded that the inscriptional phrase implies that the members of Mahāvihāra fraternity want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their rival, namely, the Abhayagiri fraternity, in the third century CE. The second text is the Atthasālinī, the commentary of the Dhammasaṅgaṇi, the first abhidhamma treatise. It says: ‘nikāy’antaraladdhīhi, asammissaṃ anākulaṃ; Mahāvihāravāsīnaṃ, dīpayanto vinicchayaṃ’. Cousins considered the term ‘nikāya’ here as ‘other fraternities’, and concluded that the three fraternitie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the fifth century CE in Sri Lanka. These two texts only represent the existence of the Mahāvihāra in medieval Sri Lanka and the Buddhist schools(nikāya) in India. These texts, however, do not represent the existence of the Abhayagiri fraternity.

      • KCI등재

        매니페스토 운동과 민주시민교육

        김경래(Kim Kyung 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46 No.-

        본 논문은 매니페스토 운동이 성공하기 위한 전제조건이 무엇인가를 다루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본 논문은 매니페스토운동이 도입되게 된 배경으로 대의제민주주의가 참여와 심의라는 본연의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즉 대의제민주주의 하에서 선거가 단지 대표만을 뽑는 절차로 전락함으로써 대의제민주주의의 출발점으로서 참여와 심의의 공간으로서 선거의 의미는 축소되었다. 이에 정당, 후보자가 집권 또는 당선 된 이후 실시할 정책에 대해 구체적으로 공표하고 문서화하는 매니페스토 운동의 도입으로 유권자들의 참여와 심의를 불러오고자 하였다. 그러나 오늘날처럼 사회 구성원들 간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사회에서는 갈등과 대립이 빈번해 정책으로 인한 갈등의 골이 그 어느 때 보다 깊어 사회적 통합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정당, 후보자가 제시하는 정책들의 시시비비를 그리 쉽게 결정 내릴 수 없다. 따라서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바로 시민성과 비판적 판단능력의 향상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이라 할 수 있다. 즉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시민성의 함양 그리고 비판적 판단능력의 향상이 전제되지 않는 매니페스토운동은 현실적으로 성공하기 어렵다. This paper deals with what is necessary for the success of electoral manifestos. First, this paper points out that within a representative democracy the manifesto movement can revive the original meaning of popular participation and deliberation. Elections in Korea had been reduced simply to selecting representatives. The publication of manifestos can transform electoral politics and candidate selection processes into elections built around the competing policies of parties and candidates. But in a complex society, the various interests of people are difficult to reconcile within manifestos, while it is hard for voters to evaluate the truthfulness of the electoral pledges submitted by parties and candidates. Civil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and civic improvement of critical thinking skills are therefore precondi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manifesto mov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