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

        권구영(Kweon, Gu-yo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5 No.-

        본 연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궁극적으로는 그들이 민주시민으로서의 권리를 확보하도록 돕는 사회복지실천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수행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요인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구조에서 사회통합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자료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지하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간 관계에서 사회통합의 매개효과가 발견되었다. 그러나 가족관계 스트레스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는 사회통합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주관적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한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사회통합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ecological factors with regards to foreign wives impacts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e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integra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rocess-related outcom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a survey instrument completed by 258 individual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moderate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demonstrated a mediating effect of acculturat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with regards to foreign wives.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to aid the search for highly effective interven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전라남도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중심으로 :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권구영(Kweon Gu Young),박근우(Park Kun Woo)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07 사회연구 Vol.- No.14

        최근 10여년 사이에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국제결혼 이주여성들이 부적응적 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아 사회통합은 물론 가족 관계 및 자녀 양육 등에도 상당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이 적응 및 사회통합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광주·전남지역 거주 국제결혼 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적 요인들이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 가족관계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는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아울러 이들과 정신건강 사이에도 유의한 정적 혹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교육수준, 결혼이유, 거주지 등을 통제한 후 이들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가족관계스트레스는 유의한 영향력을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국제결혼 이주여성에 대한 개입체계를 입국 전 및 입국 초기에 집중하는 개입체계로 전환하고 포괄적 사례관리를 제공할 것과 함께 경제적 지원 및 사회참여 증진, 사회적 지지망 구축 지원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Large number of foreign wives are having a difficult time in forming family relations and rearing children due to maladjustment to social environment. In response, this study looks into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ir mental health, assuming that mental health has a close relation with foreign wife"s social integration degree. The results has shown that foreign wife"s cultural adaptation stress, family relationship stress, and social support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Also,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social support appeared to be influential factors on foreign wife"s mental health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proposes that comprehensive case management focusing on the pre-intervention and a switch of social plans, financial supports and networking social support systems.

      • KCI등재

        직장인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무직 직장인을 중심으로

        권구영(Kweon Gu-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2

        본 연구는 직장인의 음주 및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사무직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그간 여러 연구들의 주요 이론적 근거가 되었던 긴장감소가설과 사회학습이론의 대표적인 요인인 직무스트레스와 음주하위문화가 음주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직장인들의 음주율 및 음주빈도, 음주량, 폭음빈도 및 음주 문제자의 비율 등이 일반 국민에 비해 매우 높아 직장인들의 음주문제가 위험 수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스트레스 및 음주하위문화가 음주 및 음주문제에 미치는 영향 및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음주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음주하위문화의 경우 음주 및 음주문제의 각 하위차원 모두에서 유의한 관계 및 영향력이 발견되어 직장인의 음주 및 음주문제에 대한 설명은 사회학습이론이 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개인 뿐 아니라 환경을 통합한 포괄적 관심의 촉구와 함께 직장인원조프로그램(EAPs)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examined influence of job stress and drinking subculture on the drinking of white collar employe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br/> First, there are a higher percentage of population among white collar employees who hold drinking problems in terms of frequency of drinking, amount of drinking, frequency of binge drinking comparing with general populace. The results of research revealed that drinking problems of white collar employees is quite close to dangerous level. Second, job stress didn't display a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however, drinking subculture revealed that it was related with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exhibiting significant influence. And, the results of research didn't support tension reduction hypothesis, and it was identified that social learning theory is main factor that will explain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 of white collar employees. Therefore, researcher suggested as follow; <br/> First,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exert their efforts for studying about drinking in the relationship to white collar employees. They should also have more interests in the topic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Second, suggest that EAPs be introduced in order to prevent white collar employees from drinking problem and to promote increase of entire welfare. Third, suggest that succeeding research endeavors be required, which shall embrace all of white & blue collar employees.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권구영(Gu-Young Kweon),박공식(Kong-Sick Park)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3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가 노인의 건강 및 사회참여 증진, 보충적 소득보장 등을 목적으로 도입하여 급속하게 확대실시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해서 그간의 사업 전반에 대한 평가가 단순히 사업 자체의 효과성에 국한되어 있어 세부 하위유형별 효과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의 각 하위유형별 사업참여자의 만족도, 사회참여수준, 주관적 효과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동기 및 참여자의 개인적 특성 특히, 경제적 수준과 교육수준 등에 의해 노인일자리사업의 만족도, 사회참여수준, 주관적 효과성에 차이가 있었다. 아울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 유형 가운데 교육형과 시장형 참여자들의 만족도와 사회참여수준, 효과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특성을 반영한 다양한 일자리 개발 노력과 함께 교육형 및 시장형의 확대, 체계적인 효과성 평가, 노인일자리사업의 경제적 보상 수준 현실화 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satisfaction,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ubjective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nt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secure the supplementary income, to increas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which started based on the consciousness of insufficient assesment of the wide scope of the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that provides jobs to the elder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ubjective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nt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were influenced by the motivational level,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the level of income and education. Also, among the subtypes of the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the education and market type was high on the satisfaction, the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the subjective effectiveness of the participa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the effort and research to develop the suitable jobs for the participants, to realize economic rewards and to expand the education and market type of the senior employment promotion project.

