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옥천대 북서부 태백산지역 평창 일대의 클리페 모델 기반 구조기하 형태 해석 예비 연구

        흥기(Heunggi Lee),장이랑(Yirang Jang),상훈(Sanghoon Kwon)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23 자원환경지질 Vol.56 No.6

        한반도의 대표적인 습곡-단층대 중 하나인 옥천대의 주천-평창지역에는 경기육괴 기반암을 고생대 조선누층군 및 시대미상의 방림층군 상위로 충상시키는 다수의 트러스트 단층이 발달한다. 이 지역의 트러스트들은 상반의 암체가 하반의 암체로 완전히 둘러싸인 폐곡선 형태의 독특한 자취를 보이며, 이는 전형적인 클리페의 지질도 상 특징으로 해석될 수 있다. 특히, 연구 지역과 같이 트러스트 상반에 기반암을 포함하는 클리페의 경우에는 습곡-단층대 배후지의 구조 발달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그러나 클리페 구조가 잘 정의되기 위해서는 층서적으로 오래된 암체가 트러스트를 경계로 상대적으로 젊은 암체의 상위에 구조적으로 완전히 고립된 형태를 보여야 하기 때문에, 연구지역에 넓게 분포하는 시대미상 방림층군의 지질연대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을 통해 획득한 방림층군의 최대 퇴적시기와 야외조사 결과 및 기존 연구를 종합하여, 방림층군을 아래로는 선캄브리아시대 화강편마암과 위로는 전기 고생대 조선누층군 양덕층군(장산층, 묘봉층)의 지층 사이에 놓이는 고생대 캄브리아기 최하부 지층에 대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평창지역에 대한 구조기하 형태 연구를 수행한 결과, 운교리트러스트와 방림트러스트는 하나의 습곡된 트러스트이며 운교리트러스트 상반의 암체들이 하반 암체들에 의해 완전히 고립된 특징을 보이는 클리페 모델로 해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주천-평창지역에 대한 구조지질학적 측면의 후속 연구들을 통해 클리페 모델에 대한 추가적인 테스트가 이루어진다면, 옥천대의 구조 진화에 있어서 기반암을 포함하는 변형 기작의 역할에 대해 중요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The Jucheon-Pyeongchang area in the northwestern Taebaeksan Zone of the Okcheon fold-thrust belt preserved several thrust faults placing the Precambrian basement granite gneisses of the Gyeonggi Massif on top of the Early Paleozoic Joseon Supergroup and the age-unknown Bangrim Group. Especially, the thrust faults in the study area show the closed-loop patterns on the map view, showing older allochthonous strata surrounded by younger autochthonous or para-autochthonous strata. These basement-involved thrusts including Klippes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hinterland portion of the foldthrust belt. For defining Klippe geometry in the thrust fault terrains of the Jucheon-Pyeongchang area by older on younger relationship, the stratigraphic position of the age-unknown Bangrim Group should be determined. The Middle Cambrian maximum depositional age by the detrital zircon SHRIMP U-Pb method from this study, together with field relations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the Bangrim Group overlies the Precambrian basement rocks by nonconformity and underlies the Cambrian Yangdeok Group (Jangsan and Myobong formations). The structural geometric interpretation of the Pyeongchang area based on newly defined stratigraphy indicates that the Wungyori and Barngrim thrusts are the same folded thrust, and can be interpreted as a Klippe, having Precambrian hanging wall granite gneisses surrounded by younger Cambrian strata of the Joseon Supergroup and the Bangrim Group. Further detailed structural studies on the Jucheon-Pyeongchang area can give crucial insights into the basement-involved deformation during the structural evolution of the Okcheon Belt.

      • Intermediate Host Survey of Paragonimus westermani in Chilgok County, Kyungpook Province

