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객체 관리 및 저장 기법을 이용한 웹 기반 저작 도구의 설계 및 구현

        권영훈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다양한 인터넷 관련 저작 도구를 사용하여 사이트를 제작하는 기업 및 개인도 증가하고 있다. 기존의 저작 도구는 PC 환경에서 제공되었기 때문에 저작에 있어 시간적, 공간적인 제약이 뒤따랐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문서를 각각의 객체로 분리한 후 관리 및 저장하는 방법을 채택해서 상대적으로 제약이 적은 웹을 기반으로 한 저작 도구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각 객체에는 고유한 속성과 메소드를 가지며 객체의 속성 변경 및 동적 변화를 추구하여 객체의 가용성과 융통성을 증가시켰다. 구현된 시스템은 웹 게시용 방대한 데이터베이스 관리와 인터넷 광고 도구로 사용될 때 사용성을 최대화할 수 있고, 향후 웹 기반 통합 솔루션으로의 확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Since a number of internet user has been increasing, web sites publishing companies and peoples who use various internet related authoring tool are increased. Because of the existing authoring tools are provided on pc environment, there are time and space limitation. In this paper, we adopt a method which divides web documents into every object, and we design and implement a web based authoring tool which is relatively less limitable than existing tool by managing and storing those objects. By giving identical property and method to each objects, we improve solubility and flexibility of each object by changing property and method dynamically. Using implemented system for huge database management of the web and an advertisement, its usability can be maximized, also it can be enlarged to integrated web based solution in the future.

