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ED전구 활용수업이 초등학생의 전기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권진아 서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현재 전기회로 실험에 사용되는 필라멘트 꼬마전구는 오래된 조명도구로 전기효율이 떨어지고, 온도에 따라 전류의 세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밝기도 고르지 않다. 그리고 곧잘 불량품이 생기기 때문에 실험 전, 실험 중에 교사가 세심하게 불량품을 골라내야한다. 또한 필라멘트 꼬마전구는 극성이 없어 전지의 +, - 극만으로 전류의 방향을 지도해야하거나 추가로 LED를 도입해야하는 한계가 있다. 그리고 현재 조명으로는 거의 활용되지 않는 필라멘트를 사용하여 학생들에게 최신 기술을 소개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학생의 전기개념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전기회로 실험도구는 실험결과를 명확히 보여주고, 불량률이 적으며, 최신 기술을 반영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필라멘트 꼬마전구의 대안으로 LED전구를 전기회로 실험에 도입하여 기존의 전기회로 실험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LED전구와 필라멘트 꼬마전구의 광학적 특성 비교하여 LED전구가 필라멘트 꼬마전구에 비해 성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밝히고, 전기단원을 재구성하여 개선된 실험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의 전기 과학 개념이해도 향상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LED전구와 필라멘트 꼬마전구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 LED전구의 성능이 필라멘트 꼬마전구보다 훨씬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LED전구의 밝기가 필라멘트 꼬마전구보다 밝고 빛 밝기가 균일하였다. 또한 극성이 있는 LED전구를 전기회로 실험에서 사용하여 학생들은 전기회로에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아는 동시에 전류가 흐르는 방향도 알 수 있게 된다. 둘째, LED전구를 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전기개념 이해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LED전구와 필라멘트 꼬마전구를 모두 접하게 한 다음 서술형 설문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은 LED전구가 실험결과를 더 잘 보여주고, 최신 과학기술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 있다고 평가하였다. *본 논문은 2016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석사학위 논문임.

      • 한국과 미국 대학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 비교 연구 : 노던아이오와대를 중심으로

        권진아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사회가 급변하고 다양해짐에 따라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도 달라지고 있으며, 그러한 인재를 기르는 학교의 역할도 점차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관한 관심도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교사의 교육을 맡고 있는 사범대학의 책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사범대학의 경우 졸업과 함께 교원자격증이 발급되는 만큼 사범대학은 책임감을 갖고 교육과정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진정한 교사의 자격을 갖춘 졸업생들을 배출할 의무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교육과정의 합리적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양성기관의 현행 교육과정의 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미국의 노던아이오와대학과 한국의 11개 사범대학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사범대학의 인터넷 사이트와 요람, 강의계획서 등의 자료를 통해 각 학교별 교육과정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을 크게 교양, 전공, 교직과정, 일반선택으로 나누고 전공을 다시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리하였으며, 교과내용학을 해석, 대수, 기하, 응용의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전공을 총 5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로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미국과 한국 대학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대수영역과 응용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개설과목수와 개설과목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교과내용학과 교과교육학의 비율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서 한국 대학의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에 관한 현직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보았는데, 교과내용학과 교육실습 부분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다수 있었다. 연구 결과 수학교육과 교육과정에 개선에 관한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개선 과정에 현직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ccording to the change and variety of current society, the feature of human resources are becoming various and the role of schools are following such current of the world. As these reasons, teachers' specialties are getting more important. So are colleges of education. The colleges of education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managing mathematics teaching courses since a certificate of teaching qualification is issued, graduating from the colleges. The duty of training authentically qualified pre-teacher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Accordingly, the reasonable improvement of current teaching courses is required. First, this research has compared the curriculum and courses of Northern Iowa University and those of 11 universities of Korea and analyzed the results in order to improve current mathematics education. The data of each university was gathered by Internet homepage of a university and survey about curriculum and education courses. The courses are divided into the arts, major subjects, teaching courses and general courses. Also the major subjects are divided into mathematics pedagogy and mathematics major field and then mathematics major field is divided into Analysis, Algebra, Geometry and Applied Mathematics. So the major is splitted in five categories and analyzed. The result of research shows somewhat differences in colleges of America and Korea. Except for Algebra and Applied Mathematics, there were differences within the subjects, the number of subjects and the rate of mathematics pedagogy and mathematics major field. Second, survey was also conducted to inquire present teacher's opinion about mathematics pedagogy and study courses of colleges of Korea. Most teachers agree that mathematics major field and teaching practice is not enough. Through this research, I found that there should be considerable improvement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course curriculum and opinion of present teachers in the field should be collected necessarily.

