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적 절리면 전단시험 장비 구축 및 암석 절리면 전단강도 평가에 관한 연구

        김경규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use rock structure of the including discontinuities increases, the stability of rock structures is considered importa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ability of rock structure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rock and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discontinuities are important. However, the shear test of the rock joint under static load is performed in the existing studies. In this study, a shear box and a new long bar drop impact apparatus were designed. In addition, in order to produce a specimen having the same joint roughness, an artificial joint specimen was prepared using the random midpoint displacement method. A dynamic shear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designed apparatus and specimens. Through the results perfo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universal shear box and the long bar drop impact device to the dynamic shear test of the rock joint was evaluated.

      • 도재 수리시스템에 따른 도재와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

        김경규 고려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본 연구는 feldspathic porcelain과 pressable porcelain을 표면처리를 다르게 하는 도재 수리시스템을 사용하여 복합레진과 접착 시 전단결합강도 (shear bond strength)의 측정을 통해 도재 파절 수복시의 접착력을 비교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재료 및 방법: 총 88개의 도재 원판을 feldspathic porcelain (Omega?900)과 pressable porcelain (IPS Empress2)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40개의 Feldspathic porcelain을 Group A, 40개의 Pressable porcelain을 Group B로 분류한 후 원통형 시편을 만들었고, 각각의 도재 수리시스템에 따라 10개씩 분류하여 모두 8개의 subgroup을 만들었다. 표면처리 하지 않는 Porcelain liner-M (Sun Medical Co., Kyoto, Japan), 인산액 처리하는 Clearfil Porcelain Bond (L. Morita, Tustin, CA, USA), 불산액 처리하는 Ulradent Porcelain Etch (Ultradent, Salt Lake City, UT, USA), bur로 처리하는Cimara Kit (Voco, Germany)을 Group A, Group B에 적용하여 복합 레진을 접착하였고, 8개의 도재 원판은 각각 표면 처리 후 전자현미경으로 표면을 관찰하였다. 복합 레진이 부착된 원통형 시편은 37°C 증류수에서 24시간 보존 후 Universal Testing Machine (Instron 5583, Instron Co. USA)을 이용하여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처리방법은 2-way ANOVA (유의수준 0.05)를 이용하였고, 사후분석은 Duncan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가장 거친 표면을 보이는 실험군은 불산액 처리군 이었다. 인산액 처리군과 불산액 처리군 그리고 bur 처리군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전단결합강도의 차이가 없었지만 표면처리 하지 않는 군은 위 세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전단결합강도의 차이가 있었다 (p< 0.05). 인산액 처리군을 제외한 표면처리하지 않은 군, 불산액 처리군과 bur 처리군은 두 도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전단결합강도의 차이가 있었다 (p<0.05). 결론: 첫째, 표면처리한 군들이 표면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p<0.05). 둘째, 표면처리한 군중에서 표면처리가 거친 군이 반드시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이지는 않았다. 셋째, 인산액 처리군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군은 두 도재에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전단결합강도의 차이가 있었다 (p<0.05). Purpose: This in vitro study evaluated shear bond strengths of 4 porcelain repair systems that were treated porcelain surface differently intended for intraoral bonding of composite resin to feldspathic porcelain and pressable porcelain. Material and method: Total 88 Porcelain disks were prepared. Group A: forty cylindrical specimens were fabricated with Feldspathic Porcelain (Omega?900). Group B: forty cylindrical specimens were fabricated with Pressable Porcelain (IPS Empress2). The cylindrical specimen were divided into subgroups of 10 and composite resin cylinders were bonded with 1 of 4 systems: Clearfil Porcelain Bond, Ulradent Porcelain Etch., Porcelain Liner-M, Cimara Kit Substrate surfaces of the specimen after surface conditioning with 4 porcelain repair systems porcelain were examined microscopically (SEM). Shear bond strengths of 80 specimens for each subgroup were determined with a universal testing machine (5mm /min crosshead speed) after storing in distilled water at 37±1°C for 24hours. Stress at failure was calculated in ㎫, and mode of failure was recorded. Differences between the 4 repair systems were analyzed with 2 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 test at the 95% significance level. Result: In the scanning electron photomicrograph of treated porcelain surface, hydrofluoric acid etching group appeared the highest roughness. Phosphoric acid etching was not significant (p<0.05) different between feldspathic porcelain and pressable porcelain. But Feldspathic porcelain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pressable porcelain in no treatment group and roughening with a bur group. Pressable porcelai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hydrofluoric acid etching group (p<0.05). Conclusion: 1. Treatment groups were significantly greater shear bond strengths than no treatment group (p<0.05). 2. Group with the more roughened porcelain surface did not necessarily show the more shear bond strengths. 3. Phosphoric acid etching grou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hear bond strengths between feldspathic porcelain and pressable porcelain (p<0.05). However ot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shear bond strengths between feldspathic porcelain and pressable porcelain (p<0.05). Key word : Porcelain repair system, shear bond strength, feldspathic porcelain, pressable porcelain