      • 칼빈의 기도에 관한 연구

        권영훈 계약신학대학원 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제까지 프랑스 신학자이자 교회정치가이고 또한 16세기의 종교개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도자들 가운데 한사람이었으며, 서양 근대자본주의 정신의 형성에 공헌했던 사상가 칼빈의 기도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살펴본 바와 같이 기도는 성경에서 그리스도인들에게 명령하는 것이다. 칼빈은 기도의 성격과 그 가치를 매우 높이 평가하면서, 기도를 신앙의 주요활동(the chief exercise of faith)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인식에 기초하여 그는 기독교 강요 3권 20장 전체를 통해서 자신의 기도론을 심도 있게 설명하고 있다. 특히 그는 자신의 모든 주장의 근거를 성경에 두고 있는데, 그것은 기독교 강요 3권 20장 기도론에서 그가 얼마나 많은 성경 구절들을 인용 주해하고 있는지를 보아도 쉽게 알 수 있다. 먼저 칼빈 신학의 배경이 될 수 있는 칼빈의 생애에 대해서 살피면서 그의 어린 시절과 개신교로의 회심, 그리고 회심 그 이후 및 기독교 강요에서 기도의 중요성을 살펴보며, 그의 신학의 특성을 고찰해 보았다. 다음으로 칼빈의 기도에 관해 고찰하면서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기도의 정의, 삼위일체 하나님의 역할, 하나님의 말씀, 올바른 기도의 원칙과 필요성, 기도의 내용, 기도의 실제, 기도와 만인 제사장에 대한 것들을 다양하게 살펴보았다. 기도는 하나님의 자녀의 살아있는 믿음의 표현으로써 하나님과의 친밀한 교통이다. 성부 하나님이 기도를 들었고 응답하시며 성자가 그의 이름으로 중보하시고, 성령께서 하나님의 계시된 뜻을 보여주고 있는 하나님의 기록된 말씀을 가지고 우리의 기도를 활성화 시켜 주시기 때문에 우리는 기도를 통하여 삼위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깊어지게 된다. 이로써 칼빈이 말한 대로(기독교강요 제1권 제1장 1-2절) 하나님을 아는 이 지식은 우리에게 참된 지혜와 경건 그리고 건강한 믿음을 준다. 바운즈(E. M. Bounds)도 말하기를 “성도를 만드는 것은 기도의 힘이다. 기도하면 기도할수록 참된 성도가 되어간다. 기도를 위하여 많은 시간, 특별히 아침 시간을 받치면 성스러운 생활에서 그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라고 했다. 그리고 우리의 기도는 하나님의 말씀에 의하여 문이 열리고 틀이 형성되며 그 내용이 규제되기 때문에 철저하게 말씀의 묵상을 요구 하며, 말씀 묵상하는 기도는 하나님의 약속을 알기 때문에 확신과 소망을 갖게 한다. 또한 마음속의 깊은 감동과 큰 감격을 심어주어 마음으로부터 하나님을 찬미하게 한다. 그래서 기도는 말씀 묵상과 찬미와 더불어 행하여지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의 찬미는 말씀에 기초하여야 하고, 지나치게 감정적이거나 충동적이어서는 안 된다. 또한 기도는 경외심을 가지고 진심으로 부족함을 느끼며 회개하는 마음으로 열정을 가지고, 하나님 앞에 겸손하게, 그리고 확신 있는 소망을 가지고, 규칙적인 시간을 정해 놓고, 인내심을 가지고 기도를 해야 한다. 우리의 기도는 하나님의 제사장으로서의 특권이요, 의무이다. 하나님 앞에서 죄 용서의 은혜를 감사하고, 그리스도 예수의 대속적 사랑에 감격하며 그의 대제사장으로서의 중보 기도를 본받아 온 인류와 우주적 교회를 위하여 드리는 우리의 중보기도는 교회의 공동체성 회복의 지름길이요, 사랑과 믿음과 소망으로 하나 되어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할 뿐 아니라 형제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최상의 방편인 것이다. 그러므로 칼빈에게 있어서의 기도는 신앙생활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왜냐하면 신앙은 하나님이 우리에게 건네시는 말씀에 동의하고 이 말씀에 응답하는 것으로서, 신앙은 그 자체로 기도의 근본형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앙 자체가 기도이며, 기도는 신앙의 모습이며 표현이다. 그러므로 신앙 없이 기도할 수 없고, 기도 없는 신앙이란 있을 수 없다. 그래서 칼빈은 신앙을 가지고 기도 한다고 강조하면서, 올바른 기도의 4원칙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칼빈의 기도론의 핵심은 역시 하나님에 대한 의심 없는 신앙과 하나님 중심적인 기도인 것이다. 한국 교회는 아직도 기도에 있어서 자기중심적인 이기주의와 개인적인 내용의 기도가 대부분이다. 심지어는 기도를 적선의 개념으로 알고 그것을 자랑하며, 하나님의 나라와 그 의를 구하기보다 현세적이고 물질적인 축복을 우선적으로 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나님과 보다 더 사랑스러운 관계를 유지하고자 원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기도 중에 이것을 전혀 체험하지 못한다. 더구나 한국 교회는 기도에 대해 올바른 이해가 없기 때문에 헛되이 기도하고 마침내 기도를 포기하게 된다. 한국 교회는 지금부터라도 기도에 대해서 올바른 신학적 정립과 이것의 계속적인 가르침으로 기도에 관한 올바른 인식을 갖도록 해야 한다. 또한 내 뜻을 아뢰기보다 하나님의 뜻을 알고, 그 뜻대로 구하는 기도를 함으로써 기도의 성숙함을 보여야 할 것이다. 이러기 위해서는 들음의 기도를 해야 하며, 자신의 뜻을 포기하고 하나님의 뜻을 구해야할 것이다. 또한 기도가 신앙의 표현이 되어야 하며, 삶 자체가 기도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도 본문 해석에 대한 평가에서는 칼빈이 그의 기도론에서 인용, 주해한 기도 본문 중 롬 8: 26; 엡 6: 18; 살전 5: 17; 롬 10: 14-17; 마 6: 5-7등의 구절들을 선택하여, 그가 그 구절들을 어떻게 해석하고 있는가를 필자의 입장에서 비교, 검토하였다. 칼빈은 로마서 8장 26절의 주해를 통해, 우리가 기도할 때, 우리의 연약함을 도우시는 성령의 역할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에베소서 6장 18과 데살로니가전서 5장 17절을 통해서는 우리가 쉬지 않고 기도해야만 하는 이유를 소극적 동기 즉, 우리를 위협하는 모든 위험들로부터 보호받으려는 동기와 적극적 동기 즉, 하나님나라와 그의 의에 대한 열망에서 나오는 동기로 나누어 설명한다. 또한 로마서 10장 14절-17절을 통해서는 신앙과 기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그는 참된 믿음은 기도하는 것이며, 기도를 발생케 한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믿음이 없이는 기도할 수 없으며, 기도의 중보자 되시는 예수께 대한 믿음 외에 그 어떤 것도 기도의 기초가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하였다. 마태복음 6장 5절-7절에서는 공중기도의 위험성을 논하며, 이방인의 중언부언의 기도와 바리새인의 외식적인 기도에 대한 경계의 교훈을 하고 있다. 칼빈은 그의 기도론에서 성경에 나타난 기도 본문들을 사용함에 있어, 자신이 설명하고 있는 주제에 잘 맞는 성경구절들을 적절하게 잘 사용하고 있으며, 그 구절들을 주해함에 있어서도 자신의 주장에 본문들을 짜 맞추기보다는 그 본문의 의미와 뜻을 그대로 나타내도록 하려 하였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이미 앞에서 밝혔듯이, 로마서 8장 26절을 해석함에 있어 ‘말할 수 없는 탄식’의 주체를 성도로 보기 보다는 성령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한 해석이 아닌가 하는 점이다. 끝으로 기도는 세상으로부터의 도피하는 도구가 아니라, 오히려 기도하는 사람은 세상에 대한 책임을 지고, 하나님의 나라와 하나님의 뜻이 이 땅 위에 이루어지도록 세상의 온갖 악의 세력과 싸워야 할 것이다.