        KWON, Heung-Ki,CHUNG, Dong-Il,CHOI, Dong-Wik 慶北大學校 醫科大學 1991 慶北醫大誌 Vol.32 No.3

        1989年 4月부터 同年 10月까지 慶北 漆谷郡 架山面의 下板, 泉坪, 金華 溪谷에서 肺吸蟲 中間宿主의 分布狀과 그 宿主에 있어서 肺吸蟲 有尾幼蟲과 被囊幼蟲의 感染狀을 調査하였다. 다슬기의 棲息密度는 溪谷 1平方미터當 平均 7.7個였고, 溪谷間의 有意的 差는 認定할 수 없었다. 다슬기에서의 肺吸蟲 幼尾幼蟲은 檢出되지 않았으나 Cercaria incerta, Cercaria nipponensis 및 Metagonimus屬 幼尾幼蟲은 少數 檢出되었다. 가재의 棲息密度는 平均 1.3마리로 매우 낮았다. 가재에서의 肺吸蟲 被囊幼蟲의 檢出率은 下板溪谷 11.1% 金華溪谷이 8.3%였고, 泉坪溪谷의 가재에서는 전혀 檢出되지 않았다. 가재 體部位別 肺吸蟲 被囊幼蟲의 檢出率은 頭胸部와 아가미에서 各各 5.1%, 2.6%였고 그 外의 部位에서는 檢出되지 않았다. 以上의 成績으로 미루어 보아 架山面 下板溪谷과 金華溪谷은 如前히 肺吸蟲 浸潤地로 남아 있음을 알았다. From April to September, 1989, epidemiological survey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first and second intermediate hosts of Paragonimus westermani and the infestation of the hosts with the cercaria and the metacercaria in three streams in Kasan Myun, Chilgok county, Kyungpook Province, Korea.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snail host, Semisulcospira species, was 7.7 per square meter of stream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reams. Although Cercaria incerta, Cercaria nipponensis, and the cercaria of Metagonimus species were found, the cercaria of P. westermani was not liberated. The mean population density of the. crayfish, Cambaroides similis, was 1.3. The demonstration rates for the metacercaria of P. westermani were 11.1% in Hapan stream and 8.3% in Kumhwa stream. However, no metacercaria was demonstrated from the crayfish collected in Cheonpyong stream. The demonstration rates from cephalo-thorax and gills of the crayfish were 5.1% and 2.6%, respectively. The other parts were found not to be infested. In the light of these results, it is likely that Hapan and Kumhwa streams remain endemic foci of paragonimiasis.

      • KCI등재

        근막 동통 증후군 환자에 대한 조사 연구

        김선엽,흥기,오윤,Kim, Suhn-Yeop,Kang, Heung-Kee,Kwon, Oh-Yun 대한물리치료과학회 1995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ho had a diagnosis of Myofascial Pain Syndrome(MPS). Myofascial pain is a painful condition of skeletal muscl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one or more trigger points. A trigger point(TrP) is a focus of hyperirritability in a tissues. Of the patients with MPS, 21(44.7 %) were male and 26(55.3 %) were female. The mean duration of MPS was 9.6 months for males and 11.3 months for females. Trigger points with associated referred patterns of pain were found in muscles of the post neck(trapezius, infrasupinatus) and in quadratus lumborum muscle. Patients reported increased fatigue(87.2 %), tingling sensation(66.0 %), numbness(66.0 %), tension(55.3 %), anxiety(44.7 %), headache (59.6 %), pilomotor activation(59.6 %).

      • KCI등재

        쌍태임신에 관한 임상통계학적 고찰

        박승보,김용탁,강인구,권흥기,이진식,조완석,김건오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5

