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 및 조절효과 검증

        길태영(Tae-Young Kil),류한수(Han-Su Ryu)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7

        본 연구의 목적은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인과관계에서 이들 간 영성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한 연구 자료는 A시에 거주하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한 베이비 부머를 대상으로 수집되었으며, 최종 분석에 총 50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분석,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 각 변인 간 가설검증을 위한 매개회귀분석, 영성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불안이 삶의 의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조절효과 분석을 통해 죽음불안과 삶의 의미의 관계에서 영성의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 베이비부머의 죽음불안 수준에 따라 영성을 강화시킴으로써 삶의 의미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의 삶의 의미에 영향을 미치는 죽음불안을 감소 또는 해소하고, 영성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spiritual mediating and the control effects of these between the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in baby boomers. The data for the analysis were collected for baby boomers born in A City from 1955 to 1963 and used a total of 500 data for the final analysis. For the analysis method, SPSS 21.0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or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mediating regression analysis for each variable hypothesis test, and control effect of spirituality. We conducted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anxiety of death has a significantly effect on the meaning of life. Second, spirituality mediation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meaning of life.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ity was prov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and the control effect of spiritualit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 of death anxiety and meaning of life. As a result of these, it is demonstrating that the meaning of life can be enhanced by strengthening spiritual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death anxiety in baby boomers. It shows a way to reduce or eliminate death anxiety that affects the meaning of life and strengthen spirituality.

      • KCI등재

        중년기 정서적 불안에 대한 강화요인으로서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 : 톨스토이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중심으로

        길태영 ( Tae-young Kil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3 한국과 국제사회 Vol.7 No.6

        중년기에는 실존하는 죽음에 대해 더욱 고차원적인 인식을 갖춘 채로 다음 세대를 이끌고 돌봐주려는 일반적인 관심과 자신의 사후에도 지속되어야 하는 사회를 위해 개인적·공적차원에서 기여하는 능력을 발휘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서적 빈곤, 갱년기, 질병 등으로 인한 심리사회적 위기와 죽음불안을 경험하게 되면서 죽음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삶의 희망에 위협을 받게 된다. 중년기에 경험하는 가장 큰 문제인 정서적 불안은 죽음과 관련된 정서적인 반응으로 죽음에 대한 부정적 감정은 극복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그동안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는 죽음을 삶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이는 수용적 태도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중년기의 위기 중 죽음에 직면하는 것은 삶의 의미를 발견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886년 발표된 세계적 문호이자 대사상가인 톨스토이의 작품으로 삶과 죽음의 진실한 의미를 담고 있는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중심으로 중년기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는 중년기 삶의 희망을 위협하는 정서적 불안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삶의 의미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In middle age, individuals often develop a heightened awareness of the inevitability of death. This awareness can lead them to express a general interest in guiding and nurturing the next generation, as well as to use their abilities for personal and societal contributions that will persist beyond their own lifetimes. However, as they grapple with psychosocial crises and experience death anxiety stemming from emotional challenges, menopause, and illness, their positive outlook on death and hopes for life can be threatened. Emotional anxiety, a prevalent issue in middle age, often emerges as an emotional response linked to thoughts of mortality and becomes a task to address and overcome negative emotions surrounding death.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attitudes and the meaning of life in middle age,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Death of Ivan Ilyich』. This literary work, authored by Leo Tolstoy, a globally acclaimed writer and philosopher, and published in 1886, delves into the profound themes of life and death. The analysis of the text revealed that attitudes toward death and the quest for the meaning of life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reinforcing emotional anxiety that undermines the hopes of individuals in middle age.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이 도농복합지역 노인의 죽음불안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효과