      • Capacitor Clamped Sustainer for AC Plasma Display

        권영훈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 new capacitor clamped sustainer is proposed to maintain sustain voltage stably and to reduce the cost and power consumption of PDP TV, which employs address- and-display-period-separated driving scheme. The proposed sustainer can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compared with the prior approaches. It also improves the energy recovery efficiency about 6 %. The operational principle with its features are illustrated and compared with conventional approaches. The high-performance of the proposed sustainer is verified by computer-aided simulations and experiments using a prototype equipped with a 7.5-inch diagonal panel, which is operated at 200 kHz switching frequency. 본 논문에서는 어드레스 구간과 디스플레이 구간을 분리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한PDP TV의 안정적인 서스테인 전압 확보와 가격절감 및 전력손실을 줄이기 위한 커패시터 클램핑 방식의 새로운 서스테인 드라이버를 제안한다. 제안된 서스테인 회로는 기존의 회로와 비교하여 스위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에너지 회수 효율을 약 6% 개선시킬 수 있다. 제안된 회로와 동작원리를 상세히 설명하고 기존 회로와 비교 분석한다. 제안된 서스테인 회로의 우수한 특성을 컴퓨터 시뮬레이션과 200 KHz로 동작하는PDP 시작품을 이용한 실험 결과로 증명한다