      • 경력단절여성의 문화적 자기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조절효과

        권진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35-44세 초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력단절여성을 대상으로 문화적 자기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다중역할계획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조사를 병행하여 256명의 경력단절여성에게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체성-대상성 자기, 다중역할계획태도,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였으며 응답자료는 SPSS 22.0와 SPSS macro program을 통해 분석되었다. 그 결과 주체성 자기관은 정적으로, 대상성 자기관은 부적으로 심리적 안녕감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다중역할계획태도 지식/확신성, 몰입, 개입은 모두 심리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다중역할계획태도 지식/확신성과 개입은 주체성 자기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몰입과 개입은 대상성 자기관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력단절여성의 문화적 자기관에 따라 다중역할계획태도를 차별적으로 적용해야 함을 시사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moderating effect of attitude toward multiple role plan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self-constru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career interrupted women aged from 35 to 44 who graduated from college. 256 Participants completed the Cultural Self construal Scale: Subjective, Objective, and Autonomous Selves, Attitudes Toward Multiple-Role Planning (ATMR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SPSS 22.0 and SPSS macro program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 revealed that subjective self, objective self and subscales of ATMRP which are Knowledge/Certainty, Commitment and Involvement all showed a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well-being. Knowledge/Certainty and Involvement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Moreover, Commitment and Involvement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 self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differentially adapting attitudes toward multiple-role planning according to cultural self construal of the career interrupted women.

      • 디자이너를 위한 이러닝 기반의 프로그래밍 학습 서비스 디자인

        권진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55

        다양한 IT 기반 서비스가 발달하면서 디자이너들은 개발자와 많은 협업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디자이너가 디자인 가이드를 작성 및 전달하고 이를 개발자가 구현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많이 소모되고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결과물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많은 디자이너가 프로그래밍을 직접 학습하고, 자신의 디자인 작업에 활용하고자 하고 있다. 프로그래밍을 학습하고자 하는 디자이너가 늘어남에 따라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하는 이러닝 기반의 프로그래밍 학습 서비스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 서비스들이 기초적인 프로그래밍 지식을 학습한 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 결과물을 만드는 수업 방식을 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디자이너들은 프로그래밍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닝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 서비스에서 디자이너들이 겪는 어려움과 니즈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여 효율적인 학습 시나리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디자이너의 프로그래밍 학습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고, 학습 서비스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이러닝의 개념 및 특징, 학습 구성 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습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현재 서비스되고 있는 이러닝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 서비스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개선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심층 인터뷰를 통해 디자이너가 겪는 어려움과 니즈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 구성 요소별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이를 적용하여 기존의 학습 서비스를 개선한 시나리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디자이너가 프로그래밍을 학습할 수 있는 최적의 학습 서비스를 제안하고 UI 프로토타입을 디자인한 것으로, 이를 통해 디자이너들의 학습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 various IT services developed, designers became more collaborative with developers. However, it takes a lot of time for designers to write a design guide and it is difficult for developers to understand it. Thus, they often obtain undesired results. In order to overcome this inefficiency, more and more designers are interested in learning programming. As the number of designers who want to learn programming increases, e-Learning based programming services for designers are also increasing. Despite the fact that these e-Learning services provide basic programming knowledge and pursue the teaching method to produce the desired design results based on it, designers still have difficulties in learning programming.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designers in e-Learning based programming learning service and presents efficient learning scenarios by deriving the guidelines based on the user experience investig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programming for designers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investigated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components of e-Learning. An investigation about e-Learning based programming services, which are actually in service, was carried out and the necessity of improvement was confirm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and needs of designers in detail. Based on the answers of the interviews, the guidelines for each component of e-Learning were derived and the scenarios that improved conventional e-Learning service by applying the guidelines. It is expected that the e-Learning based programming learning services,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guideline, can provide a more efficient programming learning experience to designers.

