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2-ethylhexyl)phthalate (DEHP)가 흰쥐 저정낭의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길영천,김완종,신길상,Kil, Young-Chun,Kim, Wan-Jong,Shin, Kil-Sang 한국현미경학회 2000 Applied microscopy Vol.30 No.1

        플라스틱 제품의 가소제 성분으로 쓰여지며, 내분비 교란물질로 알려져 있는 di-(2-ethylhexyl)phthalate (DEHP)가 흰쥐 부속생식선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미성숙한 상태의 웅성 흰쥐에 DEHP(1g/kg/day, 2g/kg/day, 3g/kg/day)를 15일간 구강으로 삽관 투여한 후, 저정낭 상피세포들을 중심으로 광학 및 전자 현미경적 관찰을 실시하였다. DEHP 투여에 의한 광학현미경적 변화로서는 분비선의 크기와 상피층의 두께가 감소하고, 강소 주변부위에서 교원섬유를 비롯한 결합조직 성분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저정낭 분비세포들의 미세구조를 보면, 원주형의 대조군 세포들내 전자밀도가 높은 분비과립들은 소포내 가장자리에 치우쳐 있었고, 세포질내에서 조면소포체와 골지복합체가 잘 발달하였으며, 다수의 미세융모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DEHP 1g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분비세포들의 미세구조상의 뚜렷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미세융모와 분비소포의 분포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g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분비세포의 세포질이 감소하여 세포의 형태가 원주형에서 입방형으로 변화되었으며, 핵막이 불규칙한 모습을 보였고, 조면소포체의 발달이 미흡하였으며, 분비소포의 수도 크게 감소하였다. 3g을 처리한 실험군에서는 세포소기관들의 미세구조가 뚜렷한 변화를 나타냈다. 핵내 이질염색질이 크게 증가하였고, 세포질내에서 분비소포를 거의 관찰할 수 없었으며, 2차 리소솜이나 공포들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DEHP는 저정낭내 분비세포들의 분화 및 기능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저해작용은 DEHP에 의한 테스토스테론의 농도 감소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Di-(2-ethylhexyl)phthalate (DEHP) has been known as one of endocrine disruptors.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s of fine structure in rat seminal vesicle after oral intubation of DEHP in dosages of 1g/kg/day, 2g/kg/day or 3g/kg/day respectively in 0.5 ml of corn oil for If days. In rats treated with DEHP for 15 days, seminal vesicle exhibited extensive histological alterations compared to those observed in control groups. The size of the seminal vesicle and the mucosal folds decreased, but the lamina propria was considerably thickened. The ultrastructural changes of epithelial cells in seminal vesicle of rat treated with DEHP were characterized by the high nuclear/cytoplasmic ratio and the increased beterochromatin within irregular nuclear envelope. And also, th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Golgi complex and secretory vesicles were poorly developed. In conclusion, DEHP caused the ultrastructural and functional alterations of seminal vesicle in rats dose-depend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se detrimental effects of DEHP on seminal vesicle are derived from the decrease level of testosterone.

      • 납(Pb)이 흰쥐 신장의 미세구조와 metallothionein 양상에 미치는 영향

        김완종,한상철,길영천 순천향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1997 순천향자연과학연구 논문집 Vol.3 No.2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d on ultrastructure and metallothionein (MT) in the kidney of rat given lead acetate. Rats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with 10mg, 30mg or 50mg of lead acetate per kg body weight everyday for three days, and the kidney tissues were removed at 24 hours after repeated injections. The tissues were prepared for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and immunohistochemistry of metallothionein(MT). By light microscopy, the shrinkage of glomerulus and the presence of blood cells in tubular lumen were observed in the kidney of rat given lead acetate. The reaction products for MT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appeared strongly in the cells consisting tubular walls in experimental groups. By electron microscopy, there were numerous cytoplasmic vacuoles and bundles of collagen fibrils, indicating the interstitial fibro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d causes the degenerative changes of ultrastructure and increases MT content in rat kidney.

