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의 심리적 특성, 관계특성, 수업만족,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구조 분석: 2013년 서울소재 중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권순달,이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5 敎員敎育 Vol.31 No.2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특성, 수업만족 등 관련 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중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에서 수집한 2013년의 서울교육종단연구(SELS)자료 가운데 2013년 중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중학생들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자기통제력 등 심리적 특성이 긍정적일수록,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수준도 높았다. 둘째, 교우, 교사, 학교와의 관계는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었으며, 이러한 관계요인은 학교생활적응에 직접효과를 보일 뿐만 아니라 심리적 특성과 학교생활적응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들은 수업만족에는 직접 효과를 나타냈으나 학교생활적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학생들의 심리적 특성과 관계 특성, 수업만족 요인들 가운데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의 크기는 관계 특성요인, 수업만족 요인, 심리적 특성 요인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선행연구 결과들과 함께 논의하였으며, 학교생활 적응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in the fir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in Seoul, 2013.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established a structural model which include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self-esteem, self- control, self-resilience) as exogenous variables and relational characteristics(school, peer, teacher), the school adaptation(school climate, school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satisfaction(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as endogenous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3,726(2013) middle school students. The goodness of model-fit was evaluated to meet the recommended criterion of RMSEA, GFI, and CFI.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relational characteristic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able variables for school adaptation. Relational characteristic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adaptation. And also, instructional satisfaction didn't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intervention mechanism for school adaptation and also considerations for relational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are needed.

      • KCI등재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메타평가 도구 적합도 검정

        권순달 한국교육평가학회 2017 교육평가연구 Vol.30 No.4

        Recently teachers' complaints are rising about the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eacher ability development evaluation which i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Therefore, the departments responsible started to pay attention to the evaluation process and implemen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imple evaluation tool for evaluating the teacher ability development evaluation applied to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Items was developed, and verified by the FGI(focus group interview) methods and the expert meetings. And 19 items were selected. The reliability of the tool appeared very high and the factor analysis was very goo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 was from .603-. to 906 and the goodness of fit of this SEM was very fitness. Accordingly meta evaluation tool of research model appeared very good. Second, the meta-evaluation tool of 19 items were proposed. This tool which was made by question type is simple and convenient. And if you have another objectives of teacher evaluation, you can use items being selected or revised.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메타평가 문항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평가 문항을 개발하고 교원능력개발평가 업무 경험자 교원 5명을 선정하여 면담 및 전문가회의를 거쳐 도구의 논리적 타당도를 검정하였으며, 선정된 19문항에 대하여 K도교육청관내 교사 895명을 대상으로 평정하게 하여, 신뢰도와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4개 영역 각 문항들의 신뢰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연구모형에서 제시된 평가목적, 평가내용, 평가방법, 평가결과 등을 이론변수로, 평가목적 2문항, 평가내용, 8문항, 평가방법 6문항, 평가결과 3문항 등을 측정변수로 구성되는 구조방정식모형(SEM)으로 적합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요인계수는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χ2값을 제외한 다른 모형 적합도 지수들은 매우 적합하게 나타났다. 19문항을 의문문 형태로 진술하여 실제 적용 가능한 간편 메타평가 도구(문항)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친구관계 형성,성격,따돌림의 구조 모형 분석

        권순달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2

        This study examined the mechanism of peer network(status, similarity, reciprocity) character(overt, covert), bullying(exclusion, mocking) in the elementary school. Recently several teachers and parents have argued that some students don't make a friend with peers. And they have been excluded in their class activity. Of course excluding students have a few problems of personality. And the bullying was connected with the peer network and the character. Developed the new SEM about peer network, character, bullying and was tested by LISREL. For this study was used three test tools, which are Peer network, character, bullying. Surveyed 12 elementary schools and 737 children. The reliability of three questionnaires was .93, .92, .84(Cronbach alpha).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unded that children choose their friends according to the reciprocity. But peer network was few associated with character. Second, through model testing it appeared that this model is very good. The chi-square with 10 degrees of freedom was 17.71(p>.05). The goodness-of-fit indices was .99. These statistics indicated that the triangle model fits the data.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we must help students make friends in order to prevent the excluding of peer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he preventing of peer bullying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아동기의 친구 관계 형성, 성격 유형 그리고 따돌림 유형에 대한 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한 것이다. 자료 수집에 사용된 검사도구의 신뢰도(Cronbach α)는 친구 관계 형성 문항 .94, 성격 문항 .93, 따돌림 문항 .84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 아동들의 친구 관계 형성은 호혜성의 기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각 유형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격 유형에서도 내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소외형 따돌림 유형이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남학생과 여학생의 두 모집단의 공분산행렬(HΣ : Σ1남)=Σ(여))과, 요인패턴행렬(HΛ : Λ(남)=Λ(여)) 검증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모형을 검증한 결과 카이자승값(χ2=17.71)이 크지 않으면서 확률값(P>.05)이 크게 나타났다. 합치도 지수(GFI)가 .99로 나타나 모형이 자료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따돌림은 성격보다 친구 관계에 의해서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교사평가의 쟁점과 질적 분석