      • 집단미술치료가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내적통제와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

        권진아 경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비행청소년의 재비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의 하나로 경기도에 소재한 한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그들의 내적통제와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들 중에서 일 년 이상 입원결정을 받은, 10호 처분 중인 청소년 6명을 의뢰받았다. 연구기간은 2011년 3월 8일부터 2011년 6월 28일까지였으며 매주 1-2 회기씩 약 60분 총 16회기 동안 집단미술치료를 소년보호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심리치료실에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집단미술치료 전, 후의 내적통제와 우울, 불안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내적통제는 Rotter(1996)의 내외통제 성향 척도 “Inter-External Control Scale"을 차재호, 공정자, 김철수(1973)가 번안한 내적통제성향척도를 사용하였다. 우울, 불안은 Achenbach (1991) 가 11세~18세 청소년을 위하여 개발한 미국판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를 한국판(오경자, 이혜련, 하은혜, 홍강의, 1997)으로 개정한 K-YSR(Korean-Youth Self Report)을 사용하였다. 투사검사로 내적통제의 정도의 변화와 우울·불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빗속의 사람(PITR)을 사전 사후에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내적통제를 향상시키는 것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단 미술치료를 통하여 삶의 주인은 자신이라는 것과 자신의 행동을 자신이 선택하므로 자신의 행동의 책임은 자신에게 있음을 인식함으로 인한 내적통제의 향상을 의미한다. 이는, 대상자들 자신들이 성취욕구와 즐거움의 욕구가 충족되면서 사회성에 대한 자신감이 생기게 되어 바람직한 선택을 하고, 그 선택에 대한 책임 있는 행동을 하는 데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움으로써 내적통제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고 보아진다. 둘째,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우울·불안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들의 우울·불안의 사전,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우울·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부정적 감정이 심화된 상태에서 미술을 통한 자기표현은 스스로의 성취표현의 결과이며 여기에 타인과의 의사소통과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집단치료를 더한다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따라서 부정적 사고의 감소로 우울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었다고 보아진다. 또한, 내적통제와 우울·불안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투사검사로 빗속의 사람 그림을 비교한 결과 사전·사후 검사에서 내적통제의 향상과 우울·불안의 감소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집단원들은 언어순화의 노력과 밝은 표정으로 상대방을 배려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집단 미술치료는 소년보호교육기관에 입원한 여자비행청소년의 내적통제와 우울·불안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를 통하여 다양한 감정의 조절이 가능하고 외부통제로 인해 재비행이 이루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어 재비행을 방지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일 사례이며, 비행의 원인마다 해결할 수 있는 전문적인 방법이 다르므로 모든 비행청소년에게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권진아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55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experience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art therapy and 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nd then, to make image of emotions suppressed within their inner side in visualized works of art in order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ir world. To this end, it intends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various experiences through art therapy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by a narrative inquiry way focusing on human experience for recomposition and to provide overall understanding materials to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in order to help active interaction with the mothers in treatment of disabled children.