        길태영(Tae-young Kil) 한국농촌사회학회 2017 農村社會 Vol.27 No.1

        본 연구는 죽음준비교육이 도농복합지역 노인의 죽음불안과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는 D광역시 도농복합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50명(실험군 25명, 대조군 25명)을 모집하여 진행하였으며, 교육 참여그룹에 대한 죽음준비교육은 총 12주(매주 1회, 매회 2시간)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실시하여 교육의 효과를 측정하였고, 수집한 자료에 대해서는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 공변량 분석, ANCOVA,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죽음준비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에 죽음불안의 점수는 효과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자아통합감의 점수는 실시 이전보다 실시 이후에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도농복합지역 노인이 죽음을 준비하도록 교육하는 것은 남은 생을 의미 있게 살도록 지원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고, 이들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실천적 · 정책적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program on death anxiety and self-integration in the elderly of urban and rural complex areas .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50 elderly people (aged 65 and over) in the urban and rural complex areas of D metropolitan city (25 experimental group and 25 control group), and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as performed for 12 weeks(one time per week, two hours each). For the purpose, th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the effect of education was measured by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covariance analysis, ANCOVA, and t test. The results of the main study showed that the score of death anxiety decreased effectively before and after the preparation for death, and the score of self - integration changed significantly increase after the implement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discussed that educating elderly people in urban and rural complex areas to preparing education for death could contribute to the meaningful living of the remaining life, and proposed the practical and policy activating plan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them.

      • KCI등재

        죽음준비교육 관련 사회복지학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

        길태영 ( Kil Tae-you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 사회복지연구 Vol.48 No.2

        본 연구는 국내 사회복지 분야의 죽음준비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분류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발전적인 연구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분석대상 논문은 사회복지실천 가치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로 요구되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을 전제로 지난 25년간 6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9편과 석·박사 학위논문 25편, 총 34편의 국내 죽음준비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7년까지 사회복지분야에서 실행된 죽음준비교육관련 연구의 출처 및 연도별, 연구방법별, 연구대상별, 연구 주제어와 프로그램 내용이 적용된 중재 특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출처 및 연도별에서 석사학위 논문이 20편(58.8%)으로 가장 많이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도별 동향은 1900년대 후반에는 2편에 불과했으나, 2006년~2010년에 들어와서 14편(41.2%), 2011년~2017년까지 15편(44.1%)으로 매우 높은 연구 성장을 보였다. 연구방법별 동향은 조사연구가 13편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연구대상별 동향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21편으로 가장 많았다. 연구주제어 동향은 죽음불안(25)을 가장 많이 연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프로그램 내용에 적용된 중재 특성 연구동향 분석에서 구조화분류 중 죽음에 대한 정서적 불안(20)이 가장 많이 활용된 변수였다. 또한 측정된 중재 효과도 죽음에 대한 정서적 불안(20)이 가장 많은 효과 검증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the social welfare field in Korea and in order to present a more systematic and developmental research direc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necessity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which is a very important role in social welfare practice value, the total of 34 papers were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ath preparation education in Korea for the past 25 years. The papers used in the analysis were mainly composed of 9 papers published in 6 journals and 25 papers in master`s and doctoral thesis. For this study, I examined the overall status of the study on death preparation education conducted from 1992 to 2016,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subjects, research keywords, and applied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terest in the research related to the preparation education for death was focused on the elderly people and the trend of the study method was the most frequent with 13 researches, and the research trends of the study subjects were the 21 highest reported on the elderly. The main keyword of research was death anxiety (25), which was the most studied variable, and emotional anxiety about death (20) was the most used variable among the applied structuring classifications. In addition, emotional anxiety about death was the most effective test for the effect of intervention for death preparation education.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생산적 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관계에서 성격특성과 행복감의 매개효과

        길태영 ( Tae-young Kil ),이진용 ( Jin-yong Lee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7 사회복지정책 Vol.44 No.4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생산적 활동과 성공적 노화의 인과관계에서 이들 간의 성격특성과 행복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D시에 거주하는 1955년부터 1963년까지 출생한 베이비부머 31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베이비부머의 생산적 활동, 성공적 노화, 성격특성, 행복감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적 활동이 성공적 노화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산적 활동과 성공적 노화 관계에서 성격특성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베이비부머의 성공적 노화가 가능하도록 생산적 활동과 성격특성 및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is study was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personality traits and happi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ductive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in baby boomer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8 baby boomers (born in 1955~1963) living in D city and their productive activities, successful aging, personality traits, and happiness were measured.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is study, we conducted a analysis of the reliabilit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productive activ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ccessful ag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e activities and successful aging was significant in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trai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we tried to find way to increase productivity, personality traits, and happiness so that baby boomers in enable to successful aging.