      • 세관에서 고온 고압 헬륨의 열유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김경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Fluid flow and heat transfer of helium in a minichannel has been experimentally studi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igh pressure and high temperature flow conditions. The experimental apparatus consists mainly of gas booster, pre-heater, electric furnace, and cooler. The test section tube is a round minichannel of 1.397 mm inside diameter, made of Inconel 600. The ranges of the major experimental parameters in this study are 2000 ~ 34000 of Reynolds number, 20~110 kW/m2 of wall heat flux.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not affected by inlet temperature, inlet pressure, and heat flux. Pressure drop was not also affected by inlet temperature, inlet pressure, and heat flux.

      •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SW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경규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정보시대가 필요로 하는 역량은 정보를 기반으로 한 문제해결력, 정보 논리적 사고, 그리고 융합적사고이다. 이러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은 정보과학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를 함양하기 위한 교육을 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중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내에서 이러한 사고력을 향상시키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단편적이고 일률(제한)적인 컴퓨터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정보과학적 사고능력을 신장시키고 컴퓨터 과학 원리를 보다 쉽게 이해시키기 위하여 컴퓨터과학 및 프로그래밍 교육 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교육 시범학교로 선정된 W중학교 1,2학년 학생 22명, 3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12주간에 걸쳐 총 24차시 동안 적용한 결과, 논리적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의 긍정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그 효과를 검증하고 새로운 컴퓨터과학 형태로서 정보과학적 사고 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Digital information capability needs problem-solving ability, logical thinking about information, and convergence thinking. Modern people living the 21st century should be educated to develop the computational thinking to have the necessary capability. However, under current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it is hard to cultivate the computational thinking. Thus, we developed a software training program based on the computer science and programming education to help learners better understand principles of computer science and to enhance the computational thinking beyond fragmentary and limited current computer educ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total 42 middle school students (22 1st and 2nd grades and 20 3rd grade) were applied to the training program for 24 periods and we obtained the positive result that might bring improvement on logical think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Therefore, in this study, software training programs were designed, their effectiveness was verified, and the software training program based on information-scientific thinking was successfully developed as a new form of computer science.

      • SW·AI융합 교육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공간구축 모델 및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경규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교수·학습방법 및 모델과 함께 적합한 공간구축 역시 매우 중요하다. 최근에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융합적 사고력을 함양시키기 위한 SW교육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SW교육 및 SW융합교육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미래지향적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 대한 표준모델 또한 없다. 현재 SW교육 및 SW융합교육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 및 모델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위 교육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미비한 편으로 기존 공간 구축 모델에 대한 연구결과물은 실질적으로 매우 빈약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SW·AI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공간을 구축하고 이에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함으로써 효과성을 입증하여 그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그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여 SW교육 또는 SW융합교육에 적용 가능한 미래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 구축 모델 또는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 대한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둘째, SW융합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기존 컴퓨터실과 비교하여 창의융합형 정보교육실에서 수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이유를 학습자 태도조사와 수업 만족도 조사, 컴퓨팅 사고력 측정을 통해 알아본다. 또한, CT중심 교수학습모델을 기반으로 개발된 SW융합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신뢰도와 내용 타당도를 검증하여 유의미함을 이끌어냈으며, 이는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 대해 더욱 객관적인 근거를 들어 뒷받침한다. 끝으로 효율적인 SW융합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있어 SW·AI융합교육 강화를 위한 공간구축으로 더욱 효과적인 이론적실제적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공간구축 모델의 방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dels in software curriculum, the spatial construction is also very important. Recently, research on SW education to cultivat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convergence thinking ability is being conducted, but there is no standard model for future-oriented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W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Currently,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models for SW education and SW convergence education is being actively conducted, but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 above education can be efficiently operated is insufficient. Research results on the existing spatial construction model are actually very poor. Therefore, this paper intend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by establishing a space for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o strengthen SW-AI convergence education, and by proving its effectiveness by developing and applying a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e detailed study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verifying the suitability for constructing a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we present a general guideline for the futur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construction model or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applicable to SW education or SW convergence education. Second, after applying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o students in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the reason why teaching in the creative convergence information education room works effectively compared to the existing computer lab was investigated by the learner attitude survey, class satisfaction survey, and computational thinking ability measurement. In addition, significance was derived by verifying the reliability and content validity of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based on the Computational Thinking centered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ich is supported by more objective evidence for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aper. Lastly, it is expected to provide more effective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c inform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space construction model by constructing a space for strengthening SW-AI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W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