      • KCI등재
      • KCI등재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주관적 삶의 질 간의 관계

        최정민(Jeong Min Choi),이수애(Su-Ae Lee),박민서(Min-Seo Park),권구영(Gu-Young Kweon)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의 관계구조에서 임파워먼트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Bootstrapping 방식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 후, X2 차이 검증을 통해 경쟁모형 즉,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 중 최종 모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복지관 서비스 만족과 삶의 질 간 관계에서 임파워먼트가 완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관 운영과 관련하여 노인복지관 서비스의 이용자 참여 확대, 직원의 임파워먼트 실천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기회와 인센티브 제공, 임파워먼트 실천 모델개발과 매뉴얼화, 임파워먼트 실천에 대한 정부의 평가체계 반영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chanism through which Senior Center User's services satisfaction impacts quality of life. We we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ing Senior Center users. bootstraping metho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used. The partial and full mediation model were compared and X2 difference test was conducted between the two model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ing senior center us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ccount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ior center user's services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Empowering senior center user mediated fully the effect of senior center user's services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topics were discussed to aid the search for highly effective interven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인터넷 사용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권구영,이혜자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3 No.-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과도한 인터넷 사용이 생활의 변화를 가져오고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1,429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인터넷 사용 유형은 어떠하며, 사용 유형에 따른 정신증상의 차이는 어떠한지 그리고 인터넷 사용 목적과 정신증상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조사 대상 청소년의 38.5%가 문제 이용자의 범주에 포함되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문제 이용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문제 이용 청소년들은 인터넷 사용 후 생활의 변화, 가족 관계의 변화 등을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사용 유형에 따른 정신증상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평균 이용자에 비해 문제 이용자들의 정신증상이 모든 하위 차원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중독 정도를 측정한 점수와 정신 증상 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그러나 문제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성별, 거주지 등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에 따른 정신증상의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인터넷의 과도한 사용은 모든 사용자들에게 보편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추정할 수 있다. 다만 인터넷 사용 목적이 대인관계나 불건전 정보의 획득이 아닌 경우 정신증상이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인터넷 사용목적도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과도한 인터넷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방지하고 보다 기능적인 수준에서의 인터넷 활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전문적인 관심과 개입이 필요하며 다양한 변인의 영향력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 우리나라 알코올 중독 치료 현황의 이해를 위한 기술적 연구