      •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 개선 연구

        권영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식산업 및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였으며, 그 결과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클라우드를 통해 사람과 사물이 서로 연결되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으로 더욱 지능화된 4차산업 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식산업센터도 크게 변하고 있다. 도입 초기 제조업 중심의 아파트형 공장(지식산업센터)에서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 벤처산업 등으로 산업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순하고 폐쇄적인 공장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원시설과 입주업종의 규제 완화 등을 통해 복합적이고 개방적인 공장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의 감염 차단을 위한 고민과 인권 사각지대에 놓인 건물관리자들의 활동공간 등 공용공간에 관한 관심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최근 공급되는 지식산업센터는 민간주도의 분양사업이 대부분으로 사용자를 위한 편익보다는 공급자의 수익성에 중점을 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민간과 공공 각자의 역할분담으로 환경과 제도를 개선하고 관리자와 입주자 등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도와 입주기업의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등 수준 높은 공용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의 도입배경과 시대적 변화, 관련법과 제도 등을 고찰하고 아파트형공장에서 지식산업센터로 명칭이 변경된 2010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공급된 30개 지식산업센터의 사례조사와 분석을 통해 문제점 도출과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편익을 고려한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부연구내용은 건물 유지관리와 입주자의 업무지원을 위한 관리공간, 이용자들의 이동을 위한 이동공간, 건강과 위생을 위한 위생공간, 휴식과 사색을 위한 휴게공간 등 4가지 공용공간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공용공간을 위치, 면적, 개수, 형태 등 각각의 특징과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도적 측면과 계획적 측면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를 통해 지식산업센터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공용공간에 대한 기준이 없어 연구대상마다 면적과 형태, 위치, 개수 등이 서로 달라 상호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특히 관리공간 중 관리사무소는 96.7%, 용역원실은 100%가 지하에 위치해 환경이 열악한 상태로 조사되었다. 지식산업센터 가이드라인 마련이 공용공간 환경을 개선하는 좋은 방안이라 판단된다. 둘째, 기준과 지침 준수 시 용적률과 높이 완화,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제도 도입을 통해 사업참여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민간주도의 공급비율이 전국기준 92.4%, 본 연구대상은 100%로 조사되어, 민간이 스스로 공용공간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휴게공간 중 공개공지는 용적률 완화적용을 받은 비율이 연구대상 전체의 50%로 사업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앞으로 확대시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건축계획 기준과 기반시설이 우수한 계획입지의 공급확대와 공공주도형 지식산업센터의 공급확대로 공용공간에 대한 기준 제시와 함께 선도적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업의 이익을 추구하는 민간주도형의 공급으로는 공용공간 개선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계획입지가 연구대상 전체의 46.7%(전국 40.2%)로 공개공지 등 기반시설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잘되어 있었고, 현재 전국기준 공공주도의 공급비율이 7.6%로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공공의 선도적 역할로 공용공간 개선에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계획적 측면으로 첫째, 관리공간은 채광과 환기, 안전 등을 고려하여 선큰의 활용이나 지상에 계획하고, 각 실은 남녀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리 배치해야 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용역원실의 경우 87%가 지하에 있어, 채광과 환기가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미설치 비율이 13.3%, 남녀 구분이 되지 않은 비율도 16.7%로 조사되었다. 채광과 환기, 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개선책으로 관리공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이동공간은 출입 통제시스템 적용과 비즈니스 기능을 도입하고, 엘리베이터 간 거리 기준을 마련하고 홀의 너비 등을 업무시설의 기준에 맞게 확대 도입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방문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 시스템 적용 사례는 없었으며, 라운지와 같이 휴게와 대기, 비즈니스가 가능한 다목적 공간을 제공한 비율은 전체의 10%로 조사되었다. 엘리베이터의 배치형식은 분산형이 전체의 53.3%로 연면적 60,000㎡를 초과하는 대상에서 적용되었다. 엘리베이터 홀의 너비는 평균 3,355mm(업무시설기준 4,000mm)로 조사되었다. 업무시설의 기준을 도입하는 것이 이동공간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셋째, 위생공간은 입주자용 샤워실을 추가로 설치하고 샤워. 탈의. 화장실은 같은 영역에 배치하고, 입주업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남녀의 비율을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중 입주자용 샤워실을 제공한 사례는 없었으며, 샤워 탈의 화장실을 함께 갖춘 비율은 전체의 23.3%로 낮았고, 미설치한 비율도 36.7%로 위생에 대한 환경이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실 변기의 남녀비율은 정책적인 이유로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었다. COVID-19로 전염병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중요한 대안이라 판단된다. 넷째, 휴게공간은 공개공지 범위확대와 함께 층별 휴게시설을 확대하고 운동기능과 휴게기능 등 다양한 기능의 휴식 공간을 도입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결과 공개공지는 현행법상 100%가 지상에 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간층과 지붕을 활용한 옥상 휴게공간의 비율은 전체의 83.3%로 조사되었다. 중간층의 휴게공간이 분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공개공지를 지상층의 외부공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도입해 사업자와 관리자 모두에게 이득을 주는 것이 휴게공간을 확대하는 데 있어 효율적인 대안이라 판단되었다. 실내 휴게공간은 인터넷과 시청각, 운동이 가능한 설비를 갖추는 것이 휴게공간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을 주제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 분석과 함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이 공공과 임대를 제외한 민간공급과 분양형 센터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고, 전국이 아닌 서울 경기를 대상으로 한정해 특징과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급방식과 전국을 대상으로 제도적인 개선과 함께 건축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요어 : 공용공간, 관리공간(관리사무소, 회의실, 용역원실, 우편물수취함, 무인택배보관소, 재활용품보관소, 주차장), 이동공간(로비, 복도,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홀), 위생공간(화장실, 샤워실, 탈의실), 휴게공간(휴게실, 공개공지, 옥상휴게공간)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 industry and informatization era, humans and objects are now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 and digital clouds. In the mids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come more intelligent. Consequently,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is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s. First of all,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changed from a manufacturing-driven industry (flatted factory building) to a knowledge industry, information communications industry and venture industry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his in turn has brought many changes from simple and closed factories to complex and open factories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support facilities and deregulation of industrial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public spaces, such as activity spaces for building managers who are often neglected vis-à-vis human rights, along with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issue. Most of the recent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implement privately-initiated presale projects, showing a tendency to focus on the supplier’s profit margins rather than on the user’s benefits. Therefore, a high level of public space is need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system via a well-designed division of rol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meet the needs of managers and occupants, and support the business activities of tenant compan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ught to examine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changes over time and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s,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s based on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30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supplied to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2010, when the name was changed from the flatted factory building to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o 2021, and suggest a method to improve the public space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considering the user’s benefit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The public spaces wer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places: management spaces for building maintenance and support for occupants’ business, moving spaces for users’ movement, sanitary spaces for health and hygiene, and rest spaces for relaxation and contempl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each public space, such as location, area, number and shap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both institutional and planning aspects.