      • KCI등재

        무릎관절 안정과 관련된 앞십자인대 부착부위와 무릎관절 뒤가쪽부위 인대의 해부학

        길영천(Young Chun Gil),박지아(Ji Ah Park),양희준(Hee Jun Yang),이혜연(Hye Yeon Lee) 대한해부학회 2008 Anatomy & Cell Biology Vol.41 No.1

        앞십자인대는 무릎관절의 전후방 안정성을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관절의 과도한 가쪽돌림 및 폄 운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며, 이와 상호 보완적인 기능을 하는 관절 외부의 구조들로는 가쪽곁인대, 오금근힘줄 및 오금종아리인대 등이 있다. 최근 이들 인대의 손상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이로 인한 불안정성의 회복을 위한 재건술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재건인대의 길이 및 폭, 인대의 고정을 위한 터널의 위치결정에 참고가 될 수 있는 인대 부착부의 위치 등에 대한 해부학적 조사는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인대들의 형태 및 주위구조들과의 국소해부학적 관계를 조사하고, 인대 부착부의 중심점에서 주위구조들과의 거리를 계측함으로써 재건술 시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해부학적 참고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재료로는 한국인 성인시체 19구에서 얻은 34쪽(남자 20쪽, 여자 14쪽)의 무릎을 사용하였다. 무릎관절 뒤가쪽부위의 구조들 중, 가쪽곁인대와 오금근힘줄은 조사한 모든 예에서 존재하였으나 오금종아리인대는 79.4%에서만 존재하였다. 인대들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가쪽곁인대의 경우 평균 51.99mm였으며, 남녀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오금근힘줄과 오금종아리인대의 길이는 각각 평균 21.59mm와 18.49mm였다. 넙다리에서 오금근힘줄과 가쪽곁인대의 상호 위치관계는 오금근 힘줄이 가쪽곁인대 부착부의 바로 아래쪽에 붙어 가쪽곁인대에 덮여있는 경우가 67.7%로 가장 많았으며 오금근힘줄이 가쪽곁인대를 가로지른 후 가쪽곁인대보다 앞쪽에 부착되는 경우는 20.6%에서만 관찰되었다. 관찰한 모든 예에서, 앞십자인대는 앞안쪽다발과 뒤가쪽다발로 구별되었다. 앞안쪽다발의 길이는 평균 22.14 mm였고, 뒤가쪽가발의 길이는 평균 15.98 mm였으며, 각 다발의 길이는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길었다. 앞십자인대의 부착부 중심점으로부터 주위구조들과의 거리를 측정한 결과, 앞안쪽다발의 중심점은 융기사이선과 관절안쪽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각각 평균 8.36mm와 8.14 mm 떨어져 있었으며, 뒤가쪽다발의 중심점은 융기사이선과 관절안쪽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각각 평균 15.98 mm와 7.36 mm 떨어져 있었다. 인대 전체 부착부의 중심점으로부터 융기사이선까지의 거리는 평균 10.96 mm였으며, 연골 안쪽모서리까지의 거리는 평균 8.45mm였다. The anterior cruciate ligament (ACL) and the posterolateral structures are functionally important structures that assist with the stability of the knee joint. Sport-related injuries to these structures and reconstructive surgery are becoming more frequent. However, the anatomic characteristic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tructures are not well understood. We measured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posterolateral structures of the knee and the ACL, and we identified the anatomic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er of the femoral attachment area of the ACL and other femoral structures. We dissected 34 cadaveric knees with no signs of previous surgery, knee abnormality, or disease. The lateral collateral ligament (LCL) and the popliteus tendon (PLT) were present in all knees, although the popliteofibular ligament (PFL) was not present in 20.6% of knees. The mean length of the LCL was 51.99 mm and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men and women (P⁄0.05). The mean length of the PLT was 21.59 mm, and the mean length of the PFL was 18.49 mm. In 67.7% of knees, the PLT was attached to the inferior aspect of the femoral attachment of the LCL, and the femoral attachment of the PLT was covered by the bundle of the LCL. The ACL was distinguished into anteromedial (AM) and posterolateral (PL) bundles in all knees. The mean lengths of the AM and PM bundles were 22.14 mm and 15.98 mm, respectively. The measured lengths in each bundle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men and women (P⁄0.05).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emoral attachment area of the ACL and the intercondylar line was 8.36 mm in the AM bundle, 15.98 mm in the PL bundle, and 10.96 mm in the entire ACL. The mean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femoral attachment area of the ACL and the medial border of the lateral condyle was 8.14 mm in the AM bundle, 7.36 mm in the PL bundle, and 8.45 mm in the entire ACL.