        권구영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2 사회복지리뷰 Vol.7 No.-

        알코올 중독은 신체, 심리, 사회적인 측면 모두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다중적인 질병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다학문적 팀으로 구성된 치료팀에 의해 포괄적인 치료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알코올 중독의 특징이 잦은 재발이므로 단순한 치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재활을 위한 노력까지가 포괄될 때 그 치료 효과가 높아질 수 있다. 본 조사 연구는 이러한 개념에서 출발해 현대 사회에서 중요한 쟁점으로 부상한 알코올 중독의 치료 및 재활을 위한 노력의 현주소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737개 정신의료기관을 대상으로 1차 전화 조사를 통해 알코올 중독에 대한 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관 125개 기관을 선정하여 연구자가 구조화한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조사 기관은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어 주로 도시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치료 서비스의 계층화 우려가 있다. 둘째, 우리나라의 알코올 중독 치료 기관은 대규모의 병상을 가지고 운영되고 있었으며, 법적 기준은 충족하고 있었으나 입원 환자 중심 서비스인 것에 비해 치료전문인력은 매우 부족한 상황이었다. 아울러 치료 프로그램 및 치료 시설이 입원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셋째, 입원 병동의 구성이 폐쇄 체계인 보호 병상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개방 체계인 재활 병상의 설치 및 활용율이 저조하였다. 넷째, 재활을 촉진하기 위한 부분 입원 제도의 활용이 저조하였고, 치료 서비스가 대부분 남성에게 집중되어 있으며 여성 및 청소년, 노인 등의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한 치료 서비스는 매우 적었다. 아울러, 공존 장애 환자가 많음에도 이에 대한 대처 프로그램 및 서비스가 미약하다. 다섯째, 치료의 연속성과 효과성 유지를 위한 지역사회 자원 체계 망의 구성 및 활용이 저조하다. 여섯째, 정신과 전문의 이외의 알코올 중독 치료전문가의 수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전문가 1인당 환자 비율이 매우 높았다. 또한 치료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사전 교육 및 보수 교육의 기회가 적어 질적인 향상을 도모하기 어려울 것으로 추정된다. 일곱째, 전체 기관 가운데 1/3은 서비스 프로그램 및 시설을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입원 병상의 확대 계획이 가장 많아 알코올 중독자의 효과적인 치료 및 재활을 통한 지역사회 통합 체계의 구축은 요원하였다. 이상의 조사 결과에 따라, 우리나라의 알코올 중독 치료 및 재활 기관의 질적, 양적 향상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알코올 중독 치료 기관 및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이고 반복적인 조사 연구를 통해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알코올 중독 치료전문가 양성을 위한 체계적인 교육 과정과 자격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 치료 기관의 시설 개선을 위해 재정적인 투자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정부 주도 하에서의 국가 표준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Alcoholism is known to be a multiple disease that affects all of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Therefore,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requires a comprehensive approach by multidisciplinary treatment teams. Since the alcoholism is a frequently relapse, a treatment program is likely to be more effective if an effort for rehabilitation is included in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based on this concept, i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us of efforts for treatment of and rehabilitation from alcoholism that has been becoming one of serious issues in our society. Primarily the telephon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737 mental health institutions registered with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125 out of the institutions, which responded that they were offering treatment services for alcoholism, were selected, and the secondary survey was performed with them, using the questionnaires organiz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reatment services might theaten to be discriminatory according to social classes because the mental health institutions included in the survey were located unevenly, particularly more in the urban areas. Second, the alcoholism treatment institutions in Korea had large hospital bed facilities and satisfied statutory requirements but treatment professionals were too short, compared to relatively many personnel responsible for management of in-patients. Moreover, the treatment programs and facilities were mostly focused on in-patients. Third, in-patient wards consisted mostly of hospital beds for protection which are in a closed system, and accordingly, the installation and utilization of hospital beds for rehabilitation in an open system were very low. Fourth, the utilization of a partial admission system for promoting rehabilitation was low Treatment services offered were mostly organized for men, whereas treatment services for specific classes such as women, adolescents and the aged were very short. In addition, programs and services for patients with coexistent disorder were also insufficient, even though there are many patients with such disorder. Fifth, the organization and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resource system networks for maintaining the continuity and effectiveness of treatment were insufficient. Sixth, the number of professionals for treatment of alcoholism other than psychiatrists was relatively short so that the percentage of patients per professional was very high. Moreover, opportunities of preliminary or supplementary education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f treatment service were not many.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may be difficult to promot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reatment service. Seventh, about one third of total institutions had a plan to expand their service programs or facilities. But their plans chiefly focused on increasing hospital beds. It seems, therefore, that it will take a long time to establish a community integration system through effectiv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of alcoholics. Based on the results stated above, this study make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of institutions for treatment of and rehabilitation from alcoholism. First, alcoholism treatment institutions and related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evaluated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so that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and evaluation can be reflected in making a related policy. Second, systematic curriculum and qualification requirements for alcoholism treatment professional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financial investment should be made to improve facilities of treatment institutions. Fourth, a government-level effort should be made to prepare related national standards.

      • KCI등재

        노숙자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

        권구영,김성현,서미경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199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8 No.-

        The main premise of this study is that mental health porblems of the homeless tend to isolate them from society, prolong their period of homelessness, and make them difficult to reestablish their well-being. With 75 homeless people, we reviewed kind of mental health problems, a correlation among the found mental health problems, and change of the problems with the lapse of tim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1) drinking problem of the homeless was much greater than normal persons; 2) as for psychiatric symptoms, Somatization, Phobic Anxiety and Psychoticism were more serious than other symptoms; 3) drinking problem were positively related to Somatization, Phobic Anxiety and Psychoticism, so that homeless persons with drinking problem had more serious psychiatric symptoms; 4) the period of homelessness was related to drinking problem, that is, the homeless who is living on a street-corner during 18 months over were having the most serious drinking problem; 5) the period of homelessness was related to psychiatric symptom, that is, homeless persons at the early stage and for long period of time(over 18 months) had the most serious psychiatric symptoms. These results of 4) and 5) were similar to the reaction of normal persons when they are faced with heavy life event and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clinicians to intervene mental health problems of homeless people actively at the early stage of homelessness in order to prevent from prolong their homeless peri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