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aspec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ise guidelines for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hrough the announcement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based on th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o correlation could be found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with different areas, shapes, locations or numbers due to the absence of standards for public spaces. In particular, 96.7% of management offices and 100% of subcontracted workers’ rooms were located in underground spaces with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thus adjudged that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is a good metho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for business particip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ncentive systems such as the relaxation of regulations on floor area ratio and height, and tax benefits when standards and guidelines are complied with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rivately-initiated supply ratio was 92.4% on a national scale, and the ratio of the research subject was 100%, which suggest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private sector’s self-improvement of public spaces. Among the rest areas, the ratio of relaxed floor area ratio applied to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environment as it was 50% of the total research subjects, and the expansion sh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Third, there is a need to present standards for public spaces and take a leading role with the expanded supply of planned locations with excellent architectural planning standards and infrastructure, and publicly-initiated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The research revealed that a privately-initiated supply that pursues business profits poses limitations in improving public spaces. The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lanned location was 46.7% (40.2% nationwide) of the total research subjects, indicating that infrastructure, such as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is well built, and the present publicly-initiated supply ratio is 7.6% nationwide. This suggests that the public sector’s taking a leading role in expanding supply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ublic spaces.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planning aspect are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space should be planned in the sunken space or on the ground in consideration of lighting, ventilation and safety, and each room should be placed separat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87%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rooms were located in the basement with poor lighting and ventilation. The non-installation ratio was 13.3%, and the ratio of no separation between men and women was 16.7%.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pace is needed as a basic improvement measure against the problems of lighting, ventilation and saf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ccess control system, introduce business functions, establish a standard for the distance between elevators, and expand the width of the hall to meet the standards of business facilities for the moving space. The analysis found that there were no cases in which the access control system was applied to control visitor access, and the ratio of providing multi-purpose spaces such as a lounge available for rest, waiting and business was 10% of the total. In the layout of elevators, the distributed type was 53.3% of the total, and it was applied to the target with a gross floor area of 60,000㎡ or more. The width of the elevator hall was 3,355mm (4,000mm for business facilities) on average. It is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standards for business facilities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oving space. Third, the sanitary space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shower room for occupants. In addition, shower rooms, dressing rooms and toilets should be placed in the same area, and the ratio of men to women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nant business categor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cases where a shower room was provided for occupants among the research subjects. The installation ratio of shower rooms, dressing rooms and toilets altogether was low at 23% of the total, and the non-installation ratio was 36.7%, indicating poor sanitary environments.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for toilet bowls has been similar since the mid-2000s due to policy and institutional reasons. It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alternative nowadays as the overall interest in the prevention of epidemics rises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Fourth, it was found that for the rest spac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t facilities for each floor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and to introduce places to relax with various functions for exercise and relaxation. The analysis also found that 100% of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were installed on the ground under the existing laws. The ratio of the rooftop rest space using middle floors and roofs was found to be 83.3% of the total. Since the rest space of the middle floor has a large impact on the sale, it is an effective alternative plan to expand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to the external spaces of the ground floor to give benefits to both the operator and the manager. In addition, it is adjudged that for the indoor rest spaces, it is an effective method to install the Internet, audiovisual and exercise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t spac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public spaces in light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analyze its problems and derive improvements. However, it poses som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because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privately-supplied and sale-type centers, except for public and rental ones, and the research area was also limit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future work, it is hoped that research intended to suggest directions for architectural plans will be conducted on various supply methods and all parts of the country, along with institutional improvements. Keywords: Public space, management space(management office, conference room, subcontracted worker’s room, mail box, unmanned courier locker, recyclables storage, parking lot), moving space(lobby, hallway, elevator, elevator hall), sanitary space(toilet, shower room, dressing room), rest space(lounge, privately-owned public space, rooftop rest space)

