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청소년의 성매매 유입과정과 지속배경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구차순,김현옥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한국사회복지학 Vol.7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understanding of juvenile prostitution(including pimp).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was applied and collected data from 5 juvenile prostitutes and 2 juvenile pimp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wet up. First, what is the background of the influx of teenagers into prostitution? Second, what is the background of juvenile's continuing to sell sex and self-assessment. The youth's experience over time showed that it consisted of six themes: a weak protection system, a sign of an influx of prostitution, prostitution, pimp, cut off prostitution, self-consciousness. These themes led to the following discussions regarding the research problem. Firs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weak protection system behind the influx of teenagers into prostitution, which led to the runaway and again became a leading factor in the influx of prostitution. Second, there was a specific structure behind the continuing prostitution of teenagers: Runaway family, which provides a sense of intimacy not experienced in previous protection systems.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prostitute and pimp. Feelings of helplessness. Characteristics of Protective Facilities. Prostitution by one's choic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bsequent research of this study were propose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성매매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달성하기 위해 질적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했고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첫째, 청소년들의성매매 유입과정은 어떠한가? 둘째, 청소년들의 성매매 지속배경으로서 그 구조와 이에 대한 그들의평가는 어떠한가? 청소년의 성매매 경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취약한 보호체계, 성매매 유입의 전조, 성매매, 성매매 알선, 성매매 단절, 자아 등 6가지 구성 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주제를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논의를 끌어내었다. 첫째, 청소년들이 성매매로 유입된 배경에는 취약한보호체계라는 문제가 있었고 이는 가출을 이끌어내고 가출은 또 다시 성매매 유입의 선행요인이 되었다. 둘째, 청소년들이 성매매를 지속하게 된 배경에는 이전의 보호체계에서는 경험하지 못했던 친밀감을제공하는 가출팸, 성매매 알선과의 특수한 관계, 그리고 무력감과 보호시설의 특성이라는 특정한 구조가있으며 이와 더불어 성매매 자발성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이런 논의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의의와한계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전문직 은퇴자의 재능나눔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구차순,박주홍,노봉근,김혜경(위덕대학교)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5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0 No.1

        이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서 새로운 집단으로 부상하고 있는 전문직 은퇴자 즉 지식과 기술 및 경험을 보유한 고령자의 인적자원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주된 자료수 집 방법으로 일대일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30년 이상 전문경력을 지닌 은퇴자이며 현 재 재능나눔활동을 하고 있거나 중단한 참여자 9명과 재능나눔활동에 참여하지 못한 참여자 1명 으로 구성되었다. 참여자 대부분은 자신의 전문경력을 현장활동과 연계시키지 못했으며 전문경력 을 활용하는 경우는 높은 성취감과 자긍심을 가졌다. 참여자의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 들로는 경제적 안정, 보상, 건강과 종교, 역할부여에 대한 만족감, 조직적인 활동 등이었다, 부정 적인 영향은 자신의 여가생활과 안주, 가사와 손자녀 양육부담, 건강악화, 경제적 어려움, 수요기 관에 대한 정보부족 등이었다. 그리고 은퇴 전·후의 재능나눔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활동을 제도 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미비의 문제점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전문직 은퇴 자의 인적자원 활용을 위한 재능나눔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ise a means to activate to utilize human resources of professional retirees.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in-depth interview of 10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participants couldn’t connect their career experience to sharing activities. Satisfaction and confidence were high in connecting career experience to activities. Second, economic stability, rewards, health, religion, and performance of duties on volunteer work influenced the activities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enjoyment of leisure, contentment with pension, household chores, caring for grandchildren, bad health, economic difficulties, and deficient information about sharing activities had a negative influence. Third, education regarding sharing activity before and after retirement was very important. Fourth, sharing programs were insufficient in systems . Finally, we propose several policies to initiate the sharing activities of the professional retire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

        구차순,김동환 한국청소년학회 2013 청소년학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현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 속에서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 두 변수가 유의한 영향관계에 있다면, 자아존중감은 조절적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5개교의 1, 2학년생 2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설정한 2가지 가설을 중다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은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자살생각의 하위 요인인 소극적 자살욕구, 적극적 자살욕구, 준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청소년의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과 자살생각 간의 영향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은 조절적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자살에 노출될 가능성이 많은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이 실제적 자살 행위에 이르지 않도록 미연에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자살예방프로그램의 구안이 필요함을 제안했다. 즉, 이러한 프로그램은 자살의 초보적 상태인 수동적 자살욕구에 놓여 있을 때 또래괴롭힘 피해 경험을 감소 또는 제거시키기 위한 모듈을 포함해야 하고, 타인 및 가족구성원들과의 관계, 학교생활 속에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듈도 반드시 포함해야 한다. Within the trend of continued increase in peer victimization of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peer victimization experience has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ideation, and is the two variables are in a significant relationship, self-esteem takes a moderating role. Based on the result of survey on 232 students in freshmen and sophomores at 5 high schools in Ulsan, two hypotheses proposed by this study were tested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 of testing the hypotheses, peer victimization experience of adolesc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ideation, as well as subordinate factors of suicide ideation such as passive suicidal desire, active suicidal desire, and suicide preparation. In addition, self-esteem performed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suicide ideation of adolescents. Based upon such study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uch program must include a module to reduce or remove pessimistic feelings by peer victimization experience when adolescents are placed in a passive suicidal desire during early state of thinking about suicide. The program should be devised to also include a module to improve self-esteem.

