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육감 직선제의 쟁점과 개선방안

        권혁운 한국교육정치학회 2011 敎育政治學硏究 Vol.18 No.2

        The current study analyzes the issues and problems regarding the direct election system for Superintendent based on the experiences both of the researcher as a candidate as well as the other candidates' opinions in the June of 2010 election. The findings uncovered several alternatives for complementing them which are as follows: (1) The current law related to the election for Superintendent, which is a part of political party elections, needs to be reformed in a way of being appropriate to the election for Superintendent by expanding elections using media; (2) the current electoral system, which is exactly the same as political elections, needs to be reformed in order to lower expenses, and (3) low voter-turnout has led to low efficiency, consequently the voting process needs to become more efficient. Several other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as alternatives to complement the current system while maintaining the fundamental meaning of local autonomy in education. New legislation, specifically addressing the election of Superintendent, needs to be drawn and the election should be held separately from the local government election. Additionally, other op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are a running mate system with the selection of provincial governors or mayors, an indirect election by extended voters on school boards, and indirect election by people who are related to education. 이 연구는 2010년 6월 실시된 교육감 선거 현황 및 결과 분석과 연구자가 피선거권자로서 참여한 경험을 토대로 현행 교육감 직선제의 쟁점과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도출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정당선거 중심의 현행 교육감 선거 관련법을 미디어 선거를 확대하는 등 교육선거에 맞는 방식으로 개선해야 하고, 둘째, 과도한 선거 비용에 대한 어려움을 줄여줄 수 있도록 현행 정치선거와 동일한 방식의 선거 운동 방법을 개선해야 하며, 셋째, 교육감 직선제는 저비용․고효율 방식으로 보완 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감 직선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별도의 선거법을 만들고 지방선거와 분리하여 실시해야 하며 시ㆍ도지사와의 러닝메이트제, 선거인단을 확대한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에 의한 간접 선출, 교육관계자 전원에 의한 간접 선출 방식 등 교육 자치의 근본정신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교육감 직선제의 문제점을 보완 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권혁운 한국교원교육학회 2010 한국교원교육연구 Vol.27 No.3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직무실태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교사에게 공통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실증적 타당성을 지닌 교사 직무 기준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학교 규모와 소재 지역을 고려한 유층표집을 통하여 9개 학교를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며, 교사 직무 실태 조사 도구는 시간대별로 교원의 하루 일과를 기술하도록 하는 직무기술서 양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교사 직무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직무수행 시간, 직무의 중요도 인식, 직무 영역 조정 방향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일일 직무 수행 시간은 473.97분을 할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직무 중요도 분석 결과 직무에 대한 중요도 인식 점수는 5점 척도에서 4.44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직무 영역 조정 방향을 직무 대분류별로 비교해 보면, 대부분 현행 교사업무유지를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원인력전담에 대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의 직무실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구성된 교사 직무기준안은 교과지도, 학생지도, 전문성신장, 학교경영참여의 4개의 직무 영역과 10개의 직무 내용으로 구성되었고 총 30개의 세부 직무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교사 직무 기준은 교사의 업무경감, 교원 양성?연수 및 인사 체제 개편 등의 주요 교원정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인덕턴스 추론기법에 의한 SRM의 센서리스 제어

        권혁운,최서익,김철우 부산대학교 생산기술연구소 2001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0 No.-

        본 논문은 SRM의 회전자 위치 정보를 얻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였다.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인덕턴스가 변화함을 이용하며 비여자상의 펄스 전류, 펄스 전압를 측정하고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위치를 예측한다. Micro-processor는 비여자상을 결정하고 테스트 결과는 SRM의 센스리스 제어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paper describes a new methods of detecting rotor position in SRM (switched reluctance motor). A low-cost position-sensing scheme using stator inductance measurement is presented in this paper. An analog electronic technique can be applied to measure the inductance of a nonconducting phase by measuring phase current and pulse voltage. Micro-processor is decided to the nonconducting phase. Test results show that this technique is a possible approach to detect the rotor position of an SRM.

      • KCI등재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요구 분석

        권혁운 ( Hyuk Woon Kwon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2

        이 연구는 초임교사의 역량 제고를 위해 교사역량의 중요성과 현재 보유 수준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교육요구와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5개 시·도의 94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초임교사 49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유효자료 수 382부; 유효회수율 79.4%). 연구결과 첫째, 초임교사는 3개 역량군에 대한 중요성은 높게 인식하였으나 현재수준의 경우 평균 3점대로 나타나 교사역량을 어느 정도 갖추고는 있으나 충분하지는 않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역량모델의 19개 하위역량에 대해서는 중요성 인식 수준이 현재수준보다 모두 높게 나타나 중요도와 현재수준 간에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셋째,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의 우선순위는 교육계획수립, 상담, 교과전문성, 교수­학습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교육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수월성을 갖춘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된다면 초임교사의 직무역량 제고를 위한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educational needs and priorities of new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job competency by figuring out the importance of teacher competency and current standards. For this purpose,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to 490 newly employed teachers working at 94 elementary schools in 15 cities and provinces (Number of valid questionnaires: 382; valid collect rate: 79.4%). As a result, while the teachers had a high awareness on 3 capacity groups, but currently its average was 3 which means they thought themselves to have not sufficient teacher competency. Second, upon 19 sub-capacity groups of teacher competency model, they had high awareness of importance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mportance level and current standard. Third, the priority of educational need to the competency was educational planning, followed by counselling, subject specialty, teaching-learning from the highest order. If an educational excellence program to fulfil the educational needs is provided, it might bring positive effect to develop job competency of newly employ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 ISLLC 기준을 활용한 중등학교 교장의 직무 내용 분석 : 공문을 중심으로