      • 多重線路형 초고압 직류송전 시스템에 대한 安定度 解析

        권영훈 충북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long with the growing applications of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transmission technology, two or more HVDC links come to be located in the same AC system. Such systems are termed as MI-HVDC systems(Multi-Infeed High Voltage Direct Current systems) Though MI-HVDC system can improve the transmission ability and provide more flexible operation modes, it also brings some problems, such as voltage stability, interactions between AC and DC systems or DC and DC electrical connections among bus bars of converters. These may result in bad performance of the whole systems, even in instability. To deal with those problems , two types of MI-HVDC systems, MI-HVDC system linked with an electric current type HDVC and voltage type HVDC and MI-HVDC system connected with two electric current type HVDCs, are suggested in this thesis. Stability of the systems will also be tested by these evaluation methods; one is the dynamic method which assesses the grid by the variations in voltage, frequency, generator angle, load changing occurred by three phase fault and generator trip. The other is the static evaluation method which estimates electrical transmission by P-V curve and system stability through SCR(Short Circuit Ratio) and ESCR(Effective Short Circuit Ratio) calculation using PSS/E software.

      • 3상 전압형 인버터 구동용 전력변환회로 설계에 관한 연구

        권영훈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recent years, with the development of power conversion circuit topologies using MOS gate controlled power semiconductor devices such as MOSFETs and IGBTs, and the increase in switching frequency of the inverter and converter, the controllability of the converter and undesired sound reduction and converter downsizing are achieved. Although, in the conventional hard-switching PWM semiconductor power conversion circuit systems, the increase of switching losses in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s which is caused by the overlapping period of the voltage and the current in the switching power devices required big heat sink and these are becoming hot issue in power electronic industrial field. In addition to these, the conductive and radioactive electromagnetic noise arise due to the switching surge which results from dv/dt and di/dt. Moreover, in the inverter or converter which is applied to the variable speed AC motor or servo drives, high frequency leakage current which flows into the ground line through the stray capacitance among the stator winding frame of the motor, and the motor shaft voltage and the bearing current are another problems A basic solution for these problems are the soft switching and its related control techniques of the power converter which turn on and off the power semiconductor devices under zero voltage or zero current mode transitions using the active auxiliary quasi-resonant snubber. So far some circuit topologies have been proposed for the three phase voltage-fed soft switching inverter circuit such as quasi-resonant DC link, quasi-resonant AC link and auxiliary quasi-resonant commutation pole. In this paper, a new topology of boost PWM DC-DC converter is proposed and its operating principle is described on the basis of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And also auxiliary active quasi-resonant DC link snubber for the soft switching three phase voltage-fed inverter system is discussed here and evaluated for the soft switching of the quasi-resonant snubber circuit. A conductive noise of the three phase voltage-fed inverter using this quasi-resonant snubber is measured for permanent magnet (PM) motor drive, and it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hard switching three phase inverter. Through a series of computer simulations and experim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newly proposed and designed boost PWM DC-DC converter is confirmed.