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3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ho went to the ○○ Children Development Center in M city for treatment. Period of data collection was about 4 months from July to October 2016 and the main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ation of art therapy program for 13 tim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process was recording of participants' works and interviews,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such data as field diaries of the researcher. The experiences in art therapy by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this process are as follows;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I thought it had nothing to do with me>, <Everything is regrettable>, <I thought walking would solve everything>, <I am worried about future of this and that>, <Disabled child is burdensome>, <First-born child weighs on my mind due to younger disabled brother>, <My power, my family>, and <I dreamed a comfortable life>.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A bolt out of the blue>, <Why only do I have to live like this>, <Even though eyes on disabled children become better>, <To send disabled child to a special school at last>, <You are my destiny>, <I thought it would be all right>, <I do not deserve him>, and <Investment for me> while stories of A's art therapy experience were <How do I bring up my child?>, <Has the God abandoned me?>, <Arrows to me>, <Painful fingers>, <Fear not to know when it comes>, <Baby, don't worry anything>, <I dreamed a trip with my family>, and <I will reach maturity as much as I am painful>. The meanings of art therapy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s mothers we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class is time for me only. Second, I express and accept my emotions through works of art. Third, I find importance of family members who share human feelings in my life. Fourth, I discover myself forgotten for a while and dream my future. According to above narrative inquiry, implications of art therapy experience of disabled children's mother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research had a process of revealing their own life through experience in works of art. Second, eyes concentrated only on disabled children moved onto other family members causing them to find out meaning of family. Third, they attempted positive separation of their living from the one closely tied to disabled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어머니들이 미술치료 경험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이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내면에 억압되어 있는 감정을 시각화된 미술작품으로 이미지화 하여 그들의 세계를 좀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인간의 경험에 초점을 두고 있고 재구성 하는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풀어내면서 장애아동 어머니들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다양한 체험의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고 나아가 장애아동 어머니에 대한 전반적 이해자료를 제공하여 장애아동 치료에 있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을 활발히 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M시 ○○아동발달센터에 치료를 다니고 있는 장애아동의 어머니들 3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7월부터 10월까지 약 4개월 동안이었으며, 주된 자료수집방법은 13회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심층 면담을 하였다. 이를 통해 참여자의 작품과 면담 녹취, 연구자의 현장일지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여 해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은 다음과 같다. A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나랑은 상관없을 줄 알았다>, <모든게 후회>, <걷기만 하면 될 줄 알았는데>, <어중이 떠중이 앞날이 걱정되다>, <장애아들이 버겁다>, <장애동생 때문에 못 누리는 첫째가 걸림>, <나의 힘, 내 가족>, <여유가 있는 삶을 꿈꾸다> 였다. B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마른 하늘에 날벼락>, <왜 나만 이러고 살아야 되나>, <장애인에 대한 시선이 좋아졌다지만>, <결국은 특수학교에 보내다>, <너는 내 운명>, <괜찮은 줄 알았는데>, <내게는 과분한 사람>, <나를 위한 투자>이며 C의 미술치료 경험 이야기는 <어떻게 애를 키우지?>, <하나님이 나를 버리셨나>, <나를 향한 화살들>, <아픈 손가락>, <언제 올지 모르는 두려움>, <그대여 아무 걱정 하지 말아요>, <가족과 여행을 꿈꾸다>, <아픈만큼 성숙해진다> 이었다. 이에 따른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첫째, 미술치료 시간은 오직 나를 위한 시간이다. 둘째, 미술작품으로 나의 감정들을 드러내어 수용하다. 셋째, 나의 삶속에 희노애락을 함께 하는 가족의 소중함을 발견하다. 넷째, 잠시 잃어 버렸던 나를 찾고 미래를 꿈꾸다. 이를 통해 내러티브 연구 방법으로 살펴 본 장애아동 어머니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함의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미술치료 경험을 통하여 자신의 삶을 드러내는 과정이었다. 둘째, 장애아동에게만 집중되어 있던 시선이 다른 가족들에게도 향하게 하여 가족의 의미를 되찾게 하였다. 셋째, 장애아동과 밀착된 삶에서 긍정적인 분리를 시도하였다.