      • KCI등재후보

        예비노인세대의 죽음불안에 대한 보호요인으로서 영성과 삶의 의미

        길태영(Tae-young Kil) 한국국회학회 2023 한국과 세계 Vol.5 No.1

        The pre-elderly generation, who is about to enter the old age, is an age group in the transition process from middle age to old age, and it is very likely to be threatened by the hope of life due to the influence of death anxiety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interaction with personal and family problems, rapidly changing social structure and environment. In the meantime, spirituality and meaning of life have been found to be the main factors that protect the prospective elderly generation from death anxiety, which is the basis of anxiety about life in leading a meaningful and valuable life. In this study, after being published in Japanese in 2003, i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German, and Korean, and analyzed around the world, focusing on “Live well, smile well, and meet a good death”, which enabled deep reflection on spirituality and the meaning of life through various encounters surrounding life and death from the pioneer in the book.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ext, it was found that spirituality and meaning of life are very likely to act 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death anxiety that threatens the hope of life for the prospective elderly generation.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strengthen the spirituality and meaning of life of the pre-elderly generation. 노년기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예비노인세대는 중년기에서 노년기의 전환과정에 있는 연령집단으로 개인과 가족의 문제, 급변하는 사회구조 및 환경과의 상호작용 과정에서 겪게 되는 죽음불안의 영향으로 삶의 희망에 위협을 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동안 영성과 삶의 의미는 의미 있고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하는데 있어서 삶에 대한 불안의 기초가 되는 죽음불안으로부터 예비노인세대를 보호해주는 주요요인으로 밝혀져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3년 일본어로 출간된 후 영어, 독일어, 한국어로 번역되어 전 세계인들에게 책으로부터 선구자로부터 삶과 죽음을 둘러싼 다양한 만남을 통해 영성과 삶의 의미에 대한 깊은 성찰을 가능하게 한 『잘 살고 잘 웃고 좋은 죽음과 만나다』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영성과 삶의 의미는 예비노인세대의 삶의 희망을 위협하는 죽음불안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노인세대의 영성과 삶의 의미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장애인의 레질리언스(Resilience) 경험