        1984년 1월부터 1989년 12월까지 만 6년간 대구 파티마병원에 입원하여 분만된 쌍태 임산부의 306예의 임상기록을 대상으로 임상적 관찰과 통계 처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쌍태분만은 발생빈도는 1 : 115였다. 2. 쌍태 임산부의 연령분포는 25 29세군이 62.8%로 가장 많았고, 출생력에 따른 분포는 초산부가 61.3%로 가장 많았다. 3. 쌍태임신의 임신주수에 따른 분포는 37∼38주군이 33%로 가장 많았고 37주이하의 임신주수는 46.7%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임신중 산모의 합병증은 빈혈이 46%로 제일 많았고, 임신성고혈압 질환 및 조기진통의 순서이었다. 5. 태위는 두위-두위가 58.8%였고, 두위-둔위가 23.5%이었다. 6. 쌍태임신의 분망방법은 자연 두위 질실분만이 제일 많았다. 7. 제왕절개술에 의한 분만은 전체 분만의 22.2%이었고, 그 적응증은 이상 태위가 32.5%로 가장 많았다. 8. 제 1아와 제 2아의 분만 시간의 간격은 5분이내가 68%로 가장 많았다. 9. 신생아의 평균체중은 제 1아가 2484grams 그리고 제 2아가 2447grams으로 제 1아가 평균 37grams이 더 많았다. 10. 신생아의 성별은 모두 남아인 경우가 50%로 제일 많았고, 서로 다른 성인 경우는 20%이었다. 11. 1분 Apgar치는 제 2아가 제 1아보다 낮았으나 5분 Apgar치는 제 1아와 제 2아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12. 주산기사망율은 제 1아에서 65 그리고 제 2아에서 높았다. 주산기사망의 원인으로는 조산과 호흡기장애증후군이 61%로 제일 많았다. Clinical evaluation with multiple aspects were made on 306 cases of multifetal pregnancy in Taegu Fatima Hospital from Jan. 1. 1984 to Dec. 31. 1989.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incidence of twin births was one in 115 births. 2. The predominent age group of gravida was 25∼29 which covers 62.7% of all and according to parity, most frequent group was nullipara which covers 61.3%. 3. The predominent gestational weeks group of twin births was 37∼38 weeks and preterm labor occurred in 46.7% of cases which showed high rate. 4. The most frequent maternal complication during pregnancy was anemia with 46% followed by hypertensive disorders in pregnancy and preterm labor. 5. In fetal presentation of twins, vertes-vertex combination was most common with 58.8%, and vertes-breech combination was next with 23.5%. 6. The most common mode of twin delivery was spontaneous vertex vaginal delivery. 7. Cesarean section was done in 22.2% of the cases. 8. In an interval between 1st and 2nd baby deliveries, the most frequent was within 5 min. group (68%). 9. In mean birth weight, the 1st ad 2nd twin were 2,484 grams and 2,447 grams respectively, and the former was heavier by 37 grams. 10. Both male group was predominent group with 50%. 11. Low one minute Apgar scores occured more often in second twins than in first twins. 12. The perinatal mortality rate of the first and second twins was 65 and 95 respectively. The main causes of perinatal death was prematurity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 61%.

      • KCI등재

        자궁경관 무력증

        김용탁,류형우,송성,권흥기,이진식,조완석 대한산부인과학회 199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3 No.12

        1983년 9월부터 1988년 10월까지 5년 1개월간 파티마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43예의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에 대하여 수술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경관무력증 수술빈도는 총분만수 28,467예중 43예로 0.15%이다. 2. 25∼29세의 연령군에서 제일 많은 빈도를 보였으며, 기왕임신횟수와의 관계에서 3회이상이 36명(83.7%)로 가장 많았다. 3. 원인적소인으로서, 소파술로 경관손상을 받은 과거력을 가진 예가 34예(78.2%)로 제일 많았으며, 유산 및 분만후 경관열상이 7예(16.2%) 원인미상이 2예(4.6%)로 나타났다. 4. 수술방법은 McDonald술식이 40예(93%), Schrodkar술식이 3예로 실시했다. 5. 수술후 평균 입원기간은 4일로서 술후 절대안정 및 Hip elevation시켰으며 20예에서 Yutopar(19예)와 항생제(1예)를 투여했으나 비투여군 23예와의 태아 생존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수술받은 환자 43명중 36명이 추적되었고 이중 31명이 성공하여 태아생존율은 86%였다. 7. 술후 분만방법은 질식분만이 36예(83.3%), 제왕절개분만이 6예(16.7%)이었다. 8. 술후 실패한 5예는 조기진통이 3예, 조기파막이 2예였다. 9. 수술시기는 14∼15주에서 26예(60.5%)로 가장 많았으며, 이군에서 태아생존율은 91%로 매우 높았다. We surveyed 43 cases with I.I.O.C. who received the treatment of cervical cerclage at Fatima Hospital from September in 1983 to October in 1988, during the period 5 years and one month. These 43 cases were followed by 31 live births and 5 failures and 7 patients were lost to follow up. An attempt to analyze the predisposing factors, postoperative results and other concerned problems were mad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지연임신에 관한 임상적 고찰

        김문수,이윤순,박승보,김영인,이경호,이병태,권흥기 대한산부인과학회 199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5 No.7