        권혁운(Kwon Hyuk Woon) 한국교육포럼(아시아태평양교육학회) 2010 韓國敎育論壇 Vol.9 No.3

        세계 각국이 ‘교육의 질 향상’에 노력을 기울이면서 학교교육의 책무성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학교경영의 최고 책임자인 교장의 전문성 확보가 중요하게 대두됨에 따라, 교장의 직무기준을 설정하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장의 직무 분석은 ISLLC 기준을 활용하여 중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 과정에서 결재한 공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장의 직무수행은 관리영역이 최다빈도를 보였고, 학교문화와 수업프로그램 순이었다. 둘째, 학습비전, 지역사회와의 협력, 윤리적 태도, 전체적 상황맥락 인식 등의 영역의 직무수행은 낮은 빈도를 보였다. 셋째, ISLLC의 기준으로 분류하기 어려운 공문들은 대부분 홍보를 요청한 공문으로 교장의 선별적 처리와 정비된 공문유통시스템이 요구된다. 넷째, 미국의 ISLLC에서 제시한 6가지 영역에 걸친 직무표준은 우리나라 교장의 직무기준 설정에 적용이 가능하다. 분석된 내용을 종합해 볼 때 교장의 직무영역이 사회변화와 학교를 둘러싼 다양한 요구를 수용할 수 있는 표준화된 매뉴얼을 제공하는 정교한 직무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As the countries of the world make an effort to raise the quality of education, responsibility of public school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The current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setting up new standards for principal’s duti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a principal’s expertise as a manager of a school. Official documents approved by secondary school principals were analyzed based on ISLLC standards to investigate current principals’ duties. The results follow: (1) principals worked the most on school administration followed by school culture creation, and class observation for teaching promotion, (2) there were few documents related to categories such as students’ learning, cooperation with local community, attitudes towards ethics, awareness of school in society context, (3) the documents which were not able to be analyzed by ISLLC standards are mostly related to public relations and, thus, they need to be separated from the official documents, and an upgraded document distribution system is required, and, (4) the duties in the six areas shown in ISLLC can be applied to Korean principals’ duties. Based on the analysis, it is necessary to adopt a more refined working system which provides a job standards manual covering the various demands from the changes of society and school surroundings.

      • KCI등재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초등교사의 참여도 제고 방안

        권혁운 ( Hyuk Woon Kwon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3 한국초등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초등교사의 참여도 제고 방안을 강구하여 방과후학교의 지속적인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방과후학교 활성화는 사교육비경감, 한부모가정 및 다문화가정 자녀의 보호와 교육 차원에서 볼 때 그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학부모들이 학교교육에 있어 정규교육과정 외에 방과후학교에 대한 높은 교육적 요구와 다양한 활동을 원하고 있다. 그러나 방과후학교 운영에 있어 정규교육과정과의 관계 설정이 미흡하여 학교 내에서의 갈등이 상존하고 있고 교사들에게는 방과후학교가 또 다른 부담으로 인식되고 있어 질 높은 방과후학교 운영에 전력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방과후학교 운영실태와 만족도 및 교사의 요구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전국 초등학교의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및 참여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과후학교 활성화를 위한 초등교사의 참여도 제고 방안으로는 교원 연수 강화, 업무분장 조직의 재구조화, 업무처리 전산시스템 개발, 교원 수당의 현실화 및 참여교원에 대한 인센티브부여, 마지막으로 교원양성 과정에서 1교원 1특기 교육 실시 등이 제시되었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methods to Improve and Enha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of after school education and to develop school education sustainably. The need for invigoration of after school is increasing in the aspect of reduction of private education cost, protection of children, as well as protection and education of children of one-parent family and multi-culture family. Furthermore, most parents demand schools of high quality education for after school program and want various after school activities other than regular educational program. However, in operating after school education, 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between regular educational program is insufficient and there exists conflict within school while teachers aware after school education as another burden, which makes them hard to do their best in operating high quality after school education. As research method, this paper conducted a survey on operation status of after school education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targeting teachers in charge of after school education of primary schools nationwide and students participating the after school education as well as the parents of the students. As the result of research, the methods to Improve and Enhan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ion of after school education are suggested such as reinforcement of training of teachers, reconstruction of work responsibility organization, development of computing system dealing duties, actualization of teachers` benefit or provision of incentives for participating teachers, implementation of education of one specialty per teacher during nurture procedure of teachers, and lastly, expansion of the operation of after school support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