      • 지하시설물의 정밀 Smart CIM을 위한 LiDAR 측량 보정기술 연구

        권영훈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인 빅데이터 기반의 Smart CIM(Civil Information Modeling) 구축과 이를 위한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다양한 모델링 기술은 데이터 취득방식을 기준으로 크게 두 가지로 분류가 가능하며 이는 사진측량과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 측량이 있다. 현재 UAV(Unmanned Aerial Vehicle)를 활용한 사진측량과 LiDAR 측량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이나 모델링 기술 분야의 국내·외 연구동향은 사진측량의 신뢰성과 현장 적용성 분석에 편중 양상을 보이는 반면, 지상 LiDAR를 활용한 3D 모델링은 이미 소규모의 정밀 모델링 및 문화재 복원의 기반 데이터로써 활용되고 있지만, 건설 분야에서 활용되는 LiDAR의 정밀 모델링을 위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LiDAR의 오차 보정과 더불어 다양한 현장조건에 대한 LiDAR의 적용성 평가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정밀 LiDAR 측량을 위해 LiDAR의 기술적 한계와 다양한 오차 원인을 규명, 변수에 따른 보정값을 산출한다. 이를 위한 다양한 실험군을 선정하여 LiDAR의 현장 데이터 취득성 검정, LiDAR의 입사각에 따른 데이터 취득 결과와 그에 따른 지상 기준 기계고의 영향평가, 거리와 입사각에 따른 보정값 산출, 보정값을 적용한 지하시설물의 정밀 모델링을 위한 LiDAR의 현장 적용성 평가, 3D 모델 데이터와 현장 특성에 따른 LiDAR의 활용성 분석을 실시한다. 현장 적용성 평가를 위해 국내 고속철도용 지하터널 내 일부 구간을 실험대상으로 선정, 평면 직교좌표계상 절대좌표 및 표고를 전자레벨 및 토탈 스테이션을 활용하여 일정 간격으로 설치한 기준점을 측량, 기준점 간 3D LiDAR 스캐닝 데이터의 품질 및 오차와 작업 간 보완사항을 분석하여 오차 보정을 적용한 정밀 3D LiDAR 측량의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빛의 방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현장 특성 중 피사체의 재질에 따른 데이터 획득, 거리와 오차 간 상관관계식 도출 및 보정값 산정, 입사각에 따른 지면 측량 시 권장 기계고와 현장 특성에 맞는 보완사항으로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 측정 불가한 전자레벨의 한계 극복을 위해 레벨 측량에서 활용 가능한 LED 레벨 스타프모듈을 개발하여 특허출원을 하였다. 따라서 건설분야에서의 정밀측량에 LiDAR의 적용성 입증이 가능하였고 지하시설물 대상으로 활용성 분석을 통해 다양한 환경에서 LiDAR의 활용성 분석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잊혀질 권리에 관한 연구 : 유럽사법재판소의 잊혀질 권리 판결을 중심으로

        권영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잊혀질 권리’에 관한 연구이다. 유럽연합(EU)의 최고법원인 유럽사법재판소(European Court of Justice 이하 “ECJ”)가 2014. 5월 “Google v. AEPD*(스페인정보보호원) & Gonzalez 판결”을 통해 검색엔진의 검색결과에 따른 링크를 삭제할 수 있다는 판결을 함으로써 ‘잊혀질 권리’에 대한 논쟁은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다. 이에 따라 최근 우리 방송통신위원회는 ‘잊혀질 권리’의 법제화를 검토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인터넷 환경의 보급과 SNS와 같은 정보통신서비스의 급격한 발달은 이전보다 개인의 의견, 정보 등을 손쉽게 인터넷 공간에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한번 인터넷 상에 표현된 자신의 정보에 대한 통제권의 행사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는 현실이다. 자의든 타의든 정보주체의 원하지 않는 정보가 인터넷에서 유통됨에 따라 개인의 프라이버시권에 심각한 침해를 가져왔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등장한 것이 ‘잊혀질 권리’이다. ‘잊혀질 권리’는 단순히 개인정보의 삭제・파기만을 요구할 수 있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보의 저장기간이 완료되거나 정보의 이용목적이 달성되어 필요성이 사라진 경우 자동적으로 개인정보가 삭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잊혀질 권리’가 도입되면 프라이버시와 개인정보 보호에 크게 기여할 수는 있겠지만, 한편으로는 ‘표현의 자유’, ‘영업의 자유’와 같은 다른 기본권과의 충돌문제 그리고 인터넷에서 정보주체가 원하지 않는 개인정보를 완전히, 영원히 삭제할 수 있을까? 하는 실현 가능성의 문제들이 있으며, ‘잊혀질 권리’ 입법시 주요하게 고려되어질 사항이다. 본 연구는 ‘잊혀질 권리’의 도출 배경과 내용을 우선 검토하고 ECJ의 “Google v. AEPD & Gonzalez” 판례를 통해 우리나라에서의 ‘잊혀질 권리’ 입법론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논의할 것이다. 이와 같은 흐름으로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2장은 ‘잊혀질 권리’의 도출 배경과 그간의 논의 전개 과정 및 EU 개인정보보호 규정(안)과 우리나라의 「개인정보보호법」등을 중심으로 ‘잊혀질 권리’의 법적근거와 권리내용에 대해서 살펴볼 것이다. 제3장은 “Google v. AEPD & Gonzalez” 사건의 개요, ECJ의 판결 내용과 판결의 의의로 구성되어 있다. 제4장에서는 앞서 검토한 내용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서의 ‘잊혀질 권리’ 입법론에 대해 고찰해 볼 것이다. 제5장은 향후 ‘잊혀질 권리’의 전개 방향과 앞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서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