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변혁적 세계시민교육의 가능성 모색: B중학교 평화 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권순정(Soonjung Kwon),조윤정(Yunjeong Jo),서화진(Hwajin Seo) 한국교육학회 2020 敎育學硏究 Vol.58 No.1

        본 논문은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학교와 교사들이 학교라는 맥락 속에서 실제로 세계시민교육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실천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를 통해 세계시민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한 학교(B중학교)의사례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동아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을 기술·분석하여 학교 교육과정과 학교문화가 크게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에 따라, 세계시민교육의 실천 내용을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은 1) 세계 속에서 세계시민됨을 경험하기: 평화를 찾아서, 2) 학교 교육과정과 지역사회 속에서 발견하는 세계시민성, 3) 경험과 배움의 즐거움을 통한학교 문화의 점진적인 변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변혁적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세계시민교육을 조명하였다. 이에따라, 변혁적 교육으로서 세계시민교육이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평화의 문화를 구축하겠다는 목표가 있어야 한다는 것과, 그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세계시민으로서 문제를 인식하는 것에서 멈추는것이 아닌 행동으로서 변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그 중심에 학습자가스스로 참여해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B중학교 사례는 변혁적 교육으로서세계시민교육이 평화를 목표로 하는 활동을 통해 점진적인 변화를 이루고 경험의 장인 공동체가확장되면서 개인(학습자)이 자신의 다층적 정체성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how teachers perceiv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develop practices in school-based context. Qualitative approach was conducted in one school case(B middle school) in order to explore the practic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concrete, we explored how school curriculum and school culture changes by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club activities. Therefore, we analyzed the contents of practice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thematizing three issues: 1) experiencing being global citizen: seeking for peace, 2) finding global citizenship in school curriculum and local community, and 3) gradual change of school culture through enjoyment of learning and experiencing. Following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 analyze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ased on transformative educational paradigm. In order to play its role as transformative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pursue for building peaceful culture. To attain this goa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constructed not just to know the problems but to make students participate in making changes in society by solving problems. Above all,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learner-centered. In conclusion, the case of B middle school shows that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s transformative education should have a goal to achieve peace and to make changes gradually. The experiences of making changes to reach peace will expand the field of community and thus develop multi-layered identities of individual(learner).

      • KCI등재

        코로나19 이후 중학교 학생들의 학교 교육 경험 탐색 -숲속중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권순정(Soonjung Kwon),유주영(Juyoung Yoo) 한국교육사회학회 2021 교육사회학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 교육을 경험하였는지 탐색하여 향후 학교 교육의 방향과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 숲속중학교(가칭)를 중심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소환”되어 돌봄 교실에 나오면서 원격수업에 참여할 수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코로나19 이전부터 배움에 어려움을 겪었던 학생들로 코로나19 이후 돌봄 교실에 참여하며 안전한 공간인 학교에서 선생님의 도움을 받을 수 있었다. 친구들과 함께하는 “진짜수업”은 아니지만 적어도 원격수업을 통해 배움을 이어갈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진짜수업과 원격수업 사이에서 “실력의 격차”를 스스로 알게 되어 두려움을 느끼기도 하였다. 이들은 돌봄을 활용하여 학교에 나가면서 자신을 관리하고 배움을 이어갔다. 셋째, 전환기를 보내고 있는 1학년 학생들은 “존버”하며 원격수업을 견뎌내고 있었다. 그러다가 교사로부터 소환되어 학교에 가면서 학생이 된 것 같은 느낌을 받기도 하였다. 그리고 온라인을 통해 친구들의 존재를 알게 되었지만 함께 배우는 동료로 인식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등교 이후, 친구들을 함께 배우는 관계로 확인하는 경험을 하였다. 이렇게 전환기 학생들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학교 생활에서의 차이를 느끼며 학교에 대한 의미를 찾아 나갔다. 본 연구는 위 결과를 토대로 배움은 돌봄과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적극적으로 이어져야 함을 논의하였다. 또한, 코로나19와 같은 위기 속에서 배움과 돌봄은 모든 학생의 기본 권리로서 이해되어야 하며 이를 중심으로 학교 교육의 역할이 논의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and role of school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fter COVID-19. This study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We interviewd 11 students of Seoul Forest Middle School (pseudonyms) and observed the classes, teacher’s learning community.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ter COVID-19, teachers “called” students to come to school so that they can be cared and participate in distance learning. Students who were called to come to schools had difficulties in learning even before COVID-19. Students who were called to school participated in distance learning in a safe place and continued learning. Second, students felt fear in between what they call “real class(learning before COVID-19)” and distance learning. This is because they sensed the gap of capabilities among students. Those students automously choose to come to school to continue learning based on teachers’ care. Third, students in transition year endured distance learning by ‘bearing up’. However students who were called to come to school started to feel that ‘I am now a middle school student’. Moreover, although they new the existence of students through distance learning, they rarely felt that they were learning together. However, since they started to come to school they expereinced that they can raise their hands and ask questions with friends. Likely, students in transition year were finding meanings of schools in both online and offli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 suggested that learning should be understood in a relationship with caring. In addition, we maintained that the learning and caring should be understood as the basic rights of all students when discussing the role of schooling after COVID-19.