      • KCI등재

        지적장애인부부의 결혼생활 : 돌부리를 디딤돌 삼아 주체적 삶을 찾아가는 길

        구차순,오승환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7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7

        This study explored the married life of the coupl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and observa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ir various difficulties through the married life such as getting married, being pregnant, giving birth, infant caring, married life and communal life and so on.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purposeful sampling combined with criteria and convenient sampling were extracted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being made after getting prior consent from the couples. Research participants were married coupl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eriod of their married life was at least over 3 years. They were somewhat able to communicate. The research results have drawn 65 meaning units, 21 small topics and 7 topic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keeping an ordinary married life such as common daily lives and child rearing like the couples without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study, however, identified that they were suffering from rearing children and economic problem due to their disability.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study suggests how to develop social and psychological services necessary for married coupl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iscusses ways to support them. 본 연구는 지적장애를 가진 부부의 결혼생활을 이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기준과 편의방식을 결합하여 의도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부부모두 지적장애인으로서 최소 3년 이상의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부부를 선정하였다. 지적장애인부부의 결혼생활을 분석한 결과 65개의 의미 단위, 21개의 소주제와 7개의 주제를 도출해 내었다. 7개의 주제는 ‘결혼생활의 시작: 한정된 기회’, ‘임신·출산·육아: 배제된 선택’, ‘부부: 우리만의 소박한 행복’, ‘자녀: 보람과 아픔’, ‘살림살이와 가계: 함께 그리고 스스로 해내기’, ‘공동체 속의 삶: 단절과 고립,’ ‘일상: 다르지 않는 삶’으로 구성되었다. 각 주제마다 드러난 지적장애인부부의 생생한 경험 속에서 이들이 겪는 어려움과 동시에 비장애인과 다름없이 결혼을 통한 권리로서의 삶을 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지적장애인 부부의 결혼과 결혼생활에 필요한 사회적, 심리적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방향을 제시하고 지원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의 결혼생활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지역사회에서 독립된 주체로서 생활해 나가는데 다각적인 측면에서의 지원을 모색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국제결혼 남성의 결혼해체 과정에 관한 연구

        구차순(Koo, Cha Soon),박순자(Park, Soon Ja)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2 社會科學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결혼해체과정에 대한 이론을 개발하고자 이루어졌다.연구목적을 위하여 국제결혼 해체과정을 경험한 9명의 한국남성과 그들 중 한명의 아버지를 연구에 참여시켰다.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이 결혼해체 과정에서 겪는 중심현상은 ‘힘겨운 원조의무’, ‘회의’,‘배신’이었다.이러한 중심현상을 일으키는 인과적 조건은 참여자들이 처한 ‘결혼시장의 낙오자’와 서로 이기적인 목적으로 이루어진 ‘동상이몽의 결혼’그리고 ‘간극’이었다.맥락적 조건인 ‘가족유대’에 대한 인식과 처의 ‘나에게서 벗어남’의 정도는 중심현상의 경험에 영향을 미쳤다.중재적 조건인 부정적인 ‘외부의 관여’와 ‘사회의 왜곡된 관점’은 참여자들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취하는 작용/상호작용을 조절했다.작용/상호작용은 ‘일탈’,‘힘을 모음’,‘순화’로 분석되었다.이러한 작용/상호작용의 결과로서 ‘경종을 울림’,‘정돈’,‘성장’이 도출되었다.그리고 본 연구에서 도출해낸 국제결혼 남성의 결혼해체과정은 ‘동상이몽’,‘분열과 저항’,‘정리’의 단계로 분석되었다.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 결론 맺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about uncoupling experience of Korean males who married foreign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grounded theory approach was utilized. The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on ten Koreans, including nine Korean males who spent six months after uncoupling of their international marriage. Based on the paradigm of the grounded theory,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re phenomena are ‘difficulties of economic aid’, ‘doubts’, and ‘betrayal’. The uncoupling process of males who married foreigners consists of three stages’ ‘completely different expectations’, ‘split-up and resistance’ and ‘arrangement’. Discussion and implication about the results were presented. Finally, limits of this study were clarified. A meaning of this study is the first study about uncoupling experiences of Korean males who married foreigners.