      • 비대칭얼굴에따른 교정메이크업연구

        권진아 남서울대학교 복지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55

        현대에 이르러 외모에 대한 관심이 더욱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성형수술이 대중화되었으나 수술의 위험성 및 비용의 문제 때문에 이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또한 많은 실정이다. 이와는 반대로 메이크업의 경우 위험감수 및 경제적 부담의 문제가 없어 거의 대부분의 여성들이 메이크업을 활용하여 자신의 외모를 가꾸고 있다. 얼굴비대칭이 심한 여성들의 경우 자존감이 하락하고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얼굴비대칭 유형별 비대칭 교정 메이크업 방법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얼굴비대칭을 보완할 수 있는 메이크업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얼굴비대칭 유형별 비대칭 교정 메이크업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30대 여성 8명을 선정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얼굴비대칭을 보완할 수 있는 메이크업을 실시하였고 연구를 통해서 비대칭얼굴을 메이크업을 통해 대칭으로 보이는 테크닉을 얻었다. 비대칭 얼굴 메이크업시술 과정으로 첫째, 눈썹은 아이브로우 섀도우와 내추럴브라운 펜슬로 미니자를 이용하여 이마 눈썹 앞머리 눈썹산 측정후 뼈대 양쪽 0.2cm 대칭 교정 눈썹 디자인하면 대칭으로 보이게 할수 있었다. 둘째 눈매는 왼쪽, 오른쪽 양쪽 밸런스 맞추고 아이라이너 붓펜슬로 눈매교정 잡았고 비대칭 눈매 밸런스를 맞추기위해 눈앞머리에 가닥 속눈썹을 눈앞 머리부터 속눈썹 8mm 길이 2가닥 붙이고 속눈썹 9mm 눈꼬리 연결하여 5~6가닥 붙여서 눈매교정 하였다. 셋째, 콧대는 T존 부위 콧대 하이라이터로 콧대를 높여보이는 착시효과를 주었고 코 컨투어링으로 콧대선이 날렵하고 콧대 높아보이게 왼쪽 오른쪽 비대칭 콧대를 맞추었다. 넷째 입술은 0.2cm 비대칭 입술라인을 컨실러를 이용하여 라인을 잡아주고 연누드 핑크로 인커브나 아웃커브로 양쪽 입술꼬리 디자인 잡아주고 입술 교정 하면 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마지막 얼굴윤곽은 모델 1은 긴얼굴형 모델 2는 각진얼굴형 모델 3은 각진얼글형 모델 4는 긴얼굴형 모델 5는 둥근얼굴형 모델 6은 둥근얼굴형 모델 7은 각진얼굴형 모델8은 마름모얼굴형으로 왼쪽, 오른쪽 어느쪽 사각턱이 더 발달되어 있는지 미니자로 사이즈를 측정 후 스틱쉐딩 파운데이션으로 밸러스가 더 큰부분에 바르고 스펀지로 펴바른다. 쉐딩팩트 이용하여 양쪽 밸런스 맞춰주고 얼굴형 갸름해보이고 작아보이게 착시효과를 주어 대칭으로 보이게 연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모델 8명에게 비대칭얼굴 메이크업연구 촬영 후 만족도를 조사해 보았을때 8명 중 5~6명은 시술과정 방법처럼 쉽게 따라할 수 있다. 4~5명은 연구하면서 메이크업 시술과정을 전문가에게 도움을 받았지만 같은 제품으로 따라하기에 어려움이 있는것이로 파악되었다. 지속적인 전문가 조언이 필요할것으로 파악되었다. 얼굴비대칭 교정 메이크업 실시 후 각 모델의 메이크업 전과 후 사진을 촬영하고 전체적인 얼굴과 함께 얼굴 부위별 확대 사진을 제시하여 메이크업 효과를 객관적으로 제시하여 시술테크닉의 타당성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얼굴비대칭으로 화장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과 얼굴비대칭인 사람을 대상으로 메이크업을 실시해야 하는 메이크업 전문가에게 적절한 메이크업 방법을 제시하고, 관련 연구에 이론적 시사점과 메이크업 서비스 현장에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주요어: 메이크업, 얼굴비대칭, 안면비대칭, 얼굴형 메이크업, 윤곽메이크업 In modern times, interest in appearance is increasing, and plastic surgery has become popular due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but there are also many negative perceptions about it because of the risk and cost of surgery. Conversely, in the case of makeup, there are no risks and financial burdens, so almost all women use makeup to improve their appearance. In the case of women with severe facial asymmetry, self-esteem decreases and stress is frequent.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present asymmetric corrective makeup methods for each type of facial asymmetry, so the study of makeup methods that can compensate for facial asymmetry was set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 this study, 8 women in their 30s were selected to suggest asymmetric correction makeup methods for each type of facial asymmetry, and makeup was applied to them to compensate for facial asymmetry. got it As for the asymmetric face makeup procedure, first, the eyebrows were made symmetrical by using eyebrow shadow and a natural brown pencil to measure the forehead, eyebrows, bangs, and eyebrow peaks and then design the symmetrical correction eyebrows on both sides of the skeleton by 0.2cm. For the second eye, the left and right sides were balanced and the eyes were corrected with an eyeliner brush pencil. . Third, the bridge of the nose gave an optical illusion of raising the bridge of the nose with a highlighter on the bridge of the nose in the T zone, and the asymmetric bridge of the left and right was matched to make the bridge of the nose look sharp and high with nose contouring. For the fourth lip, it was concluded that the 0.2cm asymmetric lip line was lined using concealer, and the design of both lip tails with soft nude pink in-curve or out-curve and lip correction was achieved. The last face contour is Model 1 with a long face, Model 2 with a square face, Model 3 with a square face, Model 4 with a long face, Model 5, with a round face, Model 6 with a round face, Model 7, with a square face, Model 8, a rhombus. Measure the size with a mini ruler to see which square jaw is more develop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face shape, apply the stick shading foundation to the larger area and spread it with a sponge. The shading pact was used to balance both sides and gave an optical illusion to make the face look slimmer and smaller to make it look symmetrical. In this study, when 8 models were surveyed for their satisfaction after taking asymmetric facial makeup study, 5-6 out of 8 models can easily follow the procedure as in the procedure method. 4-5 people received help from experts in the makeup procedure during the study, but it was found that it was difficult to follow the same product with the same product. It was identified that continuous expert advice would be required. After applying facial asymmetry correction makeup, before and after makeup of each model was taken, and the overall face and enlarged pictures of each part of the face were presented to present the makeup effect objectively, suggesting the validity of the procedure technique.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n appropriate makeup method to makeup experts who need to apply makeup for those who have difficulties with makeup due to facial asymmetry, and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related research and makeup service sites. did. Key words : Makeup, face asymmetry, facial asymmetry, face shape makeup, contour makeup