        길태영(Tae-young Kil) 한국국회학회 2024 한국과 세계 Vol.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QIMS, Qualitative Interpretive Meta Synthesis)을 활용하여 장애인의 레질리언스 과정의 경험을 보다 새롭고 깊이 있게 탐색하는 것이다. QIMS는 전문직의 가치와 목표를 뒷받침하는 사회사업을 위해 특별히 개발된 연구방법으로, 연구주제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창출하기 위해 특정주제에 초점을 맞춘 개별 질적연구를 통합하는 방법이다. 2023년 9월 이전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8편의 질적논문을 최종분석에 포함하였고, 총 69명의 장애인들이 진술한 내용을 시너지적 이해로 분석하였다. 합의된 해석에 따른 시너지적 이해로 새롭고 의미 있게 생성된 주요주제는 (1) 선택의 여지없이 장애라는 삶으로의 전환, (2) 장애를 갖게 된 것보다 더한 절망과 통증들, (3) 장애를 받아들임 그리고 새로운 삶의 의미추구, 총 3개의 범주로 구분되었다. QIMS 분석으로 도출해낸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의 레질리언스 실천을 돕기 위한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resilience in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through Qualitative Interpretive Meta Synthesis (QIMS), aiming for a novel and in-depth understanding. QIMS is a research method developed specifically for social work, which integrates individual qualitative studies focused on a particular topic to generate profound insights. Eight qualitative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until September 2023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examining the narratives of 69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for synergistic comprehension. The synergistic understanding, derived from the agreed-upon interpretations, identified three main themes: (1) Transitioning into a life defined by disability without the choice, (2) Despair and pains exceeding the acquired disability, and (3)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the pursuit of meaning in a new life. Based on the findings from QIMS analysis, social work practic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were explored to support the resilience practice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QIMS)을 적용한 한국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길태영(Tae-young Kil)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사회 Vol.5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국내외 사회복지분야에 새롭게 소개된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QIMS)을 적용하여 한국노인이 인식하는 삶의 질에 관한 새로운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한국노인의 삶의 질은 재발성 노인질환, 생활습관과 선택, 인구고령화와 기대수명 연장, 급속한 사회변화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부정적 또는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는 질적 해석적 메타통합의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 한국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강조하고 탐색하는 것을 전제로 기존의 개별 질적 연구결과를 통합한 후 재해석하여 종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다양한 삶의 경험들, (2) 안녕한 상태 유지하기, (3) 스스로 더 잘 돌봄, (4) 삶에 대한 새로운 관점 갖기를 포함한 4개의 독립적이고 포괄적인 주제가 창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한국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삶의 질 이론 개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노인복지, 장애인복지 등 사회복지실천영역의 연구자 및 전문가들이 노인의 삶의 질과 관련된 유지 및 향상요인을 강화하는데 더 큰 이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aims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 quality of life recognized by the elderly in Korea by applying the qualitative interpretive meta-synthesis (QIMS) newly introduced in the social welfare field at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Korea is negatively and positively influen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degenerative elderly disease, lifestyle and life environment choice, extension of aging, extension of life expectancy, and rapid social change. This study integrates the existing individual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nd reinterprets them on the premise that they emphasize and explore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ve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the systematic process of qualitative and interpretive meta-synthe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4 independent and comprehensive themes were created; (1) various life experiences, (2) maintaining a good state, (3) taking better care of oneself, (4) taking new perspective on lif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quality of life theo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in Korea in the future, and to provide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ers and expert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such as welfare for the elderly and welfare for the disabled in strengthening th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

        길태영(Tae-young Kil),조원휘(Won-hui Cho) 한국복지실천학회 2017 한국복지실천학회지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죽음준비교육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비동일 통제집단 전후비교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60명 (실험군 30명, 대조군 3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군에 총 8회 기(주 2회, 각각 120분)에 걸쳐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위해서 독립표본 t검증, ANCOVA, 대응표본 t검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죽음준비교육은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는 효과가 있었고,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 변화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죽음태도 및 삶의 의미에 대한 올바른 인식 함양을 돕기 위한 교육의 운영과 활용기반에 필요한 사회복지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DPE) on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participants were 60 students (experimental group:30, control group:30) attending at university in D city and DPE was consisted of 8 sessions (twice a week, 120 minutes each). Data were collected before, after program and 10 weeks follow up. And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COVA, and paired samples t-test. The results showed that DPE was effective on raising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application of social welfare education to help university students of majoring in social welfare to raise awareness of well-dying, death attitude and meaning of life.

      • KCI등재

        베이비부머의 미래시간조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

        길태영(Tae-young Kil) 한국정치사회연구소 2021 한국과 국제사회 Vol.5 No.4

        본 연구는 베이비부머를 대상으로 미래시간조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D시의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에게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8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과 PROCESS macro 3.3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각 변인 간 상관관계분석, 희망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래시간조망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래시간조망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베이비부머의 미래시간조망을 확장함으로써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고, 미래시간조망 확장수준이 낮더라도 희망을 다양한 경로로 활용한다면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통합적 경로확인을 바탕으로 베이비부머의 주관적 안녕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ture-time perspective and subjective well-being for baby boomer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performed on baby boomers (1955-1963) in D city by face to face and a total of 38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19.0 and PROCESS macro 3.3 statistical program to analyz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variable, and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uture-time perspectiv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hop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uture-time perspectiv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can be enhanced by expanding the future-time perspective of baby boomers, and subjective well-being can be enhanced if hope is utilized in various routes even if the level of future time perspective expansion is low. Based on this integrated path confirmation, various methods were sought to enhance the subjective well-being of baby boom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