        권순달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 교육평가연구 Vol.25 No.4

        본 연구는 2012년 9월 25일 「교원 등의 연수에 관한 규정」개정을 근거로 실시되는 교사대상 교원능력개발평가와 기존의 근무성적평정, 교원성과상여금평가를 비교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원평가 세 유형의 비교를 위하여 평가의 과정, 즉 평가 목적, 평가 내용, 평가 방법, 평가 결과 및 활용을 준거로 설정하였다. 세 유형의 교사평가 법적 근거 규정을 비교하고, 공립 초·중등학교 교사를 초임교사와 경력교사로 구분하여 삼각기법(triangulation)으로 면담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사(승진 또는 전보) 자료로 활용되는 근무성적평정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 사립학교 교사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연구 결과, 경력에 관계없이 세 유형의 교원평가 평가 목적에 대해서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었으나, 당위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평가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습 및 수업 지도, 생활 지도, 업무(책무)등은 공통의 요소로 포함되어 있었다. 평가 방법에서 특히 경력 교사들이 교원능력개발평가의 다면평가-학부모-에 불신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평가 결과 및 활용에서 경력에 관계없이 교사들이 교원성과상여금평가에 대하여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근무성적평정과 교원성과상여금평가 결과 활용에 불만이 많았다. 평가 내용이 중복되는 서로 다른 유형의 교사평가를 실시하는 것보다 평가 기준을 달리하여 평가 결과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세 유형의 교원평가를 통합한 새로운 교사평가 모형의 개발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ree types of teacher evaluation which have been applied in all schools in Korea. They are the Teacher Appraisal for Performance, the Performance-based Incentive System, and Teacher Appraisal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his study, three newly appointed teachers and three career teachers were interviewed. They consists of two elementary school teachers, two junior high school teachers, and senior high school teachers. The criteria of the comparison were the goal, content, method, and use of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s of three types of teacher evaluations were different. The comparison of contents on the other hand, showed some similarities. Second, all teachers were fully aware of the goals and contents of the teacher evaluation. However, they had doubts in regards to the methods of teacher evaluation and believed that they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interaction of teachers. These results from this study demonstrate that a new approach to teacher evaluation is crucial to a more integrated and improved system in the future.

      • KCI등재

        교사교육 프로그램 평가 모형

        권순달 安岩敎育學會 1996 한국교육학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평가 모형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전문성 평가 요소를 과정과 산출로 구분하여 전자에는 교육과정, 교수활동, 현장실습, 교사후보생, 관리·여건 등으로 상세화하고, 후자에는 예비교사를 포함하여 과정요소와 산출요소의 체제 분석적인 접근을 시도하였다. 한편 평가 요소를 평가 준거로 상세화하고 이러한 준거를 측정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개발하여 요인분석의 방법으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LISREL)을 사용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사교육 프로그램 평가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였다. LISREL분석 결과 본 모형은 매우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교사 평가를 위한 360˚ feedback 모형

        권순달 안암교육학회 2004 한국교육학연구 Vol.10 No.2

        다면평가는 전통적인 상급자 중심 평가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다양한 평정자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교사 평가에서 도입하려고 하는 다면평가(360° 피드백)의 특성을 살펴보고, 다면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질적인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교사들은 학부모가 평가자로 참여하는 것에 강력한 반대를 하고 있다. 그 이유는 전문가가 하는 일을 비전문가가 어떻게 평가할 수 없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로부터 평가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는 일은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에서 교사 평가에서 다면평가 대신에 '360° 피드백'의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교사 평가는 교원근무성적평정과 달리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목적으로 도입하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행 교원근무성적평정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으나, 그렇다고 새로운 교사 평가제도로 당장 이를 개선하거나 대체하려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교사 평가의 목적에도 부합하는 '피드백' 단어가 포함되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 이와 함께 교사 평가에서 적용 가능한 360° 피드백 모형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학부모의 방과후 교육욕구 분석