      • KCI등재

        어깨밑동맥의 변이와 팔신경얼기의 관계

        길영천(Young-Chun Gil),양희준(Hee-Joon Yang),이혜연(Hye-Yeon Lee) 대한해부학회 2004 Anatomy & Cell Biology Vol.37 No.4

        겨드랑동맥과 팔신경얼기는 서로 밀접하게 위치하기 때문에 겨드랑동맥에서 일어나는 가지들의 위치에 따라서 팔신경얼 기와의 국소해부학적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 여러 종류의 이식판의 혈관으로 사용되는 어깨밑동맥은 그 가지들의 변이도 중요하지만, 둘째부분이나 첫째부분에서도 일어나는 경우, 팔신경얼기의 다발이나 여러 가지들과의 위치관계가 바뀔 수 있음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어깨밑동맥이 형성되지 않고 어깨휘돌이동맥이나 가슴등동맥이 각각 일어나는 경우에도 그 위치나 분포지역에 변이가 생길 뿐만 아니라, 그 주행경로 중 팔신경얼기와의 관계도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어깨밑동맥의 형성이나 시작하는 위치에 따라 팔신경얼기와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관찰하고, 아울러 어깨밑동맥 가지들의 변이와 국소해부학적 특징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로는 고정한 성인시신 110구에서 얻은 겨드랑 217쪽을 사용하였다. 어깨밑동맥은 87.1%에서 관찰되었으며, 12.9%의 표본에서는 어깨밑동맥이 없었고, 어깨휘돌이동맥과 가슴등 동맥이 각각 겨드랑동맥에서 일어났다. 어깨밑동맥은 겨드랑동맥의 셋째부분에서 일어나는 것(63.6%)이 가장 많았으며, 둘째부분(18.9%)이나 첫째부분(4.6%)에서 일어나는 것도 관찰되었다. 어깨밑동맥이 겨드랑동맥의 셋째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80% 이상이 자신경과 노신경의 뒤쪽으로 주행하나, 첫째나 둘째부분에서 일어나는 경우에는 안쪽다발이나 자신경의 앞을 가로지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뒤위팔휘돌이동맥이 어깨밑동맥과 공통줄기로 일어나는 것을 41.9%의 표본에서 관찰하였다. 겨드랑동맥에서 일어나는 가쪽가슴동맥이 없고, 어깨밑동맥과 가쪽가슴동맥이 공통줄기를 이루는 경우는 28.1%에서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변이는 어깨밑동맥이 겨드랑동맥의 첫째나 둘째부분에서 시작하는 경우에 더 빈번히 관찰되었다. 어깨밑동맥은 겨드랑동맥에서 일어난 지점으로 부터 평균 2.2 cm 떨어진 곳에서 어깨휘돌이동맥과 가슴등동맥으로 나뉘어졌다. 어깨밑동맥에서 어깨밑근가지가 분지되는 경우는 68.7%에서 관찰하였으며, 또한 앞톱니근가지가 분지되는 것은 76.0%의 표본에서 관찰하였다. The change of arising site of branches from the axillary artery determines it’s topographic relationship with the brachial plexus because of closeness between the artery and the plexus. Variation of the subscapular artery (SSA) should be concerned when it is used for the source artery of some flaps, especially focusing on the variation of branching pattern and site of origin and relationships with the brachial plexus. In some cases of absence of SSA, if the circumflex scapular and the thoracodorsal arteries arise from the variable portion of the axillary artery separately, they might change the relationships with the brachial plex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ubscapular artery and the brachial plexu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the origin of the SSA and its branch. Two hundred seventeen axillae from 110 Korean cadavers were used for this study. SSA was found in 87.1% of cases, while in 12.9%, the circumflex scapular and the thoracodorsal arteries arose from the axillary artery (AA) seperately. SSA arose most frequently from the third part of the AA (63.6%), and in 4/5 of these cases, it ran behind the radial and ulnar nerves. When it arose from the second part (18.9%) or from the first part (4.6%) of AA, it mostly ran over anterior to the medial cord or/and the ulnar nerve. In 41.9% of the cases, a posterior circumflex humeral artery made a common trunk with the SSA or came from the circumflex scapular artery. In 28.1% of the materials, the SSA made a common trunk with a lateral thoracic artery especially when it arose from the first or second part of AA. After running a mean distance of 2.2cm from AA, SSA was divided into the circumflex scapular and the thoracodorsal arteies. The SSA gave off the branches to the subscapularis in 68.7% of the cases, and the branches to the serratus anterior in 76.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