        1988년 1월 1일부터 1989년 12월 31일까지 만 2년간 대구파티마병원 산부인과에서 경험한 임신 42주이상의 지연임신 888례를 대상으로한 임상적 고찰과 통계학적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의 대조군으로는 동기간 동안에 분만한 임신 38주부터 42주까지의 만삭분만 12,207례로 하였다. 1. 지연임신의 발생빈도는 총 분만 14,241례중 888례로 6.24%에 해당되었다. 2. 연령별 분포는 21~30세군에서 769례(86.60%)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31~40세군으로 118례(13.29%)이었으며, 임신주수별 분포는 42주가 783례(88.2%)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43주로 93례(10.5%)이었다. 3. 출산력별 빈도는 초산군에서 7.79%이고 경산군에서는 3.87%로 초산군에서 약 2배 가량 높았다. 4. 진통개시의 유형별 분포는 유도분만이 507례(57.1%)로 자연진통(340례, 38.3%)보다 더 많았고 무진통이 41례(4.6%)이었다. 5. 태아곤란증의 빈도는 4.28%로 대조군의 빈도인 1.07%에 비해 4배정도 높았다. 6. 분만방법에 있어서는 질식 자연분만이 607례(68.36%), 흡입분만 164례(18.47%), 제왕절개분만 114례(12.84%), 둔위분만 3례(0.34%)순이었다. 7. 제왕절개분만은 모두 114례로서 이의 적응증은 아두골반불균형이 50례(43.8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태아곤란증이 28례(24.56%), 유도분만실패 23례(20.18%), 이상태위 7례(6.14%), 기왕제왕절개술3례(2.63%) 순이었으며, 그 외 전치태반 1례, 태반조기박리 1례, 노령초산모 1례가 있었다. 8. 태아체중의 분포에 있어서는 3.2~3.9kg에서 지연임신군과 대조군이 각각 58.0% 및 57.75%로 양군 모두 가장 많았다. 4kg이상은 지연임신군에서 6.19%, 대조군에서 4.66%로 지연임신군에서 더 빈도가 높았다. 9. 지연임신에서의 주산기이환율은 이환된 신생아 총 59례중 감염질환이 17례, 신생아 질식 16례, 폐혈증 10례, 신생아 고빌리루빈증 5례, 폐렴 4례, 태변흡입증후군 3례, 기흉 2례, 저혈당증 1례, 선천성 매독 1례 순이엇다. 10. 본 연구 대상 888례중 490례에서 admission test(AT) 및 acoustic stimulation test (AST)를 시행하였다. Admission test의 결과는 reacitive가 412례(84.08%), equivocal이 71례(14.49%), omnious가 7례(1.43%)이었고, acoustic stimulation test에서는 type I이 455례(92.8%), type II가 15례(3.06%), type III가 20례(4.08%)이었다.또 태아곤란증의 빈도를 보면 AST에서 type I group중에서는 3.74%, type II group에서는 33.33%, type III group에서는 50%가 각각 태아곤란증을 나타내었다. A Clinical observation has been made on 888 cases of postterm pregnancies out of 14,241 cases delivered at Dept. of Obstetrics & Gynecology, Fatima Hospital, Daegu, during 2 years since Jan. 1,1988 to Dec 31,1989. Postterm pregnancy was defined as a pregnancy that it exceeds 294 days calculated from first day of the last menstrual perio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postterm pregnancy was 6.24% with highest incidence occuring in the 21~30 years group. The incidence of postterm pregnancy in primipara(7.79%) was greater than that or multipara(3.87%). 2. In postterm pergnancies, the gestational weeks of 42 was the most prevalent (88.2%)and 43 weeks was the next(10.5%). 3. The modes of labor onset in postterm pregnancy showed induction (57.1%), spontaneous(38.3%), and no labor(4.6%). 4. The incidence of fetal distress was 4.28% and 1.07% in the postterm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5. The incidence of large fetus (weight over 4,000 gm) was 6.19% and 4.66% in the postterm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ly. 6. The modes of delivery in postterm pregnancy showed Spontaneous vaginal delivery 68.36% Vacuum extracted delivery 18.47% Breech extraction 0.34% Cesarean section 12.84% 7. The rate of Cesarean section in postterm pregnancies was 12.84% and it was lesser than that of term pregnancy (14.5%) during that same period. 8. As for indication of Cesarean section in postterm pregnancies, the cephalopelvic disproportion was the most prevalent and fetal distress, failed induction, malpresentation, previous Cesarean section was the next in order. 9. As for perinatal morbidity in postterm pregnancies, infectious morbidity was the most prevalent and asphyxia neonatorum, sepsis, neonatal hyperbilirubinemia, pneumonea was the next in order. 10. Admission test and acoustic stimulation test were performed on 490 cases among 888 cases of this study. A type I response was recorded in 81.2% of the women after a reactive admission test result, in 80.3% after an equivocal admission test result, and in none after an omnious admission test result.Fetal distress in labor occurred in 3.74% of cases in type I group,33.33% of cases in type II group, and 50% of cases in type III group,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