        권순달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9 한국초등교육 Vol.11 No.1

        It is important for children to have a safe way to spend time after school. Parents hope to have the opportunity to bolster the education they receive during class with extra learning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parent need of After-school programs in the elementary school. Parent distrust about public education and devotion of their child gave raise to great private education. To solve the problems government urges to open after-school programs after finishing class. But in all the schools may not be opened the identical programs. Staffs must know parent having each another needs and school accept these parent needs. This paper provides information about after-school programs so that school can open programs which parents want and can choose the best one for their children. (1) Data of the effect of parent need of the after-school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 was done. The response was analyzed by the t-test and x^2. (2) Theoretical causal modelling was designed through the model specification and it was verified structural equation model. Data of 661 parents in urban and country were collected. They were made up of 338(75 2nd graders, 67 3rd graders 65 4th graders, 52 5th graders, 74 6th graders) in Seoul and 323(49 2nd graders, 90 3rd graders, 62 4th graders, 69 5th graders, 58 6th graders) in Gyeongido. The verified results through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t good after-school programs in country schools. And it was appeared facts that after-school programs does not drop the ratios of private education. Many par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present after-school program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verification of causal relation by SEM show the model to be suitable to the data. Several indices of goodness of fit identified that model fits well data Thx^2 is 54.90, p-value is .07, GFI is .99, AGFI is .98. A parent should look for responsible and caring staff, a safe and good environment, exciting and challenging activities, and other aspects of a well-run and enjoyable program. Parent need in after-school programs is important, and good programs will encourage parents to participat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모순되는 비교과 교사양성 제도

        권순달 한국교육학회 2004 敎育學硏究 Vol.4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screpancy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of not-teaching the subject matter and school curriculum in middle and high school. Subject-centered curricula are more adapted middle school than elementary school. The teacher in such a curriculum should be a subject-matter expert. But recently teachers of not-teaching the subject matter in middle school is increasing in number and domain. Generally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emphasize subject-matter or its content. Types of teachers not teaching the subject-matter are nursing and librarian teachers in school. And Before long nutrition teachers will be educated and appoint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roduction of system for not teaching subject matter appeared not to be valid and to have a educational purposes. Second, Programs of not teaching subject matter had no the course of teaching in terms of student teacher. Third, Certification of teachers of not teaching subject matter is given without distinguishing elementary school from middle school. Forth, They have been appointed and placed in middle schools without principles or rule. In conclusion, because students in middle and high school want the excellent subject matter teachers, we have to prevent teacher education of not teaching subject matter from being appointed in middle school.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은 교과중심 교육과정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에서 교사는 자신이 담당하고 있는 교과를 중심으로 교육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중등학교 교육에서 가장 분명한 교육 활동은 교사가 교과를 가르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최근 영양교사 양성에 관한 초·중등교육법이 개정됨을 계기로 비교과 교사 양성 제도에 대한 검토와 학교교육과정과의 관계를 비교·분석하는데 있다. 우리 나라의 비교과 교사 양성은 비교육적 이유와 목적에서 도입되어 양성되고 있으며, 임용과 배치에도 일정한 기준이나 원칙에 의해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리고 현재 임용된 비교과 교사-보건교사, 사서교사-들은 중등학교에서 직접적인 교수활동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제7차 교육과정은 선택중심의 교육과정, 교과 재량활동 등 교과가 차지하는 비중이 더욱 강조되었기 때문이다. 현재 학교 교육과정에 의하면 11학년과 12학년에서 학생들이 다양한 교과를 선택하게 하고 있다. 그러나 학생들이 희망하는 교과 담당 교사들이 양성·임용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보건교사, 사서교사, 영양교사와 같은 비교과 교사들을 양성하고 배치하는 것은 비교육적이고 개정된 학교교육과정의 성공을 어렵게 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