      • KCI등재

        학생인권조례 시행 이후 학생들의 인권 경험: 서울 S 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권순정 ( Soonjung Kwon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5 교육인류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학생인권에 대한 질적탐구를 통해 학생인권이 어떻게 경험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탐색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는 8개월동안 진행한 학교 현장연구에서 만난 학생들의 경험을 묘사하고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문화기술지와 사례연구에 기초하여 관찰, 면담 그리고 그림 그리기 방법 (draw-and-tell method)이 포함된 질적 설문지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 학생인권조례 이후의 변화: 통제방식의 변화 그리고 2) 인권이란? 자유와 존중이 있고 차별이 없는 학교라는 두 주제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연구자는 이를 통해 변하지 않은 시험과 통제제도 속에서 제한될 수밖에 없는 학생인권의 경험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학생의 관계 속에서 갈망되는 인권의 의미를 되짚어 볼 수 있었다. 나아가 학생인권의 문제는 결국 학교 교육 체제 안에 있는 모두의 인권문제로 되돌아옴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학생인권 실현을 위해서는 통제와 시험, 차별이 만연한 학교문화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과 성찰이 필수적으로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iscourses of students’ human rights through qualitative inquiry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students’ on human rights and its meaning. In this study, I describe and analyze the experience of students I met during 8 months of school fieldwork. Observation, interviews, and a qualitative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the draw-and-tell method were used to collect the dat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following themes were discussed: 1) changes after the enactment of Students’ Human Rights Ordinance; the continuation of control and discrimination; and 2) Human rights? schools based on respect and freedom without discrimination. From these discussions, I was able to realize how the experience of students’ human rights are limited in circumstances where examination and control system are strongly valued. And nevertheless, I was able to find the meaning of human rights, which students hope for in students-teachers relations in particular. Finally, I was able to recognize that the issues of student human rights lead us to think about human rights for all in school system and that it requires holistic approaches and reflection on control, examination and discrimination which in fact are deeply embedded in school culture.

      • KCI등재

        도덕교육 담론을 통한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의 의미에 대한 연구

        권순정(Soonjung Kw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1

        본 연구는 도덕교육의 맥락에서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의 이론적 논의를 재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도덕교육이 사회화와 의식화라는 두 흐름으로 설명되는 점에 근거하여,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을 조명하였다. 또한 시민성교육과 인성교 육에 대한 논의들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를 파악하였다. 두 논의를 통해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의 이론적 교차점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시민성교육과 인성교육이 도덕교육이 제시하는 사회화와 의식화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에 있음에주목하며, 이를 토대로 학교 안팎으로 연계된 형태로 실천해야 할 이론적 근거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re-explore the theoretical discourses and its meanings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 discourses within the context of moral education. First of all, the meanings of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were revisited in the frame of socialization and conscientization in moral education. Also, the each theoretical approach and discourses on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was discussed. Finally, I presented the theoretical linkage between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As a consequence, citizenship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should focus on sequential process of socialization and conscientization from moral education perspective. This gives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actices that both education should be practiced in and outside the school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