      • 성적 응시에 따른 영화 속 쾌락과 권력

        권진아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남성과 여성의 이분법적 위치와 그에 따른 시각적 권력에 따른 성적대상화 현상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본 고는 남성적 응시와 영화 속 시각적 쾌락을 구성하는 영화의 구조를 로라 멀비의 이론을 중심으로 전개하고 그 이후의 영화 속 권력과 쾌락에 대한 페미니스트 영화 이론들의 대안적 접근법을 제시하고 남성적 응시의 변화와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의 해체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응시의 변화를 시도한 사례영화 4편을 선정해 분석했다. 여성 이미지의 성적 대상화에 대한 분석을 위해 페미니스트 영화 이론에 영향을 준 초기 페미니즘 개념과 남성과 여성사이의 시선 체계에 대한 존 버거의 주장을 참고했다. 그 후 페미니스트 영화 이론의 핵심이 된 로라 멀비의 에세이인 <시각적 쾌락과 내러티브 영화>에서 주로 응시와 권력의 주체자는 남성이며 여성은 응시를 받는 대상으로만 존재해왔으며 이러한 영화 속 남성적 응시는 스크린 밖 관객들의 시선과 일치하게 되며 관객들은 이러한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답습하게 된다는 멀비의 주장과 함께 멀비 이론이 갖는 한계점과 이후 수정된 방안을 살펴보았다. 멀비 이후 남성중심 시각문화 비판과 함께 쾌락과 권력에 대한 대안법을 제시한 페미니스트 영화 이론을 고찰해 영화 속 시선의 권력과 성적 쾌락에 대한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멀비가 주장한 내러티브 영화 속의 남성중심적인 쾌락과 남성적 응시의 파괴가 가능한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응시의 대상을 변화시킨 영화 4편을 선정해 가부장제 시선의 해체의 가능성을 분석해보자 했다. 스크린 밖의 관객은 영화가 만들어내는 시선과 구조를 중립적이고 객관적인 시선이라고 믿게 되고 이러한 성차에 의한 영화 속 이분법적인 위치와 남성중심 시각문화로 인해 여성의 성적 대상화가 지속적으로 답습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양한 관객론과 함께 남성욕망 중심의 시각문화에 비판의식의 필요성과 대안 영화 제작과 실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