      • KCI등재

        시설보호 아동의 원가족 분리 대처 경험에 관한 연구

        구차순 ( Cha Soon Koo ),이승민 ( Seung Min Lee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31 No.-

        본 연구는 원가족과의 분리 경험을 한 아동이 시설에 입소하여 시설보호를 받으면서 대처해나가는 과정 대해 알고자 이루어졌다.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의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분석결과, 104개의 개념과 42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근거이론의 패러다임에 의하여 대처과정을 분석한 결과 ``상처로 웅크림의 단계``, ``삭임의 단계``, ``버팀의 단계``, ``누림과 준비의 단계``로 나타났으며 중심현상은 ``막막함, 상처, 그리움, 낯설음``, 그리고 핵심범주는 ``상처를 삭이며 기다림``으로 구체화되었다. 각 대처 과정에 대해 논의와 개입 방안을 제시했으며 기존의 연구와 달리 원가족 분리 시설보호아동이 시설보호 경험을 전략이라는 강점관점으로 접근하여 강점을 강화시키는 방안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coping strategies of the separated children from their family of origin in residential care. For the research, this study primarily chooses and applies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A total of 104 concepts, 42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were produced. Based on the paradigm of the grounded theor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ategories is as follows. The core phenomena is ``gloomy future, wound, missing, unfamiliarity``. The process of coping strategies are ``crouching for a wound``, ``calming-down``, ``holding out``, ``enjoying privilege and waiting``. Discussion and intervention measure about each process of coping strategies were presented. Finally, a limit of this study was clarified and subsequent studies were proposed. A meaning of this study is to make an approach in strength perspective and to present measures to strengthen a strength.

      • KCI등재
      • KCI등재

        사회정보처리 관점에 의한 방임피해아동 및 양육자의 특성과 방임 심각성과의 관계

        구차순(Koo Cha-Soon) 한국가족학회 2008 가족과 문화 Vol.20 No.4

        본 연구는 사회정보처리 관점에서 방임피해아동 및 양육자의 특성과 아동방임의 심각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사회정보처리 관점에 따라 양육자의 아동방임과 관련한 정보처리 단계를 4단계 즉, 정보투입단계, 자료의 해석단계, 정보통합의 실패단계, 모니터링과 조절행동의 실패 단계로 구분하였고 각 단계별로 아동방임을 유발할 수 있는 아동과 양육자의 특성을 설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성격 및 기질, 양육자의 연령과 의사표현방식이 아동방임의 심각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정보 처리 단계별로 설정된 아동과 양육자의 특성에 따라 아동방임 심각성의 차이가 있는가를 분석한 결과, 1단계에서는 아동의 출생상황, 2단계에서는 아동의 성격 및 기질, 3단계에서는 양육자의 학력 및 연령, 4단계에서는 양육자의 의사표현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논의와 제언을 결론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it of neglected child, fosterer and the seriousness of neglect from a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oint of view. Data was collected from 102 neglection cases, and respondents were Child Protective Services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neglected child and fosterer which influence to the seriousness of neglect were character, nature of neglected child and education background, age, expression of fosterer. Second, by stage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birth condition in first stage, and character, nature of neglected child in second stage, and education background, age of fosterer in third stage, and ability to express one's mind in forth stage), there is difference in seriousness of neglect according to the trait of child and fosterer.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 교육의 국제적 기준에 따른 한국 사회복지 교육 분석

        김도희,구차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08 한국사회복지교육 Vol.4 No.2

        This study has focused on analysis of social work education in korea and suggestion for indication of korea social work education, according to global standar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ocial wor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sed of social work education of Korea by nine sections from global standar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ocial work. As well this study had a comparison Korea, Australia and the States for analysis of social work education. As a result, it was difficult to analyse with lack of developed document about korea social work education. However nine sections was insufficient from global standards for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social work. Especially, core curricula was narrow and field education, professional staff, social work students, structure, administration governance and resource, diversity, conduct of the social work profession was not quite satisfactory according to standards. This study had several suggestions. Frist, standardizing social work education of Korea should be needed for strengthening association of Korea Association of School of Social Work. Second, developing and adapting diversity curriculum was urgent. Lastly, social work education of Korea would be correspond to global standard also developed characterized of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situation 본 연구는 사회복지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국제적 기준에 준해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교육과 훈련은 얼마나 우리의 특성에 맞게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통해 향후 한국 사회복지 교육의 기준 개발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해 국제기준에서 주요 항목으로 다루고 있는 9가지의 영역에 대해 분석하고 아울러 이미 사회복지 교육에 대한 기준을 마련한 호주와 미국의 경우와 우리의 교육 현실을 국제기준에 준하여 비교하였다. 사회복지 교육과 훈련에 대한 기준 문서를 개발하지 못한 상항에서 비교 분석은 다소 어려움이 있으나 9개 항목 모두에서 국제적 기준에 준해 미흡한 면이 있었다. 특히 핵심교과 과정의 지침이 국제적 기준에 비해 편협하며 이외에도 현장실습 교육, 사회복지 교육자, 사회복지 전공 학생, 교육구조와 행정 및 자원, 다양성, 가치와 윤리에 대한 교육기준 등도 국제기준에 비해 미흡한 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복지교육의 규준화 작업을 위한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기능 강화, 교과과정 중 ‘다양성’ 교육 개발과 도입의 시급, 국제적 기준 부합과 동시에 한국의 특성에 맞는 사회복지 교육 및 훈련에 대한 기준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